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행동)
Abnormality (behavior)![]() | 이 글에는 여러 가지 문제가 있다. 이 문제를 개선하거나 대화 페이지에서 토의하십시오. (이러한 템플릿 메시지를 제거하는 방법 및 시기 알아보기)
|
이상(또는 기능장애 행동)은 희귀하거나 기능장애로 간주되는 조건을 가진 사람들에게 부여된 행동 특성이다.[1] 행동이 비정형적이거나 평범하지 않은 경우,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으로 구성되고, 개인의 기능에 손상을 초래하는 경우, 행동은 비정상적인 것으로 간주된다.[2] 행동의 이상은 특정한 사회적, 문화적, 윤리적 기대에서 벗어난 것으로 간주되는 것이다. 이러한 기대는 연령, 성별, 전통적, 사회적 분류에 크게 좌우된다. 비정상적인 행동의 정의는 이러한 주관적 변수 때문에 비정상적인 심리학에서 자주 논의되는 사안이다.[3]
비정상적인 행동은 비정상적인 행동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 평범하지 않은 행동이 반드시 정신적 또는 심리적 장애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반면에 비정상적인 행동은 그 자체로 정신장애는 아니지만, 종종 가능한 정신적, 또는 정신적 장애를 나타내는 지표다.[4] 심리적 장애는 "심각한 고통을 유발하는 사고, 감정, 행동의 기능장애 패턴"으로 정의되며, 그 사람의 문화나 사회에서 일탈로 간주된다.[5] 정신 질환과 관련된 이상 행동은 '우려'가 되고 '중대한 고통'의 원인이 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정신장애는 의료인이 DSM-5 기준에 따라 환자가 비정상적인 행동을 보이고 있다고 판단하는 의학적 상태를 가진 환자를 설명한다.[6] 그러므로 단순히 행동이 특이하다고 해서 그것을 비정상적으로 만드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단지 이러한 기준을 충족시키는 경우에만 비정상적으로 간주된다. 정신장애 진단 및 통계 매뉴얼(DSM-5)은 잠재적 정신장애를 진단하는 데 연구자와 임상의가 모두 사용한다. DSM-5에서 충족되어야 하는 기준은 정신 질환마다 다르다.[7]
증상이 객관적으로 나타나는 건강의 신체적 이상과 달리 심리학 건강 전문가들은 행동의 이상을 평가할 때 객관적인 증상을 사용할 수 없다.[8]
몇 가지 재래식 기준
이상은 크게 다섯 가지 기준이 있다. 다음 구성 요소:
- 통계 기준
- 사회 기준
- 개인 불편함(드레스)
- 맬러댑티브
- 이상으로부터의 편차
비정상적인 행동은 "일반적이거나 일반적인 행동과 다르기 때문에 예상치 못하고 종종 부정적으로 평가되는 행동"[9]이다.
다음 기준은 주관적이다.
- 부적응 및 오작동. 환경 때문에 행동들은 환경에 완전히 적응하지 못한다. 대신에, 그것들은 오작동이 되고 개인이나 다른 사람들에게 해롭다. 예를 들어, 탈출이 분명히 불가능할 때 탈출을 계속 시도하는 쥐가 있다.[10]
- 사회의 기준을 위반하는 행동.[8] 사람들이 그들 사회의 관습적인 사회 도덕 규칙을 따르지 않을 때, 그 행동은 비정상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사회규범으로부터의 편차 참조)
- 관찰자의 불편함.[11] 사람의 행동이 관찰 대상자에게 불쾌감을 준다면, 그것은 비정상적인 것으로 간주될 가능성이 있다.
심리학과 정신의학의 표준 기준은 정신질환이나 정신질환이다. 행동의 이상에 대한 판단은 의료 진단을 기반으로 한다.
기타 기준
- 통계적 빈도: 통계적으로 희귀한 행동을 비정상이라고 부른다. 항상 그렇지는 않지만, 사람들에게 비정상적인 행동의 존재는 보통 드물거나 통계적으로 드물다. 어떤 특정한 비정상적인 행동도 평범하지 않을 수 있지만, 사람들이 그들의 삶의 어느 시점에서 장기화된 비정상적인 행동의 형태를 보이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다.[12]
- 사회규범으로부터의 편차: 사회 규범에서 벗어난 행동은 사회의 불문율(규범)에서 개인의 이탈이나 일탈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만약 한 남자가 길거리에서 벌거벗고 뛰어다니는 것을 목격한다면, 그 남자는 옷을 입는 것에 대한 사회의 규범을 어겼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비정상적인 것으로 인식될 것이다. 누군가가 사회의 규범에서 이탈했는지에 대한 판단을 내리기 전에 심사해야 할 기준도 여러 가지가 있다. 이러한 기준들 중 첫 번째는 문화다. 한 문화에서 정상으로 보일 수 있는 것은 다른 문화에서 비정상적으로 보일 수 있다. 두 번째 기준은 상황 및 맥락이다. 예를 들어, 화장실에 가는 것은 정상적인 인간의 행동이지만, 슈퍼마켓 중간에 가는 것은 매우 비정상적인 것으로 보여질 것이다. 즉, 공공장소에서 배변을 하거나 소변을 보는 것은 외설적인 공공행위의 경범죄로 불법이다. 세 번째 기준은 나이다. 세 살의 어린이는 공공장소에서 옷을 벗는 것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지만 스무 살의 남자는 그렇지 않다. 네 번째 기준은 성별이다: 일반적으로 여성으로서 반응하는 행동과 반대로 반응하는 남성은 종종 비정상적이거나 사회 규범에서 이탈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다섯 번째 기준은 역사적 맥락이다; 어떤 사회에서 정상적인 행동의 기준은 때때로 매우 빠르게 변화한다.
