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지 (한복)
한복의 하의 부분
이 문서는 한복의 바지에 관한 것입니다. 일반적인 바지에 대해서는 바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한복에서 바지는 한복의 하의 부분을 말한다. 꼭 여성이 입어서는 안 된다는 법은 없으나 대개 남자 한복을 지칭한다.
한복의 바지는 6세기까지 신분의 차이 없이 그냥 바지부리를 여맸으나 7세기부터는 여매는 것 대신 선으로 두르는 형태가 생겨난다.[1] 조선왕조실록에서는 겹고, 단고 혹은 단순히 고로 표기하고 있다. 겹고라는 의미는 겹바지임을 가리킨다.[2]
바지는 복색, 재봉방법, 자수 등에 따라 홑바지, 가죽바지, 명주바지, 무명바지 등으로 이름을 구분한다.[3] 한복 바지와 서구식 바지가 다른 점은 구성은 대칭하지만 앞뒤 중심이 사선이어서 움직일 때 편하고 또 한편으로는 착용자의 위엄과 사회적 지위를 나타낸다는 데 있다. 따라서 치수가 분명히 정해져 움직임에 제한이 있게 되는 양장 바지와 달리 여유로운 한복 바지를 입으면 움직임에 상대적인 불편함을 덜 느끼게 되어 좌식 생활에 편했다.[4]
바지라는 용어는 "把持"(파지)라고 정인지가 기록한 것이 최초[5]이며 왕과 왕비의 바지는 특별히 '봉디'(봉지)라고 별도로 부르는 이름이 있었다.[6]
각주
- ↑ 박선희, 《한국고대복식》,지식산업사, 2002년. 제2부 한국복식의 원형 부분 참조.
- ↑ 김은정, 〈남자 한복 바지의 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44호(2005), 910-911쪽
- ↑ 임영미, 《한국의 복식문화》, 경춘사, 1996년. 320쪽
- ↑ 김은정, 〈남자 한복 바지의 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44호(2005), 917쪽
- ↑ 이어령, 《우리문화 박물지》, 디자인하우스, 2007년. 271쪽
- ↑ 바지 Archived 2013년 10월 4일 - 웨이백 머신 E-museum-바지, 2011년 8월 12일 검색해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