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1년 시리아 쿠데타
1961 Syrian coup d'état1961년 시리아 쿠데타 | |||||||
---|---|---|---|---|---|---|---|
아랍 냉전의 일부 | |||||||
| |||||||
Belligerents | |||||||
![]() | |||||||
지휘관 및 지도자 | |||||||
![]() ![]() ![]() ![]() ![]() | ![]() ![]() ![]() ![]() ![]() ![]() ![]() ![]() ![]() | ||||||
시리아 내 위치 |
1961년 시리아 쿠데타는 1961년 9월 28일 불만을 품은 시리아 육군 장교들이 일으킨 봉기로, 아랍 연합 공화국이 해체되고 독립된 시리아 공화국이 복원되는 결과를 낳았습니다.[1]
군대가 모든 권력을 가지고 있는 동안, 군대는 직접 통치하지 않는 것을 선택했고, 대신 이전 시리아 공화국의 전통적인 정당들의 정치인들에게 분리주의 정부를 구성하도록 맡겼습니다. 복원된 나라는 시리아 공화국의 연속이었으나, 나세르파와 아랍 민족주의자들의 영향으로 새로운 이름을 채택하여 시리아 아랍 공화국이 되었습니다. 국내 군대의 투쟁이 정부 정책에 영향을 미치면서 복구된 정권은 취약하고 혼란스러웠습니다.[2] 전통주의 보수 정치인들은 급진화된 군대와 점점 더 연락을 끊고 있었고, 결국 1963년 3월 8일 쿠데타로 구질서를 휩쓸었습니다.[3]
UAR에 대한 시리아의 불만
이집트와 연합하기로 성급하고 노골적으로 열광적인 결정을 내린 후, 시리아인들은 그들이 시리아의 전통적인 정치와 경제를 점점 더 파괴하는 매우 중앙집권적이고 독재적인 군사 독재 정권에 합류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사실, 이 시기 동안 시리아는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그것은 UAR의 북부 지역이었습니다.
정당이 해산되었습니다. 공산주의자들은 가장 먼저 숙청되었습니다. 바트당은 통합의 챔피언이자 가말 압델 나세르 대통령의 가장 자연스러운 정치적 동맹임에도 불구하고 1959-1960년 동안 영향력에서 제거되었습니다. 시리아 장교들은 이전에 안전한 위치에서 위협을 느꼈습니다. 수백 명의 시리아 장교들이 멀리 이집트에 배치되거나 퇴역했습니다. 그들 대신 이집트 관리자들과 관리자들이 왔습니다. 시리아는 압델 하미드 알사라지의 비밀경찰에 의해 통치되었습니다.
경제.
1961년 첫 몇 달 동안 시리아 경제에 대한 국가 통제가 크게 증가했습니다. 시리아 중앙은행 총재는 지난 1월 말 국유화와 계획된 통화 통일의 위험성을 경고하며 사임했습니다(이집트와 시리아는 여전히 자국 통화를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2월 5일, 통화 통제가 도입되었고, 모든 외화 예금이 동결되었고, 시리아에서 100개가 넘는 시리아 부두교의 통화 수출이 금지되었습니다. 공식적인 목표는 외환보유액을 늘리고 자본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었는데, 실제로 자본이 해외로 빠져나가면서 정반대의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2월 10일, 기존의 수입 면허는 취소되었고 수입업자들은 새로운 면허를 다시 신청해야 했습니다. 3월 4일, 모든 은행들은 UAR 아랍 시민들이 소유한 주식회사가 되어야 했습니다. 당시 시리아에서 영업 중이던 16개 은행 중 6개 은행은 UAR-아랍인 소유였고, 6개 은행은 비UAR 아랍인, 7개 은행은 비 아랍인 소유였습니다.
