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ustomized Home Health Care Nurse PDF

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0

農村醫學 ․ 地域保健學會誌:第38券 第1號(2013年 3月) DOI: http://dx.doi.org/10.5393/JAMCH.2013.38.1.

039
J Agric Med Community Health 2013;38(1):39~48

방문건강관리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와 조직애착도 *

박찬경1), 박기수2), 강영실3)


1)
경남도립거창대학 간호과
경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및 건강과학연구원2)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 및 건강과학연구원3)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ustomized Home Health Care Nurse
Chan Gyeong Park1), Ki Soo Park2), Young Sil Kang3)
1)
Department of Nursing, Gyeong Nam Provincial Geochang College, Geochang, Korea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School of Medicine, and Institute of Health Scienc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Korea2)
3)
College of Nursing and Institute of Health Scienc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Korea

= Abstract =

Objectives: This research was done to identify relationships among job stress, fatigue, job satisfaction, and
commitment to organization in customized home health care nurses.
Methods: Research participants were 130 nurses who worked in the customized home health care of 20
county in Gyeongnam province. Data collection for this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was done at August
2010 using self report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we
analyzed a four step approach in which several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and significance of the
coefficients is examined at each step.
Results: The results from step 1 showed that, the effect of each job stres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In step 2, the direct effect of commitment to organization on job satisfactions were all
significant too. Step 3 analysis showed that the total effect of each job stress on commitment to organization
symptoms was significant. Step 4 showed the results of controlling for mediating factor (job satisfaction): job
demand and insecurity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ommitment to organization(p<0.001), the finding
supports that others were fully mediated by each job satisfaction, and, the job demand and insecurity were
partially mediated by job satisfaction.
Conclusion: Results of this research indicated that job stress in customized home health care nurses was
the principal variable affecting job satisfaction and commitment to organization. Appropriate stress management
strategies based on assessment of job demand and job security for these nurses lead to development of
improved commitment to organization

Key words: Job stres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Visiting Nurses

* 접수일(2013년 1월 22일), 수정일(2013년 3월 22일), 게재확정일(2013년 3월 25일)


* Corresponding author : 박기수, 경남 진주시 진주대로 816
Ki Soo Park, 816 Jinjudaero, Jinju city, Gyeongnam 660-751, Korea
Tel: +82-55-772-8095, Fax: +82-55-772-8099, E-mail: [email protected]

- 39 -
2 직무스트레스는 조직애착도에 영향을 미친다

서 론 는데, 직무의 불만족이 쌓일수록 조직의 몰입도


낮아져 간호사로 하여금 소진을 경험하게 된다[7].

우리나라는 2018년에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이 방문간호인력의 직무만족도가 높으면 업무 수

14.3%로 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측되어 이 행도가 높아지고 방문간호업무의 성과로 이루어져

들에게서 의료비 증가는 가족과 국가의 부담으로 결과적으로 의료비 절감과 수준 높은 방문간호서

이어지게 될 것이다. 또한 소득 계층간의 격차 비스가 이루어지므로[8] 이들이 느끼는 직무스트

확대, 절대 빈곤층의 의료이용 어려움 등 건강수 레스 요인과 직무만족도와 조직애착도에 대한 연

준의 불평등이 심화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정부는 구는 필요하다고 본다.

의료혜택이 부족한 저소득층 지역주민, 노인인구 그동안 간호사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연구로는

및 취약계층의 의료접근성에 대한 형평성, 서비스 특수영역별로 있으나[9-11] 방문간호인력을 대상

질 관리 등을 고려하여 보건복지분야 사회서비스 으로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직무만족도, 조직애착

확충전략의 일환으로 2007년부터 전국 보건소에서 도에 관한 연구는 없다.

방문건강관리사업을 시행하게 되었다[1]. 이에 본 연구자는 방문간호인력을 대상으로 직

방문건강관리사업을 수행하는 간호사의 역할은 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조직애착도 정도를 파

개인별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가정방문을 악하고 직무스트레스 세부 영역과 조직애착도와의

통해 대상자에게 편안한 환경 등을 제공해야 하기 관련성에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분


