경상 분지

(경상 누층군에서 넘어옴)

경상 분지한반도 남동부의 경상도 지역에 분포하는 한국 최대의 백악기 퇴적분지이다.[1]

남동부에 위치한 민트색, 노란색, 보라색 부분이 경상 누층군
민트색 K1 = 신동층군
연노랑색 K2 = 하양층군
연보라색 K3 = 유천층군

개요

편집

경상 분지는 중생대 백악기 호수에서 형성된 육성(陸性) 퇴적분지로서, 두께가 9~10km[2]에 달하는 퇴적층 경상 누층군 및 이를 관입하는 불국사 화강암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리적으로는 영남 지방 대부분과 호남 지방의 일부분을 포함한다. 경상 분지가 퇴적된 호수는 공룡들에게 좋은 서식지였기 때문에, 경상 분지 내에는 경남 고성 덕명리, 울산 천전리 공룡발자국 등과 같은 공룡의 화석이 다수 분포한다.

구성

편집

경상 분지는 호수 환경에서 형성된 육성(陸成) 퇴적암 경상 누층군, 즉 서부의 신동층군, 중부의 하양층군, 남동부의 유천층군, 그리고 이들을 관입하는 불국사 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다.[3]

고토 분지로(1903)는 경상 지층(Gyeongsang Formation)의 개념을 처음 도입했고 이후(1909) 비화산성 퇴적암인 하부 경상층과 용암류와 화산 쇄설성 퇴적암인 상부 경상층으로 구분했다. 가와사키는 경상 지층을 상부대동계(Upper Daedong System)로 정의했고 나중에(1928) 경상계(Gyeongsang System)으로 재정의했다. 1929년 타테이와 이와오(Tateiwa iwao, 立岩巖)는 칠곡군 왜관에서 대구광역시를 지나 경주시에 이르는 지역에서 소위 상부대동계 지층을 조사하고 하부의 낙동통(統; 현재의 층군에 해당함), 상부의 신라통, 화강암과 반심성암류로 구성된 불국사통으로 분류하였다.[4][5] 그러나 장기홍(1975)은 경상 분지 내에서 보다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는 암층서적 분류를 제안하여 화산 쇄설물의 포함 정도를 근거로 하여 경상 분지 내 지층들을 신동층군, 하양층군, 유천층군 및 불국사 관입암류으로 재분류하였고 3개 층군을 묶어 경상 누층군(Gyeongsang supergroup, 慶尙 累層群)으로 명명하였다. 이 과정에서 원래 낙동통에 속해있던 낙동층, 하산동층, 진주층이 신동층군으로 정해지고, 그 상부의 퇴적층은 하양층군으로 정해졌다.[3][6][7] 타테이와가 설정한 과거의 분류 방식은 이제는 사용되지 않으나 그 흔적은 남아 있는데 '신라 역암층'은 옛 신라통의 기저 역암층의 개념으로서 명명된 이름이며 이 지층명은 현재까지도 유효하게 사용된다.

과거의 분류 (1975년 이전)
현재의 분류 (1975년 이후)
대구-영천-경주 지역
타테이와(1929)[9]
경상 분지
장기홍(1975)[3]
경상계 불국사통 불국사 화강암 관입암 복합체 불국사 관입암군 경상 누층군
신라통 주사산 빈암층 화산암 복합체 유천층군
건천리층 진동층 하양층군
채약산 빈암층
대구층
학봉 빈암층 함안층
신라 역암층 신라 역암층
낙동통 칠곡층 칠곡층
진주층 진주층 신동층군
하산동층 하산동층
낙동층 낙동층

경상 분지는 지구조적으로 북에서부터 밀양, 의성, 영양 소분지(subbasin; 또는 지괴) 등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장기홍은 지역에 따라 암상과 암층서가 상이한 것에 근거하여 경상분지를 낙동소분지, 영양소분지, 신라소분지로 나누고 신라소분지를 도평(의성) 지괴와 밀양 지괴로 구분하였다.[3][10][11] 이름이 나타내는 대로 각각 밀양, 의성, 영양 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한다. 영양 소분지와 의성 소분지는 안동 단층 및 청송 융기부에 의해 구분되며, 의성 소분지와 밀양 소분지는 대구광역시 북쪽의 팔공산 화강암체와 팔공산 단층에 의해 구분된다.[12][13]

경상 분지 내 소분지 간의 층서 대비표[14]
영양 소분지 의성 소분지 밀양 소분지
유천층군
신양동층 건천리층 하양층군
기사동층 춘산층 채약산화산암 진동층
송내동층
도계동층 반야월층
사곡층 함안층 함안층
오십봉화산암 점곡층 학봉화산암
청량산역암 신라역암층
가송동층 - 칠곡층
동화지층 구계동층원
구미동층원
백자동층
울련산층 일직층
- 진주층 (동명층) 신동층군
하산동층
낙동층 (연화동층)

형성

편집

경상 분지의 형성 및 확장과 관련된 모델은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다양한 견해로 해석되어 왔으나 여러 연구들을 종합해 볼 때 경상 분지는 단층 운동에 의한 인장(引張; extending) 환경 하에서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과거의 층서학적 연구들은 그 북쪽이 안동 단층으로 경계 지어지는[5] 초기 경상 분지(proto-Gyeongsang Basin)를 북북동 내지 남-북 방향의 낙동 곡분(Nakdong trough, 洛東谷盆)로 명명하고, 낙동 곡분의 기하와 함께 신동층군 지층들이 전반적으로 동남동 방향으로 경사진 경향에 근거할 때 경상 분지 확장 초기의 고응력이 남-북 압축 내지 동-서 인장일 것이라는 해석이 지배적이었으며 이후 해구의 퇴각(roll-back)에 의한 영향으로 지괴의 경동 또는 지괴의 점진적인 단층 작용에 수반되어 퇴적 중심이 동쪽으로 이동하며 분지가 확장한 것으로 해석되어 왔다. 장기홍은 안동시 길안면 천지리 일원에 노출된 기반암의 직상부에 신동층군이 분포하지 않는것에 근거하여 낙동곡분의 동편 경계가 의성군 의성읍사곡면 사이를 남-북 방향으로 통과할 것으로 추정하였으며[15] 여러 퇴적학적 연구들에서는 낙동 곡분이 서편은 부정합이고 동편이 단층으로 이루어졌으며 남-북 기원의 정단층에 의해 생성된[16] 반지구형(half graben-type) 곡분일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러한 낙동 곡분의 기하에 근거하여 경상 분지 확장 초기 당시의 고응력이 남-북 압축 내지 동-서 인장일 것이라는 해석이 지배적이었으며, 전반적으로 동-서 방향으로 발달하는 안동 단층계가 경상 분지의 동-서 방향 확장 초기에 전이 단층(transfer fault; 지구대 양쪽에 발달하는 단층)으로 운동했을 것이라는 모델이 제안된 바 있다.[17][18] 의성지괴 북서부 일원에 대한 퇴적학적 연구들은 북서 주향의 퇴적단위들이 연속성을 가지고 발달하며 동쪽으로의 퇴적심 이동을 보고하였으며, 이러한 퇴적 작용이 인장(extension) 내지 횡인장(extensional strike-slip)환경 하에서 발생된 북서 방향의 정단층 운동에 규제되어 이루어졌음을 제안하였다.[19]

그러나 경상 분지 형성 초기의 응력이 동-서 인장 또는 남-북 압축응력이라는 기존의 해석을 인정하지 않는 의견들도 있다. 최범용의 구조지질학적 연구는 의성 소분지에 발달하는 서북서 방향의 퇴적동시성 구조 요소들에 근거하여 분지 발달 초기의 응력이 동-서 방향의 압축 응력과 남-북 방향의 인장 응력임을 제시하였다.[20] 천영범 외(2017, 2018, 2020)는 경상 분지 내에 발달하는 여러 단층들의 기하와 운동학적 성격을 연구하고 북북동-남남서 방향의 인장 환경 하에서 경상 분지가 생성되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천영범 외(2017)는 경상 분지 의성 소분지에 발달하는 단층들을 연구하고 서북서 내지 북서 방향의 단층들은 초기의 북북동-남남서 인장 환경 하에서 정단층으로 운동하여 경상분지의 확장 및 침강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고 해석하였다.[21] 천영범(2018)은 팔공산 이북의 의성지괴 서편 경계는 북북서 방향으로 발달하고 퇴적동시성 성장단층과 같은 퇴적동시성 구조들은 서북서 내지 북서 방향으로 발달하는 것을 근거로, 경상 분지 형성 초기의 응력이 동-서 인장 또는 남-북 압축이라는 기존의 해석을 인정하지 않고, 경상 분지의 형성이 동-서 방향의 인장 응력과는 관계가 없고 경상 분지의 확장이 북북동 방향의 좌수향 운동과 북북동-남남서 방향의 인장 응력과 관련 있음을 제시하였다. 즉 경상 분지가 발달하는 동안 지속적인 북북동 방향의 좌수향 전단력이 작동하였으며, 이에 수반되어 이차적으로 형성된 (서)북서 방향의 정단층 운동이 있었고 경상 분지는 정단층 운동보다는 주향 이동 단층에 규제되어 확장이 주도된 분지일 것이다. 여기에 남동쪽으로의 해구 퇴각에 의한 인장력이 더해져 경상 분지의 확장은 최종적으로 북북동-남남서 내지 북동-남서 방향의 인장력이 작용한 결과로 판단된다. 특히 분지 경계 인접부에서 분지 충전물의 주향 및 분지 경계의 방향과 유사한 방향으로 발달하는 다수의 정단층들은 분지의 확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의미하며, 이러한 특징은 분지 경계가 부정합일지라도 분지의 확장을 주도한 정단층 또는 주향 이동 단층이 분지 내부에서 활발하였고 대규모의 숨겨진 단층이 분지 내부에 존재할 가능성을 지시한다.[22] 2020년에는 북북서 방향으로 사교 섭입한 이자나기판에 의해 야기된, 북북동-남남서 방향 주향 이동 단층을 따라 발생한 좌수향(sinistral) 운동에 의해 분지가 열렸다고 제시하였다. 127 Ma부터 분지는 북북동 방향 단층 사이의 좁은 함몰지로 시작했고, 횡인장(transtensional) 환경 하에서 확장되었다. 분지 서쪽을 남북으로 달리는 이 북북동 주향 단층은 현재는 깊은 구조로 보존되어 있다. 경상 분지와 기반암과의 경계는 진주 지역 서부에서는 대개 부정합 관계이지만 대구 지역에서는 단층과 부정합 둘 다이다. 90 Ma 이후 횡인장(transtensional) 운동이 주향 이동 운동으로 바뀌어 분지의 확장이 종료되었다.[23]

일본의 하쿠유 오카다 등은 경상 분지를 플룸 운동에 의한 반지구대 형태의 열개 분지(rift basin)로 보았다.[24][25] 황병훈 등은 경상 분지의 확장이 광역적인 압축 환경과 이에 수반된 공액상 주향 이동 단층계(conjugate strike-slip fault system)의 운동 및 지괴 회전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자나기판이 유라시아판 밑으로 사교 섭입함에 따라, 북서-남동 방향 압축력에 의해 야기된 남-북 방향의 좌수향 주향 이동 운동에 의해 경상 분지 형성이 시작되었고 지괴가 회전한 것으로 해석된다.[26][27] 최성권과 손영관(2010) 경상 분지의 형성이 이자나기판유라시아판 아래로 사교 섭입하는 동안 대륙판 사이의 약한 결합으로 인해 형성된 인장 내지 횡인장(transtensional) 응력 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제안하였다. 아시아 대륙 밑으로 섭입하는 이자나기 판에 의해 배호(back-arc) 지역에 비해성의 경상 분지가 형성되었으며 해구의 퇴각(trench roll-back)에 의해 분지의 열개(rifting)가 동쪽으로 확장되었음이 제안되었다. 또한 유천층군과 불국사 화강암류가 하나의 화산호를 이루고 있음을 제안하고, 이를 경상 화산호(Gyeongsang Volcanic Arc)로 새로이 명명하였다. 그리고 경상 화산호의 서편에 분포하는 신동층군과 하양층군을 경상 배호 분지(Gyeongsang Backarc Basin)로 새롭게 명명하고, 기존에 통용되던 '경상 분지'를 경상 배호 분지의 개념에 국한하기로 제안하였다.[28] 이윤수 등은 고자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130~100 Ma에 북중국 강괴유라시아판으로 병합된 이후 지속적인 남쪽으로의 이동 동안 형성된 광역적인 남-북 방향의 압축력이 경상 분지의 시작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제안하였으며, 이때 유라시아판에 대해 한반도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동아시아 일원에 분포하는 북동 방향의 단층들이 좌수향으로 운동했음을 주장하였다.[29]

최범영 등은 경상 분지 내에 발달한 여러 단층들의 구조를 분석하고 고응력을 추정하였다. 의성소분지 지역의 단층들로부터 바렘절~압트절 시기(T_1 사건)에는 남-북 인장과 동-서 압축력이, 압트절-상파뉴절 시기(T_2 사건)는 동-서 인장과 남-북 압축력이 작용했음을 알 수 있다. 경상 분지 발달 초기인 바렘절-압트절 시기에 경상 분지는 팔공산 지역을 기준으로 남북으로 나뉘며 가음 단층을 경계로 주 응력축이 큰 변화를 보이는 것은 가음 단층대가 이 시기 부분적으로 운동이 있었음을 지시한다. 의성군 봉양면 도원리 지점과 군위휴게소 부근 중앙고속도로 도로변 하산동층 노두에서 발견된 정단층 및 주향 이동 단층은 남-북 인장력을 지시한다. 의성군 봉양면 사부리 지점의 하부 진주층에서 발견된 단층의 초기 응력장 또한 동-서 압축과 남-북 인장력을 지시한다. 의성군 의성읍 철파리 후평동층에 발달한 단층은 동-서 인장과 남-북 압축력으로 구성된 초기 사건을 보이며 남-북 인장과 동-서 압축력을 보이는 응력장이 확인되지 않아 남-북 인장 및 동-서 압축력을 가진 지구조 사건이 이 이후에는 존속하지 않았음을 지시한다.[30]

하동군 금성면 일대의 낙동층 중부에서 두께 3 m 내외의 화산쇄설성 퇴적층이 수평으로 분포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로부터 경상 분지는 형성 초기부터 이미 화산 활동이 있었고 이는 퇴적분지 생성에 관여한 것으로 보이는 지구조운동과 병행하여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31]

주요 광상과 지하자원

편집

경상 분지 내 경상 누층군에는 금-은, 연-아연, , 중석-휘수연, 납석(蠟石)광상 등의 열수 광상 내지 열극충진광상이 발달하며 대표적으로 대구광역시달성 광산 등이 있다.[32]

경상 분지 내 석유 부존 가능성

편집

경상 누층군 내 낙동층진주층에는 소량의 무연탄이 산출되나, 대체로 석탄과 석유는 같이 산출되지는 않는다. 경상 누층군의 사암은 예외 없이 분급이 불량하여 공극율과 투과율이 극히 낮아 저류층(儲留層)이 되기 어렵다. 또한 경상 누층군은 거의 모든 지역에서 한쪽으로만 기울어 있어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석유나 천연가스가 보존될 가능성이 있는 습곡 구조의 발달이 거의 없다. 그러므로 장기홍(1978)은 경상 분지에서 석유가 산출될 가능성이 별로 없다고 단정하였다.[33] 오재호 외(1995)는 진주시 지역의 경상 누층군 신동층군과 하양층군을 조사하고, 낙동층진주층에 좋은 저류층(사암)과 덮개암(이암) 역할을 할 수 있는 지층이 있으며 신동층군에는 1% 이상의 유기탄소를 포함하는 흑색 이암들이 발달하여 신동층군에서 건성 가스 부존의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낙동층 하부의 탄질셰일층과 진주층 중부의 흑색셰일층은 유기물의 함량이 높고 매우 낮은 잔류 생성 석유 잠재력을 보여준다. 현재 지층의 유기물은 탄화수소로 변환 가능한 부분이 모두 탄화수소로 바뀌고 남은 찌꺼기로 해석된다. 하양층군에는 근원암 및 저류암의 발달이 미약하다.[34]

퇴적 환경

편집

경상 누층군이 퇴적된 경상 분지의 전체적인 지형은 산지로 둘러싸인 충적 분지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경상 분지의 퇴적 환경은 가장자리에 발달된 충적 선상지(alluvial fan)를 비롯하여 하성 평야(fluvial plain)와 호수(lake) 등의 환경이 복합된 것으로 해석되었다. 하성 평야와 호수의 분포는 강수량과 증발량 비율의 변화에 의해 결정되었지만, 충적 선상지의 퇴적은 단층 활동에 의해 규제받았다.[5][28] 경상 누층군 퇴적당시의 기후 조건은 전반적으로 온난한 가운데에, 건조와 습윤 기후의 반복이 일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경상 누층군 신동층군

편집

경상 누층군의 최하부 지층군이자 경상 분지 서부에 위치한 신동층군은 약 20 km의 폭으로, 남해에서 안동 단층까지 남북으로 길게 발달되어 있으며 하부에서부터 낙동층, 하산동층, 진주층(=동명층, 최상부 지층)으로 구분되어 그 전체 두께는 2,300 m에 달한다. 경상 분지 발달 초기에 영남 지괴와 접한 분지의 서쪽 가장자리를 따라 부정합 관계로 신동층군이 퇴적되었으며 화산 물질을 거의 포함하지 않는다. 이 지층군의 이름은 경상북도 칠곡군신동 지역에서 유래되었다.[3] 신동층군의 사암을 연구한 최현일(1986)에 의하면 낙동층하산동층의 사암은 충적평야의 하도퇴적물이며 진주층의 사암은 호저(湖底) 하도퇴적물이다. 신동층군의 퇴적물 공급지는 주로 편마암화강암이나 진주층 최상부에는 화산 기원 사암이 있다.[35] 고인석(1986)에 의하면 낙동층군(낙동층, 하산동층, 진주층, 칠곡층) 퇴적물의 기원지는 현재 지층이 위치한 곳의 (북)서쪽으로 낙동층군의 기원암은 선캄브리아기 소백산-지리산 편마암복합체와 고생대-중생대조선 누층군, 평안 누층군, 대동 누층군 및 대보 화강암이다.[36]

낙동층(Knnk; Kyeongsang supergroup sindong group Nakdong formation, Rakutō formation 洛東層(らくとそう)) 또는 연화동층(Knnk; Kyeongsang supergroup sindong group Yeonhwadong formation, 蓮花洞層) 또는 원지층(Knw; Kyeongsang supergroup sindong group Wonji formation, 院志層)은 경상 누층군 신동층군의 최하부 지층으로, 영남 육괴에 해당하는 선캄브리아기의 암석을 부정합으로 덮고 있다. 낙동층은 경상 분지 가장 서쪽에서 상주시 사벌국면부터 광양시에 이르기까지 분포한다. 낙동층은 암회색 이암, 셰일, 역암 및 사암으로 구성되며 하부에 탄질셰일, 흑색 셰일 및 무연탄을 협재한다. 또한 적색의 이암이나 셰일은 거의 나타나지 않아서 적색의 지층을 협재한 하산동층과의 구별이 쉽다.[37]

이용구(2010) 등은 밀양소분지 고령 지역의 낙동층에서 분리한 가장 젊은 쇄설성 저어콘 입자의 LA-ICP-MS U-Pb 연령이 118.0±3.0 Ma 로 측정됨에 따라 낙동층의 퇴적시기를 압트절(Aptian; 112.0-125.0 Ma)에 대비하였다.[38] 의성소분지의 낙동층에서 분리한 저어콘으로부터 SHRIMP U-Pb 연대측정을 실시한 결과 가장 젊은 연령으로 127.67±1.3 Ma 를 구하여 이를 낙동층의 최고 퇴적시기로 보았으며 이로부터 낙동층과 함께 경상분지는 바렘절(Barremian; 125.0-130.0 Ma) 시기 또는 그 이후부터 퇴적이 이루어졌음을 제시하였다.[39][40] 이태호(2016)는 낙동층 쇄설성 저어콘의 U-Pb 연령을 근거로 낙동층의 최대 퇴적 시기를 바렘절(125.0-130.0 Ma)에 해당하는 127.8±1.4 Ma로 제안하였고 경상 분지는 약 128 Ma에 퇴적이 시작된 분지로 확인하였다.[41]

하산동층(Knh/Dk; Kyeongsang supergroup sindong group Hasandong formation, Kasando formation, 霞山洞層(かさんどそう))은 신동층군 낙동층 상위의 지층이며, 의성군 다인면에서 하동군에 이르기까지 분포한다.[37] 하산동층은 타테이와 이와오(1929)에 의해 왜관도폭의 하산동 마을(현재의 대구광역시 하빈면 하산리)에서 명명되었으며, 진주 주변 지역의 삼가도폭, 진주도폭, 사천도폭, 진교도폭에서는 마동층(Knm; Kyeongsang supergroup sindong group Madong formation, 馬洞層)이란 명칭이 사용되었다. 하산동층에서는 공룡의 뼈와 이빨, 알화석, 익룡뼈와 발자국 화석, 악어 두개골 화석, 거북 배갑화석, 물고기 화석 등 다양한 척추동물 화석들의 산출이 보고되었으며, 무척추동물인 복족류 및 이매패류의 패각화석과 생흔화석의 산출이 보고되었다. 하산동층의 상한과 하한은 각각 붉은색 지층의 출현과 소멸 층준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지층의 두께는 지역에 따라 640~1,300 m로 변화한다.

