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육군 제1차 세계 대전 예비역 여단

British Army First World War reserve brigades

기사에는 제1차 세계대전의 영국 육군 예비 여단이 나열되어 있다.전쟁이 시작될 때, 대부분의 경우에 영국 육군 자원 봉사자들은 그들의 지역 보병 연대 예비 대대에 합류했다.

영국 육군에 처음 징병제가 도입된 1916년, 기존 연대체제는 대규모 신병 유입에 대처할 수 없었다.징병제가 도입된 1916년 1월까지 이미 260만 명의 군인이 자원봉사를 했고, 전쟁이 끝나기 전에 추가로 230만 명이 징병되었고, 1918년 말 군대는 400만 명의 최대 강세에 도달했다.1916년부터 26개의 예비 여단을 양성하기 위해 20만8,500명 이상의 공식 보병들이 동원되었다.

배경

1914년 8월, 30만 명의 군인들이 싸우기 위해 서명했고, 9월 말까지 45만 명이 추가로 합류했다.[1]모집은 1914년과 1915년 초까지 상당히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으나, 이후 몇 년 동안 극적으로 감소하였고, 특히 솜므 운동이 있은 후 36만 명의 사상자가 발생하였다.[2]자원 봉사 초기의 두드러진 특징은 팔스 대대의 편성이었다.[3]함께 생활하고 일해 온 이들 친구들 중 많은 이들이 동참하고 함께 훈련해 같은 부대에 배정됐다.지역 주민들 사이에서 신병을 모집하는 정책은, 팔스 대대가 사상자를 냈을 때, 영국에 있는 마을, 마을, 이웃과 지역사회가 불균형한 손실을 입게 했다.1916년 1월 징병제가 도입되면서 더 이상 팔스 대대는 증원되지 않았다.[4]미혼남성에 대한 징병제는 1916년 1월에 도입되었다.4개월 후인 1916년 5월 18세에서 41세까지의 모든 남성에게 확대되었다.[5]1916년 3월 병역법에서는 18세에서 41세까지의 남성들이 결혼(또는 자녀와 함께 과부가 있는 경우)이 아니면 군 복무를 위해 소집될 의무가 있다고 명시했는데, 이는 보통 산업적이면서도 성직자와 교사도 포함된 다수의 유보적인 직업 중 하나였다.이 법률은 당시 영국의 일부로서 아일랜드의 지위에도 불구하고 아일랜드에는 적용되지 않았다(그러나 1918년의 징병 위기 참조).[6]징병제가 도입된 1916년 1월까지 260만 명의 군인이 자원봉사를 했고, 전쟁이 끝나기 전에 230만 명의 군인이 추가로 징집되었다. 1918년 말, 군대는 400만 명의 병력을 최대로 끌어올렸다.[4]

예비 여단

제1차 세계대전이 시작될 때 대부분의 영국 육군 보병 연대에는 그들만의 예비 대대가 있었다.1916년 9월 1일부터 징병제가 도입된 후 예비 보병 대대를 재편성하였다.이전의 연대체제는 단순히 신병 유입에 대처할 수 없었고 중앙집중화된 훈련과 예비군 제도가 도입되었다.[7]

예비대대는 1916년 9월 1일 연대 구분이 사라지고 26개 예비여단 중 1개 예비대대로 다시 지정될 때까지 여전히 연대 소속과 배지, 악센트 등을 유지했다.훈련 예비군에는 20만8500명의 공식 보병이 있었다.[7]

이 계획의 발전은 14개 대대 병력을 "젊은 군인 대대"로 지정하는 것이었다.신병 한 명이 젊은 병정 대대에서 훈련을 마치자 그는 4개 회사가 연령별로 조직된 "졸업된 대대" 2개 중 한 곳으로 보내졌다. 이 대대는 18세에서 19세 사이의 월 3단계를 거쳤다.그 결과 3개월마다 28개 기업이 새로 훈련받은 병사들이 프랑스로 입주를 준비했다.1917년 10월, 졸업된 대대 중 일부가 홈서비스에 적합한 것으로 발견되어 201위부터 대대 번호로 재지정되었다.[8]

중앙집권화된 훈련체제의 또 다른 결과는 현역 복무로 신병들이 대대에게 배치될 때, 그들은 지역 연대가 아닌 공석이 있는 곳으로 보내지게 된다는 것이었다.이 제도는 1917년 5월까지 지속되었는데, 이때 예비대대가 다시 특정 연대에 소속되어 소속 연대의 졸업 또는 청년병 대대라고 알려지게 되었다.[7]

