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들리 H. 글래든

Adley H. Gladden
애들리 호건 글래든
Adley Hogan Gladden.jpg
애들리 호건 글래든
닉네임"벵갈 호랑이"
태어난(1810-09-28)1810년 9월 28일
사우스캐롤라이나 주 페어필드 구
죽은1862년 4월 12일(1862-04-12) (51)
테네시 주 샤일로
파묻힌
앨라배마 모바일 매그놀리아 묘지
얼리전스 미국
Confederate States of America 미국 연방
서비스/지점 미국 육군
남부 연합군
근속년수1846-1848(미국)
1861–1862(CSA)
순위 Union Army LTC rank insignia.png중령(미국)
Confederate States of America General-collar.svg준장(CSA)
구성 단위Louisiana 제1회 루이지애나 레귤러즈
1 여단
전투/와이어제2차 세미놀 전쟁
멕시코-미국 전쟁

미국 남북 전쟁

애들리 호건 글래든(Adley Hogan Gladden, 1810년 9월 28일 ~ 1862년 4월 12일)은 멕시코-미국 전쟁 당시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지원병들의 팔메토 연대 중령 겸 제2대장이었으며, 미국 남북전쟁 당시 남군 주군준장이었다. 그는 펜사콜라유니온 군대의 폭격으로부터 방어한 후 브랙스턴 브래그 장군에 깊은 인상을 남겼고, 앨라배마 모빌에서 간단한 임무를 마치고 미시시피 코린트로 끌려가 미시시피 육군에서 여단을 지휘하게 되었다. 그는 실오 전투에서 치명상을 입었다.[1]

초년기

애들리 호건 글래든은 1810년 10월 28일 사우스 캐롤라이나의 페어필드 구역에서 태어났다.[2][3] 1830년, 그는 사우스 캐롤라이나의 콜롬비아에서 면화 중개인이 되었다.[2] 그는 플로리다 전쟁이나 제2차 세미놀 전쟁에 참전했다.[2][3] 는 존 타일러 대통령에 의해 사우스 캐롤라이나 주 컬럼비아의 우체국장으로 임명되었다.[2]

멕시코-미국 전쟁

멕시코-미국 전쟁에서 글래든은 소령이었고, 그 후 사우스캐롤라이나 주 지원군 팔메토 연대장이었다.[1][2] 글래든은 추루부스코 전투에서 멕시코 작품을 습격하다가 대령과 중령 계급이 사망한 후 중령이자 연대장이 되었다.[1] 그는 멕시코시티 전투에서 벨렌 게이트를 습격하는 과정에서 팔메토 연대를 지휘했는데, 그 역시 중상을 입었다.[1][2][3]

글래든은 전쟁이 끝난 후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로 이사했다.[2]

미국 남북 전쟁

1861년 1월 25일 글래든은 사우스캐롤라이나 제1보병연대의 중령 임명을 받아들였으나 곧 사임하여 루이지애나 분리 협약의 일원이 되었다.[2][3] 대회가 끝난 후 루이지애나 제1보병연대(정규대) 대령이 되어 그 연대를 데리고 플로리다 펜사콜라로 갔다.[2] 1861년 9월 30일, 그는 준장을 임관하여 제1 루이지애나 보병 연대를 포함한 여단 사령부에 배속되었고, 그 중 미래의 준장 다니엘 와이지거 아담스가 대령이 되었다.[1][2] 펜사콜라 항에서 남부군 포병대의 폭격 동안 그는 여단을 지휘했고, 브랙스턴 브래그 장군은 글래든이 제공한 유능한 지원에 감사를 표했다.[1] 1861년 12월 22일부터 1862년 1월 27일까지 펜사콜라 군단장을 지냈다.[3]

이어 브래그 장군은 훈육과 공무상 우수성을 모범으로 삼아야 할 연대 여단을 결성하고 싶다는 뜻을 밝히며 글래든 장군이 지휘하기를 바라야 한다고 말했다.[1] 1862년 1월 27일 글래든은 1862년 3월 9일까지 앨라배마주 모빌로 이감되었다가 미시시피주 코린트로 이감되어 4개의 앨라배마 연대, 제1 루이지애나주, 로버트슨의 미시시피주 육군 전지로 구성된 여단을 지휘하게 되었다.[1][3][4]

1862년 4월 6일 실오 전투 첫날 글래든은 들판에서 팔을 절단해야 하는 포탄 파편에 의해 치명상을 입었다.[1][2][3]

1862년 4월 6일 실로에서 알버트 시드니 존스턴 장군의 사망 후 미시시피 육군 사령관 P. G. T. Beauregard 장군은 글래든의 죽음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필드의 같은 사분면에 존 C가 강화한 글래든 여단을 포함한 위더스 사단의 모든 사단은 다음과 같다. 브레킨리지의 전적인 예비군, 곧 약혼이 되었고, 벤자민 프렌티스의 전 대사는 비록 완강하게 싸우긴 했지만 혼란 속에서 뒤로 밀려났다. 우리는 일찍이 그 용맹한 글래든의 서비스를 잃었는데, 그는 군인처럼 적성과 경험을 갖춘 사람으로, 그 분야에서 그 문제에 현저한 영향력을 행사한 후 치명상을 입었다."[1]

애들리 호건 글래든은 1862년 4월 12일에 세상을 떠났다.[3][5] 그는 목련 묘지(모바일, 앨라배마 주)에 안장되어 있다.[3][5]

참고 항목

남북전쟁의 장군 목록(충돌)

메모들

  1. ^ a b c d e f g h i j 글래든의 군생활에 관한 많은 정보는 1923년 이전에 출판된 공공 도메인 책인 디미트리, 존 불 스미스에서 가져왔다. 남부 연합 군사 역사: 루이지애나, 아칸소 제10권. 에반스, 클레멘트 안셀름, 에드 애틀랜타: 남부 연합 출판사, 1899년. OCLC11645726. 2011년 7월 20일 회수. 페이지 301~302. 기사는 이 페이지에 처음 기재된 이후 편집되어 추가 사실과 출처가 추가되었지만, 여전히 그 계정에서 필수적인 사실들을 담고 있다.
  2. ^ a b c d e f g h i j k 워너, 에즈라 J. Generals in Gray: 남부 연합 사령관들의 삶. 배턴 루즈: 루이지애나 주립대학 출판부, 1959. ISBN 978-0-8071-0823-9. 페이지 107.
  3. ^ a b c d e f g h i 아이허, 존 H, 데이비드 J. 아이허, 남북 전쟁 고등 사령부. 스탠포드: 스탠포드 대학 출판부, 2001. ISBN 978-0-8047-3641-1. 페이지 256.
  4. ^ 시파키스, 스튜어트 남북전쟁에서 누가 누구였는가. 뉴욕: 팩트 온 파일, 1988. ISBN 978-0-8160-1055-4. 페이지 251.
  5. ^ a b 워너, 1959년 페이지 108.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