석함으로써 방문간호사의 직무 관련 스트레스 완
때문에 독자적인 판단력과 수행력이 요구되고 결
화와 직무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과에 대한 책임이 자신에게 돌아와 방문간호사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입장에서 직무 스트레스로 작용할 수 있다[2].
직무 스트레스의 개념은 연구자마다 조금씩 다
르나 공통적으로 특정 직무와 관련된 부정적 환경 대상 및 방법
요인, 개인의 불편한 감정, 개인 자신의 욕구나
능력 및 성격이 환경적 요구와 일치하지 않을 때 1. 조사 대상 및 방법
발생한다는 개념을 포함하고 있다[3]. 이러한 직무 본 연구는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을 수행하는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낮은 업무 수행 및 낮은 직무 방문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정도와 관련 요인을
만족과 높은 이직률이 나타난다[4,5]. 직무만족은 알아보기 위해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서술적
개인이 직업에 대해 호의적으로 느끼는 감정적·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2010년 9월에 경남권역
정서적 평가를 말하는데, 직무스트레스가 많을수록 방문건강관리사업 간호사 대상 현장관리훈련프로
자신의 직업에 대한 만족감이 없게 되어 효과적인 그램(Field Management Training Program) 교
역할수행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전문직으로서의 육에 참가한 자를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교육 대
발전을 꾀할 수 없고 그 결과 대상자의 질이 저 상자들을 대상으로 연구에 대한 목적과 취지를
하되고 조직에 대한 애착도가 떨어지고 이직률은 설명하고 동의서(informed consent)에 동의한 자
증가하게 된다. 간호직 역시 직무에 대한 만족은 들에게 자기 기입식으로 설문하였다. 조사대상자는
간호사들의 능력을 최대한으로 발휘하여 직무를 교육에 참가한 전체 142명 중 설문이 충실하지
효율적으로 수행하게 해주고 환자에게 적절한 간 못하게 기재된 12부를 제외한 130명을 최종 분석
호를 시행하게 해 주므로 간호직무에 대한 만족 으로 하였다.
여부는 간호활동에 큰 영향을 미친다[6]. 또한 직
무만족도와 조직몰입은 순상관관계가 있어 직무 2. 조사 도구
만족이 높은 구성원들은 조직몰입이 높고, 조직 본 연구도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직무스트
몰입이 높은 구성원들은 직무성과가 높게 나타나 레스, 직장만족도, 조직애착도 문항들로 구성되어

- 40 -
박찬경, 박기수, 강영실 3

있다. 일반적 특성으로는 연령, 결혼여부, 교육수준, 목에 1-2-3-4점을 부여하고 총점의 평균값인 직
고용형태, 근무경력, 이전 근무지, 현재 본인의 무만족도 점수는 1~4점 사이에 분포하게 된다.
월 수입을 질문하였다. 직장만족도의 내적신뢰도 계수는 0.734이었다.

1) 직무 스트레스 3) 조직 애착도
직무 스트레스의 측정도구로는 Chang 등[12]이 조직 애착은 조직 구성원들의 수행 능률, 결근율,
개발한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 단축형을 이직률, 유효성 등을 예측하기 위한 지표들 중
연구대상자에게 맟게 일부 문항에 대해서는 문구를 소극적인 충성심 이상의 것이며 조직구성원들이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각 문항은 ‘시간적 압박, 조직발전에 적극적으로 기여하려는 것과 같은 것
업무량 증가’ 등에 관한 직무요구 항목(4문항), 이다. 설문은 현 직장의 미래걱정, 좀 더 나은 보수,
‘창의력의 필요, 직무수행권한’ 등에 관한 직무자율 업무 역할, 직원에 대한 사측의 대우, 능력발휘,
항목(4문항), ‘동료의 지지, 상사의 지지, 전반적 개인의 능력개발을 위해 분위기를 조성 등의 6개
지지’ 등에 관한 관계갈등 항목(3문항), ‘고용불안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5] Likert 4점 척도를
정성’ 등에 관한 직무불안정 항목(2문항), ‘조직의 이용하여 각 항목에 1-2-3-4점을 부여하고 총점
정략 및 운영체계, 조직의 자원, 조직내 갈등, 합 의 평균값인 직무애착도 점수는 1~4점 사이에
리적 의사소통’ 등에 관한 조직체계 항목(4문항), 분포하게 된다. 조직애착도에 대한 내적신뢰도
‘존중, 내적동기, 기대 부적합’ 등에 관한 보상부 계수는 0.689였다.
적절 항목(3문항), ‘비합리적인 의사소통체계, 비
공식적 직장문화’ 등에 관한 직장문화 항목(4문 4.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항) 등의 7개 영역 2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5.0 프로그램을 이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그렇다’, 용하여 전산처리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매우 그렇다’로 응답하도록 하고, 점수가 높을수록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의 빈도분석과 이에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는 문항은 따른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그리고 조직애착
1-2-3-4점을 부여했고, 그 반대인 경우 4-3-2-1로 도는 t-test와 ANOVA를 적용하였다. 사후검정
재코딩하여 각 영역별 합산을 한 후 100점으로 으로는 turkey 방법을 사용하였다.
환산하였다. 이렇게 각 영역별로 계산된 7개 영 둘째,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조직애착도
역의 환산 점수의 총합을 7로 나누어 직무스트레 점수간의 상관관계 분석 후 최종적으로 직무만족
스를 구했다. 100점으로 환산하는 방법은 아래와 도와 조직애착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알기
같다. 위하여 Baron과 Kenny[13]가 제시한 방법으로
식 1) - 각 영역별환산점수 = (실제점수 - 문항수) 분석하였다. 직무만족도와 조직애착심의 인과적
× 100 / (예상가능한 최고점수 - 문항수) 순위는 아직 확립된 정설이 없으며[14], 제시된
직무스트레스와 같은 독립변수들이 조직애착심에
2) 직무 만족도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지 아니면 직무만족도를 통해
직무만족도에 관한 설문문항은 Choi 등[5]의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지에 관해서도 논란이 있다.
연구에서 활용된 설문도구를 방문건강관리 간호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결과[5,9,15,16]
사에게 맞게 자구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즉, 를 참조하여 직무만족도를 조직애착도의 매개변
‘현 직장의 자랑, 담당업무, 보수, 부서 동료애, 수로 하였고, 모든 독립변수들은 조직애착도에
상급자의 통솔력과 성격, 현 직장의 근무조건이나 대하여 직접적 영향과 직무만족도를 통한 간접적
분위기’ 등의 6개 문항으로 구성된 복합지표를 영향을 모두 가지는 것으로 모형을 설정하였다.