하동군 해안가 노두에서 발견된 공룡 이빨화석의 인회석으로부터 구한 U-Pb 연대는 압트절(Aptian; 112.0-125.0 Ma)에 해당하는 115±10 Ma로 보고되었으며 이 연령은 속성 작용 시기로 하산동층의 퇴적 시기는 이 보다 다소 오래된 것으로 보았다.[42] 이용구 등은 하산동층 중부의 사암에서 분리한 가장 젊은 쇄설성 저어콘 입자의 U-Pb 연대가 109.0±3.4 Ma 로 측정됨에 따라 하산동층의 퇴적시기를 알비절(Albian; 99.6-112.0 Ma)에 대비하였다.[38] 이태호는 쇄설성 저어콘의 U-Pb 연령에 근거해 하산동층의 최고 퇴적 시기로 압트절(112.0-125.0 Ma)에 해당하는 118.0±2.6 Ma을 보고하였다.[41] 고생물학적 그리고 절대연령 자료를 종합하면 하산동층은 백악기 전기의 압트절-알비절에 퇴적된 것으로 보인다.[40]

일반적으로 하산동층은 붉은색층을 빈번히 협재하는 하성 퇴적층의 발달에 의해 하위의 낙동층 및 상위의 진주층과 구분되나 하산동층의 중부에는 수십 m 두께의 붉은색 층을 협재하지 않고 암회색이 우세한 호수 기원의 퇴적층이 진주와 하동 지역에 단속적으로 발달되어 있다. 이 부분을 하나로 묶어 하산동층 내의 층원(Member)으로 설정하거나, 각각을 하산동층 내에 속하는 독립된 렌즈층(lens)으로 설정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진주층 (동명층)

편집

진주층(Jinju formation, 晋州層) 또는 동명층(Dongmyeong formation, 東明層)은 신동층군의 최상부 지층으로, 서쪽의 낙동층, 하산동층과 평행하게 안동시 서부에서 진주시까지 이어져 분포한다. 지층의 이름은 경상남도 진주시에서 유래되었다. 진주층은 경상 누층군의 지층 중 체구(體軀)화석의 산출이 가장 많은 지층으로, 다양한 종류의 무척추동물 화석과 척추동물 화석(어류와 공룡)의 산출이 보고되었으며, 근래에는 공룡과 익룡, 파충류, 양서류, 포유류 등의 다양한 척추동물발자국과 무척추동물 생흔화석 등이 보고되었다. 이와 함께 여러 종류의 겉씨식물 잎화석이 진주층에서 산출한다. 최근인 2021년 사천시 비토도의 진주층에서는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새발자국 화석이 발견되었다.[43] 진주층의 두께는 경상남도 진주시 지역에서 가장 두껍게 나타난다.[44][37]

이용구 등은 진주층 사암의 쇄설성 U-Pb 저어콘 연대로 알비절(99.6-112.0 Ma)에 해당하는 106.0±1.9 Ma 을 보고하였으며[38] 진주층 최하부 역질사암의 쇄설성 저어콘에 대한 SHRIMP U-Pb 연령측정을 수행한 결과 압트절(112.0-125.0 Ma)에 해당하는 112.4±1.3 Ma 의 일치곡선(concordia) 연령을 보여 진주층은 압트절(Aptian) 후기에서 알비절(Albian) 초기까지 퇴적이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45][46][41] 그러나 의성소분지 지역에서 산출된 포자화분화석의 경우 더 오래된 바렘절(125.0-130.0 Ma)을 지시하기도 한다.[47]

경상 누층군 하양층군

편집

경상 누층군 하양층군(Gyeongsang Supergroupo Hayang Group, 河陽層群)은 경상 누층군의 중부 층군으로, 화성 쇄설물을 함유하고 대구광역시 지역을 중심으로 남-북으로 분포하며 지역에 따라 지층의 이름에 조금씩 차이가 있다. 팔공산 이북과 안동시 이남 지역에서는 일직층, 후평동층, 점곡층, 사곡층 등으로 구성되며, 팔공산 이남 지역에서는 칠곡층, 신라 역암층, 대구층(함안층+반야월층), 자인층, 건천리층, 진동층 등으로 구성된다. 이들의 전체 두께는 1~5 km에 달한다. 하양층군의 이름은 경산시 하양읍에서 유래되었다.[3] 하양층군의 퇴적 시기는 절대연령 측정과 산출되는 화석에 의하여 백악기 압티안-알비안(Aptian-Albian)으로 추정된다.[48]

경상분지 북동부 지역의 하양층군 일직층, 후평동층 그리고 점곡층사암에서 분리한 중(重)광물 분석 결과, 고수류(Paleocurrent) 연구 결과, 사암의 저어콘 결정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해당 지역의 하양층군은 소백산 변성암 복합체와 청송융기부의 화강암질암 및 화산암류에서 기원한 것으로 해석된다.[49] 일직층후평동층의 사암은 선캄브리아기의 화강편마암과 흑운모 호상편미암, 점곡층의 사암은 쥐라기 안동 화감암청송 화감암에서 기원한 것으로 해석된다.[50]

팔공산 이북 및 안동시 이남 지역

일직층(Khil; Kyeongsang supergroup Hayang group Iljik formation, 一直層)은 하양층군의 최하부 지층으로, 안동시 일직면에서 그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군위군 부계면에서 의성군안동시 일직면을 지나 풍천면풍산읍에서 안동 단층에 의해 잘리기 전까지 길게 분포한다.[37] 일직층은 호수 주변에 위치하고 있던 하천 환경에서 하도 측방 이동과 유량 변화에 따른 퇴적 작용의 결과로서 형성되었다고 해석된다.[51]

 
의성군 단촌면 방하리, 국도 제5호선 의성휴게소 (남행)에 드러난 후평동층의 노두

후평동층(Khhu; Kyeongsang supergroup Hayang group Hupyeongdong formation, 後坪洞層)은 일직층 상부의 지층으로, 군위군 부계면에서 의성군 우보면의성읍, 단촌면을 지나 안동 단층 바로 남쪽 남선면 외하리 부근까지 이어진다.[37] 후평동층은 호수 수위가 시기별로 상승 또는 하강하는 호수환경에서 비교적 느리게 퇴적되었다고 해석된다.[51] 후평동층은 천지도폭과 군위, 대율도폭 지역에서 구미동층원(Khgm/Khhu-1; Kyeongsang supergroup Hupyeongdong formation lower Gumidong member, 龜尾洞層員)과 상부의 구계동층원(Khgg/Khhu-2; Kyeongsang supergroup Hupyeongdong formation upper Gugyedong member, 龜溪洞層員)으로 구분된다. 후평동층 구미동층원에서 산출된 방산충 화석을 포함하는 처트편(片)들은 일본 남서부의 미노-탐바대(≈지치부 대)의 쥐라기 부가체에서 기원한 것으로 보고되었다.[52]

점곡층(Khjg; Kyeongsang supergroup Hayang group jeomgok formation, 點谷層)은 후평동층 상부의 지층으로, 의성군 점곡면에서 이름이 유래되었다. 점곡층 하부와 중부는 유량과 유속의 증가로 인해 하도 주변의 미고결된 세립의 퇴적물들이 입도가 굵은 층 내에 보존된 것으로 생각되며, 사질 퇴적물들이 측방 또는 하류 방향으로 이동하고, 유량 증가로 인하여 판상류에 의해 퇴적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점곡층 상부는 하도의 주변에 형성된 환원성 호수 환경에서 퇴적되었을 것으로 해석된다.[53] 점곡층의 최대 퇴적 시기는 1억 5백만 년 전(105 Ma)으로 이는 함안층의 최대 퇴적 시기인 1억 6백만 년(106 Ma)과 유사하다. 단, 퇴적층의 최대 퇴적 시기는 그 퇴적층이 퇴적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가장 오래된 시기를 뜻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결과 자체가 두 층이 같은 시기에 퇴적되었다는 증거가 되지는 않는다.[48]

 
청송 방호정 입구에 드러난 경상 누층군 사곡층의 모습이다. 남동쪽으로 기울어 있다.

사곡층(Khsg; Kyeongsang supergroup Hayang group Sagok formation, 舍谷層)은 점곡층 상부의 지층으로, 청송군 현동면에서 의성군 사곡면에 이르기까지 분포하며[37] 장기홍(1975)에 의해 명명되었다. 하부는 점곡층의 응회암이 끝나고 붉은색의 세립질 퇴적암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부분이며 상한(上限)은 구산동 응회암의 직하부로서, 그 두께는 군위지역에서는 2,000 m에 달하고 남쪽으로 가면서 점차 감소하여 의성 탑리 지역에서는 250 m에 이른다. 사곡층의 주 구성 암석은 붉은색의 이암, 실트스톤 및 녹회색 사암이며, 중부에서는 응회질 사암이 협재된다. 사곡층의 하부는 붉은색의 사암과 셰일층으로 구성되고 붉은색층을 포함하며, 중부 역시 셰일과 사암이 주를 이루나 회색 내지 암회색층이 많이 협재하고 식물화석이 산출된다. 상부의 대부분은 붉은색의 셰일과 사암으로 구성되며, 석회질 단괴의 발달이 거의 없는 붉은색의 이암이 우세하게 발달한다. 사곡층에서는 공룡 발자국 화석도 산출된다.[54] U-Pb 저어콘 연대측정 결과와 약 9700만 년 전에 분출된 구산동 응회암과의 관계를 이용하여 사곡층의 퇴적 시기는 약 1억~9700만 년 전으로 추정할 수 있다.[48]

구산동 응회암

편집

구산동 응회암은 의성 소분지에서 사곡층과 춘산층 사이에서, 밀양(유천) 소분지에서 함안층진동층 사이에 놓이는 응회암 열쇠층을 일컫는다. 구산동 응회암은 두께가 1~4 m에 불과하지만 측방으로 200 km 이상 연장된다. 구산동 응회암은 층서적으로 볼 때 함안층과 진동층의 경계와 거의 일치하기 때문에 구산동 응회암의 생성시기는 함안층진동층의 경계시기와 거의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구산동 응회암에 대한 절대 연령 측정 결과는 대략 9600만~9700만 년 전으로 추정된다.[55]

춘산층(Kncs; Kyeongsang supergroup Hayang group Chunsan formation, 春山層)은 사곡층 상부의 지층으로, 신령도폭 지역 및 대구 지역에서는 함안층의 최상부에 놓인다. 본 층의 기저에는 9700만 년 전에 분출된 것으로 추정되는 구산동 응회암이 놓여 있다.

신양동층

편집

신양동층(Knsy; Kyeongsang supergroup Hayang group Synyangdong formation, 新陽洞層)은 춘산층 상위의 지층으로, 금성산-비봉산 칼데라에 타원형으로 분포하는 화산암류 주변에 반환형(半環形)으로 분포하고 있다.

  • 군위도폭(1980)에 의하면 햐양층군 최상부 지층인 본 층은 춘산층 위에 오는 흑색 내지 암회색상으로서 셰일과 세립사암으로 구성되며 지층의 두께는 약 140 m에 불과하다. 간혹 자색을 띠는 부분도 있으나 암회색이 우세하여 춘산층과 구별된다. 비봉산에서 금성산 쪽으로 진행함에 따라 차츰 두께가 감소되어 가다가 금성산 부근에서는 첨멸되어 금성산 북쪽에서는 신양동층이 없이 춘산층 위에 직접 부정합적으로 유천층군 화산암류가 놓여 있다. 본 층 내에 연흔, 건열, 사층리 등이 발견된다. 춘산면 사미리에서는 두께 20~50 m의 담수조(淡水藻) 스트로마톨라이트층 5매가 반복 산출한다.
  • 구산동도폭(1976)에 의하면 주로 암회색 셰일로 구성되며 사암을 협재한다. 사미리 북서방 1 km 지점에 분포하는 본 층은 두께 약 140 m이며 흑색 내지 암회색 셰일이 대부분이고 세립사암층이 협재된다. 최상부에는 암회색셰일과 자색(赭色) 셰일이 두께 7 m의 호층(互層)을 이루고 있다. 하부의 경계는 자색을 띠는 춘산층에서 암회색을 띠는 신양동층으로 갑자기 암색이 변해 둘을 구별할 수 있다.

화산층(Ksws; Kyeongsang supergroup hwasan formation, 華山層)은 군위군 삼국유사면 괴산리와 영천시 신녕면 가천리의 경계에 위치한 화산[華山]을 중심으로, 그 주변을 환형[環形]으로 둘러싸는 노고산 환상(環狀)단층 안쪽에 반원형으로 분포하는 지층이다.[56]

천지동-구산동-의성지역과 대구지역 및 그 이남의 백악기지층 대비
층군 천지동-구산동-의성지역 대구지역 및 그 이남
유천층군 유천화산암층군
부정합
하양층군 신양동층 건천리층 진동층
춘산층 채약산층
송내동층
반야월층
함안층
사곡층
학봉화산암층
신라역암층
점곡층 칠곡층
구계동층
구미동층
백자동층 일직층
신동층군 진주층 (동명층)
하산동층
낙동층 (연화동층)
경산도폭(1971)에 제시된 도폭별 경상 누층군 지층 대비표[57]
지질도폭 왜관, 대구, 영천, 경주 (1929) 밀양 (1924) 마산, 김해, 진동, 양산, 청도 (1963~1964) 경상분지 전역 (1968) 경산도폭 (1971)
불국사통 산성 암맥, 석영 반암
화강암, 섬록암
석영 반암
화강암, 섬록암
산성/염기성 암맥류 화강암류 산/중성 암맥류 등
신라통 운문사 산성암류 안산반암(斑巖)
관입 안산암질 각력암
안산암질암
주사산 분암(玢巖)층 휘석분암(輝石玢巖) 작약(芍藥)산 안산 반암(斑巖)
주산 안산암질암
주산 안산암
안산암질 각력암
분암(玢巖)질 응회암
녹색 각력암의 일부
팔룡산 및 수양산 응회암의 일부 팔룡산층 자양산층
건천리층 석회암 진동층 자인층 자인층
채약산 분암층
대구층 송내동층
반야월층
반야월층
함안층
진주도폭(1969)에 제시된 경상 누층군 지층 대비표[58]
구분 대구-왜관지역 진주도폭(1969) 진교도폭(1965) 층군
신라통 대구층 함안층 - 하양층군
학봉규암층
신라역암층
낙동통 칠곡층
진주층 (동명층) 구량리층 신동층군
하산동층 마동층
낙동층 원지층
기계도폭(1975)에 제시된 경상 누층군 지층 대비표[59]
왜관, 대구, 영천, 경주
(1929, 立岩巖)
마산도폭 (1963) 경산도폭 (1971) 한국의 지질계통확립을 위한 조사연구
(1973, R-73-51)
25만분의 1 지질도 범례
(1973, 국립지질광물연구소)
경상분지전역 (1975, 장기홍) 기계도폭 (1975)
산성맥암
분암
석영반암
화강암
섬록암



염기성 맥암
석영반암, 규장반암
장석반암(斑巖)
흑운모화강암
각섬석화강암
마산암
섬록암



산성/중성맥암
규장암류
석영몬조나이트
화강반암류
섬록암






불국사
화성암군
마산암류
반암류, 기타
불국사화강암
중섬/염기성 심성암류
산성/중성 화산암류






중성암맥
화강반암
흑운모화강암
각섬석화강암
섬록암






주사산 분암층

주산
안산암질층


관입석영안산암질
각력암
유동안산암질각력암
안산암질암


자양산층











유천층군 조립안산암
석영안산암
화산각력암
유문암
각력상(狀)응회암









팔룡산응회암 자양산층 상부


건천리층 진동층 자인층


건천리층





진동아층군


결층



채약산분암층 함안층상부 채약산화산암층
대구층 함안 안산암 반야월층 송내동부층

대구층
함안층 하부 함안층 반야월부층 하부 의령아층군
학봉분암층 - 함안부층 -
신라역암층 학봉화산암층
칠곡층

팔달역암층
동명층 칠곡층


상부


칠곡아층군
하산동층 동명층 신동층군
연화동층 하산동층 하부
연화동층
양산도폭(1964)에 제시된 상부경상층군 지층대비표[60]
구분 山成不二麿 (1924) 立岩巖 (다테이와 이와오, 1929) 마산도폭 (1963) 진동리도폭 (1963) 양산도폭 (1964)


밀질휘석분암
갈색응회암
주사산 분암층 주산 안산암질암 주산 안산암질암 원효산함각력안산반암
도대동안산반암
주산 안산암질암
주산 안산암질암
팔룡산 응회암 수양산 응회암 팔룡산 응회암
석회암급(及)반상수암(燧石; 부싯돌)
화층회암(化層灰岩)
건천리층 진동층 진동층 처트
견(堅)질분암질응회암
휘석분암급녹청색각력암
채약산분암층 함안층 (상부) 함안층 (?) ?
함안 안산암 함안 안산암 결층(缺層=층이 없음) (?)
- 대구층 함안층 (하부) 함안층 대양동층
학봉분암층 - - -
신라역암층
영양소분지 (안동시 동부-영양군-청송군-영덕군 지역)

울련산층(Ku; Kyeongsang supergroup hayang group Ulryeonsan formation, 蔚蓮山層)은 영남 지괴와 맞닿는 경상 분지의 북쪽 끝 지역, 봉화군 재산면 현동리와 북부 동면리 일대 그리고 영양군 일월면 용화리에서 수비면 발리리 북부와 수하리 남부, 본신리, 울진군 온정면 선구리 그리고 온정면 광품리평해읍 학곡리에 이르기까지 띄엄띄엄 분포한다.[37] 울련산층 쇄설성 저어콘의 SHRIMP U-Pb 연대는 알비절(99.6-112.0 Ma)에 해당하는 109.9±3.2 Ma로 보고되었다.[39] 지층의 이름은 경상북도 영양군 수비면 수하리에 위치한 울련산(939 m)에서 유래되었다.

동화치층(Kd; Kyeongsang supergroup hayang group Donghwachi formation, 東花峙層)은 안동시 동부 지역에 일직층, 점곡층, 사곡층 같은 하양층군의 다른 지층과는 떨어져 독립적으로 분포하는 지층이다. 중평동 지질도폭(1970)에서 낙동층, 연화동층에 대비되는 것이라 하였으나 확실치 않다. 지질도 상으로 영양군 수비면에서 나타나기 시작하여 일월산봉화군 재산면 동면리를 지나 재산면 현동리에서 태곡 단층에 의해 변위되고, 청량산을 끼고 돌아 명호면 일대에서 주향이 동-서에서 (반시계방향으로) 북북서-남남동으로 바뀌어 도산면 태자리를 지나 예안면 태곡리에서 태곡 단층에 의해 한번 더 변위된다. 이후 예안면 미질리에서 남동으로 연장되어 임동면 중평리를 지나 청송군 진보면 부곡리까지 길게 이어진다.[37] 예안도폭(1963)과 중평동도폭(1970)에서 동화치층 하부는 알코스질사암층(Kds)으로, 동화치층 상부는 적색 이암층(Kdn)으로 구분하며, 안동시 동부 지역(임동면, 예안면)에서 경상 누층군의 기저를 형성하고 있다.[61][62]

가송동층

편집

가송동층(Kg; Kyeongsang supergroup hayang group Gasongdong formation, 佳松洞層)은 동화지층(Kd) 상위의 지층이다. 하위의 동화지층과 비슷하게 안동시 동부와 청량산 주위에 좁고 길게 분포한다. 지층명은 안동시 도산면 가송리에서 유래되었다.

청량산층

편집

청량산층(Kcho, Kchc; Kyeongsang supergroup sila group Cheongnyangsan formation, 淸凉山層)은 가송동층 상위의 지층이다. 영양군과 그 주변에 위로 굽은 말굽자석 모양으로 발달한다. 대개 하부의 청량산층원(Kchc; Kyeongsang supergroup sila group Cheongnyangsan formation under cheongnyangsan member)과 상부의 오십봉층원(Kchc; Kyeongsang supergroup sila group Cheongnyangsan formation upper oshib-peak member)으로 나누어진다.

