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인치 포 M1897

6-inch gun M1897
6인치 포 M1900
6in Rifled Gun No 9.jpg
사라진 M1903, 배터리 챔버린, 포트 윈필드 스콧, 샌프란시스코의 프레미디오에서 6인치 총기 M1905
유형
  • 해안포
  • 야전포
  • 원산지미국
    서비스 이력
    가동중1897–1945
    사용자미국 육군
    전쟁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생산이력
    디자이너워터블리에트 아스널
    설계된1897
    제조사워터블리에트 아스널, 다른 선수들
    변형M1897, M1900, M1903, M1905, M1908, M1(a. T2)
    사양
    미사19,670 파운드 (8,670 kg)
    길이310.4인치(788cm)
    배럴 길이
    • 50개의 교정기(760cm)
    • M1897 & M1908: 45개 교정기(270인치(690cm))

    껍질별도 적재,
    108파운드(49kg) 또는 105파운드(48kg) AP 샷 & 쉘
    90파운드(41kg) HE[1][2]
    칼리버6인치(최대 mm)
    브리치중단 나사, De Bange 유형
    리코일하이드로 스프링
    마차
    표고
    • 소멸: 15°
    • 받침대: 20°
    • WWII 고각 바베트: 47°
    다각측량
    • 소멸: 170°(전자 배치 포함)
    • 받침대: 360°(전자 배치와 함께 장착됨)
    • WWII 고각 바베트: 360°(emplacement와 결합)
    최대 사격 범위
    • 사라짐: 14,600야드(13,400m)
    • 받침대: 17,000야드(16,000m)
    • WWII M1 건이 장착된 고각 바베트: 27,500야드(25,100m)[1]
    공급 시스템손짓하다

    6인치 M1897(152 mm)과 그 변형 M1900, M1903, M1905, M1908 및 M1(a. T2)는 1897년부터 1945년 사이에 미국의 주요 항구를 방어하기 위해 설치된 해안포였다. 그들 역사의 대부분 동안 그들은 미국 육군 해안포병단에 의해 운영되었다. 그것들은 사라지는 마차나 받침대(예: 바베트) 마운트에 설치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많은 것들이 차폐된 바베트 마차에 다시 탑재되었다.[4] 필리핀에 없는 무기는 대부분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몇 년 안에 폐기됐다.

    역사

    M1900 받침대 마운트에 있는 6인치 M1900 총, 뉴저지 포트 핸콕에 여전히 존재하는 두 개의 무기와 유사함
    M1900 받침대 마운트에 6인치 M1900 건, 주석 달기
    1919년 초 M1917 마차(전경)와 M1917A 마차(배경)에 6인치짜리 총 두 자루.[5]
    M1901 Buffington-Crozier가 M1900 12인치 포를 위해 마차가 사라지는 주석을 단 사진(일반적으로 6인치 마차가 사라지는 것과 유사)

    1885년 윌리엄 C. 그로버 클리블랜드 대통령전쟁 장관엔디콧은 해안에 대한 방어를 검토하기 위해 요새위원회를 만드는 임무를 맡았다. 이사회의 조사 결과는 1886년 보고서에서 기존의 방어에 대한 암울한 그림을 보여주었으며 미국 해안선의 29개 지점에 대한 1억 2천 7백만 달러의 대규모 대포, 박격포, 부유 배터리, 잠수함 광산을 건설할 것을 권고했다. IASB의 권고는 대부분 이행되었다. 1885년에서 1905년 사이에 지어진 미국 육군 해안포대 요새는 흔히 엔디콧 시대 요새라고 불린다. 6인치 구경의 용도는 많은 응용에서와 마찬가지로 비교적 무거운 쉘과 빠른 손 로드를 결합하기 위해 선택되었다. 전체 시스템에서는 8인치, 10인치, 12인치 중형 무기와 지뢰제거원으로부터 지뢰밭을 방어하기 위한 소형 3인치 포의 중간 크기였다. 워털리엇 아스널은 총들을 디자인하고 통을 만들었다. 처음에, 대부분의 총은 사라진 객차에 장착되었다; 총이 발사되었을 때, 그것은 반전지적 화재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콘크리트나 흙벽 뒤로 떨어졌다. 몇 년 안에, 사라지는 마차를 운행하는 것이 화재 속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M1900의 낮은 프로필의 받침대 마운트가 설계되었다.

    1898년 스페인-미국 전쟁이 발발했을 때 엔디콧 요새의 대부분은 여전히 건설 중이었다. 몇몇 작품을 빨리 무장하기 위해 영국으로부터 6인치 암스트롱 총 9발을 포함한 몇 개의 무기를 구입했고, 그 중 두 개는 세인트 근처 포트 데소토에서 살아남았다. 플로리다 페테르부르크.[6] 이것들은 1925년까지 퇴역한 것으로 보인다.