- FF: 적절하게 기능하지 못하는 것은 비정상적인 행동이며, 실제로 이러한 기준은 만약 개인이 일상생활의 요구에 대처할 수 없다면 이상을 장애로 표시하기 위해 필요하다.[13] 심리학자들은 무엇이 '기능'이고 무엇이 '적절하다'고 규정하는 경계에 대해서는 의견이 다를 수 있지만, '기능 불능'을 유발할 수 있는 일부 행동이 나쁜 것으로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활활 타오르는 불 속에서 사람들을 구하기 위해 목숨을 거는 소방관들은 그들이 목숨을 걸고 있다는 사실에서 '기능에 실패하는' 것일 수도 있고, 또 다른 맥락에서 그들의 행동은 병리학적으로 해석될 수도 있지만 소방관이 되는 맥락 안에서 위험은 적절한 기능과 상충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 딤: 이상적 정신 건강으로부터의 일탈은 개인이 보이고 있는 행동이 그들의 정신적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판단함으로써 이상을 정의한다. 기능 실패의 정의와 마찬가지로 '이상적인 정신 건강'이 무엇인지 규정하는 경계는 명확히 규정되어 있지 않다. 그 정의에 대한 빈번한 문제는 삶의 어느 시점에 있는 모든 개인이 이상적인 정신 건강에서 벗어난다는 것이지만, 그것이 그 행동이 비정상적이라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친척을 잃은 사람은 괴로워서 한동안 '이상적인 정신 건강'에서 벗어나지만, 그들의 괴로움은 예상된 반응이기 때문에 비정상적인 것으로 정의되지 않는다.[14]
이상을 정의하는 일반적인 접근방식은 이상에 대한 모든 정의를 사용하여 개인의 행동이 비정상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다중 기준 접근방식이다. 예를 들어, 심리학자들은 다음과 같은 기준을 충족한다면 개인의 행동을 "비정상적"으로 정의할 준비가 되어 있을 것이다.
- 개인은 그들이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하는 행동에 관여하고 있다.
- 개인은 사회적 규범을 어기는 행동에 관여하고 있다.
- 개인은 통계적으로 드문 행동을 하고 있다.
다기준적 접근법에 의해 평가된 비정상적 행동의 좋은 예는 우울증이다: 이상적인 정신 안정의 일탈로 흔히 보여지며, 그것은 종종 개인의 정상적인 생활을 '기능'하는 것을 멈추게 하며, 비교적 흔한 정신 장애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통계적으로 드물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일생 동안 심각한 우울증을 겪지 않는다.[15] 따라서 우울증과 그 관련 행동은 비정상적인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참고 항목
![]() | 무료 사전인 Wiktionary에서 비정상적으로 찾아 보십시오. |
참고 및 참조
- ^ 심리학: 핵심 개념, n.d.
- ^ 이란 인구의 단면적 연구, N.d.
- ^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of Abnormal Behavior" (PDF). csun.edu. Retrieved 30 September 2014.
- ^ Marty, Meghan A.; Segal, Daniel L. (2015). "DSM-5". The Encyclopedia of Clinical Psychology. American Cancer Society. pp. 1–6. doi:10.1002/9781118625392.wbecp308. ISBN 9781118625392.
- ^ Butcher, James; Mineka, Susan; Hooley, Jill (2007). Abnormal Psychology and Modern Life (13th ed). Boston, MA: Allyn & Bacon.
- ^ McLeod, Saul (2014). "The Medical Model". Simply Psychology. Retrieved 11 February 2017.
- ^ "About DSM-5 and Development". www.psychiatry.org. Retrieved 2021-06-04.
- ^ a b "Normal vs. Abnormal Behavior: A Continuum". First Responder's Guide to Abnormal Psychology. Springer, Boston, MA. 2007. pp. 13–18. doi:10.1007/978-0-387-35465-1_2. ISBN 9780387351391.
- ^ 듀랜드, 브이앤바로우, 디(2016). 비정상적 심리학의 필수 요소. 보스턴, MA: Cengage Learning.
- ^ Mills, Daniel S. (2003-05-02). "Medical paradigms for the study of problem behaviour: a critical review". Applied Animal Behaviour Science. 81 (3): 265–277. doi:10.1016/S0168-1591(02)00286-1. ISSN 0168-1591.
- ^ 데이비드 로젠한&마틴 셀리그먼(1984) 이상심리학
- ^ "Mental Illness in Americ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99-10-09.
- ^ "Abnormal Psychology Simply Psychology". www.simplypsychology.org. Retrieved 2018-04-07.
- ^ "Complicated Grief Needs Specific Treatment".
- ^ "How prevalent is mental illness in the U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