사용하였으며 Likert 4점 척도를 이용하여 각 항 Baron과 Kenny의 분석방법은 4단계로 진행이

- 41 -
4 직무스트레스는 조직애착도에 영향을 미친다

된다. 먼저,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간의 관계 스트레스는 직장만족도 모든 영역에서 음의 관련


에 대한 분석이 실시되고 두 번째 단계에서는 직 성이 있었다. 또한 직무만족도 역시 모든 영역에서
무만족도와 조직애착도간의 관계에 대한 분석이 조직애착도와 유의하게 관련이 있었다. 한편 직무
실시된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직무 스트레스가 스트레스와 조직애착도간의 총 효과는 직무의 자
조직애착도에 미치는 전체 효과에 대한 분석을 율과 관련된 스트레스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는
실시하고 마지막으로 직무스트레스가 조직애착도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으며, 직무만족도를 보정한
직무만족도로 보정된 효과를 고려하게 된다. 직 뒤 직무스트레스 영역과 조직애착도간의 효과는
무만족도로 보정된 이후에도 여전히 직무스트레 직무요구와 직무불안정 그리고 전체 직무스트레스
스가 유의하면 직무만족도는 부분매개효과가 있 등이 유의하게 조직애착도에 영향을 주고 있어,
으며 보정된 이후에 유의하지않으면 완전매개효 이들 세가지 부분에서는 직장만족도가 부분매개
과가 있다. 효과가 있으며 다른 영역에서는 직장만족도가 직
무스트레스와 조직애착도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
연구결과 하고 있었다(Table 3).

