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4년 NBA 플레이오프

1954 NBA playoffs
1954년 NBA 플레이오프
날짜1954년 3월 16일-4월 12일
계절1953–54
6
챔피언스미니애폴리스 레이커스(5위)
준우승시러큐스 전국대회(2회 본선 출전)
준결승 진출자

1954년 NBA 플레이오프1953-54시즌 미국프로농구(NBA)의 포스트시즌 대회였다. 이 대회는 서부 콘퍼런스 챔피언 미니애폴리스 레이커스동부 콘퍼런스 챔피언 시러큐스 내셔널스NBA 파이널에서 4대 3으로 꺾고 막을 내렸다.

레이커스는 3연속 NBA 우승을 차지했고, 지난 6년 동안 5위를 차지했다.

전년도 플레이오프 이후 인디애나폴리스 올림피아스의 접전으로 9개 팀이 NBA를 떠나면서 1954년 리그 역사상 유일한 라운드 로빈 플레이오프 형식을 취했다.

비록 미니애폴리스 레이커스, 포트웨인 피스톤스, 로체스터 로얄스, 시러큐스 내셔널스가 각각 다른 도시에서 경기하고 있지만, 이것은 오늘날까지 참가했던 모든 팀이 존재하는 가장 이른 NBA 플레이오프다.

브래킷

디비전 라운드 로빈 준결승 디비전 파이널 NBA 파이널
E1 뉴욕* 0–4 E1 시러큐스 2
E2 보스턴 2–2 E2 보스턴 0
E3 시러큐스 4–0 동부 디비전
E1 시러큐스 3
(Round Robin의 승패 기록에 따라 Division Final에서 팀이 재시딩됨)
W1 미니애폴리스* 4
W1 미니애폴리스* 3–0 W1 미니애폴리스* 2
W2 로체스터 2–1 W2 로체스터 1
W3 포트 웨인 0–4 웨스턴 디비전

* 부문별 우승자
볼드 시리즈 우승자(디비전 라운드 로빈 준결승: 상위 2위)
NBA 결승에서 홈 코트 우위 이탈리아


디비전 라운드 로빈 준결승

각 부문에서는 시즌 순위 상위 3개 팀이 3명의 참가자 중 1명을 탈락시키기 위해 각 한 쌍의 팀당 1개의 홈 경기를 도시별로 구성하여 더블 라운드 로빈을 치렀다. 각각 2승씩의 3파전 무승부를 기록하면 시즌 순위에서 1위를 차지한 뉴욕이나 미니애폴리스 디비전 파이널에서 홈 코트 우위를 확보하게 돼 시즌 준우승을 호스트로 하는 한 경기 차로 더 판가름날 상대에게 유리하게 된다.[1] 이 대회에서 라운드 로빈은 2파전 동점마저 만들어내지 못했기 때문에 어느 디비전에서도 7차전이 필요치 않았다. 세 팀 중 두 팀(쉐이딩 그린)이 디비전 결승에 진출했다. 서부지구 최종 6차전인 미니애폴리스와 로체스터의 두 번째 경기는 두 팀 모두 디비전 파이널에 출전할 자격을 얻었고 미니애폴리스가 그 시리즈에서 홈 코트 우위를 확보했기 때문에 열리지 않았다. 6번째이자 마지막 동부 디비전시리즈인 보스턴 시러큐스는 이후 디비전시리즈에서 홈 코트 우위가 결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경기를 치렀다. 두 팀 모두 시즌 42승을 거뒀고 보스턴은 라운드 로빈 무대에서 동점일 경우 동점을 만들며 승리를 거뒀다.[1]