1961년 2월 20일부터 3월 8일까지, 나세르는 자유주의 경제를 비난하고 더 사회주의적이고 국가 통제적인 모델을 홍보하는 연설을 한 시리아에서의 다섯 번째이자 마지막 방문 중이었습니다. 그는 또한 여전히 대부분이 농업 국가에서 더 많은 공장과 산업 기반 시설이 개발될 것이라고 약속했습니다.[4]
7월 초, 정부는 3년 동안 시리아를 괴롭혔던 극심한 가뭄으로 인한 식량과 고기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저장고에서 곡물을 압류하고 소의 수입 증가를 발표했습니다.[5]
1961년 7월, Nasser는 대부분의 산업을 국유화하고, 농업 개혁을 강화하고, 종업원의 경영 참여와 이익 공유권을 도입하는 여러 법률을 추진함으로써 자신의 두 번째 (사회적) 혁명을 발표했습니다. 나세르의 경우처럼, 이 법칙들은 사전에 논의되지 않았습니다.[6] 시리아의 엘리트들은 그들이 모든 것을 잃을 것이라는 것을 깨닫기 위해 연합했습니다. 이는 육군 장교들의 불만 증가와 맞물려 있었습니다.
지방정부 폐지
8월 16일, 1958년 이래 시리아의 지방 정부였던 북부 행정부는 폐지되었고 모든 행정부의 권한은 카이로에 집중되었습니다. 시리아의 간부들은 카이로로 옮겨져 통합정부의 직책을 맡았습니다. 8월 30일 북부 지역은 나세르가 임명하고 내무부 장관에게 책임을 지는 11개의 행정 구역으로 나뉘었습니다. 시리아는 이집트의 또 다른 지방이 되었습니다.
사라즈 사태
압델 하미드 알사라지는 시리아에서 실권을 가진 마지막 시리아인이었습니다. 북부 집행위원회 의장, 집권 국민연합 지방지부 사무총장, 시리아 내무부 장관, 비밀경찰의 오랜 수장 사라즈 또한 나세르와 아랍 연합 공화국을 통해 권력을 장악하는 데 중요한 지지자였습니다.[7]
이미 1961년 6월 나세르는 사라즈에게 지방 행정을 청산할 계획에 대해 말했습니다. 1961년 8월 17일, 사라즈는 UAR의 부통령 중 한 명이 되어 카이로로 이주했습니다.[7] 8월 13일, 나세르는 다마스쿠스를 장악하기 위해 그의 측근 압델 하킴 아메르(Abdel Hakim Amer)를 보냈습니다. 8월 26일 아메르와 사라즈는 정부 회의를 위해 카이로로 갔습니다. 9월 15일 사라즈는 다마스쿠스로 돌아왔고, 9월 16일 북부 지역의 전국연합 집행위원회 회의를 소집했습니다.[1]
9월 16일, 미국은 사라즈가 더 이상 그러한 회의를 소집할 권한이 없다고 발표했고, 사라즈는 이에 대해 그가 선출된 지역 국가 연합 사무총장으로서 다음 사무총장이 선출될 때까지 권력을 유지했다고 답했습니다. 당시 국민연합은 UAR의 집권당이었고, 적어도 이론적으로는 정부를 장악하고 있었습니다. 9월 18일, 나세르는 이 분쟁을 없애기 위해 이집트와 시리아 국가 연합 지부의 통합을 명령했습니다.
사라즈의 권력 기반인 비밀경찰을 둘러싼 공방이 시작됐습니다. 9월 16일부터 17일까지 미국은 주요 보안 책임자들을 해고하거나 체포하라고 명령했습니다. 9월 17일, Amer는 법무장관의 영장 없이는 어떤 사람도 체포할 수 없도록 하는 법령을 발표했습니다. 이로 인해 누구든지 마음대로 체포할 수 있는 비밀 서비스의 자유가 제한되었습니다. 동시에 이집트와 시리아 보안군을 통합해 카이로의 통제하에 두기로 했습니다.[7]
아메르는 또한 사라즈의 적이었지만 나세르의 사회주의를 지지하는 살라흐 앗 딘 알 비타르를 포함한 바트 정치인들과 9월 17일 전 바트 장관들에게 연금을 수여함으로써 긍정적인 접촉을 재건하려고 했습니다.
아메르와 사라즈 사이의 싸움은 카이로의 모든 권력 구조를 더욱 공고히 했습니다. 한 주가 진행됨에 따라, 일부 지하 정당들은 이집트의 통제력 강화에 반대하는 거리 시위를 시작했고, 군대는 다마스쿠스의 주요 건물들을 경비하기 위해 밖으로 나왔습니다.