연구대상자들의 평균연령은 38세이었고, 대부 고 찰


분이 결혼을 하였으며, 교육수준은 전문대졸이
73.1%로 많았다. 연구 당시의 고용형태는 단기 본 연구는 국가에서 건강불평등을 줄이기 위하여
계약직이 86.2%로 다수를 이루었으며 이전 직장은 실시하는 방문건강관리사업 담당자들인 방문건강
종합병원급에 근무한 대상자가 37.7%였으며 병 관리 간호사를 대상으로 그들이 가지고 있는 직
원이나 의원에 근무한 자가 36.2% 그리고 그 외 무스트레스를 측정하여, 이러한 직무스트레스가
근무한 사람들이 26.2%였다. 평균 급여는 43.8%가 직장에 대한 만족도와 조직애착도에 영향을 미치는
150만원 미만을 받는다고 응답하였다(Table 1). 지와 직무만족도가 직무스트레스와 조직애착도간의
직무스트레스의 7개 영역에서 직무 불안정이 관계에 매개를 하는 지를 측정하기 위하여 실시
69.7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직무 요구가 64.9점으로 되었다.
다음으로 높았다. 한편 관계갈등 점수가 38.5점으로 연구 결과 직무 스트레스의 7가지 영역 중 직무
가장 낮았다. 한편 전체 직무 스트레스 점수는 불안정 영역의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받고 있었
52.4점이었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징과 직무 으며 직무요구에 해당하는 스트레스가 다음이었다.
스트레스 각 영역간의 관련성에서 직무요구는 연 연구대상자들의 86%정도가 일정 기간 범위내에서
령대와 유의한 관련이 있었는데(p<0.05), 30세 이 근무를 하게 되는 유기계약의 형태로 근무를 하고
하군이 55.2점으로 가장 낮았다. 또한 결혼 상태 있어 직무 불안정 영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을 것
와도 유의한 관련이 있었는데(p<0.05) 기혼자가 이다. 그리고 직무 요구 영역의 스트레스가 높은
67.1점으로 높았다. 관계 갈등은 월수입에 따라 이유로는 방문건강관리사업의 대상자가 기초생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는데(p<0.05) 월수입이 높은 보장 수급권자, 차상위계층, 노인, 결혼이민자 가구,
군이 41.1점으로 높았다. 직장문화에 대한 점수는 시설주민 등으로 범위가 넓고, 대상 영역 역시
근무 경력과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으며 37개월이상 주요 만성퇴행성질환 뿐만 아니라 임산부 관리,
근무한 군이 가장 높았다(Table 1). 영유아 질환 관리 등 서비스 요구도가 높은 영역을
직장만족도와 조직애착도의 전체 점수는 각각 포함하고 있으나 대상자들이 느끼는 취약계층 관
2.6점과 2.3점이었다. 인구사회학적 특징에 따른 리율과 방문 충족률은 여전히 저조하므로[1] 이
점수의 차이는 없었다(Table 2). 들이 상대적으로 느끼는 직무 요구도 관련 스트
인구사회학적 변수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직무 레스는 높을 것이다. 한편 직무스트레스를 개발한

- 42 -
박찬경, 박기수, 강영실 5

Table 1. Job stress by general characteristics


Insufficient job Interpersonal Organizational Occupational
Number Job demand Job insecurity Lack of reward Short form total
Item control conflict system climate
% Mean(S.D) Mean(S.D) Mean(S.D) Mean(S.D) Mean(S.D) Mean(S.D) Mean(S.D) Mean(S.D)
a
󰀃30 24 (18.5) 55.2 (13.19) 42.7 (11.08) 36.6 (14.46) 72.9 (13.74) 46.9 (13.19) 52.3 (18.38) 44.1 (13.34) 50.1 (8.78)
b
Age 31~40 54 (41.5) 64.8 (13.34) 45.8 (14.64) 37.9 (13.74) 68.8 (19.17) 52.0 (15.77) 53.5 (17.41) 46.5 (16.56) 52.6 (10.79)
b
󰀄41 52 (40.0) 69.8 (14.81) 43.4 (13.03) 40.2 (13.59) 69.2 (20.45) 51.6 (13.10) 50.2 (15.00) 47.3 (14.64) 52.9 (9.88)

Marital Unmarried 24 (18.5) 55.9 (14.22) 45.5 (12.53) 42.1 (14.65) 64.6 (17.25) 50.3 (13.79) 56.9 (20.01) 46.9 (14.91) 51.8 (10.08)
status †
Married 106 (81.5) 67.1 (14.14) 44.0 (13.60) 37.7 (13.52) 70.9 (18.98) 51.0 (14.49) 50.8 (15.63) 46.2 (15.31) 52.4 (10.10)
College or below 95 (73.1) 65.1 (14.11) 44.7 (12.81) 38.4 (11.88) 69.6 (18.67) 50.9 (13.99) 51.9 (15.75) 46.5 (14.97) 52.3 (9.40)
Education
University or above 35 (26.9) 64.7 (16.67) 43.1 (14.92) 39.0 (18.15) 70.0 (19.30) 51.0 (15.36) 52.1 (19.01) 46.0 (15.96) 52.0 (11.81)

Type of Short-term 18 (13.8) 61.6 (11.83) 42.6 (10.26) 37.0 (16.17) 70.4 (21.81) 47.2 (15.91) 49.4 (14.87) 41.7 (11.79) 50.0 (7.46)
employment Permanent 112 (86.2) 65.5 (15.16) 44.6 (13.82) 38.8 (13.42) 69.6 (18.34) 51.5 (14.03) 52.4 (16.90) 47.1 (15.57) 52.6 (10.40)