동부 디비전 라운드 로빈 준결승

(1) 뉴욕 닉스, (2) 보스턴 셀틱스, (3) 시러큐스 내셔널스

3월 16일
보스턴 셀틱스 93, 뉴욕 닉스 71
분기별 득점: 16–15, 32–12, 24–19, 21–25
Pts:쿠지,샤르만 22명 각
아스트:밥 쿠시 10
Pts:칼 브라운 18
애스트:시몬스, 백홀드 각각 3개
매디슨 스퀘어 가든 3세, 뉴욕 맨해튼
심판: 시드 보르지아, 멘디 루돌프
3월 17일
시러큐스 내셔널스 96, 보스턴 셀틱스 95(OT)
분기별 득점: 15-17, 18-15, 26–24, 22–25, 연장: 15–14
Pts:돌프 샤예스 20
렙스:돌프 셰이스 13
애스트:얼 로이드 8
Pts:밥 쿠시 32
렙:각각 3명의 선수 10명
애스트:잭 니콜스 10
3월 20일
뉴욕 닉스 78, 보스턴 셀틱스 79
분기별 점수: 17–15, 24–21, 16–19, 21–24
Pts:해리 갈라틴 15
아스트스:브라운,시몬스 각각 3개
Pts:빌 샤먼 26
Asts:Cousy, Nichols 각각 6개
시러큐스와 보스턴은 디비전시리즈 진출권을 획득했고, 뉴욕은 탈락했다.
3월 21일
시러큐스 내셔널스 103, 뉴욕 닉스 99
분기별 점수: 22–25, 15–19, 32–26, 34–29
Pts:돌프 샤이스 36
렙스:돌프 셰이스 21
아스트:폴 세이모어 6
Pts:칼 브라운 32
Rebs:Nat Clifton 16
아스트:칼 브라운 6
매디슨 스퀘어 가든 3세, 뉴욕 맨해튼
심판: 조코 콜린스, 찰스 에크먼
  • 닉스가 이미 수학적으로 경합에서 탈락한 상황에서 지금까지 한 팀이 할 일이 없었던 플레이오프 경기는 이번이 유일하다. 이번 대회는 내셔널스와 셀틱스의 디비전시리즈에서 누가 홈코트 우위를 점할 것인가에 기여했을 뿐이다.
3월 22일
보스턴 셀틱스 85, 시러큐스 내셔널스 98
분기별 득점: 19–27, 23–18, 21–26, 22–27
Pts:밥 쿠시 25
렙스:잭 니콜스 12
아스트:밥 쿠시 8
Pts:돌프 셰이스 25
렙스:돌프 셰이스 16
아스트:폴 세이모어 7
시러큐스는 디비전 파이널에서 동부의 1번 시드로 경기를 마치며, 보스턴은 동부의 2번 시드로 경기를 마친다.


이번 대회는 셀틱스와 닉스의 플레이오프 4차 대회로 닉스가 처음 세 번의 대회 중 두 번의 우승을 차지했다.

이전 플레이오프 시리즈[2]

이는 셀틱스와 내셔널스의 플레이오프 두 번째 만남으로 셀틱스가 첫 번째 만남에서 승리했다.

이전 플레이오프 시리즈[3]

이번 대회는 닉스와 내셔널스의 플레이오프 4차 대회로, 닉스가 처음 세 번의 대회 중 두 번의 우승을 차지했다.

이전 플레이오프 시리즈[4]

서부 디비전 라운드 로빈 준결승

(1) 미니애폴리스 레이커스, (2) 로체스터 로얄스, (3) 포트 웨인 피스턴스

3월 16일
포트 웨인 피스톤스 75, 로체스터 로얄스 82
분기별 득점: 13–19, 15–21, 23–14, 24–28
PTS: 조지 야들리 20 Pts: 바비 완저 18
3월 17일
로체스터 로얄스 88, 미니애폴리스 레이커스 109
분기별 득점: 21–29, 17–34, 23–22, 27–24
Pts: 어니 라이즈 21 Pts: 슬레이터 마틴 24
미네소타미니애폴리스미니애폴리스 오디토리움
심판: 조코 콜린스, 빌 비벨
3월 18일
미니애폴리스 레이커스 90, 포트 웨인 피스턴스 85
분기별 점수: 22–21, 19–20, 27–20, 22–24
Pts: 조지 미칸 28 Pts: 프랭키 브라이언 20
미니애폴리스가 디비전 파이널에 진출한다.
3월 20일
포트 웨인 피스톤스 73, 미니애폴리스 레이커스 78
분기별 점수: 19–21, 15–22, 15–15, 24–20
Pts: 막스 자슬롭스키 15 Pts: 조지 미칸 21
미니애폴리스가 디비전 파이널에서 웨스트의 1번 시드로 마감한다.
미네소타미니애폴리스미니애폴리스 오디토리움
심판: 시드 보르지아, 스탠 슈투츠
3월 21일
로체스터 로얄스 89, 포트 웨인 피스턴스 71
분기별 득점: 19–14, 17–14, 26–15, 27–28
Pts: 바비 완저 14 PTS: 조지 야들리 16
로체스터는 디비전 파이널에서 웨스트의 2번 시드로 마감했고, 포트 웨인은 탈락했다.
  • 당초 3월 23일로 예정됐던 대회(미니애폴리스 @ 로체스터)는 1위 마무리 투수들이 타이브레이커를 보유해 출전하지 못했기 때문에 라운드 로빈에서의 최종 포지션은 이미 잠겨 있었다.