    Endicott 프로그램과 1905–15 Taft Board 요새 사이에 약 200개의 6인치 포가 미국과 그 소유물에 배치되었고, 그 중 약 150개는 객차에서 사라졌다.

    제1차 세계 대전

    미국이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하자 육군은 서부전선에서 사용할 대구경 총의 필요성을 인식했다. 코스트 포병대는 이 무기들을 가지고 경험과 훈련을 했기 때문에 그 전쟁에서 모든 미군 중포를 운용했다. 95개의 6인치 해안 방어포가 고정된 전장에서 제거되거나 스페어포에서 추출되어 야전포로서 M1917 바퀴 달린 객차에 장착되었다. 이들 중 대부분은 61, 62, 68번째에 프랑스의 3개 해안포 연대를 장착했다.[7] 그 총들은 "6인치 테러스"라는 별명이 붙여졌다. 그러나 휴전 때문에 이들 연대 중 어느 연대도 행동을 볼 수 있는 시간에 맞춰 훈련을 이수하지 못했다. 1917년까지 6인치 포의 받침대(모두 M1900 무기)는 사라지는 산보다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더 빠른 화력으로 목표물을 신속하게 추적할 수 있었다. 따라서 대부분의 사라지는 총(M1897을 제외한, 다른 총보다 짧은 총)은 야전총으로 사용하기 위해 하차된 반면, 몇 안 되는 대좌총은 전쟁 직후 포트로 반환되었다. 제거된 6인치 사라진 총(주로 M1903과 M1905)은 저장되었고 많은 총들이 제2차 세계대전에서 복역되었다. 제거된 육군 무기는 명령된 마차를 기준으로 최대 18개의 M1900 총과 74개의 M1903 및 M1905 총(M1900 무기의 경우 M1917A 마차, M1903/M1905 무기의 경우 M1917 마차)을 포함했다. 한 소식통은 M1900 포 4대와 M1903/M1905 포 68대가 프랑스에 도착했다고 말했다.[5] 해군이 46개의 다른 종류의 6인치 포와 무기 거래상 프랜시스 배너맨이 제공한 30개의 전 해군 포가 추가로 제공되었다. 이 중 일부는 휴전 전에 프랑스로 전달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여기에는 30개, 40개, 45개, 50개 중 2개에서 6개까지의 해군 총기가 포함되었다. 배너맨 총은 모두 30개의 칼리브레이션으로, 다른 길이의 총의 수는 불분명하다. 소식통에 따르면 탄도학 표준화를 위해 모든 해군 포를 30칼리터 배럴 길이로 절단했다. 이는 최단 해군 포의 길이였기 때문이다.[5][8][9][10][11] M1917B 마차는 각 마차에 여분의 튜브를 장착하기 위해 해군 총 37대를 주문했는데, 몇 대가 생산됐는지, 프랑스에 배달됐는지는 불분명하다.[5] 일부 육군 무기(주로 빠르게 작동하는 받침대 탑재로 인해 M1900 포)는 전쟁 후 해안 방어용으로 반환되었지만, 대부분의 (무장기 배터리 수로는 약 81개)[12]는 제2차 세계 대전까지 보관되었다. 버지니아주 포트 리에 있는 미 육군 군수품 훈련 및 유산 센터 소장품에서 한 명이 야전 마차를 타고 생존하고 있다. 베르사유 조약 체결 후인 1919년 6월, 6인치 포의 야전 마차는 구식이라고 선언되어 거의 완전히 폐기되었다.[5]

    제2차 세계 대전

    워싱턴 주 포트 컬럼비아 주립공원의 차폐된 바베트 마차에 실린 6인치 포 M1905
    차폐된 바베트 캐리지의 리어 뷰
    오리건주 포트 스티븐스의 배터리 245는 2차 세계대전에 제작된 차폐된 바베트 마차에 장착된 6인치 포 두 개다. 배터리의 탄약과 화재 진압 벙커가 총 뒤에 있다.
    워싱턴 주 포트 이비의 6인치 탄약 벙커 일반 입구

    다른 해안포 무기들과 함께, 필리핀의 6인치 포들 중 일부는 2차 세계대전에서의 일본의 침략에서 행동을 보았다. 해군의 공격에 대비하여 배치되어 있었기 때문에 일본군과 교전할 수 있는 사격이 허술했고, 개방된 포대는 공기와 고각 포격에 취약했다.