- 43 -
a
󰀃24 49 (37.7) 62.4 (14.84) 45.4 (13.29) 35.6 (12.83) 70.1 (19.24) 48.5 (13.25) 47.8 (16.07) 42.5 (14.95) 50.3 (9.49)
Carrier
25~36 39 (30.0) 64.7 (14.16) 43.4 (11.97) 39.3 (14.16) 66.2 (19.68) 52.6 (15.43) 55.6 (14.86) 45.5 (14.54)b 52.2 (9.38)
(years)
c
󰀄37 42 (32.3) 68.3 (14.93) 43.8 (14.85) 41.3 (14.16) 72.6 (17.20) 52.2 (14.38) 53.4 (18.07) 51.6 (14.87) 54.5 (11.04)
General hospital 49 (37.7) 63.6 (14.99) 43.9 (13.15) 39.9 (15.37) 68.7 (20.87) 52.4 (15.50) 50.6 (18.15) 45.1 (16.22) 52.0 (10.48)
Office Hospital or clinic 47 (36.2) 63.9 (14.54) 44.7 (10.91) 39.0 (12.45) 69.9 (15.79) 48.9 (10.22) 53.0 (12.94) 47.3 (13.58) 52.0 (8.45)
No office or others 34 (26.2) 68.4 (14.62) 44.4 (16.76) 35.9 (13.14) 71.1 (19.81) 51.5 (17.22) 52.6 (19.01) 46.8 (16.02) 53.0 (11.64)
*
Income <1,500,000 57 (43.8) 62.7 (13.92) 44.6 (13.03) 35.3 (12.44) 70.2 (18.83) 49.4 (12.18) 50.5 (16.68) 44.2 (14.34) 51.0 (8.70)
(won) 󰀄1,500,000 73 (56.2) 66.8 (15.27) 44.1 (13.71) 41.1 (14.31)* 69.4 (18.84) 52.1 (15.76) 53.1 (16.59) 48.1 (15.68) 53.3 (10.96)
Total 130 (100.0) 64.9 (14.71) 44.3 (13.37) 38.5 (13.78) 69.7 (18.77) 50.9 (14.31) 52.0 (16.61) 46.3 (15.18) 52.4 (9.97)
* †
: p<0.05 : p<0.01
a,b,c
are post-hoc comparison(turkey method) results.
Abbreviation: S.D, Standard deviation
6 직무스트레스는 조직애착도에 영향을 미친다

Table 2.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general characteristic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tem
Mean (S.D) Mean (S.D)
Age 󰀃30 2.7 (0.36) 2.3 (0.37)
31~40 2.6 (0.39) 2.4 (0.30)
󰀄41 2.5 (0.37) 2.3 (0.32)
Marital Unmarried 2.6 (0.41) 2.2 (0.35)
status Married 2.6 (0.38) 2.4 (0.31)
Education College or below 2.6 (0.35) 2.3 (0.32)
University or above 2.5 (0.47) 2.4 (0.33)
Type of employment Short-term 2.7 (0.37) 2.4 (0.27)
Permanent 2.5 (0.38) 2.3 (0.33)
Carrier (years) 󰀃24 2.6 (0.36) 2.4 (0.34)
25~36 2.6 (0.35) 2.4 (0.34)
󰀄37 2.5 (0.43) 2.3 (0.27)
Office General hospital 2.6 (0.42) 2.4 (0.32)
Hospital or clinic 2.6 (0.28) 2.3 (0.30)
No office or others 2.5 (0.43) 2.3 (0.35)
Income (won) <1,500,000 2.6 (0.36) 2.4 (0.31)
󰀄1,500,000 2.5 (0.40) 2.3 (0.33)
Total 2.6 (0.38) 2.3 (0.32)
Abbreviation: S.D, Standard deviation