1961년 9월 20일, 사라즈와 아메르는 나세르와의 위기 회담을 위해 카이로로로 갔습니다. 사라즈는 그의 직무를 계속 수행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9월 26일 그는 모든 직책에서 사임서를 제출했습니다. 나세르는 아메르에게 즉시 다마스쿠스로 돌아가라고 명령했습니다.[7]
UAR 지도부 사이의 이 혼란스러운 시기 동안 쿠데타 음모자들은 자신들의 쿠데타를 계획하고 시작할 수 있었습니다.
쿠데타
9월 28일 오전 4시, 시리아의 미국국장 압드 알 카림 알 나흘라위 중령이 지휘하는 기갑부대와 하이다르 알 쿠즈바리 중령이 지휘하는 사막경비대 부대가 다마스쿠스에 진입하여 다마스쿠스 수비대와 공군 부대를 만났습니다. 육군 본부와 라디오 방송국, 공항이 장악되었고 검문소가 설치되었으며 탱크들이 거리를 순찰했습니다. 시리아군의 지휘관들과 미국인들이 체포되었습니다. 사라즈는 가택연금을 당했습니다. 새벽 4시 체포 직전, 아메르는 이집트의 안와르 알카디 소장에게 다마스쿠스에서 40km 떨어진 기지에서 도시로 야전포병 여단을 이동시키고 봉기를 진압하라고 명령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집트 장교들이 시리아의 불만을 무시하고 명령을 충실히 따르는 동안, 이 부대들은 다마스쿠스로 가는 도중 시리아 지휘관을 만나 기지로 돌아가라고 명령하고 이집트 장교들을 모두 체포했습니다.
오전 7시 25분 다마스쿠스 라디오 방송 코뮈니케 1호에서는 "군이 부패와 폭정을 제거하고 국민의 정당한 권리를 회복하기 위한 조치를 취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코뮈니케 #2는 아랍 국민들 사이의 연합을 불신하게 만든 "압도적이고 부패한 파벌"에 대한 불만을 정치적으로 나열한 것이었습니다. 지난 7월 도입된 사회주의법과 시리아 장교 숙청 계획도 비판을 받았습니다. 코뮈니케 #3호는 SARCAF가 완전한 통제를 하고 있다고 발표하고 모든 이집트인들을 조심스럽게 대해줄 것을 요청했습니다. 코뮈니케 4호는 모든 공항과 항구의 폐쇄를 발표했습니다.[1]
당시 SARCAF는 UAR의 해체나 분리를 발표하지는 않았지만, 대부분의 시리아인들은 이집트의 통치에 지쳤고, 아랍의 통합이라는 목표를 향한 끊임없는 직업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전통적인 자유를 되찾는 것에 만족했습니다.
오전 9시 7분, 나세르는 라디오 생중계를 통해 반란에 대응하는 이례적인 조치를 취했습니다. 그는 다마스쿠스에서 일어난 반란은 규모가 작으며 시리아군에게 진압 명령을 내렸다고 [8]UAR을 해산하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한편, 체포된 다른 시리아군 지휘관들과 장관들과 함께, 아메르는 반군과 협상을 하며 하루를 보냈습니다. 아메르는 지방 자치 확대, 7월 법의 완화, 농업 개혁을 통한 반군의 요구를 충족시킴으로써 UAR을 구할 수 있다고 확신했습니다. 이 협상에서 아메르가 진심이었는지, 아니면 그저 시간을 보내며 이집트군을 기다리고 있었는지는 여전히 불분명합니다. 아메르는 단파 라디오를 통해 나세르와 연락하고 이 계약에 대한 그의 승인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이 회유의 내용으로 오후 1시 26분, SARCAF 코뮈니케 9호가 방송되었고, 이 방송에서 SARCAF는 아랍의 통합을 유지하기를 원하며, 미국은 "아랍 연합 공화국의 군대의 통합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결정을 내렸다"고 발표했습니다. 군대 문제는 정상 궤도로 회복되었습니다." 라디오 다마스쿠스는 다시 한번 자신을 "다마스쿠스에 있는 UAR의 라디오 방송국"이라고 밝혔습니다.
