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1년
연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1951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
사건
- 1월 4일 - 한국 전쟁: 대한민국 국군이 서울에서 퇴각하다. (1·4 후퇴)
- 1월 9일 - 유엔 본부가 문을 열다.
- 1월 17일 - 한국 전쟁: 중공군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인민군이 서울을 함락하다.
- 2월 1일 - 한국 전쟁: 유엔 총회가 중화인민공화국을 침략자로 선언하다.
- 2월 7일 - 한국 전쟁: 육본 일반명령 제31호에 의거, 대한민국 국군에 군종제도가 실시되다.
- 2월 10일 - 거창양민학살사건 : 공비 소탕을 명목으로 경상남도 거창군 신원면에서 민간인 학살이 발생하였다.
- 3월 14일 - 한국 전쟁: 대한민국 국군이 서울을 함락된지 2개월만에 수복하다.
- 4월 11일 - 한국 전쟁: 해리 S. 트루먼 당시 미국 대통령이 한반도에 대한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의 권한을 정지하였다.
- 5월 23일 - 중화인민공화국과 티베트, 십칠조협의 체결.
- 7월 10일 - 한국 전쟁: 개성시에서 휴전 회담 개시.
- 9월 1일 -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태평양 안전 보장 조약 체결.
- 9월 4일 - 유엔군, 한국전쟁에 소련군이 참전했다고 발표.
- 9월 6일 - 한국전쟁: 매슈 리지웨이 유엔군 사령관, 정전회담 장소로 판문점 제의
- 9월 8일 - 일본과 48개국 연합이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을 조인함으로써 제2차 세계 대전을 마무리지었다.
- 9월 20일 - 한국전쟁: 대한민국 이승만 대통령, 중공군 철수 등 4개항의 6.25 휴전 조건 제시
- 10월 6일 - 대한민국과 일본, 도쿄서 해방후 첫 한일회담 예비회의 열림.
- 10월 8일 - 한국 전쟁: 휴전회담 장소가 판문점으로 결정되다.
- 10월 26일 - 윈스턴 처칠이 영국의 총리에 취임.
문화
탄생
1월
2월
3월
4월
5월
- 5월 6일 - 라이베리아의 정치인 새뮤엘 도. (~1990년)
- 5월 7일 - 영국의 기타리스트 버니 마즈든. (~2023년)
- 5월 12일 - 대한민국의 소설가 유시춘.
- 5월 13일 - 중국의 종교인, 파룬궁 창시자 리훙즈.
- 5월 14일 - 미국의 영화 감독 로버트 저메키스.
- 5월 19일 - 미국의 배우 로버트 하퍼. (~2020년)
- 5월 22일 - 대한민국의 배우 고두심.
- 5월 24일 - 프랑스의 영화배우, 각본가 장 피에르 바크리. (~2021년)
- 5월 25일 - 미국의 시나리오 작가, 영화 감독 밥 게일.
- 5월 26일 - 미국의 물리학자, 우주비행사 샐리 라이드. (~2012년)
6월
7월
8월
- 8월 4일 - 미국의 정치인 레인 에번스. (~2014년)
- 8월 8일
- 8월 11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이용섭.
- 8월 16일 - 나이지리아의 정치인, 대통령 우마루 야르아두아. (~2010년)
- 8월 19일 - 영국의 베이시스트 존 디콘.
- 8월 20일
- 8월 25일 - 영국의 헤비 메탈 가수 롭 핼퍼드.
- 8월 26일 - 미국의 물리학자 에드워드 위튼.
- 8월 27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문수.
- 8월 28일 - 대한민국의 변호사, 정치인 하승완.
- 8월 30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의원 이봉락.
- 리투아니아의 정치인 게디미나스 키르킬라스. (~2024년)
9월
10월
11월
- 11월 4일 - 루마니아의 대통령 트라이안 버세스쿠.
- 11월 5일 - 대한민국의 PD 김종학. (~2013년)
- 11월 8일
- 11월 9일 - 대한민국의 사회기관, 단체인 김영윤.
- 11월 14일 - 미국의 음악가 앨릭 존 서치. (~2022년)
- 11월 15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정몽준.
- 11월 17일 - 대한민국의 추기경, 가톨릭 성직자 유흥식.
- 11월 25일
- 미국의 소설가, TV 드라마 트루 블러드의 원작 수키 스택하우스 시리즈의 저자 샬레인 해리스.
- 네덜란드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요니 렙.
- 11월 27일 - 미국의 영화 감독 캐서린 비글로우.
12월
- 12월 1일 - 미국의 배우 트리트 윌리엄스. (~2023년)
- 12월 3일 - 바누아투의 외교관 겸 정치인 니케니케 부로바라부.
- 12월 4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건호.
- 12월 18일 - 대한민국의 배우 윤미라.
- 12월 20일
- 12월 22일 - 대한민국의 성우 송도영.
- 12월 24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구본준.
- 12월 26일 - 대한민국의 박정희 대통령 부인 육영수 여사 암살자 문세광. (~1974년)
- 12월 27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김예리.
- 12월 28일 -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 뤄즈쥔. (~2023년)
- 12월 31일 - 미국의 전 야구 선수 조 심프슨.
미상
- 대한민국의 배우 이영호.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철호.
- 대한민국의 행정학자 이규환.
사망



- 1월 5일
- 1월 28일 - 핀란드의 군인·정치가 칼 구스타프 만네르헤임. (1867년~)
- 2월 13일 - 미국의 작가 로이드 C. 더글러스. (1877년~)
- 3월 10일 - 일본의 정치가 시데하라 기주로. (1872년~)
- 3월 25일 - 미국의 영화감독 및 영화 작가 오스카 미쇼. (1884년~)
- 4월 16일 -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및 천도교인 나인협. (1872년~)
- 4월 26일 - 독일의 물리학자 아르놀트 조머펠트. (1868년~)
- 4월 29일 - 오스트리아의 철학자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1889년~)
- 6월 20일 - 한국의 시인 김상용. (1902년~)
- 7월 13일 - 오스트리아의 작곡가 아르놀트 쇤베르크. (1874년~)
- 7월 23일 - 프랑스의 군인 필리프 페탱. (1856년~)
- 7월 29일 - 터키의 축구 감독 알리 사미 옌. (1886년~)
- 10월 9일 - 대한민국의 역사학자 김성칠. (1913년~)
노벨상
- 문학상:
- 물리학상: 존 더글러스 코크로프트, 어니스트 토머스 신턴 월턴
- 생리학 및 의학상: 배리 마셜, 로빈 워렌
- 평화상:
- 화학상:
달력
음양력 대조 일람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