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누만 3세

Al-Nu'man III ibn al-Mundhir

Al-Nuʿmān III ibn al-Mundhir (Arabic: النعمان بن المنذر‎), also transcribed Naʿaman, Nuʿaman and Noman and often known by the patronymic Abu Qabus (أبو قابوس), was the last Lakhmid king of al-Hirah (582 – c. 602) and a Nestorian Christian Arab. 그는 가장 중요한 라흐미드 통치자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

전기

유년기와 형제자매

알누만(Al-Nu'man)은 알-문드히르 4세 ibn 알-문드히르(.r 575–580)와 살마의 아들이었다. 그녀는 파닥 출신의 유대인 금장사 와일 이븐 아티야(Wa'il ibn Atiyyah)의 딸로 바누 칼브 부족의 알 하리스 이븐 히스의 노예였다.[1][2] 그의 어머니의 기원은 종종 현대 시인에 의해 알누만을 조롱하는 데 사용되었다.[3][4] 게다가 아랍 소식통들은 만장일치로 알누만을 특별히 못생긴 사람으로 묘사하고 있으며, 그의 붉은 머리, 작은 키, 얼룩덜룩한 피부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2][5]

타바리에 따르면 그는 어릴 적 기독교 시인 아디 이븐 자이드에 의해 양육되었는데, 그는 형제들과 함께 라흐미드의 오버로드인 사사니아 왕을 위해 아랍 문제 서기관으로 일했다.[6][7] 그는 출처에 따르면 11명, 12명 등 수많은 형제들을 거느리고 있었지만 그 중 바누 마리나의 고귀한 일족에 의해 길러진 이복동생 알 아스와드 한 명만이 그 어떤 중요한 인물이었던 것 같다.[6][8]

군림하다

코인 오브 호르미즈드 4세.r (579–590.

580년 알누만의 승계는 바누 마리나 일족이 동생 알 아스와드를 지지했기 때문에 아무런 반대도 없었다. 사사니아의 군주 호르미즈드 4세(.r 579–590)는 이야스 이븐 카비사타이를 임시 총독으로 임명했고, 라흐미드 왕조 중 적합한 후보가 모색되었다. 아랍 소식통은 아디 이븐 지야드의 개입이 결정적이라고 전했다. 아디는 알-문드히르의 다른 아들들을 호르미즈드에게 먼저 출두하게 했는데, 호르미즈드에게는 사무실의 임무를 완수할 수 있느냐고 물었다. 이에 아디가 교육을 받은 그들은 모두 대답하였다. `알누만을 제외하고, 우리는 아랍인들을 통제할 수 있다.' 알누만이 꼴찌가 되자 그는 아랍인뿐만 아니라 형제자매까지 장악하겠다고 자신 있게 약속하면서 "내가 그들을 상대하지 못하면, 나는 누구에게도 대처할 수 없다"고 자랑했다. 그의 대답에 흐뭇한 호르미즈드는 그를 왕으로 추대하고 6만 디르함스(dirhams)에 달하는 금과 송을 씌운 왕관을 주어 그의 입장을 확인했다.[9][10]

알누만은 강하고 정력적인 통치자였지만 그의 통치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1][11] 그는 그의 대상인 부족과 종족들 사이의 분열에 직면했다. 그리하여 그가 바누 타밈의 하위집인 야르부로부터 사단을 전투로 이끌 권리(일명 리다파)를 제거하고 또 다른 하위집인 다림에게 주려 하자, 이는 티흐파에서 두 사람 사이에 격렬한 충돌을 불러일으켰다. 알누만이 다림에게 준 지원에도 불구하고, 야르부는 승리하고 심지어 천 마리의 낙타를 찾아 헤매야 하는 알누만의 형제와 아들을 포로로 잡기까지 했다.[1][12]

그의 전임자들과 달리, 알 누만은 라흐미드의 전통적인 아랍 라이벌인 가샨족과 거의 관계하지 않았는데, 후자는 580년 비잔틴의 지배층과 함께 떨어져 이 지역의 세력 요인으로 제거되었기 때문이다.[1] 알누만이 유일하게 기록한 군사활동은 572–591년 비잔틴-사시안 전쟁 당시 비잔틴의 서체시움 요새에 대한 공격이다.[1][13] 아랍인들에 따르면, 알누만은 590년 호르미즈드의 아들 호스로 2세(591–628)r가 바흐람 초빈에서 비행하던 중 호르미즈드의 아들 호스로 2세(591–628)에게 피난처를 제공했고, 그와 함께 나흐로완에서 유서퍼의 군대에 맞서 싸웠다.[1][14]

몰락, 죽음, 여파

코인 오브 호스로 2세.r (591–628.