Table 3.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Job stress → Job satisfaction → Job stress → Job stress →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Unstandardized Unstandardized Unstandardized Unstandardized
SE p value SE p value SE p value SE p value
coefficient coefficient coefficient coefficient
Job demand -0.39 0.07 <0.001 0.29 0.08 <0.001 -0.25 0.07 <0.001 -0.14 0.07 0.048
Insufficient job control -0.27 0.08 <0.001 0.37 0.07 <0.001 -0.08 0.07 0.286 0.02 0.07 0.727
Interpersonal conflict -0.52 0.07 <0.001 0.38 0.08 <0.001 -0.16 0.07 0.024 0.03 0.08 0.677
Job insecurity -0.31 0.05 <0.001 0.21 0.07 0.006 -0.28 0.04 <0.001 -0.21 0.05 <0.001
Organizational system -0.48 0.07 <0.001 0.32 0.08 <0.001 -0.21 0.06 0.001 -0.05 0.07 0.458
Lack of reward -0.39 0.06 <0.001 0.34 0.08 <0.001 -0.16 0.06 0.005 -0.03 0.06 0.596
Occupational climate -0.39 0.07 <0.001 0.29 0.08 <0.001 -0.24 0.06 <0.001 -0.13 0.07 0.054
Total -0.89 0.08 <0.001 0.28 0.10 0.008 -0.47 0.09 <0.001 -0.31 0.12 0.011
*
: Adjusted for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level type of employment, carrier, office and income

: Adjusted for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level type of employment, carrier, office, income and job
satisfaction
Abbreviation: S.E, Standard error

- 44 -
박찬경, 박기수, 강영실 7

Chang 등[12]의 연구결과의 기준치(Reference 만족도를 거쳐서 조직애착도에 영향을 주는 매개


values)와 비교시 방문간호사들의 직무스트레스는 효과도 유의하였지만 두 개의 직무스트레스 영역이
전체 점수는 3사분위에 속하였으며 직무불안정이 직접적으로도 조직애착도에 영향을 주어 직무만
4사분위에서 높은 편에 속하였고, 이외에 직무요 족도가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현상을 두
구, 관계 갈등, 조직체계, 직장 문화 등이 3사분 개의 스트레스 영역이 이들에게서 주된 스트레스
위에 속하였으며, 보상부적절이 2사분위 그리고 라고 생각한다면 이들의 직무와 관련된 스트레스는
직무자율성은 1사분위에 속하였는데, 직무스트레 결과적으로 직무만족도를 부분으로 매개하면서
스 7개 영역 중 5개 영역이 3사분위 이상에 해당 조직애착도에 영향을 주고 있다. 현저한 업무의
되어 이들의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편에 속하였 과중에 비해 고용의 불안정 또는 사업의 불안정은
다. 이러한 요인은 앞서 제시한 것처럼 유기 계 방문건강관리라는 직무에 대한 불만족과 함께 조
약제로 고용이 되어 직업의 안정성에 대한 불안 직에 대한 애착까지 직접적으로 떨어뜨리고 있었다.
감이 전체적으로 직무스트레스 점수를 높이는 결 나머지 영역의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도를 완전
과를 초래하였을 것이다. Jeon 등[17]의 연구에서 매개하면서 조직애착도에 영향을 주었다. 즉, 이들
병원근로자들을 대상으로 고용형태에 따른 직무 영역의 직무스트레스 부분은 직무 만족도에 나쁜
스트레스에서 비정규직 근로자들이 주요 영역에서 음의 영향을 주고 결과적으로 낮은 직무만족도가
직무스트레스 점수가 높은 것과 비교하였을 때 조직애착도를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한다.
연구결과를 뒷받침하여 준다. 또한 Lee[18]의 연 보건분야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일개
구에서도 낮은 직무자율성에서 스트레스가 증가 병원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전략이 직무
함을 보여 연구 결과를 뒷받침하여 준다. 만족에 영향을 미친다고 한 연구[19], 병원근로자의
직무만족도와 조직애착도의 점수는 각각 2.6점과 직무만족도와 조직애착도의 선행변수로서 임파워
2.3점이었는데 이러한 점수 분포는 동일한 도구를 먼트를 고려하여야 한다는 연구[20], 기대감 충족,
사용하여 군 간호장교를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 공정한 승진기회, 적절한 보상 및 복리후생, 직무
보다는 낮았으며[9] 그리고 사업장 보건관리자를 명확성, 갈등해소 등을 통하여 근무의욕을 높이며
대상으로 한 Choi 등[5]의 결과에 비해서도 조금 기대에 충족하도록 하고, 교육훈련과 긍정적인
낮은 편이었다. 즉, 연구대상자들이 생각하고 있는 조직문화를 형성하여 구성원들이 긍정적 심성을
방문건강관리에 대한 전반적인 내부 만족도가 낮 가지도록 하여야 조직애착도가 높다는 연구[9]
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원인으로는 앞서 제기된 등이 있어 직무만족도와 조직애착도를 높이기 위한
부분과 같이 고용에 대한 불안감, 그리고 과도한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 결과에
직무 요구 등이 전체적으로 직무만족과 조직에 서도 우선 고려되어야 할 부분이 이들에 대한 고
대한 애착 점수를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하였을 용의 안정성이다. 즉, 대상자들이 대부분 유기 계
것이다. 특히 이들이 수행하는 사업의 대상자가 약직의 형태이므로 우선 이들에게 고용이 안정적
건강취약계층이 대다수인 점을 고려한다면 이들 으로 보장될 수 있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
간호 업무에 있어 직무 만족과 조직애착은 중요한 다. 또한, 간호라는 업무가 환자나 보호자들의 상
변수이다. 우수인력을 유지시키고, 업무수행을 증 태와 요구에 의하여 많이 좌우된다고 할 때 이들
진시키며 이직률을 줄여 사기향상에 긍정적인 효 에게 좀 더 명확한 직무 요구가 필요하다. 지금
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이들이 자신의 직업에 처럼 대부분의 만성질환, 임산부, 영유아 예방접종
만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등 많은 업무를 하도록 한 것을 보건소의 실정에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라는 매개변수를 통 맞게 지역에서 실제로 하는 그리고 해야 하는 업
하여 조직애착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에서 실 무로 직무를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다. 직무스트
시된 분석 결과 직무요구, 직무불안정 등은 직무 레스와 조직애착도간의 관계에 관한 다른 연구에