몇 시간 동안 UAR이 살아난 것처럼 보였지만 양측은 합의에 이르지 못했습니다. 이른 오후가 되자 반군은 거의 모든 시리아 육군 부대로부터 지원을 받았고 승리를 확신했습니다. 나세르는 반군과의 협상이나 시리아에서의 정책 변경을 거부했습니다. 오후 5시 20분, 미국인들과 이집트 장교들과 충성파들이 카이로로 가는 비행기에 탑승했고, 이것은 오후 5시 45분 코뮈니케 #12에서 발표되었습니다.
오후 6시 55분에 나세르는 다시 한번 라디오에 나갔습니다. 그는 협상을 거부하고 반군을 격파하여 의무를 다할 것을 군대에 요구했습니다. 실제로 그날 아침 9시 30분경, 나세르는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이집트군을 시리아로 보내도록 명령했습니다. 이집트와 시리아가 국경선을 공유하지 않자, 공수 낙하산 부대와 일부 해안 부대는 여전히 나세르에게 충성하는 라타키아와 알레포로 떠나라는 명령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이집트군이 이 기지들에 도착하기 얼마 전에 반란군에 의해 점령되었습니다. 라타키아에 상륙한 200명도 안 되는 이집트 낙하산 부대원들은 반란군에게 포위되었다가 나중에 이집트로 돌아갔습니다. 나세르는 모든 작전을 중단했습니다. 870년 11월 2일, 960명의 시리아인들이 이집트에서 평화롭게 귀국하는 동안 이집트 장교들과 군인들이 집으로 돌아갔습니다.
9월 28일 저녁, 반군의 라디오 방송은 나세르를 폭군이라고 부르며 개인적으로 공격하기 시작했습니다. 다마스쿠스에는 오후 7시부터 새벽 5시 30분까지 통행금지령이 내려졌습니다. 반군이 UAR 내에서 시리아의 더 큰 자유를 원하는지 아니면 완전한 독립의 회복을 원하는지 낮 동안 불분명했다면, 라디오 다마스쿠스가 시리아 국가와 함께 자정 이후 그날의 마지막 방송을 끝냈을 때 그들이 독립을 선택한 것은 분명했습니다.
1961년 9월 29일 ~ 1963년 3월 8일 분리주의 정부 시기
9월 29일 오전 7시 30분, 다마스쿠스 라디오는 SARCAF가 구 국민당과 국민당 정치인들로 구성된 새 정부를 구성하는 것을 마문 알 쿠즈바리(쿠데타 조직자 중 한 명의 친척)에게 맡겼다고 발표했습니다. 그것은 시리아 전통 엘리트들의 정부였지만, 나세르의 진보적이고 사회주의적인 정책의 일부를 유지할 것을 약속했습니다. 같은 날 요르단과 튀르키예는 새 정권을 인정했습니다. [9] 그 날, 쿠데타 계획에 관여하지 않은 드루즈인 압드 알 카림 자흐레딘 소장이 군대의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었습니다. 그는 타협적인 인물이었고 1963년 3월 8일 쿠데타까지 살아남았습니다. 복구된 공화국은 옛 시리아 공화국의 국기와 국가를 유지했지만 (아랍 민족주의 대의에 대한 헌신을 보여주기 위해) 시리아 아랍 공화국이라는 이름을 바꾸었습니다.
나세르는 10월 5일 연설에서 시리아의 탈퇴 사실을 인정하고 10월 29일 시리아가 재가입한 유엔과 아랍국가연맹에 다시 가입하는 것을 막지 않겠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이것이 나세르가 새 정권에 대해 우호적인 태도를 취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았습니다. 이집트와 시리아의 선전전은 이집트가 시리아 정치인들을 "자본가, 반동주의자, 봉건주의자"라고 부르는 것으로 10월에 시작되었습니다. 시리아인들은 UAR 경찰국의 독재적 성격에 대해 이야기하는 대신, 아랍 통합에 반대하는 반동분자, 서방 요원, 반역자가 아니라고 지속적으로 응답해야 했습니다.