이번 대회는 레이커스와 로얄스의 플레이오프 4차 대회로 레이커스가 처음 세 번의 대회 중 두 번의 우승을 차지했다.

이전 플레이오프 시리즈[5]

이번 경기는 두 팀이 처음 네 번의 회의를 분열시킨 로얄스와 피스턴스의 다섯 번째 플레이오프 회의였다.

이전 플레이오프 시리즈[6]

이것은 처음 두 번의 만남에서 레이커스가 승리하면서, 피스턴스와 레이커스의 플레이오프 세 번째 만남이었다.

이전 플레이오프 시리즈[7]

디비전 파이널

동부 디비전 파이널

(1) 시러큐스 내셔널스 vs. (2) 보스턴 셀틱스

3월 25일
보스턴 셀틱스 94, 시러큐스 내셔널스 109
분기별 점수: 30–25, 14–28, 22–27, 28–29
Pts:잭 니콜스 28
렙스:잭 니콜스 9
아스트스: 샤먼 5
Pts:돌프 셰이스 27
렙스:돌프 셰이스 21
아스트스: 가보르 6
시러큐스 시리즈, 1-0
3월 27일
시러큐스 내셔널스 83, 보스턴 셀틱스 76
분기별 점수: 21–21, 19–29, 24–16, 19–10
Pts:월리 오스터코른 16
아스트:조지 킹 8
Pts:빌 샤먼 20
아스트:밥 쿠시 6
시러큐스가 시리즈 2-0으로 승리


이날은 양 팀이 처음 두 차례 회의를 나눠 갖는 라운드 로빈에 이어 세 번째 플레이오프 회의였다.

이전 플레이오프 시리즈[3]

웨스턴 디비전 파이널

(1) 미니애폴리스 레이커스로체스터 로얄스

3월 24일
로체스터 로얄스 76, 미니애폴리스 레이커스 89
분기별 점수: 17–20, 16–20, 24–24, 19–25
Pts: 완저, 콜맨 각각 17명 Pts: 조지 미칸 28
미니애폴리스가 1-0으로 앞서다
미네소타미니애폴리스미니애폴리스 오디토리움
심판: 척 에크먼, 조코 콜린스
3월 27일
미니애폴리스 레이커스 73, 로체스터 로얄스 74
분기별 득점: 12–16, 16–20, 24–17, 21–21
Pts: 조지 미칸 17 Pts: 바비 완저 16
시리즈 동점, 1–1
3월 28일
로체스터 로얄스 72, 미니애폴리스 레이커스 82
분기별 득점: 21–23, 16–22, 20–20, 15–17
Pts: 어니 라이즈 24 Pts: 조지 미칸 17
미니애폴리스가 시리즈에서 2 대 1로 승리했다.
미네소타미니애폴리스미니애폴리스 오디토리움
심판: 조코 콜린스, 어니 헤프트


이번 경기는 두 팀이 라운드 로빈에 이어 다섯 번째 플레이오프 회의로 레이커스가 처음 네 번의 회의 중 세 번의 우승을 차지했다.

이전 플레이오프 시리즈[5]