- 45 -
8 직무스트레스는 조직애착도에 영향을 미친다

서도 직무스트레스의 원인에 해당되는 역할모호, 조사대상자는 일개 도의 방문건강관리 간호사로


역할과다 등의 변수가 직무 만족을 통해 조직애착 130명의 조사결과를 최종적으로 활용하였다. 단순
도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21,22]도 분석결과에서 직무 스트레스 영역 중 직무 불안
본 연구 결과를 뒷받침하여 준다. 정에 해당하는 점수가 69.7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본 연구가 가지고 있는 한계는 우선, 조직애착 다음으로 직무 요구가 64.9점으로 높았다. 직무만
도에 영향을 미치는 이론적 모델이 정확히 설정 족도 및 조직애착도는 각각 2.6점과 2.3점이었다.
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기존의 조직애 직무만족도를 매개변수로 하여 조직애착도에 미
착도에 대한 연구들이 아직 시작단계이고 본 연구 치는 직무 스트레스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직무
역시 탐색적 성격을 가지고 이루어졌다는 사실에 요구와 직무 불안정은 직무 만족도가 부분 매개
기인한다. 또한 단면연구의 단점을 연구의 한계점 하였으며 나머지 스트레스 영역은 직무 만족도가
으로 가지고 있다. 즉, Vandenberg와 Lance[14]의 직무스트레스와 조직애착도간의 관련성을 완전매
연구에서 시도된 이후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개하고 있었다.
그리고 조직애착도간의 시간적 선후관계를 파악 이상의 결과로 보아, 방문건강관리 간호사들의
하기 위한 주제들이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왔으나 조직애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직무 요구도 파악과
아직까지는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부분이다. 두 직무에 대한 불안정감을 해소하는 것이 우선 실
번째로 대상자들이 임의 추출되어 전체 방문건강 시되어야 할 것이다.
관리 간호사로 확대해석하는 데는 어려운 점이
있다. 따라서 향후 이들을 대상으로 조직애착과 참고문헌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이 추가적으로
파악되고 이 변수들간의 상호작용이 설정된 모델의 1.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그러한 통합적 모델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Affairs. Development for Evaluation System
의의를 찾을 수 있다. of Customized Home Health Care Program.
연구 결과 방문 건강관리 간호사들은 직무 스 Seoul: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트레스 영역 중 직무 불안정과 직무 요구에 해당 Family, 2008, 8-10 (Korean)
하는 스트레스가 가장 높았으며 이들 영역은 직 2. Kim J, Lee T, Lee J, Shin S, Lee, E. A
무만족도를 부분매개하면서 조직애착도에 영향을 Cost Benefit Analysis of Individual Home
미치고 있어 이들에 대한 직무만족도 향상과 직 Visiting Health Care. J Korean Acad
무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방안이 필요할 것이며 Community Health Nurs 2010;21(3):362-373
이들에게 안정적 근무 여건 조사에 대한 추후 연 (Korean)
구가 필요하다. 3. Jung EJ, Ahn CY. Gender Influences on the
Job Stress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요 약 The Women’s Studies 2012;82(1):137-162
(Korean)
본 연구는 건강취약계층의 건강관리를 위하여 4. Darr, W., & Johns, G. Work strain, health,
실시되고 있는 방문건강관리을 담당하고 있는 간 and absenteeism: A meta-analysis. J Occup
호사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도가 Health Psycho 2008;13(4):293-318.
조직애착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 5. Choi ES, Park KS, Kang YS, Hong DY,
하였다. Park MC, Kim BK, Lee KW. Effect of Job