SARCAF가 Zahras-Din을 임명한 후, 그의 이름으로 새로운 코뮈니케가 발행되었습니다. 정부를 감독하는 육군 지휘관, 대통령 그리고 5명의 주요 장관들이 포함된 새로운 국가안전보장회의가 설립되었습니다. 이 제도는 분리주의 정권의 불안정의 근원이 되었습니다. 의회와 정부는 대체로 전통적인 중앙 정치인들의 권리로 구성되었지만, 군부는 UAR 시대의 사회주의 개혁과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환경 개선과 국가 통제 경제의 창출을 목표로 하는 많은 이익을 유지하고 실행하기를 원했습니다. 군부는 민주주의자들이 아니라 그들의 지역판 UAR 스타일의 일당 군사 통치를 시행하기를 원했습니다.[10]
압드 알-카림 알-나흘라위는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설립해 민간정부에 대한 군사적 통제를 지속하기 위한 도구로 활용했습니다. 정치적, 개인적 자유에 대한 UAR 시대의 제한은 유지되었습니다. 정당은 여전히 금지되었고 언론에 대한 통제는 유지되었습니다. UAR 정권 하에서 그들의 자리에서 숙청된 사람들은 복직되지 않았습니다.[9] 전통적인 내분과 불안정이 다시 시작되었습니다. 이는 주요 쿠데타 지도자들이 (대가족을 통해) 서로 다른 정치적 성향과 사업적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도움이 되었습니다. 알쿠즈바리는 1961년 11월에, 알후세이니는 1962년 1월에 이미 체포되었습니다.
전통 정당들이 복구된 시리아를 전적으로 지지하는 동안 바트당은 분열되었습니다. Akram al-Hawrani와 그의 사회주의자들은 UAR에 반대했고, 설립자 Michel Aflaq와 Salahad-Din al-Bitar 모두 혼란스러운 신호를 보냈습니다. 알비타르는 처음에는 이를 지지했지만, 아프라크는 분리독립을 지지하지 않았다가 당의 압력으로 지지를 철회했습니다. 지방의 많은 당원들은 UAR 기간 동안 당을 존속시켰으며 당원들과 어떤 협의도 없이 바트당의 해체를 선언한 아프라크에 반대했습니다. 이 혼란기는 바트 군사위원회의 목표 달성을 위한 결의를 높였습니다.
새 헌법이 입안되고 아직 승인되지 않은 상태에서 1950년 헌법이 발효되었습니다. 10월 17일 시리아는 경제의 큰 부문을 국유화한 7월 법을 폐지했습니다.
12월 선거 이후, 인민당 지도자 마루프 알 다왈리비와 나짐 알 쿠디가 각각 총리와 대통령이 되었습니다. 마문 알 쿠즈바리가 국회의장으로 선출되었습니다.
쿠데타 후 첫 몇 달 동안 정부는 군대의 주요 직책에서 쿠데타 지지자의 수를 줄이는 동시에 UAR 사회주의 법과 규정을 줄이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집트의 동맹국인 소련과 강력한 관계를 유지하는 대신, 서독과 이라크와 더 나은 관계를 맺었습니다. 1962년 3월 16일, 나짐 알 쿠디 대통령은 이라크의 총리 압드 알 카림 카심을 만났습니다.
1962년 봄 동안 의회에서 완전한 민주적 자유의 회복에 대한 압력이 커졌습니다. 의회는 알 다왈리비의 사임과 모든 자유의 회복, 국민통합정부 수립을 요청했습니다. 알 다왈리비는 3월 27일 사임했습니다.
1962년 3월 28일에서 4월 2일 사이에 시리아는 쿠데타와 반쿠데타로 인해 혼란에 빠졌습니다. 첫 번째 시도는 압드 알 카림 알 나하위에 의해 이루어졌는데, 그의 군대는 현재 바트주의자들과 나세르파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는 군대와 정부에서 잃어버린 영향력을 되찾고 싶었습니다. 알나흘라위 세력은 정부 구성원들을 체포하고 의회를 해산시켰으며 알쿠드시 대통령은 이에 반발해 사임했습니다.[9] 3월 30일, 자흐라드딘 장군과 다마스쿠스 지역의 지도적인 육군 장교들은 이 쿠데타가 9월 28일 쿠데타의 지속이며 나라를 원래의 목표로 되돌릴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한편, 3월 31일, 야셈 알완이 이끄는 나세르파와 바트파가 반란을 일으켰습니다. 그들의 목표는 달랐지만, 그들은 다마스쿠스에서 알 나흘라위의 쿠데타에 대한 반대에 단결했습니다. 군사위원회 소속 알완의 군대와 바트주의자들은 알레포, 홈스, 데이르즈조르에서 반란을 일으켰습니다. 그들은 UAR의 복구와 이집트가 지원군을 파견할 것을 요구했습니다.[11][12]
1962년 4월 1일, 육군 참모총장 압드 알 카림 자흐레딘은 홈스에서 모든 군 파벌 간의 회담을 가졌고, 그 동안 비밀리에 타협이 이루어졌습니다.[9]
- 알 나흘라위, 알완 그리고 그의 주요 지지자들은 모두 추방당했습니다.