    1940–44년에 16인치 포전지가 노후화된 엔디콧과 태프트 시대의 무기를 대체하기 위해 대부분의 항구 방어시설에 건설되었다. 많은 6인치 무기들(대부분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저장되어 있던 것들)을 M4 차폐된 바베트 마차를 통해 M1에 재 탑재하여 16인치 포를 보완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 탑재보다 고각사격을 허용했고, 6인치 포의 사거리를 1만7000야드(1만6000m)에서 2만7000야드(2만5000m)로 늘렸다. M1903과 M1905 무기는 M1903A2와 M1905A2로 재 탑재되었고, 신형 M1포(초기 명칭 T2)가 일부 배터리를 무장시켰다. 각 한 쌍의 총 사이에 기체밀착형 플롯룸이 있는 중공식 매거진 구조물이 건설되었다. 한때 87개의 배터리가 제안되었지만, 약 65개의 배터리와 45개의 무장만이 2차 세계 대전 말기에 건설이 중단되었다. 약 140개의 바베트 객차가 건설되었다.[13] 진주만 다음 해에는 신형 배터리가 건설되는 동안 방어를 위해 6인치/50구경 전 해군의 총기가 추가로 장착되었다. 그 중에는 알래스카, 아메리칸사모아, 수리남(옛 네덜란드령 기아나) 등이 있었다.[14] 받침대 위에 올려진 M1900 무기 중 일부는 전쟁 기간 동안 복무 중 유지되거나 더 나은 위치로 재배치되었지만, 사라진 총기는 1944년까지 대부분 폐기되었다.[1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거의 모든 6인치 포를 포함한 해안 방어 시스템 전체가 폐기되었다.

    사양

    총길이는 얼굴에 입마개를 하고 있다.[3][16]

    모델 길이
    칼리브레이션으로
    건 길이 무게
    M1897 44.58 277.85인치(705.74cm) 16,216 lb (7,355 kg
    M1900 50 310.40인치(788.42cm) 19,968 lb (9,057 kg)
    M1903 50 310.40인치(788.42cm) 19,990 lb (9,067 kg)
    M1905 50 310.40인치(788.42cm) 21,530파운드(9,593 kg)
    M1908 44.58 277.85인치(705.74cm) 12,500 lb(5,670 kg)
    M1(T2) 50 약 300인치(762.00cm) 20,550파운드(9,550 kg)

    마차

    육군 6인치 포의 마차는 다음과 같았다.[3][5]

    마차 유형 일반 총 숫자 빌드
    M1898 사라지는 M1897 29
    M1900 받침대 M1900 45
    M1903 사라지는 M1903, M1905, M1900 90
    M1905 사라지는 M1905, M1908 33
    M1910 받침대 M1908M2 6
    M1917 야전포 M1903, M1905 74
    M1917A 야전포 M1900 18
    M1, M2, M3, M4 차폐된 고각 바베트 M1903A2, M1905A2, M1(T2) 143(대략)

    잔존예

    육군의 6인치 포는 20개 이상 남아 있으며, 대부분 필리핀에 있다.[17]