도계동층

편집
청송도폭 지역

알코스질사암층

편집

알코스질사암층(Ka; Kyeongsang supergroup nakdong group arkose sandstone formation, ―沙巖層)은 청송도폭(1973)에서 정의된 지층으로 청송군영덕군 지품면에서 중생대 청송 화강암체와 각섬석 화강암의 주변부를 따라 발달하며 이 화강암을 부정합으로 덮는 것으로 추정된다. 청송 화강암과 접촉부에서는 역질 사암이 우세하나 상부로 갈수록 사암의 입도(粒度)가 작아진다. 화강암체 인접부에서 알코스질사암의 입도는 5~10 mm 내외이나 부분적으로 3~5 cm에 이르는 역(礫)을 포함하기도 한다. 주 구성 광물은 석영장석이며 아각상(亞角狀; subangular) 내지 각상(角狀; angular)을 보여주어 운반 거리가 멀지 않았음을 지시한다. 구성 광물의 원마도는 화강암과의 접촉부에서 각상이 우세하고 위로 갈수록 원형(round)에 가까워진다. 이 지층 상위에 오는 적색 사암층과의 접경부에서 가끔 교호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본 지층의 주향과 경사는 영덕군 지품면에서 북서 0~45°및 남서 10~47°, 청송읍파천면에서 북서 30~37°및 북동 10~51°, 부동면에서 북서 28°및 북동 15°를 보인다.[63]

적색 사암층

편집

적색 사암층(Krs; Kyeongsang supergroup silra-nakdong group red sandstone formation, 赤色 沙巖層)은 청송도폭(1973)에서 정의된 지층으로 청송군 일대에서 전체적으로 완만한 습곡 구조를 이루며 하위의 알코스질사암층과 상위의 녹색 사암층과 정합적인 관계를 보인다. 본 지층의 주요 구성 암석은 적색 사암셰일이며 이들 중에 가끔 회녹색 셰일, 알코스질사암, 응회질 이암이 협재된다. 적색 사암과 셰일은 그 특징적인 색깔로 상부 및 하부의 지층과 구분되며 상위의 녹색 사암층과의 경계부에서는 적색 사암과 녹색 사암 및 셰일층이 교호되어 나타난다. 적색의 색깔은 암석 전반에 걸친 철 산화물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응회질 이암은 회백색을 띠며 주로 화산암, 석영, 장석류 등으로 구성된다. 영덕군 지품면달산면에서의 본 지층은 북서 20~75°의 주향과 남서 20~45°의 경사를 보인다. 본 지층은 규장암 및 각력질 안산암에 의해 관입당했으며 진보면 괴정리와 파천면 옹점리-청송읍 부곡리 소재 중대산(706.6 m) 동측 도마치고개 부근에서 규장암이 적색 사암층의 층리를 절단하거나 혼펠스화하여 그 일부를 포획체로 갖고 있다.[63]

녹색 사암층

편집

녹색 사암층(Kgs; Kyeongsang supergroup silra-nakdong group green sandstone formation, 綠色 沙巖層)은 청송도폭(1973)에서 정의된 지층으로 청송군 안덕면 북부 지역에 분포하며 안덕면 노래리의 계곡에서 잘 나타난다. 하위의 적색 사암층과 정합 관계를 가지며 경계부에서 적색 사암과 녹색 사암이 가끔 소규모로 교호하여 발달하다가 점차로 녹색 사암의 발달이 우세해진다. 본 지층은 녹색을 주로 하고 회색 또는 암회색의 사암셰일로 되어 있으며 부분적으로 적색 사암 또는 셰일층이 협재된다. 층리는 잘 발달해 있으나 연흔과 건열은 발견되지 않는다. 지층의 주향과 경사는 일반적으로 북서 40~60°및 북동 또는 남서 20~40°를 보인다. 경사 방향의 대칭은 습곡 구조가 있음을 지시하며 화강암의 관입을 받은 곳에서는 지층의 주향이 약간 교란되어 있다.[63]

영양소분지 일대 경상 누층군 지층대비표[63][64][65]
도폭 예안도폭 도계동도폭 평해도폭 중평동도폭 영양도폭 영해도폭 청송도폭 영덕도폭 청하도폭
불국사통 화강암 (Dgr) 각력질안산암 (Kba) 화강암 (Dgr) 화강암 (Kgr)
신라통 도계동층 (Mt) 도계동층 (Mt) 도계동층 (Mt) 녹색 사암층 (Kgs) 입봉 반암층 (Dr)
청량산층 (Mch) 청량산층 (Mch) 청량산층 (Mch) 청량산층 (Mch) 청량산층 (Mch) 오천동층 (Dg) 적색 사암층 (Krs) 신양동층 (Ds)
오천동층 (Dg)
지경동 화산암류 (Kg)
낙동통 가송동층 (Mg) 가송동층 (Mg) 가송동층 (Mg) 가송동층 (Mg) 가송동층 (Mg) 경정동층 (Dk) 가송동층 (Kch)
동화치층 (Md) 동화치층 (Md) 동화치층 (Md) 동화치층 (Md) 동화치층 (Md) 알코스사암층 (Ka)
울련산층 (Mu) 울련산층 (Mu) 울련산층 (Mu)
중평동 및 예안도폭에 제시된 경상 누층군 지층대비표[61][62]
지질 시대 층군 지층명
예안도폭 (1963) 중평동도폭 (1970)
중생대
백악기
신라층군 도계동층 도계동층
청량산층군 오십봉층 청량산층
청량산층
낙동층군 가송동층 가송동층
동화치층 적색이암층 적색이암층
알코스질사암층 알코스질사암층
예안도폭(1963)에 제시된 대구지방 및 안동·영양지방(영양 소분지)의 지층 대비표[62]
층군 대구지방의 경상계 지층 안동·영양지방의 경상계 지층
신라층군 하양층군 대구층 (Kt) 도계동층 (Kt)
학봉빈암층 (Kkb) 오십봉층 (Kcho)
신라 역암층 (Ksg) 청량산층 (Kcho)
낙동층군 칠곡층 (Kcg) 가송동층 (Kg)
신동층군 진주층 (Knj)
하산동층 (Knh) 동화치층 (Kd)
낙동층 (Knk)
울련산층 (Ku)
도계동도폭(1963)에 제시된 지층 대비표[66]
층군 왜관, 대구지역 일월산지역 영해, 영덕지역 층군





대구층 도계동층

학봉산 분암층 오십봉층 입봉 분암층
신라 역암층 청량산층 신양동층


칠곡층 가송동층 오천동층



진주층
하산동층 동화치층
낙동층 울련산층 경정동층 낙동통
팔공산-경산 이남 지역

칠곡층

편집
 
보건대 대구아트센터 앞 태전로 도로변에 드러난 칠곡층 노두
 
위와 같음

칠곡층(Kcg/Knc/Dsk; Kyeongsang supergroup hayang group Cilgok formation, Shikkoku formation, 漆谷層(しっこくそう))은 팔공산 화강암체에 묻혀 사라진 일직층을 대신하여 팔공산-대구 이남 지역에서 하양층군의 최하위 층군을 이루고 있다. 칠곡층의 상부에 협재된 청룡사 현무암에서는 쇄설성 저어콘의 SHRIMP U-Pb 연대측정을 통해 108.0±2.6 Ma 의 연령이 구해졌으며[40] 칠곡층에서 분리된 쇄설성 저어콘의 U-Pb 가중평균연대는 108.7±0.8 Ma 를 보인다.[41] 이로서 칠곡층은 백악기 전기 알비절(Albian; 99.6-112.0 Ma) 초기에 퇴적이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신라 역암층

편집

신라 역암층(Ksg/Dkr; Kyeongsang supergroup hayang group Sila conglomerate formation, Shiragi conglomerate formation, 新羅礫巖層(しらぎれきがんそう))은 하양층군내 칠곡층과 함안층 사이의 퇴적층으로, 주로 화산암력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중 화산암력은 현무암, 안산암조면암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밖에 편마암, 규암, 화강암, 셰일 등 여러 종류의 역들로 구성되어 있다.[67] 왼쪽의 진주층, 오른쪽의 함안층과 거의 평행하게 경상남도 사천시까지 북북동 주향으로 발달한다.[37]

신라 역암층의 화산역암에 대한 전암 K-Ar 연대측정 결과는 7200만~8500만년, 각섬석에 대한 40Ar/39Ar 연대측정 결과는 압트절(112.0-125.0 Ma)에 해당하는 113.4±2.4 Ma 및 113.6±4.7 Ma을 나타낸다. 전암의 K-Ar 연대가 각섬석의 40Ar/39Ar 연대에 비해 젊은 연대를 보이는 것은 풍화에 의한 변질의 영향이거나 후기의 열적 교란에 의해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55] 신라 역암층 기질부의 저어콘들로부터 구한 SHRIMP U-Pb 최소 연령은 알비절(99.6-112.0 Ma)에 해당하는 110.4±2.0 Ma 로 이는 경상분지 퇴적 중에 일어난 규장질 화산활동을 지시하는 것으로 해석된다.[45] 쇄설성 저어콘의 U-Pb 연대측정에 의한 신라 역암층 최고 퇴적 시기는 107.2±4.6 Ma로 보고되었다.[41]

학봉 반암층

편집

학봉 반암층(Kkb/Dkb; Hakbong porphyrite formation, Kakubo porphyrite formation, 鶴峯玢巖層 (かくぼふんがんそう)) 또는 학봉 현무암대구광역시 북구 동변동의 학봉(278.3 m)과 지묘동의 화담산(204.4 m)을 중심으로 대구광역시 북구 노곡동, 조야동, 침산동, 산격동, 동·서변동, 무태동 일대에서 약 20 km 에 걸쳐 북동-남서 방향으로 신라 역암층과 대구층 사이에 소규모로 분포하는 화산암 지층이다.

대구층

편집

대구층(Kt/Ksd/Dt; Kyeongsang supergroup hayang group Taegu/Daegu formation, Taikyū formation, 大邱層 (たいきゅうそう))은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그 동부인 영천시, 경주시 등지에 넓게 분포하는 지층이다.[37] 이 지층은 1928년 대구, 영천, 경주도폭에서 정의되었으며 다테이와 이와오(立岩巖)는 1929년 경주도폭과 영천도폭에서 채약산 분암층을 기준으로 그 상·하위의 지층을 각각 건천리층과 대구층으로 구분하였다. (아래쪽의 경상 누층군 지층 대비표를 참조할 것.)[59] 대구광역시 도심부 지역의 지질은 대부분 대구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구층의 퇴적 시기를 결정하는 절대 연령 분석은 이루어진 바 없지만 이와 대비되는 함안층의 지질시대는 암층서상 상위와 하위에 위치한 지층의 연대를 분석한 결과를 고려할 때, 백악기 후기인 알비안(Albian; 99.6-112.0 Ma)에 해당될 것이다.[68]

울산층

편집

울산층(Kul; Kyeongsang supergroup sila group Ulsan formation, 蔚山層)은 울산광역시 지역에 분포하는 퇴적암층으로 대구층함안층에 대비되는 것으로 보인다. 울산광역시 유곡동에는 울산층에 드러난 유곡동공룡발자국화석산지가 있다.

  • 울산도폭(1968)에 의하면 주로 자색(赭色) 셰일과 사암, 이회암, 회색~회녹색의 셰일과 사암으로 구성되며 응회암질사암과 불연속적인 역암 등을 협재한다. 불국사 화성암류의 관입을 받은 곳에서는 접촉 변성 작용을 받아 혼펠스화 되어 있다. 본 층의 주향은 대체로 북동 20~75°이고 경사는 북동 주향을 가지는 완만한 배사 습곡 구조로 북서 20~50°및 남동 10~55°의 경사를 보인다.[69]
  • 방어진도폭(1968)에 의하면 자색(赭色) 셰일, 사암, 회색~회녹색 셰일과 사암 등으로 구성되며 응회질사암과 불연속적인 역암을 협재한다. 화강암의 관입으로 일부 혼펠스화 되어 있다. 하부에서는 자색과 회색 셰일이 교호하고 중부에는 회색~회녹색 셰일, 사암이 자색 셰일보다 우세하며 상부에서 자색과 회색의 셰일, 사암이 분포한다. 본 층의 일반적인 주향은 북동 12~45°, 경사는 남동 15~40°이나 지역적으로 변한다.[70]
  • 울주군 범서읍 구영리 일대에는 노두 규모의 단층 관련 습곡이 다수 관찰된다. 국수천 하천을 따라 드러난 울산층은 암회색 이암과 사암으로 구성되며 층리면이 휘어진 습곡구조가 발달하고 있다. 습곡구조는 최소 5개 이상을 관찰할 수 있으며, 규모가 다양하다. 이암 및 셰일층 내에서는 연질퇴적변형구조(SSDS)가 관찰되고 일부 지층에서 층간 미끄러짐의 흔적이 인지된다. 이들 울산지괴 내 습곡과 역단층은 남-북 내지 북북동-남남서 방향의 압축력에 의한 결과로 판단된다. 습곡 노두와 함께 발달한 서북서 방향의 역단층은 산성질 암맥에 의해 절단되는데 이 암맥의 SHRIMP U-Pb 저어콘 연대측정 결과는 98.8~80.7 Ma이다. 울산지괴 퇴적층의 쇄설성 저어콘 연대측정 결과(106.8~103.6 Ma)와 산성질 암맥의 연대측정 결과를 종합할 때, 구영리 일대의 습곡구조는 103.6~80.7 Ma 사이에 형성된 것으로 판단되었다.[71][72]
  • 유곡동공룡발자국화석은 울산광역시 도시 한가운데인 울산 중구 유곡동 54-1/54-3, 울산광역시교육청과 우정혁신도시1차동원로얄듀크아파트 옆에 있다. 전체적으로 어두운 퇴적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층리면이 뚜렷하게 관찰된다. 공룡 발자국들은 수십 cm의 변위를 보이는 스러스트 단층에 의해 형성된 2개의 연속적인 층준에 드러나 있다. 얇은 역층이 발달해 있으며, 건열이 다수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당시의 환경은 늪지나 호수 가장자리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백인성(2020) 등은 유곡동공룡발자국화석을 연구하고 조각류가 군집 생활을 했고 수각류가 단독 사냥을 했을 것이라 추정하였다.[72][73]

함안층

편집
 
의령군 탑바위의 모습
 
함안군 대산면 장암리 합강정 부근 도로변에 드러난 함안층의 노두

함안층(Kha/Ksh/Ksha; Kyeongsang supergroup hayang/sila group Haman formation, 咸安層)은 하양층군의 상부에 해당하며 암층서적으로, 하위에 있는 신라 역암층의 조립 내지 중립 역질사암이 끝나고 붉은색의 이암과 얇은 층의 판상 사암 내지 실트스톤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층준부터 상위에 있는 진동층의 암회색 내지 흑색 이암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층준까지 설정되어 있다.[74] 칠곡층, 신라 역암층과 달리 팔공산 이북 지역에도 분포한다.

함안층의 퇴적 시작 시기는 신라 역암층에 포함된 화산력들의 40Ar/39Ar 연대인 113 Ma 보다는 나중에 시작된 신라 역암층의 퇴적 이후로 보며, 퇴적 종료 시기는 구산동 응회암이 분출한 96~97 Ma 전의 시기로 설정할 수 있다. 만약 신라 역암층의 퇴적이 수백만년 이내에 이루어졌다면 함안층의 퇴적도 1500만년 정도 지속되었을 것이다.[55] 함안층에서 분리한 쇄설성 저어콘의 U-Pb 연대에 근거한 함안층의 최대 퇴적 시기는 알비절(99.6-112.0 Ma)에 해당하는 103.5±1.5 Ma 으로 보고되었다.[41]

1969년 당시 서울대학교 지질학과 소속이었던 고 김봉균 박사(1920-2003)는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읍에 분포하는 함안층에서 국내 최초로 새발자국 화석을 최초로 보고하였고, 이를 Koreanaornis hamanensis로 명명하였다.[75]

진동층

편집

진동층(Kjd; Kyeongsang supergroup hayang group Jindong formation, 鎭東層)은 함안층 상위의 지층이며, 하양층군 최상부 지층이다. 진동층의 전반적인 두께는 2,000여 m에 이르며, 백악기 말의 화성 활동에 의한 화성암류의 관입 또는 분출에 의해 도처에서 혼펠스화 되어 있다. 진동층 내에는 사층리, 연흔, 건열, 생흔 화석 등 다양한 퇴적 구조들이 보존되어 있으며, 특히 경상남도 고성군 하이면 덕명리의 고성 덕명리 공룡과 새발자국 화석산지(천연기념물 제411호)를 포함한 여러 지역에서 다수의 공룡 발자국이 진동층에서 보고됨에 따라 진동층은 한국의 백악기 지층 중 가장 대표적인 공룡 발자국의 산출 지층으로 알려져 있다.

진동층의 지질시대는 연대측정 자료와 화석, 고지자기 자료 등에 의해 백악기 후기의 초기인 세노마눔절(Cenomanian; 93.5-99.6 Ma)에서 중기인 상파뉴절(Campanian; 70.6-83.5 Ma)에 이르며, 반야월층과 건천리층에 대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진동층의 퇴적시기는 함안층/진동층의 경계와 거의 일치하는 구산동 응회암의 분출 시기인 96~97 Ma에 시작되었으며, 상한은 활발한 화산활동이 시작되는 유천층군의 생성 시기까지로 설정할 수 있다. 백인성 외(2000)는 진동층 중부 조립사암의 화산 쇄설성 입자들로 구성된 두 표품에 대한 K-Ar 연대측정을 실시하여 85.7±1.7 Ma와 84.9±1.7 Ma의 결과를 얻었다.[76] 좌용주 외(2004)는 진동층을 관입한 화강암으로부터 U-Pb 연대 측정을 실시하여 80±2 Ma의 연대를 보고하였으며 이로부터 진동층의 퇴적은 80 Ma 이전에 일어난 것으로 주장하였다.[77] 진동층에서 분리된 쇄설성 저어콘의 U-Pb 연대에 근거한 진동층의 최고 퇴적 시기는 99.9±0.7 Ma로 보고되었다.[41] 경주 지역에서 수행된 야외조사에 따르면, 유천층군에 해당하는 응회암은 진동층을 정합으로 피복하고 있으며 이들 응회암에서 분리한 저어콘 시료의 연대측정 결과 응회암의 형성 시기는 약 85~88 Ma이다. 영산-남지 간 국도 확장 공사 시 발견된 진동층을 관입한 화강암질 암석으로부터 측정된 각섬석 K-Ar 연령은 82.6±2.6 Ma이며, 여러 연구들을 종합하여 볼 때 진동층은 96~97 Ma (또는 99 Ma)에 시작해 80 Ma (또는 82 Ma) 까지 약 1500만년 동안 퇴적되었다.[55] 그러나 달성군 현풍읍-창녕군 부곡면 지역에 분포하는 진동층을 정합으로 피복하고 있는 응회암 및 화산력응회암의 SHRIMP U-Pb 저어콘 연대는 약 96-97 Ma를 보여주어 해당 지역 진동층의 퇴적이 약 96-97 Ma에 경상 화산호의 폭발적인 화산 활동에 의해 종료되었음을 지시하는 결과가 나오기도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하양층군의 퇴적종료 시기는 지역에 따라 다르며, 이는 당시 화산 활동이 발생한 화산호로부터의 거리 차이 혹은 화산호에서 배호 분지로 퇴적물을 공급하는 퇴적계의 공간적 발달 양상 차이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78]

반야월층

편집

반야월층(Ksbw; Kyeongsang supergroup sindong group Banyawol formation, 半夜月層)은 함안층 상위의 지층이다. 층서상 대구층 상부에 해당하며 지층의 이름은 대구광역시 동구반야월 지역에서 유래되었다. U-Pb 저어콘 연대측정 결과와 구산동 응회암과의 관계로 반야월층의 최대 퇴적 시기를 9600만 년 전으로 제한할 수 있다. 구산동 응회암은 사곡층의 상부이자 춘산층 및 반야월층과 대비되는 진동층의 하부에 놓이며, 약 9700만 년 전에 분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48]

자인층

편집

자인층(Kja; Kyeongsang supergroup hayang/sila group jain formation, 慈仁層)은 경산시 자인면을 중심으로 분포하는 지층이다. 이 지층은 건천리층과 대구층의 최상부의 일부를 포함한 것이다. 경주, 영천도폭에서는 사이에 있는 채약산 분암층을 경계로 하여 그 하부를 대구층, 상부를 건천리층이라 명명하였다. 그러나 채약산 분암층인 안산암류가 지역적인 분포를 이루고 있어 안산암이 없는 곳에서는 대구층 최상부의 흑색 셰일층과 건천리층의 흑색 셰일이 유사해 둘을 구분하기 어렵다. 따라서 반야월층의 상위에 있는 흑색 셰일대를 자인층으로 정하였다. 본 지층의 일부는 변성되어 있다.

건천리층

편집

건천리층(Ksst, Kks; Kyeongsang supergroup sila group Geoncheonri formation, 乾川理層)은 채약산 분암층 상위의 지층으로, 대개 흑색과 암회색의 셰일 및 실트스톤으로 구성된다. 경주시 건천읍을 중심으로 분포하며 두께는 약 800 m이다.

경상 누층군 유천층군

편집

유천층군(Yucheon group)은 경상 누층군의 최상부 지층으로, 하부의 하양층군과 광역적인 경사 부정합 관계를 이루고 있으며[79][80] 주로 경상남도 동부 및 남해안 지역에 분포한다.[81] 화성 쇄설물과 화산암류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 두께는 2,000m에 달한다.[82][83] 지층의 이름은 경상북도 청도군의 유천 마을에서 유래되었다.[3]

 
주왕산에 발달한 유천층군 안산암류로 구성된 기암괴석의 모습
 
주왕산의 유천층군 안산암류에 발달한 주왕계곡의 모습
 
주왕산의 유천층군 안산암류 내에 발달한 구조
 
주왕산의 유천층군 안산암류에 발달한 계곡의 모습
 
주왕산의 유천층군 안산암류에 발달한 폭포의 모습

백악기가 끝날 무렵 안산암질 및 유문암질 마그마에 의해 여러 곳에서 화산 작용이 일어나 주왕산을 만들었다. 주왕산과 그 주변 청송군, 영덕군, 포항시 일대 지역에서는 입봉 안산암, 지품 화산암층, 내연산 응회암, 주왕산 응회암과 너구동층, 무포산 응회암 순서로 형성되었다. 주왕산 응회암은 냉각에 따른 절리에 의해 주상절리와 절벽, 협곡, 동굴과 폭포 등의 수많은 지질 명소를 가진다.[84]

청송군 주왕산에서 포항시 북부 내연산에 이르는 유천층군 화산암류는 청송도폭(1973)에서 불국사층군 각력질안산암, 도평도폭(1973)에서 경상계 안산암질암, 청하도폭(1968)에서 신라층군 보경사반암류로 명명되었으나 이후 입봉 안산암층, 지품 화산암층, 내연산 응회암, 주왕산 응회암, 너구동층, 무포산 응회암으로 세분되었다.