NBA 결승전: (W1) 미니애폴리스 레이커스 vs. (E1) 시러큐스 내셔널스

3월 31일
시러큐스 내셔널스 68, 미니애폴리스 레이커스 79
분기별 점수: 13–10, 18–24, 19–22, 18–23
Pts:밥 라보이 15
렙스:월리 오스터콘 8
아스트:폴 세이모어 6
Pts:클라이드 러브레트 16
렙스:조지 미칸 10
아스트:슬레이터 마틴 6
미니애폴리스가 1-0으로 앞서다
미네소타미니애폴리스미니애폴리스 오디토리움
참석자: 4,579명
심판: 찰스 에크만, 조 세라핀
4월 3일
시러큐스 내셔널스 62, 미니애폴리스 레이커스 60
분기별 점수: 15–15, 13–12, 20–11, 14–22
Pts:월리 오스터코른 20
렙스:월리 오스터코른 17
아스트:라보이, 시모어 3개씩
Pts:조지 미칸 15
렙스:조지 미칸 15
아스트:번 미켈슨 3
시리즈 동점, 1–1
미네소타미니애폴리스미니애폴리스 오디토리움
참석자: 6,277명
심판: 찰스 에크만, 조 세라핀
  • 폴 시모어는 7초를 남기고 43피트 거리에서 1위를 기록했다.
4월 4일
미니애폴리스 레이커스 81, 시러큐스 내셔널스 67
분기별 점수: 24–16, 14–17, 20–11, 23–23
Pts:조지 미칸 30
렙스:조지 미칸 15
아스트:슬레이터 마틴 7
Pts:밥 라보이 18
렙스:밥 라보이 15
아스트:폴 세이모어 7
미니애폴리스가 2-1로 앞서다
4월 8일
미니애폴리스 레이커스 69, 시러큐스 내셔널스 80
분기별 득점: 14–18, 20–18, 18–21, 17–23
Pts:Whitey Skoog 16
렙스:짐 폴라드 9
아스트:슬레이터 마틴 6
Pts:폴 세이모어 25
렙스:밥 라보이 11
아스트:폴 세이모어 6
시리즈 동점, 2-2
4월 10일
미니애폴리스 레이커스 84, 시러큐스 내셔널스 73
분기별 득점: 22–17, 19–14, 21–21, 22–21
Pts:번 미켈슨 21
렙스:미칸,러블렛 13개씩
아스트:슬레이터 마틴 7
Pts:돌프 셰이스 17
렙스:얼 로이드 8
아스트:폴 세이모어 5
미니애폴리스가 3-2로 앞서다
4월 11일
시러큐스 내셔널스 65, 미니애폴리스 레이커스 63
분기별 득점: 19–27, 19–16, 16–6, 11–14
Pts:시모어 16 Pts: 조지 미칸 30
시리즈 동점, 3-3
미네소타미니애폴리스미니애폴리스 오디토리움
참석자: 6,776명
심판: 찰스 에크만, 조 세라핀
4월 12일
시러큐스 내셔널스 80, 미니애폴리스 레이커스 87
분기별 득점: 14–17, 18–21, 22–27, 26–22
Pts: 돌프 셰이스 18 Pts: 폴라드 21
미니애폴리스가 시리즈에서 4-3
미네소타미니애폴리스미니애폴리스 오디토리움
참석자: 7,274명
심판: 찰스 에크만, 조 세라핀


이번 대회는 레이커스가 첫 번째 대회에서 우승하는 등 두 팀의 플레이오프 2차 대회였다.

이전 플레이오프 시리즈[8]

참조

  1. ^ a b "NBA 디비전 플레이오프 투나잇" 워싱턴 포스트. 1954년 3월 16일.
  2. ^ "Team Rivalry Finder — Boston Celtics versus New York Knicks (Playoffs)". basketball-reference.com. Retrieved February 19, 2021.
  3. ^ a b "Team Rivalry Finder — Boston Celtics versus Philadelphia 76ers (Playoffs)". basketball-reference.com. Retrieved February 19, 2021.
  4. ^ "Team Rivalry Finder — New York Knicks versus Philadelphia 76ers (Playoffs)". basketball-reference.com. Retrieved February 19, 2021.
  5. ^ a b "Team Rivalry Finder — Los Angeles Lakers versus Sacramento Kings (Playoffs)". basketball-reference.com. Retrieved February 19, 2021.
  6. ^ "Team Rivalry Finder — Detroit Pistons versus Sacramento Kings (Playoffs)". basketball-reference.com. Retrieved February 19, 2021.
  7. ^ "Team Rivalry Finder — Detroit Pistons versus Los Angeles Lakers (Playoffs)". basketball-reference.com. Retrieved February 19, 2021.
  8. ^ "Team Rivalry Finder — Los Angeles Lakers versus Philadelphia 76ers (Playoffs)". basketball-reference.com. Retrieved February 19, 2021.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