- 46 -
박찬경, 박기수, 강영실 9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Health Huyun SJ, Son DK. Developing an
Manager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J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Korean Soc Occup Environ Hyg 2009;19(3): Employee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50-260 (Korean) 2005;17(4):297-317 (Korean)
6. Lee EH, Chang SJ, Kim HO, Roh J, Park E, 13. Baron RM, Kenny DA. The moderator-
Won JU.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and Turnover of Registered Nurses in a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University Hospital. Korean J Occup Environ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 Pers Soc
Med, 2007;19(2):93-104 (Korean) Psychol 1986;51(6):1173-82.
7. Kim HK, Ji HS, Ryu EK, Jeon MK. 14. Vandenberg RJ, Lance DE. Examining the
Comparison of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ausal order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and Burnout by Personalities commitment. Journal of management 1992;18(1):
of Nurses in Hospitals -Using Korean 153-167
Enneagram Personality Type Indicators KEPTI. 15. Lincoln JR, Kallenberg AL. Culture, control,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5;11(1):109-121 and commitment; A study of organization
(Korean) and work attitudes in the United States
8. Cheong JR. A Study on the Performance & and Japa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Job Satisfaction on Visiting Nurses of Press, 1990, 268-281
District Health Center in Chonnam Province 16. Seo YJ.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dissertation]. Gwangju, Chosun University, Hospital Employees : Testing a Causal
2004 (Korean) Model in Korean Hospital. Korean J of
9. Kim EH, Kam S, Lee KE, Han CH, Park Health Policy & Administration 1995;
KS. Factors Affecting on Organizational 5(2):173ㅡ201 (Korean)
Commitment of Military Hospital Nursing 17. Jeon ES, Lee KS, Lee SY, Yu JH, Hong
Officers. Korean J of Health Policy & AR.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dministration, 2001;11(4):109-128 (Korean) and Quality of Life for Hospital Workers
10. Kim, SL, Yu SJ, Choi SE, Lee SH. A by Type of Employment. Korean J Occup
Comparative Study on the Commitment of Environ Med 2009;21(1):28-37 (Korean)
Home Health Care Nurses and Public 18. Lee HR. A study on the stress of hospital
Health Nurses. J Korean Community Nursing workers [dissertation]. Seoul, Younsei
2001;12(1):39-48 (Korean) University, 2003 (Korean)
11. Park HS, Gang EH. A Study on Job Stress 19. Nam MH, Lee SH. Effect of Job Stress
and the Coping of ICU Nurses. J Korean and Coping Strategy on Job Satisfaction in
Acad Nurs 2007;37(5):810-821 (Korean) a Hospital Works. Korean J Occup Environ
12. Chang SJ, Koh SB, Kang D, Kim SA, Med 2003;15(1):1-11 (Korean)
Kang MG, Lee CG, Chung JJ, Cho JJ, Son 20. Yoon BS, Lee HJ. Mediating Role of
M, Chae CH, Kim JW, Kim JI, Kim HS, Empowerment in the Relations to Job and
Roh SC, Paark JB, Woo JM, Kim SY, Organizational Factors, and Job Satisfaction
Kim JY, Ha M, Park J, Rhee KY, KIm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Empirical
HR, Kong JO, Kim IA, Kim JS, Park JH, Evidence fro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47 -
10 직무스트레스는 조직애착도에 영향을 미친다

Employees. J Prev Med Public Health The Korea Local Administration 2008;22(2):
2005;38(3):315-324 (Korean) 171-202 (Korean)
21. Park KG.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22. Kim DS. A Study on Job Stress of Civil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ervants : The case of Administrative Workers
in Local Governments - Focused on Civil of Chung Ju City [dissertation]. Chungju,
Servants' Recognition on the Job Stressors -. Chungju University, 2008 (Korean)

- 48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