과거의 분류
  • 불국사층군 각력질 안산암(Kba; Kyeongsang supergroup Yucheon group breccia andesite, 角礫質 安山巖)은 주왕산국립공원의 태행산(933.1 m), 금은광이(812.4 m), 무포산(717.5 m) 일대에 북북서 방향으로 넓게 분포한다. 암석은 담회색, 담홍색 또는 암회색 등을 띠며 안산암은 관입 각력(Intrusive breccia)을 포함하고 사장석, 녹렴석, 녹니석, 견운모, 자철석 등으로 구성된다.[63]
  • 경상계 안산암질암(Kan; Kyeongsang supergroup Yucheon group andesite rock, 安山巖質巖)은 청송군 주왕산면 라리와 내룡리, 포항시 죽장면 하옥리 일대에 분포하며 각력질 안산암, 괴상 안산암, 반상(斑狀) 안산암을 대충 뭉뚱그려 안산암으로 지칭했다.
  • 신라층군 보경사 분암류(Kb; Kyeongsang supergroup Sila group Bogyeongsa pophyrite, 寶鏡寺玢巖類)는 포항시 보경사 북서부의 내연산(711.3 m), 천령산(774.8 m), 동대산(792.4 m) 일대 산악 지대에 넓게 분포하는 암석으로 고산 지대를 형성하며 계곡은 침식되어 깊은 계곡을 이루고 곳곳에 폭포도 있다. 이 암석은 주로 암녹색 분암으로 구성되고 각력을 함유하고 있어 화산 각력암의 양상을 지닌 것도 있다. 석기(石基)는 암녹색이며 여기에 백색 장석 반정(斑晶)이 많이 있다. 본 암석은 천령산 부근에서 가송동층 하부 청계리층원을 관입하고 포항시 송라면 대전리에서는 가송동층 상부 도천리층원을 관입한다. 본 암석에는 절리가 많이 발달해 있으며 현미경 하에서 사장석, 석영, 녹렴석, 견운모로 구성된다.[65]
오늘날의 분류
  • 입봉 분암층(Kdr; Kyeongsang supergroup Ipbong porphyrite, Ryûhō porphyrite formation ,笠峰玢巖層 (りゅほふんがんそう)) 또는 입봉 안산암층은 화산암류 중에서 최하부에 해당하며 신양동층을 부정합으로 피복하고 지품 화산암층에 의해 덮인다. 영덕도폭(1937)에 의하면 신라통(신라층군) 최상부에 해당하며 용암과 응회암의 호층으로 구성되고 드물게 흑색 셰일과 각력암을 협재하며, 250 m 이상의 두께를 가진다.[85] 주왕산국립공원 동부에서는 전반적으로 하부에서 응회암으로 구성되고 상부에서 용암들로 구성되지만 용암이 훨씬 우세하고 두께 100 m 이하로서 얇은 편이다. 영덕군 지품면 송천리에서는 비반상(非斑狀) 안산암 용암으로만 구성된다. 응회암은 녹회색을 띠고 대체로 5~10 mm 내외의 암편과 부석을 다량 함유하며, 대부분 층리의 발달이 없이 괴상을 나타낸다.[84]
  • 지품 화산암층은 유문암질 응회암 및 용암으로 구성되고 응회질 사암, 유리쇄설암(hyaloclastite), 응회질 역암과 안산암 용암을 협재한다. 이 암층은 전체적으로 지품면 송천리에서 최고 550 m로 가장 두껍고 측방으로 얇아지는 렌즈상 분포를 보인다.[84]
  • 내연산 응회암은 주왕산 남동부에 분포하며 포항 보경사로 이어진다. 내연산 응회암은 남동부에서 폭발성 분출에 의해 대부분 화쇄류로 북서 방향으로 이동하여 주왕산 근처에도 모였다.[84]
  • 주왕산 응회암은 대부분 주왕산국립공원 내에 분포하며, 주왕산 응회암은 능선부에서 너구동층과 무포산 응회암층에 의해 덮이기 때문에 불규칙하게 8자 모양으로 분포한다. 주왕산 응회암은 그 동쪽 경계부에서부터 서쪽으로 10.5 km, 태행산으로부터 남쪽으로 13 km에 걸쳐 산출되며 너구동층에 의해 덮이고 최고 350 m의 두께를 가진다. 그 공급지는 주 분포지로부터 남동쪽에 위치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주왕산 응회암은 대부분 매우 높은 온도의 유문암질 마그마로부터 분출되어 굳어진 용결 회류응회암에 속한다.[84][86][87]
  • 너구동층은 주왕산응회암 위에 놓이고 무포산응회암에 의해 덮인다. 너구동층은 응회질의 이암, 쳐트, 셰일, 사암과 역암으로 구성되는 퇴적암층과 반상 안산암 용암층으로 구성되며, 북서쪽으로 가면서 퇴적층이 두꺼워지고 남동쪽으로 가면서 용암층이 두꺼워진다. 이 층은 대체로 고도 500 m 에 위치하며, 청송읍 월외리 너구동마을에서 최고 두께 200 m이고 남동쪽으로 갈수록 점차 얇아지며 동쪽으로 갈수록 10 m 이하로 급격히 얇아진다. 이는 동쪽에서 이전에 형성된 화산체에 의해 지형적으로 높은 지대였음을 시사한다.[84]
  • 무포산 응회암은 너구동층과 내연산 응회암, 입봉 안산암층을 덮는다. 두께는 대둔산에서 350 m이고 왕거암에서 290 m이다. 유문암질 응회암에 속하며, 분출시기가 67.08±0.96 Ma을 나타낸다.[84][88]
  • 부남암주(府南巖柱, Bunam Stock)는 청송군 부남면 북서부 홍원리-구천리 일대에 분포하는 심성암체로 길이 9.4 km, 너비 4.8 km의 크기를 갖고 그 면적이 100 km2 이하로 조립질화강암, 섬록암, 화강섬록암, 세립질화강암 등 여러 암상으로 혼합되어 있다. 이 암석은 기존의 청송 및 도평 지질도폭(1973)에서 백악기의 흑운모 화강암으로 명명되었다. 주변의 하양층군 퇴적암들은 열변성에 의한 혼펠스를 나타낸다. U-Pb 연대측정 결과 가장 젊은 연령은 백악기 후세 상파뉴절을 지시하는 75.75 ± 0.72 Ma이다.[88]
지질 명소
  • 청송군 주왕산면 상의리 산 24 (N 36°24'00.95", E 129°08'55.05")의 주왕산 기암단애는 주방천 계곡에 위치한 봉우리로 층서상 유문암질 용결 회류응회암으로 구성된 주왕산 응회암에 속한다. 암체의 수축으로 인해 수직 방향의 절리를 따라 침식이 이루어졌고 현재의 단애를 이루고 있다. 대전사 방향에서 바라볼 때 사람의 손가락을 모아 하늘로 향한 형상을 보이며 크게 7개의 봉우리로 구성된다.
  • 청송군 주왕산면 상의리 산 6-1 (N 36°23'53.46", E 129°09'35.85")의 주왕산 급수대 주상절리는 주왕산 응회암의 용결 회류응회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방천 계곡의 산책로를 따라 대전사에서 약 3 km 지점에 위치하는 응회암질 단애이다. 급수대는 주왕산의 많은 응회암질 단애들 중 주상절리가 가장 뚜렷하게 발달하며 수직의 다양한 형태의 주상절리와 수직절리를 관찰할 수 있다.
  • 청송군 부남면 구천리 산 12 (N 36°18'49.50", E 129°06'48.41")의 병암 화강암 단애는 부남암주 중 세립질화강암으로 구성된 지역에 위치하며 곡류하는 용두천변에서 단열대를 따라 풍화와 침식을 받아 수직의 단애가 형성된 곳이다.
  • 영덕군 달산면 옥계리 옥계 계곡의 지질은 내연산 응회암, 너구동층, 무포산 응회암 순으로 구성되고 유문암과 섬록암이 소규모로 관입한다. 대서천은 북북동 주향의 삼포 단층을 따라 거의 직류 하천을 이룬다.

최정산 각력암체

편집

관입 석영 안산암질 각력암(Kidb; intrusive desite breccia) 또는 최정산 각력암체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의 최정산(906.2 m)을 중심으로 반경 8 km 에 달하는 큰 암체를 형성하고 있으며 화산 작용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 암체(巖體)는 앞산 주변에서는 하양층군 반야월층과 관입 접촉하고 있으나 최정산 남쪽에서는 화강반암류(Kqp)에 의해 관입당해 있다. 앞산 주변의 퇴적암과의 관입 접촉부에서도 지질 구조적으로 약한 선을 따라 관입한 화강반암과 규장암(Kfl)과 관입 접촉 관계를 가진다. 그리고 본 암체는 중심부인 가창호 주변에서 석영몬조나이트(Kqm)에 의해 관입당했다. 즉 화강암류를 비롯한 산성 암맥(巖脈)들은 최정산 각력암체의 주변부에서 환상(環狀) 암맥(ring dike)과 같은 외양을 형성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종합해 보면 최정산 각력암체의 중심부에 관입한 석영몬조나이트를 핵으로 하여 돔(dome)의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최정산 각력암체가 화산의 뿌리였던 것으로 보인다. 월촌-본리동 일대에 분포하는 화산암층(규장암류)는 최정산 각력암체의 화도(火道)로부터 분출된 것이다. 최정산 각력암체의 관입 안산암질 각력암은 대체로 회녹색을 띠나 곳에 따라 암녹색을 띠기도 한다. 본 암석은 풍화에 대한 저항력이 강해 높은 산지와 험준한 절벽을 형성한다. 본 암체의 중앙부에 있는 각력암은 석영 안산반암질 각력암이나 그 주변부에는 안산암질 각력암 등이 분포한다. 대체로 동심원 모양으로 나타나는 암질의 차이는 화산의 뿌리에 충전한 각력암의 관입이 한 시기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여러 번 있었음을 의미한다. 실제로 가장 후기의 것으로 믿어지는 석영 안산암질 각력암 중의 각력 중 다른 안산암질 각력암의 암편(巖片)들이 발견된다. 이러한 사실은 각력암의 생성이 2회 이상 있었다는 사실을 지시한다.[57]

유동 안산암질 각력암(Kfab; flow andesitic breccia)은 대구광역시 달성군 비슬산 부근, 옥포읍 반송리 남동부와 가창면 정대리 남서부에 국지적으로 분포하는 각력암이다. 이것이 관입 각력암(intrusive breccia)인가 또는 유동 각력암(flow breccia)인가에 대해서는 확언할 수 없으나 최정산 각력암체 부근에 분포하고 있고 본 암 중에 유동(流動) 구조가 발달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최정산 각력암체의 분포 지역이 분화구로 추정할 경우 그로부터 유출된 유동 각력암으로 보인다. 그리고 암질에 있어서 최정산 각력암체의 주변부에 분포하는 관입 안산암질 각력암과 유사하므로 그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서 그와 동일한 시기인 것으로 보인다. 즉 본 암석은 최정산 각력암체의 안쪽에 분포하는 관입 석영 안산암질 각력암의 관입 시기보다 전에 있었던 화산 활동에 의해 생성된 암석이다. 이러한 화산 활동이 최소한 하양층군 상부 함안층과 반야월층보다 나중에 있었던 것은 확실하다. 본 암석은 흑갈색 내지 암녹색을 띠며 풍화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여 고산 지역에 분포한다. 암편(巖片)은 장축 5 cm 내외의 것들이 많으며 원도(圓度)가 비교적 발달되어 관입 석영 안산암질 각력암과 쉽게 구별된다.[57]

자양산층

편집

자양산층(Kja; Kyeongsang supergroup Jayangsan formation, 紫陽山層)은 청도군의 자양산(308.1 m) 일대에 소규모 분포하는 퇴적암 지층이다. 본 층의 퇴적암류는 역암, 사암, 응회암질셰일 등으로 구성되고 다량의 화산 물질들을 포함한다. 역암과 사암은 갈색을, 셰일은 자색(赭色)과 회백색을 띤다. 본 층의 주요 구성 암석인 화산암류는 안산암질 집괴암, 치밀안산암 등으로 구성된다. 자양산층은 하양층군에 속하는 자인층과 완전 분리되어 분포하나 경산 지질도폭에서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양자간의 관계를 부정합으로 간주하였다.[57]

  • (1) 자양산층의 퇴적암류는 극히 조립질로서 퇴적 환경의 변화를 지시한다.
  • (2) 경상 누층군 중에서 가장 심한 화산 작용을 수반하고 있다.

주산안산암질암

편집
 
대구광역시 수성구 욱수동과 경산시 옥곡동 경계에 위치한 성암산(472.3 m)에 드러난 주산안산암질암류 안산암질암의 모습이다.
 
연죽산(292.6 m) 남쪽 남천로 도로변에 드러난 주산안산암질암류 치밀안산암질암의 노두이다.

주산안산암질암(Kjan; Kyeongsang supergroup Yucheon group Jusan andesite rock, 主山安山巖質巖) 또는 주사산안산암질암(Kan; Kyeongsang supergroup Yucheon group Jusasan andesite rock, 硃砂山安山巖質巖)은 청도군, 경주시 산내면, 밀양시, 부산광역시, 김해시, 창원시 일대에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안산암질 화산암류이다. 명칭은 1927년 경주 지질도폭을 작성한 타테이와 이와오가 경주시 건천읍 소재 주사산(565.8 m)을 표식지로 하여 주사산 분암층이라 명명하였다가 1963년 마산 지질도폭 조사 당시 이에 대비되는 화산암을 마산도폭 지역에 소재한 주산(主山)을 표식지로 하여 주산안산암질암이라 명명한 데서 유래한다.

유문석영안산암

편집

유천층군 유문석영안산암(Krb, Kyeongsang supergroup Yucheon group rhyolite-quartz andesite, 流紋石英安山巖)은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동면 동부 지역에 소규모 분포하는 화산암류이다. 언양도폭에 의하면 암회색 내지 암흑색으로 안산암질암류와 유사한 암상을 보이나 석영과 자갈색(赭褐色)의 중립 내지 조립의 장석 반정, 그리고 불규칙한 화산력을 포함하고 응회질 집괴암을 협재하기도 한다. 본 암은 대구층을 관입하고 화강섬록암에 의해 관입당했다.

치술령 화산암층

편집

치술령 화산암(Chisulryoung Volcanic Formation)은 울산광역시 서부 치술령 지역에 분포하는 화산암 지층으로 500 m 두께의 규산화산쇄설암류로 구성되고 지역적으로 퇴적암이 협재된다. 칼륨-아르곤 연대 측정 결과 척과리 화강섬록암(87.9±6.3 Ma) 관입 이전에 분출한 것과 가대리 화강암(63.9±1.8 Ma) 이전에 분출한 화산암으로 구성된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첫번째 화산작용은 백악기 후기 상파뉴절(Campainan) 이전에, 두번째 화산작용은 마스트리흐트절 또는 팔레오세 이전에 발생하였다.[89]

원효산함각력안산반암

편집

유천층군 원효산함각력안산반암(Kwba; Kyeongsang supergroup Yucheon group Wonhyosan brecciated andesite porphyry, 元曉山含角礫安山斑巖)은 양산시 평산동의 원효산과 천성산(920.2 m)을 중심으로 양산시 상북면 석계리,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장안리와 기룡리, 용소리, 삼각산(468.6 m), 양산시 용당동과 삼호동, 울주군 온양읍 운화리 경계에 위치한 대운산(742.6 m) 일대에 분포하는 암석이다. 본 암은 주산안산암질암의 분출 후 주산안산암질암을 덮고 있으며 불국사 화강암류에 의해 관입당했다. 대운산 부근에서 관찰한 바에 따르면 본 암석의 두께는 650 m 이상에 달할 것으로 측정된다.[60] 기장군 장안읍 장안리에는 본 암석 분포지에 장안사계곡이 발달하며 안산암, 안산암질 화산각력암, 반상 안산암, 치밀안산암, 데사이트 등의 다양한 암석들로 구성되고 대부분 반상 조직을 보인다.

운문사유문암질암류

편집

유천층군 운문사유문암질암류(Kyeongsang supergroup Yucheon group Unmunsa rhyolitic rocks, 雲門寺流紋巖質巖類)는 운문산을 중심으로 청도군, 밀양시 동부 지역에 분포하는 유문암질암류이다. 암상과 화학 성분에 의해 아래로부터 응회각력암, 석영안산암질 회류응회암, 유문암질 강하응회암, 유문암질 회류응회암, 화제리층, 강하응회암, 유문석영안산암질 회류응회암 그리고 유문암으로 구분된다.

  • 운문사유문암질암류 응회각력암(Ktb; Unmunsa rhyolitic rocks tuff-breccia, 角礫凝灰巖)은 양산시 원동면 내포리 동부 산지 지역에 소규모 분포하며 주사산안산암질암류 밀양안산암 상위에 놓이고 석영안산암질 회류응회암에 의해 덮인다. 안산암을 다량 함유한다.
  • 운문사유문암질암류 석영안산암질 회류응회암(Kdft; Unmunsa rhyolitic rocks dacitic ash-flow tuff, 石英安山巖質 灰流凝灰巖)은 양산시 원동면 내포리 동부 계곡과 화제리 북부 능선에 분포하며 밀양안산암 혹은 응회각력암을 덮고 불국사 화강암류에 의해 관입당했다. 본 암은 암회색으로서 유백색의 사장석립(粒)과 흑색 암편(巖片)을 다량 함유한다.
  • 운문사유문암질암류 유문암질 강하응회암(Krt; Unmunsa rhyolitic rocks rhyolitic fallout tuff, 流紋巖質 降下凝灰巖)은 김해시 상동면 감노리 남쪽 능선부, 원동면 용당리와 내포리 일부 지역에 소규모 분포하며 밀양안산암, 주사산안산암질암류 안산암질 라필리 응회암, 운문사유문암질암류 석영안산암질 회류응회암 상위에 놓이고 토곡산(855.3 m) 능선부에서 유문암에 의해 관입당했다. 본 암은 담갈색, 담녹회색 혹은 회색을 띠며 세립 및 조립응회암과 라필리 응회암이 교호되어 층리를 발달시킨다. 본 층에서 입도의 변화가 세립에서 조립, 라필리로 변하는 역점이층리가 관찰된다.
  • 운문사유문암질암류 유문암질 회류응회암(Krft; Unmunsa rhyolitic rocks rhyolitic ash-flow tuff, 流紋巖質 灰流凝灰巖)은 김해시 생림면과 상동면의 사명산-무척산(702.2 m)과 여차리, 양산시 원동면 용당리와 내포리 토곡산, 서룡리 동부, 삼랑진읍 행곡리 남동부 지역에 넓게 분포하며 유문암질 강하응회암과 주사산안산암질암류 안산암질 라필리 응회암, 밀양안산암과 정각산층 상위에 놓이고 강하응회암에 의해 덮인다. 본 암은 대개 회색을 띠며 하부는 담녹회색을 띠는 곳도 있다.
  • 운문사유문암질암류 화제리층(Khw; Unmunsa rhyolitic rocks Hwajeri formation, 花濟里層)는 양산시 원동면 화제리 북서부와 동부에 분포하며 유문암질 회류응회암 상위에 놓이고 유문암과 세립화강섬록암에 의해 관입당했다. 본 층은 주로 자색 응회질셰일, 사암, 역암과 담녹회색 응회질사암으로 구성되고 응회암을 협재한다. 자색의 퇴적암은 화제리 동부에 분포하고 셰일만 있는 곳에서는 층리가 없는 괴상(塊狀)이며 사암, 역암과 호층인 곳에서는 층리가 발달한다. 담녹회색 응회질사암은 화제리 북쪽 능선부에 분포하며 점이층리가 발달한다.
  • 운문사유문암질암류 강하응회암(Kt; Unmunsa rhyolitic rocks fallout tuff, 降下凝灰巖)은 밀양시 삼랑진읍 삼랑리에서 송지리, 검세리에 이르는 지역과 신불암고개, 천태산(630.9 m) 산정부 지역에 분포하며 유문암질 회류응회암 상위에 유문석영안산암질 회류응회암 하위에 놓인다. 본 암은 응회암과 라필리 응회암이 교호되어 층리를 발달시키며 이 층리는 대체로 북동 30°~북서 80°의 주향에 북쪽으로 12~30°경사한다.
  • 운문사유문암질암류 유문석영안산암질 회류응회암(Krdft; rhyodacitic ash-flow tuff, 流紋石英安山巖質 灰流凝灰巖)은 밀양시 삼랑진읍 용전리, 우곡리, 행곡리 서부, 구천산(640.1 m) 일대에 분포하며 강하응회암 상위에 놓이고 유문암과 불국사 화강암류 세립화강섬록암에 의해 관입당했다. 본 암은 담홍회색을 띠고 신선한 면에서 회색을 띤다.
  • 운문사유문암질암류 유문암(Krh; Unmunsa rhyolitic rocks rhyolite, 流紋巖)은 전술한 암석들을 모두 관입하는 유문암이다.

팔룡산 응회암

편집
 
김해시 봉화산부엉이바위는 팔룡산 응회암 하부의 각력질 응회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팔룡산 응회암(Kpt; Kyeongsang supergroup Yuchoen group Palryongsan tuff, 八龍山 凝灰巖)은 창원시 마산회원구 봉암동의 팔룡산, 김해시 진영읍한림면, 생림면 북서부, 밀양시 초동면하남읍 일부 지역에 분포한다.

  • 마산도폭(1963)에 의하면 신라통의 최후 암석이며 북동 방향의 마산 향사축부에 주 분포를 나타내고 쐐기 모양으로 팔룡산 부근에서는 협소하나 진영읍 일대에서 광범위하게 분포하여 평야를 형성하고 의창구 북면 월백리와 신촌리에도 분포한다. 주로 녹색의 응회암과 각력질 응회암으로 구성되고 풍화된 면은 백색을 띠며 진영읍에서는 담회색의 층리가 정연한 응회질이암 및 셰일층을 협재하고 백월산 부근 월백리 계곡에서는 이암, 셰일 및 회녹색 알코스사암층을 협재한다.[90]
  • 김해도폭(1964)에 의하면 진동층을 정합으로 덮으며 각력질 응회암을 주로 하는 하부층(tb)과 응회질사암을 주로 하는 상부층(Kpt)으로 구별된다. 하부층은 대체로 (담)회색을 띠고 녹색 또는 담홍색으로 변하는 부분도 있으며 김해시 진영읍 본산리와 봉화산(140.7 m), 한림면 장방리에 분포한다. 상부층은 주로 응회질사암으로 구성되며 응회암, 역암, 이회암, 이암 등도 수반되고 이들은 서로 호층을 이룬다. 상부층은 김해시 생림면 생림리와 봉림리, 주촌면 망덕리, 명법동 등지에 분포한다. 본 층의 상부에는 녹색각력암이 정합으로 놓인다. 본 층의 주향과 경사는 생림면 부근에서 북서 40~70°, 북동 20~30°이며 주촌면에서는 불규칙하나 대체로 북동 40~50°및 북서 12~27°를 보인다. 본 층의 하한이 나타나지 않으나 하부층은 150, 상부층은 360 m 이상의 두께를 가진다.
  • 영산도폭(1964)에 의하면 주로 녹회색 응회암, 자색 응회질 각력암 및 셰일로 구성되며 풍화에 약해 밀양시 하남읍 양동리, 초동면 금포리, 명성리 등지에 평야나 낮은 구릉지대를 형성한다.

부산광역시

편집
 
태종대의 퇴적암층의 모습. 유천층군 암회색 응회질 퇴적암(Kts)에 해당하는 지층이다.
 
오륙도에 분포하는 경상 누층군 유천층군 안산암질 화산각력암(Kanb)의 모습. 부산 지질도폭에서 설명된 그대로 미약한 층상 구조를 보이고 있다.
 
이기대 공원 산책로에 드러난 유천층군 안산암질 화산각력암(Kanb)
 
부산광역시 유천층군 안산암질 화산각력암에 나타나고 있는 절리들. 격자 크기는 1mX1m

부산광역시에는 그 생성 연대가 불분명한 다대포층과 이천리층을 포함하여 경상 누층군 유천층군의 여러 화산암류와 불국사 화강암류가 넒게 분포하고 있다. 다대포층과 이천리층, 주산안산암질암류, 원효산함각력안산반암에 대해서는 본 문서 각 문단에 나와 있으므로 설명 생략.