    • 사라지는 마차 M1903 (#1 워터타운), 배터리 쿠퍼, 포트 피켄스, 펜사콜라, 플로리다 (이전에는 뉴욕 주 웨스트 포인트, 배터리 스코필드에서, 그 전에는 뉴욕 주 포트 해밀턴, 포트 해밀턴, 포트 해밀턴, 브루클린 주 배터리 리빙스턴에서)에 있는 6인치 건 M1905 (#30 Watervliet) 1개.
    • One 6-inch Gun M1905 (#9 Watervliet) on Disappearing Carriage M1903 (#2 Watertown), Battery Chamberlin, Fort Winfield Scott, Presidio of San Francisco, California (weapon formerly at Battery Schofield, West Point, New York, and before that at Battery Livingston, Fort Hamilton, Brooklyn, New York).
    • 필리핀 코레기도르포트 밀스의 배터리 모리슨, 배터리 모리슨, 실종 마차 M1905MI (#12 & #13 Watertown)에 관한 2개의 6인치 포스 M1905 (#31 & #32 Watervliet)
    • 필리핀 코레기도르의 포트 밀스의 배터리 램지, 포트 밀스, M1905MI (#9 & #11 Watertown), 사라진 마차 M1905 (#4 & #33 Watervliet)에 관한 2개의 6인치 포스 M1905 (#4 & #3 Watervliet)
    • 6인치 군 M1905 (#27 Watervliet) 1개, 필리핀 코레지도르 섬, 포트 밀스, 배터리 모리슨(Battery Morrison, Fort Mills, Fort Mills, Fort Mills) 1개(총이 심하게 절단됨).
    • 필리핀 수빅베이, 그란데섬 포트윈트 배터리홀 M1905MI (#6 & #7 베들레헴)에 있는 2개의 6인치 포스 M1905 (#6 & #7 Watervliet)
    • 필리핀 카발로 섬의 포트 휴즈, 배터리 리치, 배터리 리치 1대 6인치 Gun M1908(#6 Watervliet),
    • 6인치 Gun M1908MII(#4 Watervliet), Fattery Roberts, Fort Drum, Fort Drum, 필리핀 El Fraile Island(방패만 있는, 마차 없음) 1개.
    • 뉴저지 포트 핸콕의 배터리 펙(Battery Peak, Fort Hancock, Battery Gunnison의 전장치에 위치) 바베트 마차 M1900(#12 & #17 Rock Island), 배터리 펙(Battery Peak, #22 & #23 Watervliet) 2대.
    • 바베트 마차 모델 M1 (#58 & #59 Unk. mfr.), 플로리다 주 펜사콜라, 배터리 234, 포트 피켄스(Fort Pickens, Fensacola), (이전에는 버지니아 포트커스티스, 배터리 227에서 사용)에 2개의 6인치 건 M1905A2 (#16 & #21)
    • 바베트 마차 모델 M1 (#9 &#10 Unk. mfr.)에 탑재된 2개의 6인치 포스 M1905A2 (#30 &#61) (워싱턴 주 치누크 포인트의 포트 컬럼비아 주립 공원 (이전에는 아르헨티나, 뉴펀들랜드 주, 포트 281, 포트 맥안드류에서 촬영)
    • 바베트 마차 모델 M1 (#44 & #45 Unk. mfr.) 배터리 282, 포트 맥앤드류, 아르헨티나, 뉴펀들랜드에 있는 2개의 6인치 포스 M1905A2 (#13 & #8)이다.
    • 미국 육군 군수품 훈련 및 유산 센터 포트 리에 있는 M1917 (#22 Morgan Eng.)에 림버 (#82 Morgan Eng.)와 함께 6인치 Gun M1905A1 (#12 Watervliet) 1대.
    • 바베트 카레마 Mk 2 (#11162 및 #11157) (1개 부분 방패) (1개), 포트 데소토, 멀릿 키, 세인트 근처에 있는 6인치 래피드 파이어 암스트롱 건 (#12139 및 #12140) 2개. 플로리다 페테르부르크(이전에는 플로리다에그몬트 키의 포트 데이드 배터리 버크스테드에 있던 무기)
    • 알래스카, 아메리칸사모아, 수리남(옛 네덜란드령 기아나)에는 미 해군 마크 6세와 마크 8세 6"/50구경 총 몇 발이 추가로 생존하고 있다.

    참고 항목

    유사한 역할, 성능 및 시대의 무기

    • 6인치/50구경 총기 - 1900년 경 선박에서 2차 세계 대전 당시 해안 방어용으로 사용된 현대 미국 해군 무기
    • BL 6인치 Mk 7 해군 무기 - 현대 영국식 무기, 선박에 사용, 해안 방어 및 야전 포병
    • 6인치 M1917 -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이 야전 포병으로 획득한 영국 6인치 포병 마크 XIX; 모든 미국 무기는 1940–41년 해안 포병으로 브라질로 이동했다.

    참조

    1. ^ a b 버로우, 페이지 61
    2. ^ TM 9-424, 페이지 3-4
    3. ^ a b c 버로우, 94-105페이지
    4. ^ 해안 방어 연구 그룹 요새 및 배터리 목록
    5. ^ a b c d e f 윌리포드 92-99페이지
    6. ^ 의회 연재물, 1900년, 스페인과의 전쟁 수행 위원회 보고서, 제7권, 페이지 3778–3780, 워싱턴: 정부 인쇄소
    7. ^ WWI 61 해안포병대
    8. ^ 제1차 세계 대전 미 육군 해안 포병대
    9. ^ WWI 69 해안포병대
    10. ^ 1918년 11월 15일 표준 자료집 86-88페이지
    11. ^ Crowell, Benedict (1919). America's Munitions 1917-1918. Washington, DC: Government Printing Office. pp. 73–75.
    12. ^ 버로우, 202-225페이지
    13. ^ 버로우, 226–227 페이지
    14. ^ 버로우, 236-237페이지
    15. ^ 버로우, 202-225쪽
    16. ^ 해안 배터리 건 목록(FortWiki.com
    17. ^ 버로우, 235-236페이지
    • Berhow, Mark A., ed. (2015). American Seacoast Defenses, A Reference Guide, Third Edition. McLean, Virginia: CDSG Press. ISBN 978-0-9748167-3-9.
    • Lewis, Emanuel Raymond (1979). Seacoast Fortifications of the United States. Annapolis: Leeward Publications. ISBN 978-0-929521-11-4.
    • Williford, Glen (2016). American Breechloading Mobile Artillery, 1875-1953. Atglen, PA: Schiffer Publishing, Ltd. ISBN 978 0 7643 5049 8.

    참고 문헌 목록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