여단 목록

예비군
여단을 편성하다
번호를 붙이다
원연대[7][9][10][11] 예비군
대대
번호를 붙이다
제1예비여단 더럼 라이트 보병 제16대(리저브) 대대 첫 번째
더럼 라이트 보병 제17대대(리저브) 두 번째
노스 스태퍼드셔 연대, 10대대(리저브) 3번째
노스 스태퍼드셔 연대, 11대대(리저브) 4일
레스터셔 연대, 10대 5일
제2예비여단 웨스트요크셔 연대 13대(리저브) 대대 6일
이스트요크셔 연대, 9대대(리저브) 7일
킹스 오어셔 라이트 보병대 11대대(리저브) 8일
사우스 스태퍼드셔 연대, 11대대(리저브) 9일
요크셔 연대 15대(리저브) 대대 10일
제3예비여단 링컨셔 연대 9대대(리저브) 11일
셔우드 포레스터스 13대대대 12일
4대대(리저브) 셔우드 포레스터스 13일
14대대(리저브) 맨체스터 연대 14일
13대 (리저브) 대대, 랭커셔 푸실리어스 15일
4 예비역 여단 글로스터셔 연대, 11대대(리저브) 16일
11대대(리저브) 충성북랜캐셔 연대 17일
킹스 로열 소총부대 15대(리저브) 대대 18일
소총 여단, 14대대대(리저브) 19일
소총여단 15대대(리저브) 20일
제5예비여단 11대대(리저브) 이스트 서리 연대 21일
16대 (리저브) 대대, 로열 푸실리어스 22일
로얄 서섹스 연대 10대(리저브) 23일
미들섹스 연대 14대(리저브) 대대 24일
6 예비역 여단 노퍽 연대 10대대(리저브) 25일
서퍽 연대 10대대(리저브) 26일
베드퍼드셔 연대 10대대(리저브) 27일
노샘프턴셔 연대 제8 대대(리저브) 28일
7 예비역 여단 9(리저브) 대대, 버프스 (로얄 이스트 켄트 연대) 29일
10대대(리저브) 이스트 서리 연대 30일
로얄후실리어스 14대대(리 31일
15대대(리저브) 로얄후실리어스 제32길
8 예비역 여단 로얄 워릭셔 연대, 13대대(리저브) 제33길
13대(리저브) 대대, 햄프셔 연대 제34회
도르셋셔 연대, 7대대대(리저브)) 제35회
제9대 (리저브) 대대, 옥스퍼드셔버킹햄셔 경보병대 제36회
로얄 버크셔 연대 9대대(리저브) 제37회
9 예비역 여단 11대대(리저브) 블랙워치 제38회
10대대(리저브) 시포스 하이랜더스 제39회
8대대(리저브) 카메론 하이랜더스 사십일
13대대(리저브) 아길 & 서덜랜드 하이랜더스 제41회
고든 하이랜더스 11대대대 제42회
10 예비 여단 10대(리저브) 대대, 킹스 나루(로얄 랭커스터 연대) 제43길
데본셔 연대 11대대(리저브) 제44길
서머셋 경보병대 9대대(리저브) 45일
우스터셔 연대 13대대 46일
동부 랭커셔 연대 10대대(리저브) 47일
예비군 제11여단 슈롭셔 경보병대 9대대(리저브) 48일
킹스(리버풀)연대 15대대대 제49회
체셔 연대 14대대 50일
사우스 랭커셔 연대 10대대(리저브) 제51회
12 예비역 여단 13대대(리저브) 하이랜드 라이트 보병대 52일
킹스 오리지널 스코틀랜드 보더스의 9대대 제53길
18대대(리저브) 로얄 스코트 제54길
9대대(리저브) 로얄 스코츠 푸실리어스 제55회
스코틀랜드 소총 12대대(리저브) 56일
13 예비역 여단 사우스 웨일즈 보더러스 9대대(리저브) 제57길
웨일스 연대 12대대 58일
사우스 웨일즈 보더러스 13대대(리저브) 제59회
20대(리저브) 대대 (3대 론다), 웨일스 연대 제60회
웨일스 연대 21 대대 61일
14 예비군 여단 로얄 웨일스 푸실리우스 12대대(리저브) 62년
18대대와 20대대(리저브) 로열 웨일스 푸실리어스 63년
로얄 웨일스 푸실리어스 21·22 대대(리저브) 제64회
사우스 웨일즈 보더러스 14대(리저브) 대대 제65회
웨일스 연대 22대대(리저브) 66년
15 예비군 여단 3대대(리저브) 로얄 이니스킬링후실리어스
4대대(추가 예비군) 로얄 이니스크필링후실리어스
3대(리저브) 대대, 로열 아일랜드 소총
4대대(추가 예비군), 로열 아일랜드 소총
5대대(추가 예비군), 로열 아일랜드 소총
3차 (리저브) 대대, 로열 아일랜드 푸실리어스
4대대(추가 예비군), 로열 아일랜드 푸실리어스
16 예비군 여단 킹스(리버풀 연대) 21대대대 제67회
22대(리저브) 대대, 킹스(리버풀 연대) 제68회
맨체스터 연대 25대대(리저브) 69년
26대(리저브) 맨체스터 연대 칠십일
27 (리저브) 대대, 맨체스터 연대 71년
예비군 제17여단 21대(리저브)대, 랭커셔 푸실리어스 72년
22대대(리저브) 랭커셔 푸실리어스 제73길
체셔 연대 17대대(리저브) 제74회
동부 랭커셔 연대 12 대대 제75회
12대대(리저브) 킹스 나루(로얄 랭커스터 연대) 76년
18 예비군 여단 18대대(리저브) 로얄 스코트 제77길
제19대(리저브)대, 하이랜드 라이트 보병대 제78길
하이랜드 라이트 보병대 20대대(리저브) 79년
19 예비역 여단 노섬벌랜드 푸실리어스 32대대(리 팔십일
요크셔 연대 14대(리저브) 대대 81일
링컨셔 연대 11대대(리저브) 82년
레스터셔 연대 12 대대 제83길
20 예비역 여단 노섬벌랜드 푸실리어스 29대대(리저브) MGC 'A' 대대 재지정 제84회
노섬벌랜드 푸실리어스 30대대(리저브) MGC 'B' 대대 재지정 85년
노섬벌랜드 푸실리어스 31대대(리저브) MGC 'C' 대대 재지정 86년
21대(리저브) 더럼 라이트 보병대 'D' 대대 재지정, MGC 87년
예비군 제21여단 웨스트요크셔 연대 19대(리저브) 대대 88년
웨스트요크셔 연대 20대 (리저브) 대대 89년
14 (리저브) 대대 (헐), 이스트 요크셔 연대 제90회
15대대(리저브) 요크 & 랭커스터 연대, 이스트 요크셔 연대 91년
예비군 제22여단 로얄 워릭셔 연대, 17대대(리저브) 92년
글로스터셔 연대 15대대(리저브) 93년
글로스터셔 연대, 16대 (리저브) 대대 94년
콘월 경보병 공작 제11대 (리저브) 대대 95년
16대(리저브) 대대, (포츠머스), 햄프셔 연대 96년
23 예비역 여단 12대대(리저브) 퀸즈 로열 연대(웨스트 서리) 97년
에식스 연대 14대(리저브) 98년
로얄 웨스트켄트 12대대(리저브) 제99회
미들섹스 연대, 24대대(리저브) 100일
미들섹스 연대, 27대대(리저브) 제101회
미들섹스 연대, 28대대(리저브) 102년
예비군 제24여단 27대대(리저브) 로얄후실리어스 제103길
28대대(리저브) 로얄후실리어스 제104길
29대대(리저브) 로얄후실리어스 제105길
30대대(리저브) 로얄후실리어스 제106회
31대대(리저브) 로얄후실리어스 제107길
26 예비군 여단 13대(리저브) 대대(캠브리지셔), 서퍽 연대 제108길
킹스 로열 소총부대 19대(리저브) 대대 제109길
킹스 로열 소총부대 22대(리저브) 제110길
킹스 로얄 소총부대 23대대(리저브) 제111길
소총 여단, 17대대대 제112길
예비군 제28여단 MGC "E" 대대 제113길
"F" 대대, MGC 제114길
G 대대, MGC 제115길
H 대대, MGC 116년