  • 유천층군 안산암질 화산각력암(Kanb; Kyeongsang supergroup sinra gruop andesitic volcanic breccia)은 부산광역시 내에서 구덕산(545.3 m)-승학산(497 m)-엄광산(504 m), 시약산-야미산 지역과 서대신동-부용동2가-부민동3가-아미동2가-괴정동-감천동 경계 지역-천마산(326.1 m), 동매산(210.5 m), 신평동-괴정동-구평동-감천동 경계 지역, 문현동-대연동-우암동-감만동-용당동-용호동 경계 지역과, 신선대 주변 지역 및 용호동의 대부분 지역, 횡령산 북쪽 동의대학교 부근, 해운대해수욕장 서측의 운대산 주변부와 동측의 와우산, 중동 지역, 강서구 생곡동-구랑동-녹산동 경계 지역의 봉화산(329.1 m) 주변에 분포하며 구덕산과 천마산, 신평동 지역의 분포 지역은 대체로 지형이 높고 험준하다. 신평동 지역에서 다대포층의 최상부 현무암질 안산암 위에 정합적으로 놓이고 그 외 지역에서는 심성암류에 의해 관입 당하여 그 하한을 관찰할 수 없다. 이 암석은 대체로 보아 회색 내지 암회색의 라필리 응회암이 대부분이며 파이로클라스틱 각력암과 응회암이 협재된다. 각력(角礫)의 종류는 주로 안산암이고 규장반암, 화강암, 퇴적암, 응회암 등도 관찰된다. 일반적으로 본 암은 괴상(塊狀; massive)이지만 신평동, 사하구 당리동, 남구 용호동과 오륙도 지역에서는 각력이 조립인 것과 세립인 것이 교호(交互)하면서 층상(層狀) 구조를 보인다. 본 지역 화산각력암의 분화구는 층상 구조의 발달 상태 그리고 분포 지역 등을 볼 때 한 곳이 아니라 다수였을 것이며 특히 부산시 일원의 분출구는 거대하였을 것으로 생각되고 분출 작용은 시간적 간격을 두고 수 회 계속되었을 것이다. 부산 해운대 동백도의 본 암석은 소위 용결응회암의 양상을 보이며 본 암석의 곳에 따라 발달되는 층상 구조는 다양하나 신평동에서는 다대포층과 주향, 경사가 비슷하며 용호동과 오륙도 지역은 남-북 주향에 수평층이며 당리동에서는 주향 북서 10°에 북동 20°로 경사한다.
  • 유천층군 암회색 응회질 퇴적암(Kts; Kyeongsang supergroup yucheon group tuffic sedimentrary rock)은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 일대, 금련산과 광안동-대연동-남천동 경계 지역, 동대신동3가와 2가 일부 지역, 학장동과 엄궁동, 하단동 일부 지역과 서대신동3기-학장동 경계 지역 그리고 태종대에 조금 분포한다. 비교적 분포 범위가 넓은 대연동 일대의 본 암석은 안산암(Kan) 위에 놓이고 사상구 엄궁동에서는 안산암질 화산각력암(Kanb) 위에 놓인다. 이 암석은 암회색을 띠는 부분이 가장 많고 회색, 암녹색, 담회색을 띠는 사암과 이암으로 구성된다. 대연동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열변질을 받아 대개 혼펠스로 산출된다. 특히 사상구 엄궁동에서는 바로 접촉하고 있는 화강암으로부터 열변질을 심하게 받아 탈색(脫色)화되어 담회색 혼펠스가 분포하고 있다. 본 암석에는 층리가 다대포층보다 더 잘 발달하는 편이나 층리의 주향과 경사는 다양하다. 이러한 점은 불연속적으로 분포하는 본 암석 퇴적시의 불규칙하고 다양한 환경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 신라층군 유문암질암류(Krs, Krh; Kyeongsang supergroup sila gruop rhyolite, 流紋巖質巖類)는 부산광역시 수영구 민락동 진조말산과 옥련선원 동측 지역, 해운대구 재송동 남부와 우동의 벡스코역 북동부 그리고 봉대산(147.7 m) 서북서측 산악 지역에 소규모 분포하는 유문암이다. 야외에서 안산암을 덮고 있고 재송동 부근의 본 암석은 유문암질 응회암류를 관입한듯한 양상을 가지며 상위의 유문반암과 점이적인 접촉관계를 보이기도 한다.
  • 신라층군 래필리 응회암류(Klt; Kyeongsang supergroup sila gruop lapilli tuff)은 장산 주변 지역인 좌동-송정동-내리 경계 산악 지역, 그리고 기장읍 내리에서 철마면 안평리 남부와 해운대구 반송동, 반여동의 주봉(273.7 m)을 지나 재송동 북서부까지 이어지는, 도넛 모양[環形]과 같은 분포 지역을 보인다. 이 외에 회동수원지 동측과 회동동 북동부, 오륜동-회동동-철마면 장전리 지역에 분포한다. 본 암은 화산 층서적(volcanostratigraphy)으로 보아 안산암을 덮고 있으며 유문반암에 의해 덮인다. 반송동-철마면 장전리 지역에서 본 암은 미문상 화강암, 화강섬록암, 규장암에 의해 관입당해 심하게 혼펠스화 되어 있다. 본 암 내에 함유되는 래필리 크기의 각력편(角礫片)의 구성암은 안산암, 유문암, 셰일의 혼펠스, 처트 등이다. 본 암은 안산암, 유문암 및 퇴적암의 편(片)을 함유하는 것으로 보아 경상 누층군과 안산암보다 나중에 형성된 암석이며 유문암 중 전기(前期)의 것보다는 나중에 형성되었을 것이나 장산 부근에서 본 암의 상위에도 얇은 렌즈 모양의 유문암이 놓여 있어서 유문암류의 분출은 본 암 형성 이전과 이후에도 간헐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 유문암질 응회암류(Krt, 流紋巖質凝灰巖)는 백양산 부근의 산정 주변부 및 해운대구 우동의 장산 1, 2터널 주변에 분포한다. 화산 층서적으로 보아 어느 곳이든 안산암(Kan)의 위에 놓이며 장산 부근에서는 안산암의 상위, 유문반암(Krp)의 하위에, 백양산 부근에서는 역시 안산암 위에 놓인다. 본 암은 주로 세립질 용결(熔結) 응회암, 세립질 응회암 및 입도(粒度)가 다양한 응회질 사암 등으로 구성되는데 이들도 지역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장산 부근에서는 흑색 내지 암회색의 유문암질 용결 응회암으로 구성되며 백양산에서는 유문암질 용결 응회암과 응회암질 사암으로 구성된다. 유문암질 용결 응회암은 유문암류(流) 혹은 래필리 응회암층 상위에 놓이며 그 위에 다양한 입도를 보이는 응회암질 사암층이 놓인다.
  • 유문반암(Krp; Kyeongsang supergroup sila gruop rhyolite, 流紋斑巖)은 장산(634 m)과 구곡산(433.6 m) 일대에 원형으로 분포하며 또한 기장군 장안읍 반룡리와 월내리, 고리원자력발전소 일대에 분포한다. 장산 일대에서 래필리 응회암(Klt), 유문암(Krs) 및 유문암질 응회암류(Krt)를 덮고 있으며 고리-월내리 지역에서 안산암질암류의 조면안산암(Kan)을 덮고 있다. 본 암은 지역에 따른 암상의 변화는 거의 없으며 색깔에 있어서 신선한 표면은 암회색 바탕에 하얀색 장석 반정(斑晶)이 점 무늬를 이루며 녹색 석영안산암의 각력(角礫)을 다분히 함유하고 있다. 본 암석의 구성 암석은 대개 균질하나 장산 동측 계곡의 폭포사(瀑布寺) 뒤편에서 본 암 내에 층리가 비교적 잘 관찰되는 유문암질 응회암 및 래필리 응회암의 호층(互層)으로 이루어지는 응회암층이 발견되는데 이 응회암층의 하부에는 백색 내지 담회황색의 처트 덩어리가 함유된다. 현미경 하에서 본 암석은 반상(斑狀) 조직을 보이며 반정(斑晶)으로는 석영, 정장석, 사장석 및 소량의 각섬석 등이 나타난다.
  • 유문석영안산암질 화산각력암(Krb; Kyeongsang supergroup rhyolite-quartz-andesitic volcanic breccia)은 부산광역시 영도구 저지대에 주로 분포하며 그리고 해운대구 중동 일부 지역(동백중학교 주변), 강서구 생곡동 저지대 지역, 강서구 지사동의 풍사산(227.3 m) 남동 500 m 산릉 지역 그리고 보배산(479.2 m) 산정 지역에 조금 분포한다. 영도 지역에서는 암회색 응회질 퇴적암(Kts) 상위에 놓이며 암회색을 띠며 해운대구 중동과 강서구 생곡동에서는 안산암질 화산각력암(Kanb)을 덮고, 지사동에서는 유문석영안산암(Krda)에 포획되며 (담)회색을 띤다. 현미경 하에서 안산암, 유문석영안산암, 안산암질 응회암 등으로 구성된다.
  • 유문석영안산암(Krda; Kyeongsang supergroup rhyolite-quartz-andesite)은 강서구 지사동의 거의 전 지역과 지사동 주변 지역과의 경계 산악 지역에 분포한다. 본 암은 안산암질 화산각력암(Kanb) 및 유문석영안산암질 화산각력암(Krb)을 관입하며 암회색 내지 회색을 띤다. 강서구 미음동-김해시 장유동-응달동 경계 지역에 위치한 옥녀봉(362.5 m) 동쪽의 흑운모 화강암(Kbgr) 및 보배산 남쪽 각섬석 화강섬록암(Khgdi)과의 접촉부에서 이들의 관입시 열수 변질작용으로 인해 탈색화되어 연회색으로 변하기도 하고 풍화를 많이 받은 노두에서는 백색을 띤다.

고성층

편집

고성층(Kgos; Kyeongsang supergroup Yuchoen group Goseong formation, 固城層)은 경상남도 고성군 남동부의 고성읍, 삼산면거류면의 거류산(571.7 m), 면화산(413.7 m), 통영시도산면 서부 지역에 접시 모양의 향사 구조로 분포하는 유천층군 최하부 지층이다. 최소 650 m 이상의 두께를 가지는 고성층은 하양층군 최상부의 진동층을 평행 부정합으로 덮고 있으며, 유천층군 안산암류와 불국사 화강암류에 의해 피복 또는 관입당해 있다. 고성층은 암상에 따라 녹회색의 응회질사암, 역암, 이암, 붉은색의 응회질 사질이암 등으로 구성되는 하부, 붉은색이 우세한 사암과 사질이암으로 구성되는 중부, 녹회색 내지 암회색의 세립질사암, 역암, 적색 사질이암이 주로 나타나는 상부로 구분된다. 고성층의 상한은 주 분포지 중앙부의 최상부 응회암층으로 인지된다. 고성층 하부의 데사이트질 응회암에서 추출한 쇄설성 저어콘의 U-Pb SHRIMP 연대측정 결과는 92.1±3.2 Ma를 보여 고성층의 퇴적은 약 9200만 년 전 시작되었으며, 고성층 상부에 협재되는 데사이트질 화산회 응회암(N 34°57'51.28", E 128°15'59.11")과 고성층을 피복하는 안산암질 화산회 응회암(N 34°58'01.88", E 128°16'09.73")에 대해 실시한 저어콘 U-Pb 절대연령측정 결과는 각각 약 89.1±0.4 Ma와 약 85.0±0.3 Ma 를 보여 고성층의 퇴적이 85 Ma 이전에 종결된 것을 지시한다.[91][92]

 
통영시 한산도 동측, 산양읍 영운리의 이운항과 해안도로에 드러난 미륵산 안산암(Kmra)

통영시, 거제시 지역에 분포하는 유천층군은 주산안산암질암(주사산 아층군)에 해당하는 하부 안산암질암류, 운문사유문암질암류에 해당하는 하부 유문암질암류, 상부 안산암질암류, 상부 유문암질암류로 구분된다.[93]

장평리층

편집

장평리층(Kjpe; Kyeongsang supergroup Yuchoen group Jangpyeongri formation, 長坪里層)은 통영시 용남면 장평리에서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통영시 여기저기에 흩어져 분포하고 심지어 주 분포지에서 멀리 떨어진 남해군에도 분포하는 것으로 보아 남해 바다 밑으로 연결될 것으로 생각된다. 장평리층은 바로 위 문단에서 설명한 통영-거제지역의 운문사유문암질암류에 해당하는 하부 유문암질암류의 일부이다.

  • 충무도폭(1983)에 의하면 본 층 하부는 회녹색, 담녹색의 응회질사암을 주로하고 응회질역암을 협재하며 상부는 암회색 셰일이 주이고 담회색 사암, 황갈색의 응회질력암이 협재된다. 용남면 장평리와 원평리 남부, 동달리, 거제도 서부 사등면 덕호리와 둔덕면 학산리, 술역리의 해안, 저도, 사리섬, 시무섬, 고개섬, 해간도, 방화도, 항남동 등에 분포한다.[94]
  • 미조-미륵도도폭(2016)에 의하면 본 층의 하부는 응회질역암과 사암의 호층으로 구성되고 상부는 셰일과 사암의 호층으로 구성되며 라필리 응회암이 협재된다. 장평리층은 밀양 지역의 주사산안산암질암류 정각산층에 대비되고 남해·서상도폭의 당항리층과 대비된다. 본 층은 통영시 도남동과 공주섬, 남해도 상주면 상주리 남부와 미조면 미조도에 흩어져 소규모로 분포한다. 지층의 주향과 경사는 도남동에서 북동 15~30°및 남동 16°~20°, 미조면 미조도에서 북동 55~80°및 북서 17°~23°로 경사된다. 지층의 두께는 도남동에서 약 30 m 이상이며 미조면 금포에서 120 m 이상이고 미조도에서는 15 m 이상이다.[93]

전라남도 여수시남해군 지역에는 경상 누층군 신동층군, 하양층군과 함께 유천층군의 여러 응회암 지층과 불국사 화강암류가 분포한다. 여수시와 도서 지역에 넓게 분포하는 유천층군은 안산암질 응회암 및 응회질 퇴적암과 유문암질 응회암으로 구성되며 하부에서부터 웅방산 응회암, 신성리층, 봉화산 응회암과 고흥 응회암, 구봉산 응회암, 안포 응회암과 팔영산 응회암, 향일암 응회암, 금오 응회암, 안도 응회암으로 구분된다.[95]

  • 웅방산 응회암(Kubt; Kyeongsang supergroup Yucheon group Ungbangsan tuff, 熊坊山 凝灰巖) 또는 웅방산 안산암(Kuan; Kyeongsang supergroup Yucheon group Ungbangsan andesite, 熊坊山 安山巖)은 여수시 영취산 진례봉 일대, 중흥동화치동, 적량동, 월내동, 낙포동 일부 지역 그리고 남해군 남해도 중부 지역에 분포한다.
    • 광양도폭(1989)에 의하면 광양시 광양읍 덕례리 소재 웅방산(311.4 m)과 여수시 중흥동, 월내동 일부 지역에 분포한다. 자색(赭色)을 띠고 신성리층, 선학리 응회암 및 조례동 안산암에 의해 덮이고 봉화산 용결응회암에 의해 관입 및 피복되었다.
    • 남해-서상도폭(1989)에 의하면 대부분 안산암류로 구성되고 송등산 주변의 남해군 서면 대정리, 남해읍 평현리, 평리, 이동면 다정리, 석평리, 화계리 일대에 반원형으로 그리고 남면 선구리와 홍현리 일부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암석은 주로 녹회색, 자색 또는 암회색을 띠며 녹렴석, 녹니석이 많이 관찰되어 전체적으로 녹회색을 띠고 있다.[96]
    • 여수도폭(2015)에 의하면 하부에는 옅은 홍색의 석영 안산암질 내지 유문암질 화산력 응회암이 우세하고, 상부에는 진한 회색의 안산암질 응회암이 우세하다. 광양도폭에서는 이 응회암의 하부에 해당하는 홍색의 화산력 응회암을 웅방산 응회암으로, 상부의 화산력 응회암을 월내리 안산암으로 분류하였다. 그러나 여수도폭에서는 둘의 경계가 점이적이어서 둘을 하나의 층으로 통합하였다.[95]
    • 미조도폭(2016)에 의하면 삼동면 동천리 큰들산과 물금산과 미조면 송정리 마안도와 콩섬에 분포한다. 화강암과 화강섬록암에 의해 관입당해 있다.[93]
  • 당항리층(Kt; Kyeongsang supergroup Yucheon group Danghangri formation, 唐項里層)은 남해군 남면 당항리에서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남해군 이동면 용소리, 남면 당항리, 죽전리, 평산리, 석교리 및 송등산 중턱에 분포하며 당항리 남쪽 해안을 따라 잘 드러나 있다. 본층은 당항리, 죽전리 부근에서 웅방산 안산암 위에 경사부정합으로 놓여 있다. 본 층은 (녹)회색, 담회색을 띠는 두꺼운 함력조립사암, 조립사암, 역질사암, 역암 및 미사암(간혹 자색)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중 녹회색, 회색 내지 담회색의 (함력)조립사암이 압도적으로 우세하며 하부에는 함력조립사암, 역질사암 및 조립사암이 우세하고 중부에는 회색 내지 암회색의 셰일과 미사암이 자주 협재되다가 상부에서 다시 조립사암 내지 함력조립사암층이 우세해진다.[96]
  • 신성리층(Ksh; Kyeongsang supergroup Yucheon group Shinseongri formation, 新城里層)은 순천시 해룡면 신성리에서 명칭이 유래되었으며 순천시, 여수시의 해안 지역에 소규모 분포한다.
    • 광양도폭(1989)에 의하면 광양시 광양읍 세풍리와 해룡면 신성리, 호두리, 여수시 율촌면 조화리, 취적리 해안 그리고 적량동, 월내동 해안에 이르는 광양만 해변과 순천시 해룡면 상내리 해룡면순천만쪽 해변을 따라 주로 분포되어 있으며, 용전리 일대의 저지대에도 비교적 넓게 분포되어 있다. 웅방산 안산암을 덮고 선학리 응회암 및 조례동 안산암에 의해 덮이며 곳곳에서 산성 암맥에 의해 관입되었다. 본 층은 응회암질사암, 적색 사암, 역암, 셰일, 실트스톤, 유문암질 및 안산암질 응회암, 안산암, 데사이트 등 다양한 암석으로 구성된다. 신성리의 왜성대 해변과 선학리 해변의 해안 절벽에서는 여러 가지 암석들이 정연한 층리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관찰된다.
    • 여수도폭(2015)에 의하면 여수시 율촌면 상봉리와 봉전리 사이 그리고 소라면 반월리와 사곡리 사이의 해안을 따라 소규모 분포한다. 상봉리와 봉전리의 신성리층은 유문암에 의해 관입당해 포획체 형태로 분포하고 있으며, 응회질역암과 역질사암, 사암과 적자색 이암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반월리와 사곡리의 신성리층은 안포 응회암에 의해 덮이며 응회질역암과 역질사암으로 구성된다.[95]
  • 봉화산 용결응회암(Kpwt; Kyeongsang supergroup Yucheon group Bonghwhasan tuff, 凝灰巖) 또는 봉화산 응회암(Kbht; Kyeongsang supergroup Yucheon group Bonghwhasan tuff, 凝灰巖)은 웅방산 응회암의 상위에 위치하며, 유문암과 돌산 화강암에 의해 관입당했다. 표식지는 순천시 용당동의 봉화산(355.9 m)이다.
    • 광양도폭(1989)에 의하면 봉화산 주변 순천시 서면 압곡리 남부-용당동-조곡동 북부-생목동-조례동 일대와 수암산 산정부를 제외한 수암산 주변 율촌면 취적리와 가장리 지역에 분포한다. 하산동층, 웅방산 안산암, 신성리층, 선학리 응회암 및 조례동 안산암을 덮고 있으며 수암산 유문암에 의해 관입당했다. 응회암, 화산력 응회암 및 응회각력암으로 구성되며 용결 구조를 보이는 것이 많다.
    • 여수도폭(2015)에 의하면 대부분 화산력 응회암과 응회각력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부 용결응회암을 포함하고 있다. 이 응회암은 층리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두껍게 나타나며 소라면 봉두리의 황새봉(393.7 m)과 소라면 대포리의 가마봉(366.1 m) 그리고 여수시 주삼동, 전봉산(379.3 m), 중흥동 남동부 일대에서 높은 산지를 형성하고 있다.[95]
    • 미조도폭에 의하면 남해군 미조면 송정리 해안가와 미조리 육지 그리고 미조리의 여러 섬들 분포한다. 미조면 남항 동쪽에서 SHRIMP 저어콘 U-Pb 연대가 86.69 Ma로 측정되었고, 층서적으로 장평리층 위에 놓이거나 혹은 웅방산 안산암의 위에 놓이며, 금산 화강암에 의해 관입당했다. 상한은 알 수 없으나 두께는 약 300 m 이상이다.[93]
  • 고흥 응회암(Kght; Kyeongsang supergroup Yucheon group Goheung tuff, 高興 凝灰巖)은 고흥군 일대에 분포하는 응회암 지층이다.
    • 개도도폭(2015)에 의하면 고흥군 동일면 봉영리에 조금 분포하며 분급이 불량한 유문암질 화산력 응회암이다.[95]
  • 구봉산 응회암(Kgbt; Kyeongsang supergroup Yucheon group Gubongsan tuff, 凝灰巖)은 여수시 국동의 구봉산(386 m)에서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국동-신월동-웅천동-문서동-여서동-오림동-광무동-연등동-군자동-동산동-덕충동-만흥동 남부 및 북동부-오천동 중부 일대에 분포한다. 주로 암회색 내지 암청색의 안산암질 내지 석영 안산암질 화산력 응회암으로 구성된다.[95]
  • 안포 응회암(Kapt; Kyeongsang supergroup Yucheon group Anpo tuff, 安浦 凝灰巖)은 여수시 화양면 안포리에서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화양반도 서측 소라면 사곡리, 복산리, 달천도, 화양면 이천리, 운두도, 옥적리, 이목리의 해안과 화양반도 동남부 화양면 나진리, 안포리의 해안, 남부 도서 지역의 낭도, 적금도, 둔병도, 조발도, 백아도, 화정면 제도리 일대와 여수시 경호동 일대에 분포한다. 본 응회암은 층리가 발달하는 석영안산암질 화산력 응회암으로 구성되고 사암이암이 협재된다.
  • 역암, 사암과 이암(as; Kyeongsang supergroup Yucheon group conglomerate, sandstone and mudstone)은 여수시 화정면 적금리의 적금도 일부 지역, 낭도리의 낭도 남부와 사도와 추도 일대에 분포하며 응회암 사이에 협재되는 퇴적암 지층이다. 이 지층에서 다수의 공룡 발자국 화석 산지가 보고되었으며 특히 추도의 서부 해안에 분포하는 퇴적층에는 국내외적으로 희귀한 매우 긴 84 m의 보행렬을 보이는 공룡 발자국 화석이 산출된다.[95]
  • 여수 낭도리 공룡발자국화석 산지 및 퇴적층은 사도, 추도, 낭도, 목도, 적금도 5개 지역의 섬에 분포하며 천연기념물 제434호로 지정되었다. 2001년 전남대학교의 허민 교수는 화정면의 사도, 추도, 낭도, 적금도, 목도 5개 섬 지역의 퇴적암 지층으로부터 대규모의 공룡 발자국 화석 군집을 발견하였다. 공룡발자국화석은 대부분 회색 내지 암회색의 세립사암 내지 실트스톤과 이암의 엽호층에서 산출되며 무척추 동물의 생흔 화석이 같이 나온다. 발견된 공룡 발자국 화석은 총 3,500여 점으로 사도에서 755점, 추도에서 1759점, 낭도에서 962점, 목도에서 50점, 적금도에서 20점으로 조각류의 발자국이 우세하다.[97] 또한 이곳에서는 새발자국 화석을 비롯하여 수 만 마리의 개형충 미화석, 식물화석 등이 발견되었다. 새발자국은 2속(genera)이 발견되었으며, 코레아나오르니스(Koreanaornis)와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낭도리에서 보고된 아쿠아틸라비페스(Aquatilavipes)로 확인되었다.[98][99] 부경대학교의 백인성 등이 화산암의 연대를 측정한 결과 사도 암석의 형성 연대는 백악기-팔레오기 경계인 6550-6820만 년 전으로 나왔으나 사도에서 그러한 경계층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이미 침식 소멸되었을 수도 있다.[100]
  • 향일암 응회암(Khit; Kyeongsang supergroup Yucheon group Hyangilam tuff, 凝灰巖)은 여수시 돌산도돌산읍 평사리, 죽포리, 율림리, 금성리, 금봉리 지역에 분포한다. 향일암 응회암은 암회색이나 녹회색을 띠는 안산암질 내지 석영안산암질 화산력 응회암과 응회각력암 등으로 구성되며, 일부에서 현무암질 안산암 또는 안산암질 현무암이 분출하거나 관입하고 있다. 층리의 주향과 경사가 일관성이 없으며 지역에 따라 변화가 심한 편이다.[95]
  • 금오 응회암(Kgot; Kyeongsang supergroup Yucheon group)은 여수시 금오도의 남부를 제외한 금오도 대부분 지역과 개도, 월호도, 대두라도에 분포한다. 전체가 석영안산암질 화산력 응회암이며 층리가 안 보이는 두꺼운 괴상(塊狀) 형태로 산출된다.[95]
  • 안도 응회암(Kadt; Kyeongsang supergroup ando island tuff, 安島 凝灰巖)은 여수시 남면 금오도의 동남부 망산 일대와 금오도 동남부 안도와 대부도, 안도 남쪽의 연도 일대에 분포하고 있다. 하부는 유문암질 내지 석영안산암질, 상부는 (석영)안산암질의 화산력 응회암 및 응회각력암으로 구분된다.[95]