- 알 쿠드시 대통령과 민간 정부가 복권되었습니다.
- 이집트와의 연합에 대한 새로운 선거와 국민투표가 가까운 미래에 조직될 것입니다.
- 나세르인이 그들의 몫의 직책을 얻도록 군대의 대열이 정비될 것입니다.
- UAR의 토지 개혁과 국유화 정책이 다시 도입될 것입니다.
- 자셈의 알레포 수비대는 이 협정을 준수했음이 확실할 것입니다.
시리아의 군대는 정치적, 지역적, 종교적 노선을 따라 분열되어 있었지만, 정부에 대한 통제권을 유지하고, 완전한 민주주의로의 복귀를 방지하고, 더 사회주의적인 발전을 계속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통일되었습니다.
4월 3일, 반란군 장교들이 스위스로 추방되었습니다. 4월 4일 압드 알 카림 자흐레딘은 새로운 임명을 했습니다. 4월 13일, 알 쿠디 대통령은 그의 직무를 재개했습니다. 4월 16일 바시르 알 아즈마 박사가 이끄는 기술관료들의 새 정부가 출범했습니다. 압드 알 카림 자흐레딘은 새로운 국방부 장관이었습니다. 이번 정부는 대기업과 은행의 국유화를 재도입하고 토지개혁을 다시 시작했습니다.
한편, 나세르파와 바트주의자들은 이집트의 지원을 받아 1962년 7월 28일에 열릴 UAR의 복구를 위해 또 다른 쿠데타를 계획했지만, 정부에 의해 발각되어 진압되었습니다. 시리아는 아랍연맹에 이 문제를 조사할 것을 요구했고, 회담에서 이집트가 시리아를 합병하기를 원한다고 공개적으로 비난했습니다. 이집트 대표단은 회의장을 떠나 시리아의 아랍연맹 참여를 1년간 중단했습니다.
9월 17일 칼리드 알아즈름이 이끄는 새로운 국민통합정부가 출범하고 의회가 해산되었습니다. 새 정부는 사회주의 정책을 시행하고 완전한 민주적 자유를 회복하기 시작했습니다. 비상사태는 1962년 12월 22일 해제되었습니다. 새로운 자유를 얻은 압드 알 카림 알 하흘라위는 시리아로 돌아와 군대 복직을 요구했습니다. 군대에서의 조작과 음모는 계속되었고 결국 1963년 3월 8일 바트주의 군사 위원회의 하급 장교들에 의해 조직된 쿠데타로 이어졌습니다.
참고문헌
- ^ a b c Oron, Yitzhak; Shmuelevitz, Aryeh; Dann, Uriel; Amzalak, Naomi; Avi-Ad, Shmuel; Gabbay, Rony; Luntz, Yosef; Porat, Yenoshua; Unger, Aryeh; Yadlin, Rivka (1961). "Chapter 18: The United Arab Republic (Al-Gumhuriyah al-Arabiyah al-Muttahidah)". Written at Jerusalem, Israel. In Elath, Eliahu (ed.). Middle East Record Volume 2, 1961. Middle East Record. Vol. II (1st ed.). Jerusalem: The Moshe Dayan Center/Reuven Shiloah Research Center (Tel Aviv University)/Israel Program for Scientific Translations/Israel Oriental Society (University of Jerusalem)/The Jerusalem Post Press/Gano Press. pp. 577–692. OCLC 19956240. Retrieved 19 May 2021 – via Google Books.