참고 항목

참조

  1. ^ 챈들러,(2001) 페이지 11
  2. ^ "Battle of the Somme". New Zealand History online. Retrieved 6 June 2009.
  3. ^ "The Pals Battalions in World War One". BBC History. Retrieved 6 June 2009.
  4. ^ a b 터커 & 로버츠(2005년), 페이지 504
  5. ^ Strachen, Hugh Professor. "Britain and World War One, 1901–1918". BBC Histor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December 2008. Retrieved 13 May 2009.
  6. ^ Simkin, John. "Pacifism". Spartacus Educationa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April 1999. Retrieved 15 May 2009.
  7. ^ a b c d Baker, Chris. "Training Reserve Battalions". The Long Long Trai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July 2014. Retrieved 26 January 2012.
  8. ^ 워드 p331-2
  9. ^ Baker, Chris. "Royal Inniskilling Fusiliers". The Long Long Trail. Retrieved 27 January 2012.
  10. ^ Baker, Chris. "Royal Irish Rifles". The Long Long Trai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February 2012. Retrieved 27 January 2012.
  11. ^ Baker, Chris. "Royal Irish Fusiliers". The Long Long Trail. Retrieved 27 January 2012.

참고 문헌 목록.

  • 챈들러, 말콤(2001)홈 프런트, 1914-18.하인만.ISBN 0-435-32729-1
  • 터커, 스펜서; 로버츠, 프리실라 메리(2005)제1차 세계 대전: 백과사전.ABC-CLIO.ISBN 1-85109-420-2
  • Ward, S G P (1962) 충실:더럼 빛 보병의 스토리.해군 및 군사 기자단.ISBN 9781845741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