불분명

편집

경상 분지 내에는 그 생성 시기가 불분명해 다른 지층들에 명확하게 대비하기 힘든 지층들이 존재한다. 봉화군묘곡층영덕군경정동층, 부산광역시다대포층이천리층, 거제시성포리층 등이 있으며 이들 지층의 형성 시기는 학자들마다 의견이 다르다.

묘곡층

편집

묘곡층(Jm; Jurassic Myogok formation, 卯谷層)은 봉화군 재산면 상리의 묘골 계곡 일대에 소규모로 분포하는 지층이다. 예안, 춘양도폭(1963)에서는 선(先)경상계인 쥐라기의 지층으로 보고되었으나 신동층군 낙동층에 대비된다는 의견도 있다. 분포지 남쪽과 서쪽에서는 경상 누층군 울련산층과 동화지층에 의해 부정합으로 덮이고 북쪽에서는 갈산 스러스트 단층에 의해 선캄브리아기 원남층이 25~30°의 저각으로 묘곡층 위로 충상되어 있다.

경정동층

편집
 
경정동층의 역암, 영덕군 축산면 경정리
북위 36° 28′ 26.0″ 동경 129° 26′ 02.6″ / 북위 36.473889° 동경 129.434056°  / 36.473889; 129.434056

경정동층(Kdk; Gyeongsang supergroup Gyeongjeongdong formation, 景汀洞層)은 영덕군 축산면 경정리 남부에 동북동-서남서 방향으로 소규모 분포하는 두께 280 m의 지층으로, 선경상계 쥐라기 우백질 화강암 위에 부정합으로 퇴적되어 있고 울련산층에 의해 정합으로 덮여있다. 주로 역암, 역질사암, 회색 사암, 미사암, 암회색 이암으로 구성되며 화산암력은 포함하지 않고 기저부는 함백운모흑색사암, 장석질 사암, 사질역암 등으로 구성된다. 암석은 회색 내지 암회색을 띠며 자색은 띠지 않고 연속성이 불량한 두께 1 m 이내의 무연탄층을 협재하기도 하며, 중부 층준에는 약 1 m 두께의 붉은색 이암이 2매 협재된다. 전체적으로 상향 세립화 경향을 보이며, 경정동층의 하부에서 평균 장경 15 cm, 중부에서 장경 5 cm, 상부에서 장경 2 cm 등 상부로 갈수록 역의 크기와 함량이 줄어들어 최상부에서 역질사암층이 사암 및 이암층과 교호하고 있다.[101][102]

묘곡층-경정동층 관계

편집

장기홍과 양승영(1970)은 지층의 암상과 화석에 근거해 영덕군의 경정동층과 그때까지 선경상계 지층으로 알려져 있던 봉화군의 묘곡층을 낙동통(신동층군)의 연화동층(낙동층)에 대비되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그리고 경정동층은 습곡 작용을 받지는 않았으나 층서적 상황은 묘곡층과 매우 흡사하다. 이는 "묘곡층은 경정동층과 동일한 기원을 가진 지층이며, 이 양자는 영양 소분지의 하양층군(울련산층, 동화치층, 가송동층, 청량산층, 도계동층) 밑에 깔려 있을지 모르는 가칭 묘곡-경정동층의 두 노두에 불과하다는 생각을 갖게 한다". 이 언급대로라면, 묘곡층과 경정동층은 사실 동일한 지층이며 그 일부만이 봉화와 영덕 지역에 따로 떨어져 소규모로 드러나 있는 것이다. 즉 영양군 지하 깊숙한 곳에 지표 상으로 드러나지 않는 가칭 '묘곡-경정동층'이 울련산층~도계동층 밑에 기저층으로 깔려 있는 것이다.

다대포층 (다대포 분지)

편집

다대포층(Dadaepo formation, 多大浦層)은 부산광역시 다대포 주변의 다대동, 장림동, 구평동, 암남동의 대부분 지역에 분포하는 지층이다. 이 지층이 퇴적된 평행사변형 모양의 다대포 분지는 유천층군의 화산 활동이 활발하였던 밀양 소분지 내에 독특하게 만들어진 소규모 퇴적 분지로서 분지의 동쪽과 서쪽은 각각 양산 단층동래 단층으로 규제되며 백악기 말 화산 활동이 활발했던 시기에 두 단층의 좌수향 주향 이동 운동과 관련된 북동-남서방향의 인장력에 의해 만들어진 당겨-열림형(pull-apart) 분지이다. 본 지층 상부에는 폭발적인 화산 활동의 산물인 안산암질 화산 각력암 및 안산암류가 대량으로 놓이는데 아마도 본 층은 이러한 화산 활동 절정기 직전에 유천층군 화산 활동이 광역적으로 시작되었지만 아직까지 정상적인 퇴적이 우세했던 시기 즉 유천층군 퇴적 초기의 산물로 간주된다. 본 층의 총 두께는 1,000 m 이상에 이르며 상한은 안산암질 화산각력암 직하부의 현무암질 안산암까지로 정해졌다. 다대포층은 해안가에 분포하며 층리가 북쪽 내지 북북동 방향으로 경사져 있어 다대포층 기저 기반암은 남쪽 바닷가 일부 노두에서만 관찰된다. 다대포층 내에는 다양한 조성과 산상(중성 및 산성)을 가진 암맥과 암상이 관찰된다.[103] 사하구 다대동 두송반도 일대 해안에 드러난 다대포층의 적색 세립사암 또는 사질이암에서는 공룡 알 화석이 산출된다.[104]

  • 하부 다대포층(Kdlw; Kyeongsang supergroup yucheon group lower Dadaepo formation)는 적색층과 그렇지 않은 층의 교호(交互)층으로서 화산암 물질이 상부에 비해 적게 함유된다. 주로 적색 셰일 실트스톤과 회색, 녹회색의 셰일, 사암 및 역암으로 구성된다. 역암은 1~3 m의 두께로 3회 이상 협재되는데 역(礫)의 종류는 처트, 규암. 역암, 화산암, 셰일 등으로 평균 2~4 cm의 크기를 갖는다.
    • 부산광역시 서구 암남동 산 193-4 (N 35°03'10.23", E 129°00'51.04")에 발달한 하부 다대포층의 해식 절벽에는 해식 동굴과 공액상 정단층이 발달하며 층리면에는 안행상 절리군을 관찰할 수 있다.
  • 상부 다대포층(Kdup; Kyeongsang supergroup yucheon group upper Dadaepo formation)은 녹색 및 녹회색의 응회질 사암이 대부분이며 응회질 역암과 셰일이 소량 협재된다. 또한 순수 화산암 물질인 현무암질 안산암이 6회, 응회 각력암이 2회 협재된다. 본 지층의 주향과 경사는 다대포 지역에서 대체로 북서 45°에 북동 25°를 보여주고 송도해수욕장 남쪽 암남동에서 북서 80°에 북동 20°을 나타낸다. 송도반도 동편 해안 절벽 노두에는 상부 다대포층을 덮는 용암류가 관찰된다. 용암류 직하부의 상부 다대포층은 사층리가 발달하는 응회질 사암이고 약 50 m의 두께를 가진 암회색의 괴상 용암류는 현무암~안산암질 조성으로 그 상부에는 두꺼운 화산각력암으로 덮인다.[103]

다대포층은 통일된 층서대비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장태우의 충무 지질도폭(1983)에서는 다대포층고성층에 대비시켰으나 김인수(1988)과 강희철(1995)의 고자기학 연구는 다대포층을 하양층군의 칠곡층~후평동층에 대비하였다. 보다 최근에 실시된 아르곤 연대측정 결과는 다대포층이 후기 백악기 상파뉴절에 퇴적된 유천층군 고성층과 대비되는 것을 지시한다.

  • 김인수(1988)에 의해 하부 다대포층의 적색층 2개 층준에서 역전된 자화가 발견되었으며 이는 다대포층이 유천층군이 아닌 하양층군의 칠곡층, 일직층, 후평동층에 대비되는 것을 지시한다. 이는 다대포층의 분포 지역을 경계 짓는 양산 단층동래 단층 두 단층의 운동으로부터 별다른 교란을 받지 않았으며 다대포층은 두 단층에 의해 형성된 분지 내에서 퇴적된 것으로 해석된다.[105]
  • 다대포층의 쇄설성 저어콘들에 대한 U-Pb 연대측정 결과 하부 다대포층에서 약 98 Ma, 상부 다대포층에서 약 93 Ma의 연령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다대포층은 세노마눔절(Cenomanian)에서 투랜절(Turonian)에 퇴적되었고 이는 하부 유천층군에 대비된다.[106]
  • 조형성 외(2011)는 다대포층 기저의 데사이트질 기반암과 상부를 피복하는 현무암질 안산암의 시료를 채취하여 아르곤-아르곤 연대 측정을 실시한 결과 분지의 기반암인 데사이트는 다소 불확실한 약 94 Ma, 그리고 다대포층을 피복하는 현무암질 안산암은 약 69 Ma의 연대가 구해졌다. 데사이트질 기반암의 연대 측정 결과가 신뢰할 만한 수준은 되지 못해 현재로서는 다대포층이 94 Ma 이후에 퇴적이 시작되었다고 단정할 수 없으나 현무암질 안산암이 상부 다대포층을 직접 피복하는 것으로 보아 다대포층은 69 Ma 직전까지 퇴적이 계속된 것으로 판단된다. 조형성 등은 이 결과를 바탕으로 다대포층이 하양층군 칠곡층에 대비될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며 진동층 상부 또는 고성층에 대비될 가능성이 높고 앞서 김인수가 발견한 역자화 성분은 하양층군 함안층 및 칠곡층의 바렘절(Barremian) 시기의 역자화 성분이 아니라 상파뉴절(Campanian) 시기에 해당되는 역자화 성분으로 해석하였다.[103]

이천리층(Kic; Kyeongsang supergroup sila group Icheonri formation, 伊川里層)은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읍의 거의 전 지역과, 기장읍 신천리, 청강리-연화리, 금정구 청룡동의 계명산(599.9 m) 산정부, 부산진구 초읍동의 금정봉(399.9 m) 주변, 초읍동-부암동-연지동 경계 산악 지역에 분포한다. 본 지층은 흑색 또는 암회색의 셰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암회색 세립사암이 극히 소량 함유되어 있다. 본 암석의 분포로 보아 본 지층은 화성 활동이 있기 전에 더 넓은 지역에 분포하고 있었던 본 지역의 기저암층으로 해석될 수도 있으나 이들이 안산암류의 관입으로 현재와 같은 잔류 분포를 가지게 된 것으로 설명하기는 어렵다. 본 지층은 일광읍에서 북동 30~45°의 주향과 북서 18~30°의 경사를 보이고, 냉정사 부근에서는 북서 4~32°의 주향과 남서 14~26°의 경사를 보이며 본 층의 분포 지역에 따라 커다란 변화가 있다.

동래-월내 지질도폭(1978) 조사 당시 본 지층에서 화석이 발견되지 않아 지질시대를 정확히 알 수 없지만 경상 누층군의 신라층군에 속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후 2014년 이천리층의 사암 내 저어콘 SHRIMP 연대측정을 통해 96 Ma 가 보고되었으며 이천리층이 적어도 96 Ma 이후에 퇴적되었음을 지시한다. 이는 이천리층이 하양층군 진동층 내지 유천층군 다대포층에 층서적으로 대비될 수 있음을 지시한다.[107] 그러나 열변성에 의한 혼펠스화가 다대포층에는 나타나지 않지만 진동층에는 나타나고 이천리층 퇴적암에 혼펠스화가 상당히 진행된 점을 고려한다면 시층서적으로 이천리층이 진동층에 대비될 가능성도 있다.[108]

부산광역시 기장군 신평리의 신평소공원 해안 신평리 공룡발자국 화석산지에 분포한 이천리층은 대체로 북동 70°의 주향과 북서 30°의 경사를 가지며 해안을 따라 드러나 있다. 이곳의 이천리층에서는 진동층에서 보고된 것과 유사한 기원으로 해석되는 양방향성 사엽층리, 일본에서 기원된 것으로 해석되는 방산충 화석을 포함한 처트 역들과 연질퇴적변형구조, Skolithos 등과 같은 무척추동물의 생흔 화석, 조각류, 용각류, 수각류를 포함한 공룡발자국 화석과 새발자국 화석, 특이 형태의 척추동물 발자국 화석, 골편(骨片) 화석, 케이로레피드과(Cheirolepidaceae)에 속하는 Frenolopsis type으로 보이는 구과식물 화석이 확인된다.[108]

성포리층

편집

성포리층(Ksp; Kyeongsang supergroup Seongpori formation, 城浦里層)은 거제시 사등면 성포리에서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거제시 하청면 유계리, 석포리, 덕곡리, 솔병산(437.4 m)과 앵산(513 m), 연초면 한내리 동부와 오비리 서부, 장평동, 사등면 사등리와 성포리 해안가, 청곡리 일부 지역과 연초면 죽토리-수월동-옥포동-아주동-양정동-문동동 경계 지역, 북병산(471.8 m)과 동부면 구천리, 산양리, 부춘리 남동부, 학동리, 남부면 갈곶리 중부와 다포리 서부, 저구리 지역에 분포한다. 성포리층은 혼펠스화된 셰일, 사암, 역암으로 구성되며 층리 발달이 미약하다.

지질시대

편집

절대연령 측정 결과와 화석의 산출 등에 의한 경상 누층군 각 지층들의 가능한 지질시대의 범위는 다음과 같다.

Ma 지층
66





마스트리흐트절
Maastrichtian
67
무포산 응회암
68
69
다대포층
70
71
72
샹파뉴절
Campanian
73
74
75
부남암주
76
77
78
79
80
진동층
81
82
83
생통주절
Santonian
84
팔공산 화강암
85
고성층
86
코냐크절
Coniacian
87
88
89
투랜절
Turonian
90
91
92
93
94
세노마눔절
Cenomanian
95
96
구산동 응회암
97
함안층
98
99
100




알비절
Albian
101
102
103
104
105
106
진주층 신라
역암층
107
칠곡층 울련산층
108
109
하산동층
110
111
112
압트절
Aptian
113
114
115
116
117
118
경정동층 낙동층
119
120
121
122
123
124
125
바렘절
Barremian
126
127
128
129
묘곡층
130
오트리브절
Hauterivian
131
132
133
134
135
136
137
발랑쟁절
Valanginian
138
139
140

지체 구조 경계

편집

경상 분지는 육지 부분만 보자면 영남 지괴에 둘러싸여 있다. 북부는 울진군 평해읍, 영양군 수비면, 청량산 일대, 안동시 임하호풍산면 경북도청, 예천군 풍양면을 잇는 선이 경계이며, 서부는 상주시 낙동면, 구미시, 성주군 동부, 고령군, 합천군, 진주시 서부를 잇는 선을 경계로 한다.

화석

편집
 
낙동층 하부에서 산출된 이매패류 화석 Schistodesmus antiqus
 
남해군 미조면 미조리에서 산출된 게화석

한국의 영남 지방경상도 지역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경상 분지에서는 해성층의 결여로 암모나이트 같은 세계적인 표준 화석이 산출되지 않아 시대 결정에 어려움이 많지만, 경상 누층군 상에 무수히 분포하는 공룡 발자국 화석 외에 이매패류(二枚貝類), 복족류(腹足類), 파충류의 이빨, 어류와 곤충, 식물 화석 등 다양한 종류의 화석이 산출된다. 화석은 대부분이 경상남도 남해안 일대 및 경상북도 군위군 효령면을 중심으로 하는 경상도 중부지방에서 많이 산출된다. 담수 생물의 화석과 공룡 화석의 산출은 경상 분지가 육성층 또는 호성층(湖成層)임을 지시한다.[109][110]

화석 산지

편집

중생대의 화석 산지는 다음과 같다.[111]

  •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수문마을 해안 노두 : 이 곳은 1936년 국내에서는 최초로 중생대 연체동물 화석인 코다이라의 유삼각조개 Trigonioides kodairai가 발견된 모식(模式) 산지이다. 이 외에도 낙동 습주조개 Plicatounio naktongensis, 복족류인 Viviparus sp. 도 발견된다. 1972년 국내에서는 최초로 공룡 알 껍데기가 발견된 장소이다.
  • 경상남도 하동군 진교면 양포리 해안 노두 : 이 곳은 1936년 국내에서는 최초로 중생대 연체동물 화석인 낙동의 습주조개 Plicatounio naktongensis 가 발견된 모식 산지이다. 이 외에도 코다이라의 유삼각조개 Trigonioides kodairai, 복족류 Brotiopsis wakinoensis가 10여 개 층준(層準)에 층상으로 보존되어 발견된다.
  • 전라남도 광양시 골약면 황금동 염포 해안 노두 : 윤선의 습주조개 Plicatounio yooni의 모식 산지이다. 이 외에도 Pseudohyria matsumotoi, 복족류 Brotiopsis wakinoensis가 산출되며 인접한 노두에서는 미세 연체동물(micromollusca)도 발견된다.
  • 경상남도 진주시 나동면 유수리 하상 노두 : 오재호의 유삼각조개 Trigonioides jaehoi의 모식 산지이며, 낙동의 습주조개 Plicatounio naktongensis, 공룡 이빨, 발톱, 골격, 거북의 배갑, 경린(硬鱗) 어류의 비늘 등의 화석이 발견되는 곳이다. 천연기념물 제390호로 지정되었다.
  • 경상북도 군위군 우보면 달산리 하천 바닥의 노두 : 어류와 곤충 화석이 발견되었다.
  •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동곡리 국도변 노두 : 어류, 곤충, 식물 화석이 발견된다.
  • 경상남도 사천시 서포면 구랑리 해변 노두 : 어류와 Trigonioides kodairai, Plicatounio naktongensis, Brotiopsis wakinoensis 등의 화석과 공룡 이빨 그리고 막대 모양의 스트로마톨라이트 화석이 발견되었다.
  • 경상남도 사천시 축동면 반룡리 가화천변 노두 : 어류 화석 외에 잠자리를 비롯한 다양한 곤충 화석과 Plicatounio naktongensis, 막대 모양 스트로마톨라이트 등의 화석이 발견된다.
  • 경상북도 봉화군 재산면 묘곡의 화석 산지 : 이 곳의 계곡 하천 바닥 노두에서 정창희의 한국조개 Koreanaia cheongi와 이하영의 낙동조개 Nagdongia leei가 발견된 모식 산지이다.