- ^ Kerr, Malcolm H. (November 1973). Eayrs, James; Spencer, Robert; Magee, Marion; Roswell, Ben; Hume, Catherine; Petron, Michael; Ferland, Jean-Lue; Appleyard, James; Graham, William C. (eds.). "Hafiz Asad and the changing patterns of Syrian politics" (PDF). International Journal. Toronto: Canadian Institute of International Affairs (Canadian International Council/Conseil international du Canada/CIC)/SAGE Publications (Sage Publications, Ltd.)/Casa Editrice Leo S. Olschki. 28 (4 (The Arab States and Israel)): 689–706. doi:10.2307/40201173. ISSN 0020-7020. JSTOR 40201173.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5 November 2012. Retrieved 19 May 2021.
- ^ 시리아: 최근의 역사
- ^ Times, Sam Pope Brewerspecial To the New York (25 February 1958). "Nasser Gets Enthusiastic Greeting on Visit to Syria; SYRIANS ACCLAIM NASSER ON VISIT". The New York Times. ISSN 0362-4331. Retrieved 24 August 2023.
- ^ Rezk, Dina (2017). The Arab world and Western intelligence: analysing the Middle East, 1956-1981. Edinburgh: Edinburgh University Press. pp. 116–136. ISBN 978-0-7486-9892-9.
- ^ Keilany, Ziad (1973). "Socialism and Economic Change in Syria". Middle Eastern Studies. 9 (1): 61–72. ISSN 0026-3206.
- ^ a b c d Podeh, Elie (1999). The Decline of Arab unity: the rise and fall of the United Arab Republic. Brighton (GB) Portland (Or.): Sussex Academic press. ISBN 978-1-902210-20-9.
- ^ Newton, Michael Dawn (2014). Famous assassinations in world history: an encyclopedia. Santa Barbara (Calif.): ABC-CLIO. p. 500. ISBN 978-1-61069-285-4.
- ^ a b c d Sorby, Karol R. (January 2009). Karol R., Sorby; Herbst, Martina; Bareš, Ladislav; Bucková, Martina; Gombár, Eduard; Leger, Rudolf; Marek M., Dziekan; Magdolen, Dušan; Seyni, Moumouni; Pawley, Andrew; Pauliny, Ján; Rácová, Anna (eds.). "The separatist period in Syria, 1961 - 1963" (PDF). Asian and African Studies. Bratislava: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of the Slovak Academy of Sciences (Ústav orientalistiky SAV)/Slovak Academic Press (Slovak Academic Press Ltd.). 18 (2): 145–168. ISSN 1335-1257.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6 February 2021. Retrieved 19 May 2021.
- ^ Yapp, Malcolm E. (1996). "Chapter 10: Syria and Lebanon, 1958-89". In North, Jeremy; Callanan, Callanan; Dages, Emmett; Chesher, Christoph; Tuten, Paul; Heward-Mills, Leon; Mapp, Derek; Carter, Stepheb (eds.). The Near East since the First World War: A History to 1995. A History of the Near East (2nd ed.). Abingdon-on-Thames,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Routledge (Taylor & Francis/Informa Company). pp. 249–254. doi:10.4324/9781315842998. ISBN 978-1317890539. Retrieved 19 May 2021 – via Google Books.
- ^ Seale, Patrick; McConville, Maureen (1990). "Chapter 6: Capturing the State". In Sullivan, Tim; Brown, Michael; Carlson, Susan; Anderson, Patrick; Kennedy, Wayne; Randolph, Marjorie; Waibel, Günter (eds.). Asad: The Struggle for the Middle East. Political Science/Middle Eastern studies (2nd ed.). Los Angeles, United Stat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Ltd.)/I.B. Tauris & Co. Ltd. pp. 72–85. ISBN 978-0520069763. Retrieved 19 May 2021 – via Google Books.
- ^ Ruehsen, Moiara (21 March 1990). Jackson, Sidney; Coleman, Daniela; Leinz, Martina (eds.). "Asad of Syria: The Struggle For The Middle East (review)". SAIS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Johns Hopkins University)/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Advanced International Studies (SAIS)/Project MUS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The Sheridan Libraries). 10 (1): 181–183. doi:10.1353/sais.1990.0019. ISSN 0036-0775. S2CID 15415243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June 2018. Retrieved 19 May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