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김민석(金民錫, 1964년 5월 29일~)[1]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제15·16·21·22대 국회의원이다.
김민석은 1964년 5월 29일, 서울에서 태어났다. 1982년에 서울대에 입학한 후 1985년 4월 3일 서울대 총학생회장에 선출되었다. 이후 서울 미국문화원 점거 농성 사건으로 수배되다가 1985년 6월 7일 여장을 한 상태에서 체포되어 1986년 징역 4년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르기도 한다.
1992년에 실시된 제14대 총선에서 영등포구 을에 민주당 소속으로 출마하였으나 민주자유당의 나웅배 후보에게 285표차로 낙선하였다.
하지만 1996년에 실시된 제15대 총선에서 재차 영등포구 을에 새정치국민회의 소속으로 출마하여 신한국당 후보였던 최영한 후보를 꺾고 국회에 입성하였다. 2000년에 실시된 제16대 총선에서 새천년민주당 소속으로 출마하여 재선에 성공하였다.
2002년 새천년민주당의 서울특별시장 후보 경선에서 승리했으나 본선인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한나라당 소속 이명박 후보에게 패배해 낙선하였다.
이후 제16대 대선을 앞두고 새천년민주당의 노무현 후보의 지지율이 떨어지자 탈당하여 무소속의 정몽준 후보 지지를 선언하며 후보 단일화를 요구하였다. 하지만 정몽준 후보가 제16대 대선 전날 노무현 후보에 대한 지지를 철회함에 따라 다시 새천년민주당으로 복당하였다.
2008년에 제18대 총선을 앞두고 2002년의 정치자금법 위반 전력이 문제가 되어 공천에서 배제되었으나 그해 7월 전당대회에서 당 최고위원에 선출되었다.
민주당 최고위원으로서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지휘하였다.
2016년에는 민주당의 대표를 맡아 제20대 총선에서 비례대표 2번으로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2016년 9월 18일 민주당 대표로서 더불어민주당 대표 추미애와 신익희 생가에서 만나 당 통합을 발표하였다.[2][3]
2020년, 21대 총선에서 영등포구 을 지역구에 출마했으며 50.26%의 득표율을 올리며 18년만에 국회로 복귀했다.[4]
2000년 5월 17일,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 행사에 참가하기 위해 광주광역시를 방문한 정치인들이 전야제가 끝난후 시내 '새천년NHK' 퇴폐업소에서 술을 마셨다는 논란이 제기되었다. 당시 많은 민주당 남자 소속 의원들이 퇴폐업소에서 술을 마셨다. 이에 그 비서관 김학영은 "여성들과 논 사실은 없다." 라고 밝히며, 김민석 의원 공식 해명으로 받아들여도 된다고 밝혔다. 김민석 의원 해명을 비서관이 전하였다. "그날 술을 먹었지만, 내용이 많이 부풀려져있다. 퇴폐업소가 아닌 가라오케였다. 광주에서 저녁식사를 마치고 토론회에 가는 사이에 잠깐 들렀다. 반주정 하려고 하였다. 하지만, 술에 흥청망청하거나 여성 종업원을 불러서 놀은 것은 거짓이다. 많이 부풀려져 있다. 상식적으로 토론회를 앞두고 있는 상태에서 술냄새 풍기며 참가하려고 하였겠느냐? 토론회도 참석하였다. 토론회가 몇시부터 시작됐는지 잘 모르겠지만, 새벽 3시까지 하였다" 라고 밝히며 자세하게 해명하였다. 광주 민주화운동을 기념하고 나서 가라오케를 간 행적은 비판받게 되는 대목이다.[5]
2002년 지방선거에서 김민석은 서울특별시장 후보로 나서며 SK 손길승 회장에게서 2억원을 수수한 뒤 영수증 처리를 하지 않았다. 2004년 5월 3일 대검찰청 중앙수사부는 김민석을 소환해 조사하였다.[7]
2005년 2월 18일 정치자금에관한법률위반으로 징역 8월, 집행유예 2년이 선고되었다.[6]
2008년 11월 24일, 김민석은 불법 정치자금을 받은 혐의로 구속되었다.[8] 최초로 사전 구속 영장이 청구된 지 26일 만이었다.[9]
2009년 3월 13일, 서울중앙지방법원 제23형사부(재판장 홍승면 부장판사)는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를 인정하여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에 추징금 7억 2160만 원을 선고하고 구속 3개월여 만에 석방하였다.
2009년 7월 30일[6] 항소심 재판부는 대가성이 없음을 인정하여[10] 원심 판결을 파기하고 김민석에게 벌금 600만원을 선고하였다.[6] 이후 2010년 8월 19일 대법원 판결로 확정되었다.
실시년도 | 선거 | 대수 | 직책 | 선거구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
1992년 | 총선 | 14대 | 국회의원 | 서울 영등포구 을 | 민주당 | 48,151표 |
|
2위 | 낙선 | |||
1996년 | 총선 | 15대 | 국회의원 | 서울 영등포구 을 | 새정치국민회의 | 49,657표 |
|
1위 | 초선 | |||
2000년 | 총선 | 16대 | 국회의원 | 서울 영등포구 을 | 새천년민주당 | 50,438표 |
|
1위 | 재선 | |||
2002년 | 지방 선거 | 32대 | 시장 | 서울특별시 | 새천년민주당 | 1,531,067표 |
|
2위 | 낙선 | 민선 3기 | ||
2004년 | 총선 | 17대 | 국회의원 | 서울 영등포구 갑 | 새천년민주당 | 21,033표 |
|
3위 | 낙선 | |||
2016년 | 총선 | 20대 | 국회의원 | 비례대표 | 민주당 | 209,872표 |
|
비례대표 2번 | 낙선 | |||
2020년 | 총선 | 21대 | 국회의원 | 서울 영등포구 을 | 더불어민주당 | 47,075표 |
|
1위 | 3선 | |||
2024년 | 총선 | 22대 | 국회의원 | 서울 영등포구 을 | 더불어민주당 | 49,651표 |
|
1위 | 4선 |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