공룡 발자국 화석

편집

아래 표는 경상 누층군 상에서 산출되는 공룡 관련 화석의 목록이다. 자세한 내용은 각 문서를 참조할 것.

이름 위치 지층
고성 덕명리 공룡과 새발자국 화석산지 고성군 하이면 덕명리 하양층군 진동층 (삼천포도폭)
남해 가인리 화석산지 남해군 창선면 가인리 하양층군 함안층 (삼천포도폭)
사천 아두섬 공룡화석 산지 사천시 신수동, 아두섬 하양층군 함안층 (삼천포도폭)
울주 대곡리 공룡발자국 화석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대곡리 하양층군 대구층 (언양도폭)
유곡동공룡발자국화석 울산광역시 중구 유곡동 하양층군 울산층 (울산도폭)
천전리공룡발자국화석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동면 천전리 하양층군 대구층 (언양도폭)
고산동 욱수천 공룡발자국화석 대구광역시 수성구 욱수동 하양층군 반야월층
고산골공룡공원 대구광역시 남구 봉덕동 하양층군 반야월층
창원 고현리 공룡발자국 화석 창원시 진동층
창원 호계리 공룡발자국 화석 창원시 진동층

이매패류

편집

경상 누층군은 육성층 또는 호성층이기 때문에, 여기서 산출되는 이매패 화석은 담수조개에 한정된다. 경북 봉화군과 의성군, 전남 광양시, 하동군 등에서 중생대 이매패류 화석이 발견되었으며, 지금까지 묘곡층과 경상 누층군에서 발견된 이매패류 화석을 모두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109][111]

묘곡층
  • Trigonioides (Koreanaia) cheongi Yang, 1976, 봉화군 재산면 묘곡의 계곡
  • Cuneopsis kihongi Yang, 1984, 봉화군 재산면 갈산 북서 계곡
  • Nagdongia leei Yang, 1976, 봉화군 재산면 묘곡의 계곡
낙동층
  • Trigonioides (Koreanaia) bongkyuni Yang, 1979, 고령군 쌍림면 월막동
  • Nippononaia ryosekiana (Suzuki), 1941, 의성군 장천면 명곡지 계곡
  • Nagdongia soni Yang, 1975, 칠곡군 왜관읍 금무산 남측 계곡
  • Pseudohyria matsumotoi Yang, 1979, 고령군 쌍림면 월막동 계곡
  • Schistodesmus antiqus Suzuki, 1943, 하동군 옥종면 불무리
하산동층
  • Trigonioides jaehoi Yang, 1983, 경남 진양군 유수리 하상
  • Trigonioides kodairai Kobayashi and Suzuki, 1936
  • Trigonioides (Wakinoa) tamurai Yang, 1976
  • Trigonioides (Wakinoa) sp. cf. T.(W.) tamurai Yang, 1976, 군위군 효령면 불로동
  • Trigonioides (Wakinoa) wakinoensis (Ota), 1963, 군위군 효령면 불로동
  • Trigonioides (s. s.) kodairai Kobayashi et Suzuki, 1936, 하동군 금남면 수문동 해안
  • Plicatounio naktongensis Kobayashi and Suzuki, 1936, 하동군 진교면 양포리 노두, 진주시 나동면 유수리 하상 노두, 군위군 효령면 배태
  • Plicatounio okjuni Yang, 1989, 군위군 효령면 불로동
  • Plicatounio yooni Yang, 1989, 광양시 골약면 황금리 임포 해안
  • Nagdongia soni, 솔치고개 도로변[112]
건천리층
  • Trigonioides (s. s.) paucisulcatus Suzuki, 1940, 경주시 건천리 동편 계곡 산지

복족류

편집

경상도에서 산출되는 담수성 복족류 화석은 군위, 의성, 하동, 영천 등지에서 산출된다. 경상 분지에서 산출되는 복족류 화석은 Brotiopsis, Viviparus, Siragimelania의 3가지가 잘 알려져 있다. 하산동층에서 알려진 Brotiopsis 종으로는 B. wakinoensis (Kobayashi and Suzuki, 1936), B. wakinownsis (Kobayashi and Suzuki, 1936) 등이 있다. Viviparus는 경상 누층군의 여러 지층에서 가장 흔하게 산출되는 종류이다. 묘곡층에서는 V. cf. onogoensis가 알려졌으며 연화동층과 하산동층에서는 V. keisyoensis가 자주 발견된다. Siragimelania은 송내동층과 건천리층에서 많이 산출된다. 특히 경북 영천 북안면 백안동 산지가 잘 알려져 있다.[109][111]

  • Thiara (Siragimelania) tateiwai Suzuki, 1940, 백악기 송내동층, 영천시 금호읍 가야 및 괴연동, 영천시 북안면 백안동)
  • Thiara (Siragimelania) acuticostata Suzuki, 1940, 송내동층 상부, 영천시 북안면 신리동
  • Brotiopsis wakinoensis Kobayashi & Suzuki, 1936, 하산동층, 하동군 진교면 양포리 해안
  • Brotiopsis kobayashii Suzuki, 1936, 하산동층, 진주시 나동면 독산리 언덕
  • Viviparus sp. cf. V. onogoensis Kobayashi & Suzuki, 1937, 봉화군 재산면 묘곡의 계곡

곤충 화석

편집

중생대 백악기의 동명층(진주층)에서는 잠자리류, 사마귀류, 바퀴류, 꽃등애류, 벌류, 모기류, 수서 곤충류, 귀뚜라미류, 딱정벌레류, 노린재류, 메뚜기류, 매미류, 집게벌레류 등의 곤충 화석이 발견된다.[111]

어류

편집

신동층군 동명층(진주층)에서는 어류 화석이 발견되었으며 그 목록은 다음과 같다. 해성층이 아니라 육성층이기 때문에 담수성 생물의 화석만 있다.[111]

  • Lepidotes sp. 사천시 곤양면 구랑리 해변
  • Wakinoichthys sp. 고령군 성산면 기산리 도로공사장
  • Albuloidei 아목(亞目)의 어류, 군위군 우보면 나호리 계곡
  • Albuliformes, 여울멸목의 어류
  • Elopiformes, 당멸치목의 어류, 군위군 우보면 달산리 하상 노두, 진주시 호탄동 상평교 남단 택지 조성지
  • Wakinoichthys sp.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동곡리 도로변

식물

편집

경상 누층군에서 발견된 중생대 식물 화석은 다음과 같다.[111]

  • Onychiopsis elongata (Geyler) Yokohama, 중생대 고사리, 연화동층, 구미시 인동 학류지 서편 노두, 군위군 효령 사이 국도변 언덕
  • Sphenopteris sp. 중생대 고사리, 연화동층, 칠곡군 가산 나들목 남서 사면
  • Araucaria sp. 중생대 고사리, 연화동층, 칠곡군 왜관읍 금무봉 북측 사면, 군위군 장군동-효령 사이 국도변 언덕
  • Cladophlebis sp. 중생대 고사리, 연화동층, 칠곡군 왜관읍 금무봉 북측 사면, 군위군 가산 나들목 남서 노두
  • Ginkgoites sp. 은행잎, 구미시 인동 학류지 서편 노두

경상 누층군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체동물 화석이 발견되었다. 이들 화석에 의하면 경상 누층군의 지질시대는 백악기 전기의 Aptian-Albian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인다.[113]

  • Nagdongia soni
  • Trigonioides(s.s.) kodadrai, T. (s.s.) jaehoi
  • T. (s.s.) paucisulcatus
  • T. (Koreanaia) bongkyuni
  • T. (Wakinoa) wakinoensis
  • T. (W.) tamurai
  • Nipponoaia ryosekiana
  • Pseudohyria matsamotoi
  • Plicatounio naktongensis
  • P. okjuni
  • P. yooni
  • Schistodesmus antiqus
  • Brotiopsis wakinoensis
  • B. kobayashii
  • Thiara (Siragimelania) tateiwai
  • T. (S.) accuticostata
  • Micromelania Katoensis

지진

편집

단층

편집
 
경상 분지 지역의 지진(1978-2023)과 단층 분포도[114][115]

한반도 경상 분지 내에는 양산 단층, 가음 단층, 안동 단층 등 다수의 단층이 분포하고 있으며, 이들은 불국사 조산운동으로 생성되었다고 여겨진다.[116]

...하지만 분지 경계 인접부에서 분지 충전물의 주향 및 분지 경계의 방향과 유사한 방향으로 발달하는 다수의 정단층들은 분지의 확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의미하며, 진주지괴 일원에서 인지되는 서북서 내지 북서 방향의 퇴적동시성 구조들도 이러한 단층들과 성격을 같이 한다. 이러한 특징은 분지 경계가 부정합일지라도 분지의 확장을 주도한 정단층 또는 주향이동단층이 분지 내부에서 활발하였으며, 대규모의 숨겨진 단층(Burial fault)이 분지 내부에 존재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 진주, 대구, 의성지괴를 중심으로 한 백악기 경상분지의 지구조 진화사 연구 (2018), 39페이지[22]

송윤구 등(2019)은 경상 분지 내 주요 단층의 칼륨-아르곤 연대 측정 결과 경상 분지 주요 단층에서는 전기 신생대인 약 50 Ma, 30 Ma 이후, 20 Ma 이후 시기 등 최소 3차례의 단층활동이 있었던 것으로 해석되었다. 양산 단층은 공간적으로 단층 북단에서 단층활동 연대가 젊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오천 단층 및 그 연계 단층, 그리고 경주 지점 단층에서는 30 Ma 이후 및 20 Ma 이후 시기의 단층 활동이 집중되어 나타나고 있다.[117]

대규모 단층/활성 단층

양산 단층대

편집

양산 단층은 경상 분지 남동쪽에 존재하는 최대의 단층이며, 연장이 200 km에 달한다. 주변의 모량 단층, 동래 단층, 일광 단층과 함께 양산 단층대를 형성하고 있다.

울산 단층대

편집

가음 단층대

편집

경상북도 의성군 일대에는 가음 단층을 위시한 소규모의 자잘한 단층들이 분포하며 이를 통틀어 가음 단층대 또는 가음 단층계라 한다. 동-서 방향의 횡압력에 의해 형성된 서북서 방향의 가음 단층은 북동-남서 방향의 횡압력에 의해 형성된 북북동 방향의 양산 단층에 의해 절단되는데 이로부터 가음 단층이 먼저 생겨났음을 알 수 있다. 백악기에서 신생대로 넘어갈 즈음에 동-서 방향의 횡압력으로 가음 단층이 먼저 생성되고 그 후 북동-남서 방향의 횡압력에 의해 양산 단층이 형성되었으며 이 지구조 운동은 최소한 제3기 말까지 지속되었다.[118]

팔공산 단층

편집

팔공산 단층(Palgongsan Fault, 八公山 斷層)은 의성 소분지와 밀양 소분지의 경계로 추정되며 그 단층면은 팔공산 화강암의 관입으로 인해 직접 관찰할 수 없으나 신동층군과 그 밑의 기반암을 절단하였음이 금호산 화산암체와 이에 평행한 화강암 노두의 선상 배열에 잘 드러나 있다. 팔공산 단층을 경계로 일어나는 변화의 예시로 암회색을 주로 하는 반야월층에 자색층과 녹회색층이 차츰 협재되어 북쪽의 춘산층으로 점이되는 것, 채약산 화산암층과 건천리층이 남쪽에만 분포하는 것, 신라 역암층이 팔공산 이북에는 존재하지 않는 것 등이 있다. 팔공산 단층 이북과 이남 간의 지층이 다른 것은 팔공산 단층이 퇴적 동시성 단층임을 지시하며, 팔공산 단층은 마그마의 관입을 유도한 열극(列隙)면으로 추정된다. 학봉 분암층의 분출도 이 열극을 통해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크며 이 분출과 화강암의 관입은 일련의 사건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단층의 활동은 그것을 경계로 한 지괴들의 상대적인 위치 변화 운동에 불과하다.[15]

안동 단층

편집

상주시에서 안동시 길안면을 거쳐 청송군으로 연결되는 동북동-동서-서남서 방향, 연장 70 km 이상의 안동 단층은 주로 선캄브리아기 기반암으로 이루어진 영남 지괴와 경상 분지의 경계 단층이며 단층면은 북쪽으로 기울어 있다.[119] 선캄브리아기 암석이 백악기 암석 위로 스러스트(충상)된 고각의 역단층으로 보고되었다.[120]

낙동 단층

편집

낙동 단층(Nakdong Fault, 洛東 斷層)은 경상북도 예천군 지보면에서 김천시 감문면까지 북북동-남남서 방향으로 약 45 km 이상 연장되는 주향 이동성 단층으로 기반암인 선캄브리아기 편마암, 쥐라기 화강암, 신동층군의 낙동층을 절단하고 있으며, 서북서 방향의 가음 단층계에 의해 절단된 선후관계를 보인다. 단층의 이름은 낙동 지질도폭(1976)에서 명명되었다.[22][21]

  • 낙동 지질도폭(1976)에서는 상주시 낙동면 낙동리에서 중동면 신암리를 거쳐 의성군 다인면 덕지리에 이르기까지 국도 제59호선을 따라 발달하는 수직 단층으로 낙동층과 하산동층을 절단하며 단층의 동측이 낙하하였다. 이 단층은 항공 및 위성 사진에서 기다란 선형 구조(lineament)로 관찰된다.
  • 선산 지질도폭(1989)에서는 쥐라기 화강암을 절단하여 그 암체 분포에 영향을 주어 구미시 옥성면 덕촌리에서는 선캄브리아기 편마암과의 경계선을 약 1 km 어긋나게 하였다.[121]

장대 단층

편집

장대 단층(Jangdae Fault, 長大 斷層)은 한반도 경상 분지내 경상남도 의령군, 함안군에서 창원시를 거쳐 김해시로 이어지는 서북서 방향의 단층으로, 김해시 장유면의령군 대의면의 앞 글자를 따 장대 단층으로 명명되고 있다.

읍천 단층

편집
기타 소규모 단층

고령 단층

편집

고령 단층고령군 성산면 사부리에서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위천리까지 광주대구고속도로의 선형과 일치하게 서북서-동남동 주향으로 발달하는 단층으로, 경상 누층군 진주층, 칠곡층, 신라 역암층을 절단 변위시켰다. 이 단층은 낙차가 일정하지 않으나 평균 400~500 m이다. 고령 단층은 달성 단층과 이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관련 기사

편집

"활성단층 지도 관련 예산 늘려야" - 주간경향, 2017.12.05일자 활성단층 연구팀의 1단계 조사 계획이 양산 단층, 울산 단층, 가음 단층계. 경상 분지 서/북부 등으로 나와 있다.

지역별 지질

편집

광역시

편집

경북

편집

경남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경상분지 의성지괴에 발달하는 단층계의 기하와 운동학적 특성 그리고 분지진화 동안의 역할”. 대한지질학회. 2017년 4월. 
  2. “활성단층 조사평가 연구:한반도 동남부 지역”.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 1998. 27쪽. 
  3. 장기홍 (1975년 3월). “Cretaceous Stratigraphy of Southeast Korea 韓半島 東南部의 白堊系 層序)”. 《대한지질학회11 (1): 1-23. 
  4. 김성용; 이재욱; 박정규 (2015년). “일제강점기 일본인 지질학자 다테이와 이와오의 한반도 지질연구 성과고찰 (Performance Review of the Geological Research in Korean Peninsula by Japanese Geologist Tateiwa Iwao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DF).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48 (5): 401-408. doi:10.9719/EEG.2015.48.5.401. ISSN 2288-7962. 
  5. 최현일 (1985년 3월). “Sedimentology and Its Implications for Stratigraphic Classifications of the Cretaceous Gyeongsang Basin (白堊紀 慶尙盆地의 堆積과 그의 層序分類와의 聯關性)”. 《대한지질학회21 (1): 26-37. 
  6. 《한국의 지질》. 대한지질학회. 1998년 6월. 
  7. 이병주 (2020년 5월). “땅_지반을 알게 하는 지질학(Geology) - 남한은 어떤 암석으로 구성되어 있나 Ⅱ - (전라도, 경상도 지역)”. 《한국지반공학회》 36 (3): 22-31. 
  8. Yoshitaka Yabumoto; 양승영; 김태완 (2006년 6월). “Early Cretaceous Freshwater Fish from Japan and Korea (한국과 일본의 전기 백악기 민물 물고기화석)”. 《한국고생물학회》 22 (1): 119-132. 
  9. 타테이와 이와오 (1928년). “朝鮮地質圖 第4輯 - 慶州, 永川, 大邱 及 倭館圖幅”. 조선총독부지질조사소. 
  10. “경상분지 유천층군의 시층서적 의미”. 대한지질학회. 2019년 10월. 이와 함께 경상분지는 지역에 따라 암층서의 차이에 근거하여 낙동곡분, 영양소분지, 의성소분지와 유천소분지로 구분된다 
  11. “경상분지 지층들의 지질시대에 관한 고찰”. 대한지질학회. 2013년 2월. 이와 함께 Chang (1975)은 또한 Chang (1977)은 하양층군 퇴적 시 발달한 성장단층으로부터 지역 간 차별침강이 있었음을 감안하여 경상분지를 영양지괴, 의성지괴, 밀양지괴 등으로 나누고 이들 지괴들이 앞서 구분한 소분지들을 이루고 있음을 보고하였다. 경상분지 내의 각 지괴는 유천소분지, 의성소분지, 영양소분지로 구분되기도 한다 
  12. 원종관; 강필종; 이상헌 (1978년 9월). “Study on the Tectonic Interpretation and Igneous Pluton in the Gyeongsang Basin (慶尙盆地의 構造解釋과 Igneous Pluton에 관한 硏究)”. 《대한지질학회14 (3): 79-92. 
  13. 천영범; 하상민; 손문 (2017년 4월). “경상분지 의성지괴에 발달하는 단층계의 기하와 운동학적 특성 그리고 분지진화 동안의 역할 (Geometry and kinematics of fault systems in the Uiseong block of the Gyeongsang Basin, and their roles on the basin evolution)”. 《대한지질학회53 (2): 241-264. doi:10.14770/jgsk.2017.53.2.241. 
  14. “땅_지반을 알게 하는 지질학(Geology) - 남한은 어떤 암석으로 구성되어 있나 Ⅱ - (전라도, 경상도 지역)”. 한국지반공학회. 2020년 5월. 
  15. 장기홍 (1977년 6월). “Late Mesozoic Stratigraphy, Sedimentation and Tectonics of Southeastern Korea (慶尙盆地 上部中生界의 層序堆積 및 地構造)”. 《대한지질학회》. 76-90쪽. 
  16. H.I. Choi (1986년). “Sedimentation and evolution of the cretaceous Gyeongsang Basin, southeastern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143. 29-40쪽. 
  17. 최범영; 이승열; 최현일; 황재하; 권석기; 고인세; 안기오 (2002년 6월). “Movement history of the Andong Fault System: Geometric and tectonic approaches”. 《Geosciences Journal》 6 (2): 91-102. doi:10.1007/BF03028280. 
  18. 《한반도 지구조 진화 연구 - 후기중생대-신생대 지구조 진화사(3) (Late Mesozoic-Cenozoic Tectonic Evolution of Korea)》.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3년. 529~542쪽. 
  19. Chough, Rhee Jo (2006년). “An allostratigraphic approach to a non-marine basin: the north-western part of Cretaceous Kyongsang Basin, SE Korea”. 《Sedimentology》 45 (3): 449-472. doi:10.1046/j.1365-3091.1998.00180.x. 
  20. Choi, Pom Yong (2013년). “Depth dependency of stress ratios during the sedimentation of NW Gyeongsang Basin (Cretaceous), southeast Korea: Estimate of stress parameters and timing of tectonic episodes”.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s》 74: 71-85. doi:10.1016/j.jseaes.2013.06.001. 
  21. 천영범; 하상민; 손문 (2017년 4월). “Geometry and kinematics of fault systems in the Uiseong block of the Gyeongsang Basin, and their roles on the basin evolution (경상분지 의성지괴에 발달하는 단층계의 기하와 운동학적 특성 그리고 분지진화 동안의 역할)”. 《대한지질학회53 (2): 241-264. doi:10.14770/jgsk.2017.53.2.241. 
  22. 천영범 (2018년). “진주, 대구, 의성지괴를 중심으로 한 백악기 경상분지의 지구조 진화사 연구 (Tectonic Evolution of the Cretaceous Gyeongsang Basin Focused on the Jinju, Daegu, and Uiseong Blocks)”. 부산대학교 대학원. 
  23. 천영범; 하상민; 이성준; 손문 (2020년). “Tectonic evolution of the Cretaceous Gyeongsang Back-arc Basin, SE Korea: Transition from sinistral transtension to strike-slip kinematics”. 《Gondwana Research》 83: 16-35. doi:10.1016/j.gr.2020.01.012. 
  24. Hakuyu Okada (1998년). “Plume-related sedimentary basins in East Asia during the Cretaceous”.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150 (1-2): 1-11. doi:10.1016/S0031-0182(99)00003-6. Rift basins in East Asia are generally characterized by their large scale and fault-bounded structure...The Kyongsang Basin shows a half-graben structure tilted eastwards. 
  25. Hakuyu Okada (2000년 12월). “Nature and development of Cretaceous sedimentary basins in East Asia: a review”. 《Geosciences Journal》 4 (4): 280. doi:10.1007/BF02914036. The Kyongsang Basin in southern Korea appeared as one of the rift basins associated with plume activities. 
  26. 황병훈; Michael McWilliams; 양경희 (2008년 12월). “Geometric model of conjugate faulting in the Gyeongsang Basin, southeast Korea”. 《Tectonics》 27 (6). doi:10.1029/2008TC002343. 
  27. 황병훈; 손문; 양경희; 윤지혜; W. Gary Ernst (2008년). “Tectonic Evolution of the Gyeongsang Basin, Southeastern Korea from 140 Ma to the Present, Based on a Strike-Slip and Block Rotation Tectonic Model”. 《International Geology Review》 50 (4): 343-363. doi:10.2747/0020-6814.50.4.343. 
  28. 최성권; 손영관 (2010년). “Tectonic and sedimentary evolution of a Cretaceous continental arc–backarc system in the Korean peninsula: New view”. 《Earth-Science Reviews》 101 (3-4): 225-249. doi:10.1016/j.earscirev.2010.05.004. 
  29. 이윤수; 한현철; 황재하; 기원서; 김철복 (2011년). “Evidence for significant clockwise rotations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Cretaceous”. 《Gondwana Research》 20 (4): 904-918. doi:10.1016/j.gr.2011.05.002. 
  30. 《한반도 지구조 진화 연구 - 후기중생대-신생대 지구조 진화사 (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3년. 61~100쪽. 
  31. 정대교; 김용인 (1995년 10월). “경남 하동지역 백악기 경상누층군 최하부 낙동층 중부에서의 화산쇄설성 퇴적층 산출”. 《대한지질학회 제50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42. 
  32. 이상만 (1969년 3월). “On the Mineralization within the Gyeongsang System (慶尙系內의 鑛化作用에 관하여)”. 《대한지질학회5 (1): 68-70. 
  33. 장기홍 (1978년 9월). “Late Mesozoic Stratigraphy, Sedimentation and Tectonics of Southeastern Korea(Ⅱ) - with discussion on petroleum possibility”. 《대한지질학회14 (3): 120-135. 
  34. 吳在鎬; 郭英勳; 孫晋遭; 鄭泰振; 柳炳宰; 孫炳國; 黃仁傑; 李榮柱; 金廳周; 高在鴻 (1995년). “石油資源硏究 [1995] (I) 陸上 含油可能益地 解析硏究 - 普州地域 二次年度 Petroliferous Basin Analysis in Jinju Area (II)”.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83-301쪽. 
  35. 최현일 (1986년 9월). “Sandstone Petrology of the Sindong Group, Southwestern Part of the Gyeongsang Basin 慶尙盆地 南西部 新洞層群 砂岩에 대한 岩石學的 硏究)”. 《대한지질학회22 (3): 212-223. 
  36. 고인석 (1986년 9월). “Study on the Source Rocks of the Nagdong Group 洛東層群의 起源岩에 關한 硏究)”. 《대한지질학회22 (3): 233-256. 
  37. “5만 지질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38. 이용구; 최태진; 임현수; 유지 오리하시 (2010년). “Detrital zircon geochronology of the Cretaceous Sindong Group, Southeast Korea: Implications for depositional age and Early Cretaceous igneous activityiar” (PDF). 《Island Arc》 19: 647-658. 
  39. “SHRIMP U-Pb zircon ages of the Nakdong and Ulyeonsan Formations in the Gyeongsang Basin”. 2012 Fall Joint Annual Conference of The Geological Societies in Korea. 2012년. 
  40. 강희철; 백인성 (2013년 2월). “Review on the geological ages of the formations in the Gyeongsang Basin, Korea (경상분지 지층들의 지질시대에 관한 고찰)”. 《대한지질학회49 (1): 17-29. doi:10.14770/jgsk.2013.49.1.17. 
  41. 이태호 (2016년). “Formation and evolution of the Gyeongsang Basin : constraints from zircon geochronology and Hf isotope geochemistry”. 부경대학교 대학원. 
  42. Yuji Sano; Kentaro Terada; Chi V. Ly; 박은주 (2006년). “Ion microprobe U-Pb dating of a dinosaur tooth”. 《Geochemical Journal》 40: 171-179. 
  43. Seung Hyeop Kang; Lisa G. Buckley; Richard T. McCrea; Kyung-Soo Kim; Martin G. Lockley; Jong Deock Lim; Hyun Soo Lim; Cheong-Bin Kim (2021년 11월). “First report of bird tracks (Ignotornis seoungjoseoi ichnosp. nov.) from the Jinju Formation (Lower Cretaceous), Sacheon City, Korea (한국 사천시 진주층에서 발견된 새 발자국(신종 이그노토오르니스 승조서아이)에 대한 최초 보고)”. Cretaceous Research. 
  44. “진주지역의 진주층에 발달한 함화석층: 산상과 고환경 및 층서적 의미”. 대한지질학회. 2019년 10월. 
  45. 이태호; 박계헌; 천종화; 이기욱 (2010년 3월). “경상분지 진주층 및 신라역암의 SHRIMP U-Pb 저어콘 연령분포 및 그 의미 (SHRIMP U-Pb Zircon Ages of the Jinju Formation and Silla Conglomerate, Gyeongsang Basin)”. 《한국암석학회》 19 (1): 89-101. 
  46. 이태호 (2010년). “Implications of the SHRIMP U-Pb zircon ages determined from the lower parts of the Gyeongsang Supergroup (경상분지 하부지층들의 SHRIMP U-Pb 저콘 연령분포 및 그 의미)”. 부경대학교 대학원. 
  47. 이명석; 조봉현; 지정만 (1994년 6월). “Palynomorphs from the Jinju Formation in the Euiseong Area, Korea (경북 의성지역에 분포하는 진주층에서 산출된 포자화분화석 연구)”. 《한국고생물학회》 10 (1): 41-56. 
  48. 최태진; 권민규 (2019년 10월). “쇄설성 저어콘 U-Pb 연대 측정을 이용한 백악기 의성소분지 사암의 퇴적시기와 기원지 (Depositional age and provenance of the sandstones in the Cretaceous Euiseong subbasin inferred by detrital zircon U-Pb age dating)”. 《대한지질학회55 (5): 551-581. doi:10.14770/jgsk.2019.55.5.551. 
  49. Yong Tae Lee; Young Sik Shin; Sang Wook Kim; Yoon Jong Lee; In Seok Koh (1999년 3월). “Heavy Mineral Analysis of the Cretaceous Hayang Group Sandstones, Northeastern Gyeongsang Basin (경상분지 북동부 백악기 하양층군 사암의 중광물분석)”. 《한국암석학회》 8 (1): 14-23. 
  50. 이윤종; 이용태; 김상욱; 신영식; 김중욱; 하야시 마사오; 고인석 (2000년). “경상분지 북동부 선백악기 기반암류와 백악기 하양층군 사암의 저어콘 결정 형태학 및 사암의 기원암 (Zircon morphology of the Pre-Cretaceous basement rocks and Cretaceous Hayang Group sandstones in the northeastern part of Gyeongsang Basin and its implication to provenance of the sandstones)”. 《한국암석학회》 9 (1): 40-50. 
  51. 김다희; 정대교 (2021년 10월). “경상북도 군위군 일대 백악기 경상분지 하양층군 하부의 일직층, 후평동층에 대한 퇴적환경 연구 (Sedimentary environments of the Iljik Formation and Hupyeongdong Formation of the lower Hayang Group, Cretaceous Gyeongsang Sedimentary Basin, Bugye-myeon, Gunwi-gun, Gyeongsangbuk-do, Korea)”. 《대한지질학회 2021 추계지질과학연합학술대회》: 505. 
  52. T Mitsugi; K. Ishida; B. G. Woo; K.H Chang; S.O. Park; H. Hirano (2001년 10월). “Radiolarian-bearing conglomerate from the Hayang Group, the Kyongsang Supergroup, southeastern Korea”.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s》 19 (6): 751-763. doi:10.1016/S1367-9120(01)00004-9. 
  53. 정다예; 최기욱; 정대교 (2015년 10월). “경상북도 의성군 일대에 분포하는 백악기 경상누층군 일직층, 후평동층, 점곡층에 대한 퇴적환경 해석 (Depositional environments of the Cretaceous Iljik, Hupyeongdong, Jeomgok Formations, Gyeongsang Basin in Uiseong-gun Gyeongsangbuk-do, Korea)”. 《대한지질학회 2015 추계지질과학연합학술대회》: 405. 
  54. 김현주; 황구근; 정호현; 안호용; 최철웅; 임현수; 최태진; 채용운; 백인성 (2019년 10월). “경북 청송군 신성리 백악기 사곡층의 공룡발자국화석 퇴적층: 산상 및 고환경 (Dinosaur track-bearing deposits in Sagok Formation(Cretaceous) at Sinseong-ri, Cheonsong-gun, Korea: Occurrences and paleoenvironments)”. 《대한지질학회》. 495-511쪽. doi:10.14770/jgsk.2019.55.5.495. 
  55. 김찬수; 박계헌; 백인성 (2005년 3월). “백악기 신라역암 내 화산암력의 40Ar/39Ar 연대 및 하양층군의 퇴적시기에 관한 고찰” (PDF). 한국암석학회. 
  56. “新寧 地質圖幅說明書 (신령 지질도폭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80년. 
  57. “慶山 地質圖幅說明書 (경산 지질도폭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1년. 
  58. “晉州 地質圖幅說明書 (진주 지질도폭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9년. 
  59. “杞溪 地質圖幅說明書 (기계 지질도폭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3년. 
  60. “梁山 地質圖幅說明書 (양산 지질도폭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4년. 
  61. “中平洞 地質圖幅說明書 (중평동 지질도폭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0년. 
  62. “예안 지질도폭”.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3년. 
  63. “靑松 地質圖幅說明書 (청송 지질도폭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3년. 
  64. “平海 地質圖幅說明書 (평해 지질도폭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3년. 
  65. “淸河 地質圖幅說明書 (청하 지질도폭 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8년. 
  66. “道溪洞 地質圖幅說明書 (도계동 지질도폭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3년. 
  67. “경상분지 진주층 및 신라역암의 SHRIMP U-Pb 저어콘 연령분포 및 그 의미”. 한국암석학회. 2010년 3월. 
  68. 박정규 (2021년). “경북 경산시 하양읍에 분포하는 백악기 함안층과 반야월층의 생흔화석층 : 산상, 생흔화석상 및 고환경적 의미 (Trace fossil-bearing deposits of the Cretaceous Haman and Banyawol Formations in Hayang-eup at Gyeongsan city, Gyeongsangbuk-do Province: Occurrences, ichnofacies and paleoenvironmental implications)”. 
  69. 박양대 (1968년). “蔚山 地質圖幅說明書 (울산 지질도폭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70. 박양대 (1968년). “方魚津 地質圖幅說明書 (방어진 지질도폭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71. 임혜원; 이성준; 하상민; 한종원; 김소희; 강희철; 손문 (부산대학교) (2021년 10월). “백악기 경상분지 울산지괴 내 지질구조와 변형사 (Geological structures and deformation history of the Ulsan block in the Cretaceous Gyeongsang Basin)”. 대한지질학회. 
  72. 하수진; 채용운; 강희철; 임현수 (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2022년). “울산 지역 지질유산의 가치평가 (Evaluation of the Geological Heritages in Ulsan Area, Korea)”. 한국지구과학회지. 
  73. In Sung Paik; Hyun Joo Kim (부경대학교); Seung Gyun Baek; Young Kyo Seo (2020년). “New evidence for truly gregarious behavior of ornithopods and solitary hunting by a theropod (수각류의 단독 사냥과 조각류의 군집성 행동에 대한 새로운 증거)”. Episodes, Journal of lnternational Geoscience. doi:10.18814/epiiugs/2020/020069. 
  74. 김현주; 백인성; 김성영; 이호일 (2018년 2월). “경남 함안군 군북면 소포리 부근 함안층(전기백악기)의 퇴적상, 고환경 및 층서 (Sedimentary facies, paleoenvironments, and stratigraphy of the Haman Formation (Early Cretaceous) in Sopo-ri, Haman-gun, Gyeongsangnam-do, Korea)”. 대한지질학회. 
  75. 김봉균 (1969년). “A study of several sole marks in Haman Formation (咸安層에 발달되는 솔ㆍ마크에 관한 연구)”. 대한지질학회. 243~258쪽. 
  76. 백인성; 김현주; 이준동; 김인수; 김진섭; 문병찬 (2000년). “경상분지 동남부의 상부 경상누층군에 발달한 호성퇴적층에 대한 비교퇴적학적 연구 (Comparative Sedimentology for the Lacustrine Deposits of the Upper Gyeongsang Supergroup in the Southeastern Gyeongsang Basin, Korea)”. 한국지구과학회. 433쪽. 
  77. 좌용주; 이용일; 유지 오리하시 (2004년 10월). “구산동 응회암과 진동 화강암에서 산출되는 저콘에 대한 U-Pb 연대와 진동층 퇴적시기에 대한 고찰”. 대한지질학회. 
  78. 김용식; 고경태; 이병춘. “현풍-부곡일원 최하부 유천층군의 산상과 SHRIMP U-Pb 연대 (Occurrence of the lowermost part of the Yucheon Group and its SHRIMP U-Pb ages in Hyeonpoong and Bugok areas)”. 자원환경지질. 
  79. 장기홍; 이유대; 이영길; 서승조; 오규영; 이창훈 (1984년 3월). “Unconformity at the Base of the Late Cretaceous Yucheon Group 慶尙束 楡川層群 基底의 不整合)”. 《대한지질학회20 (1): 41-50. 
  80. 백인성; 강희철; 허민; 양승영 (2006년 12월). “Goseong Formation (Yucheon Group) in the southern part of the Gyeongsang Basin, Korea (경상분지 남부에 발달된 유천층군 고성층 : 산상 및 층서)”. 《대한지질학회42 (4): 483-505. 
  81. “한반도 지질 현황”. 한국지질자원연구원. 
  82. “땅_지반을 알게 하는 지질학(Geology) - 남한은 어떤 암석으로 구성되어 있나 Ⅱ - (전라도, 경상도 지역)”. 한국지반공학회. 2020년 5월. 이들 층군들을 구분하는 기준은 신동층군에는 화산 쇄설물들이 거의 없으나 하양층군에는 화산쇄설물이 차츰 증가하며 유천층군에는 화산쇄설물 내지 화산암인 응회암이 주를 이룬다는 특징이다. 
  83. “활성단층 조사평가 연구:한반도 동남부 지역”.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 1998년. 29쪽. 
  84. 황상구; 손영우; 최장오 (안동대학교) (2017년 9월). “국립공원 주왕산의 지질과정과 지형경관 (Geological History and Landscapes of the Juwangsan National Park, Cheongsong)”. 한국암석학회. 
  85. 波多江信廣 (1937년). “朝鮮地質圖. 第18輯 : 寧海 及 盈德 圖幅”. 조선총독부지질조사소. 
  86. 황상구 (안동대학교) (2014년 8월). “Welding and textural evolution in the Juwangsan Tuff in Cheongsong, Korea (청송 주왕산응회암의 용결작용과 조직적 진화)”. 대한지질학회. 
  87. 정성욱; 황상구 (안동대학교); 손영석. “유상구조를 통한 주왕산응회암의 공급지 추적 (Flow structures and source of Juwangsan Tuff0”. 한국암석학회. 
  88. 황상구; 조인화 (안동대학교); 이기욱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2016년 8월). “SHRIMP zircon U-Pb dating and stratigraphic relationship of the Bunam stock and Muposan tuff, Cheongsong (청송 부남암주와 무포산응회암의 SHRIMP 저어콘 U-Pb 연대측정과 층서관계)”. 대한지질학회. 
  89. Antony John Reedman; 박기화; Jane Alison Evans (1989년 3월). “치술령지역의 화성암류와 광화작용시기 - 유천층군의 화산활동시기에 대한 고찰 (The Age of Granitoid Intrusions and Related Mineralisation in the Chisulryoung Mountain Area, South-East Korea : Constraints on the Age of the Chisulryoung Volcanic Formation and Yucheon Group Volcanism)”. 《대한지질학회25 (1): 51-58. 
  90. “馬山 地質圖幅說明書 (마산 지질도폭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3년. 
  91. 백인성; 강희철 (부경대학교); 허민 (전남대학교); 양승영 (한국지질고생물연구회). “Goseong Formation (Yucheon Group) in the southern part of the Gyeongsang Basin, Korea (경상분지 남부에 발달된 유천층군 고성층 : 산상 및 층서)”. 대한지질학회. 
  92. 이윤성; 천영범; 하상민; 강희철; 손문 (2018년 8월). “Distribution, age, and structural evolution of the Goseong Formation in the southern Gyeongsang basin, SE Korea (경상분지 남부 고성층의 분포, 퇴적시기와 구조진화사)”. 대한지질학회. 
  93. “미조·미륵도도폭 지질조사보고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6년. 
  94. “忠武 地質圖幅說明書 (충무 지질도폭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83년. 
  95. “여수·개도·돌산도·소리도도폭 지질조사보고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5년. 
  96. 장기홍 (1989년). “南海·西上圖幅 地質報告書 (남해·서상도폭 지질보고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97. 허민; 정철환; 박재봉; 김보성 (전남대학교); 백인성 (부경대학교) (2001년 12월). “Dinosaur tracks from Islands in Yeosu, Jeollanam-do, Korea (전남 여수시 도서지역에서 발견된 공룡발자국 화석)”. 대한지질학회. 
  98. 최병도; 허민; 황구근; 우연; 박진영 (2012년 12월). “전남 일대 지질공원 후보지 기초 학술 연구 : 공룡화석지를 중심으로 (A PRELIMINARY STUDY ON THE CANDIDATE SITES FOR GEOPARK AROUND JEONNAM AREA : FOCUSING ON DINOSAUR FOSSIL SITES)”. 한국고생물학회. 
  99. 허민; Martin G. Lockley; Kyung Soo Kim; Jeong Yul Kim; Se-Geon Gwak (2012년 3월). “First Report of Aquatilavipes from Korea: New Finds from Cretaceous Strata in the Yeosu Islands Archipelago”. 
  100. 조홍섭 (2011년). 《한반도 자연사 기행》. ISBN 978-89-8431-475-7. 
  101. 장기홍; 우병걸; 이진형; 박순옥; Akira Wao (1990년 10월). “Cretaceous and Early Cenozoic Stratigraphy and History of Eastern Kyŏngsang Basin, S. Korea (경상분지 동부의 백악기 및 전기신생대 층서 및 지사)”. 대한지질학회. 
  102. 강희철; 천영범; 하상민; 서경한; 김종선; 신현조; 손문 (2018년 9월). “경북 영덕군 동부 일원의 지질과 U-Pb 연령 (Geology and U-Pb Age in the Eastern Part of Yeongdeok-gun, Gyeongsangbuk-do, Korea)”. 《한국암석학회》. 
  103. 조형성; 김종선; 손문; 김인수; 손영관 (2011년 2월). “부산시 백악기 다대포분지 내 화산암류의 암석기재와 40Ar/39Ar 연대 - 다대포층의 퇴적시기와 대비”. 《대한지질학회47 (1): 1-18. 
  104. 허민; 박준; 황구근; 문기현; 백인성; 박계현; 이용일; 양승영; 임종덕; 이영업; 정대교; 서승조 (2006년 12월). “Occurrence of dinosaur eggs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남한의 공룡알화석 산출 현황)”. 《대한지질학회42 (4): 523-547. 
  105. 김인수 (1988년 9월). “Palaeomagnetism of Cretaceous Tadaepo Formation, Pusan Area: Its Stratigraphic and Tectonic Significances (부산지역 백악기 다대포층에 대한 고자기학적 연구 : 그의 층서적, 지구조적 의의)”. 《대한지질학회24 (3): 211-233. 
  106. Yong-Un Chae; Sujin Ha; Hee-Cheol Kang; Hyoun Soo Lim; Young Ji Joo; In Sung Paik (2022년). “Detrital zircon U-Pb ages of the Cretaceous Dadaepo Formation in Busan, Korea and their geological implication”. 《Episodes》 46 (2): 269-279. doi:10.18814/epiiugs/2022/022031. 
  107. 강희철 (부경대학교); 이선갑; 김종순; 하상민; 천영범; 손문 (부산대학교). “Structural chracteristics and evolution of the Ilgwang Fault, SE Korea”. 대한지질학회. 
  108. 김현주; 백인성; 박정규; 김영석 (부경대학교); 정은경 (대구광역시); 김경식 (전북대학교); 백승균; 서영교 (지마텍); 이호일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22년 3월). “Cretaceous Icheonri Formation at Sinpyeongri Coast, Gijang County, Busan, Korea : Occurrences and values in geological heritage (부산 기장군 신평리 해안에 분포하는 백악기 이천리층: 산상과 지질유산으로서의 가치)”. 대한지질학회. 
  109. 윤철수 (2001). 《한국의 화석》. 시그마프레스. 
  110. 윤철수 외 (2007년). “경상분지에서 발견된 백악기 파충류 이빨화석”. 한국고생물학회. 
  111. 양승영; 윤철수; 김태완 (2003년). 《한국화석도감》. 
  112. 윤철수; 양승영 (2001년 12월). “Occurrence of Cretaceous non-marine bivalve, Nagdongia soni, from the lower part of the Hasandong Formation near Waegwan, Korea (왜관 부근의 하산동층 하부에서 산출된 백악기 비해성 이매패 화석 Nagdongia soni) (eng)”. 한국고생물학회. 
  113. 《지구과학개론》. 한국지구과학회. 2001. 
  114.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15. 기상청, 국내지진 목록
  116. 이기화 (2016년). 《모든 사람을 위한 지진 이야기》. 사이언스북스. 216쪽. 
  117. 송윤구; 심호; 홍성식 (연세대학교); 손문 (부산대학교) (2019년). “경상분지 내 주요단층의 K-Ar 연대: 신생대 단층활동의 시·공간적 특성 (K-Ar Age-dating Results of Some Major Faults in the Gyeongsang Basin: Spatio-temporal Variability of Fault Activations during the Cenozoic Era)”.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52 (5): 449-457. doi:10.9719/EEG.2019.52.5.449. 
  118. 이병주; 황재하 (1997년 3월). “Relationship between the Kaum fault and the Yangsan fault at the northeastern part of the Cretaceous Kyongsang Basin, Korea (경상분지 북동부에서의 가음단층과 양산단층의 관계)”. 《대한지질학회33 (1): 1-8. 
  119. “안동시 풍천면 안동단층계 주변의 지질구조”. 암석학회지. 2008년 6월. 
  120. “Seismicity of the Korean Peninsula: 5. Seismicity of the Ryeongnam Massif (한반도의 지진활동 : 5. 영남육괴의 지질활동)”. 《대한지질학회25 (4): 474-494. 1989년 12월. Andong Fault is reported to be a high angle reverse fault and markedly recognized stratigraphically because Precambrian basement is thrusted over Cretaceous sedimentary sequences. 
  121. “善山圖幅 地質報告書 (선산도폭 지질보고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89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