호스로가 원조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호스로가 왕위에 복귀한 후 두 사람은 물러났다. 소식통들은 알누만이 자신의 말을 호스로에게 주거나 그의 딸 중 한 명인 힌두교인과 그의 친척 중 한 명인 호스로의 결혼을 거부한 데 따른 것으로 그들의 논쟁을 이렇다 할 이유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14] 그것은 알누만과 그의 수석 의원인 아디 이븐 자이드 사이에서 발생한 이전의 실각과 관련이 있었다. 그는 알누만 반대 음모를 꾸몄다는 의심을 받고 처형되었다. 아디의 아들은 호스로우의 귀를 가지고 있다가 페르시아 통치자를 알누만에게 간신히 등을 돌렸다.[1] 후자가 네스토리아 기독교로 개종한 것도 호스로우가 자신의 궁정에서 고조되고 있는 기독교인들의 영향력을 불신했기 때문에 한 요인이 되었을 것이다.[14] 반면 기독교의 네스토리아 지부는 일반적으로 사사니아 통치자들에게 덜 적대적인 모습을 보였으며, 호스로우 자신은 기독교인 시린과 결혼했다.[1]

일단 호스로우의 적개심을 알게 된 알누만은 수도를 도망쳐 바누 바크르 사이에서 피난처를 찾았지만 결국 항복할 수밖에 없었고 코끼리에 짓눌려 처형당했다.[14][15] 그러나 시리아크 연대기에 따르면, 호스라우는 누만에게 불명예와 함정에 빠진 연회에 초대했다;[16] 또 다른 시리아크 연대기에는 호스로우가 그의 아들들과 함께 누만을 포로로 잡았고, 그 후 독살당했다고 말한다.[17]

알누만 통치 말기는 일반적으로 현대 학자들에 의해 602년에 배치된다.[18][19] 체포 후, 호스로우는 라흐미드족을 완전히 권력에서 몰아내고 알히라의 지배를 이야스 이븐 카비사 알타이에 맡겼다.[14] 이로써 라흐미드 왕조는 종말을 맞이하게 되었는데, 페르시아는 3세기 가까이 아랍 부족에 대항하여 사실상 방패막이 되었다.[14][20] 매우 빠르게, 이것의 악영향은 스스로 느꼈는데, 바크르가 이야스에게 불만을 품은 채 반란을 일으켜, 디카르 전투에서 페르시아군을 격파했을 때였다. 628년 호스로가 몰락한 이후 페르시아의 불안정성이 증가하면서, 이러한 사건들은 636년 결정적인 카디시야 전투와 무슬림들의 페르시아 정복을 예고했다.[20][21]

레거시

이르판 샤흐흐드(Irfan Shahîd)에 따르면 후기 역사에서 알누만 ibn al-Mundhir의 치세는 "할아버지 알-문드히르 3세 이후 가장 기억에 남는다"[1]고 한다. 알 히라의 라흐미드 수도는 그 시대의 주요 아랍 문화 중심지로서, 특히 알 누만의 시인들의 후원을 통해, 특히 아디 이븐 자이드와 창시파 알 나비가를 중심으로 계속되었다.[1]

알누만 역시 591년 비잔티움과의 평화가 종결된 후 처음으로 기독교로 공공연히 개종했다. 이것은 특히 페르시아만동부 아라비아에서의 선교 활동에 있어서 주요 네스토리아 기독교 중심지로서의 알 히라의 중요성을 강화시켰고,[1] 주교의 자리였다.[1]

참조

  1. ^ a b c d e f g h i j k l 샤흐흐드 1995, 페이지 119.
  2. ^ a b 보즈워스 1999 페이지 341.
  3. ^ 보즈워스 1999 페이지 341 (주 807)
  4. ^ 로스테인 1899 페이지 108-109.
  5. ^ 로스테인 1899 페이지 108.
  6. ^ a b 로스테인 1899 페이지 109–110.
  7. ^ 보즈워스 1999, 페이지 340.
  8. ^ 보즈워스 1999, 페이지 340–341.
  9. ^ 보즈워스 1999, 페이지 340–344.
  10. ^ 로스테인 1899 페이지 110–111.
  11. ^ 로스테인 1899 페이지 111.
  12. ^ 로스테인 1899 페이지 112–113.
  13. ^ 로스테인 1899 페이지 111–112.
  14. ^ a b c d e f 보즈워스 1983, 페이지 3
  15. ^ 샤흐흐드 1995, 페이지 119–120.
  16. ^ 필립 드 수자와 존 프랑스, 고대 및 중세사의 전쟁과 평화, 139쪽; 쿠지스탄 크로니클 9
  17. ^ 하마드 알라지미, '이슬람 이전의 시와 언어법 이론: 알-아샤, 비슈르 이븐 아비 카짐, 알-후자야'(미발표 박사학위 논문, 인디애나 대학교, 2012), 페이지 4).
  18. ^ 로스테인 1899 페이지 71.
  19. ^ 보즈워스 1983 페이지 4
  20. ^ a b 샤흐흐드 1995, 페이지 120.
  21. ^ 보즈워스 1983, 페이지 3-4.

원천

  • Bosworth, C. E. (1983). "Iran and the Arabs Before Islam". In Yarshater, Ehsan (ed.).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The Seleucid, Parthian, and Sasanian periods (1).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593–612. ISBN 978-0-521-200929.
  • Bosworth, C.E., ed. (1999). The History of al-Ṭabarī, Volume V: The Sāsānids, the Byzantines, the Lakhmids, and Yemen. SUNY Series in Near Eastern Studies. Albany,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ISBN 978-0-7914-4355-2.
  • Rothstein, Gustav (1899). Die Dynastie der Lahmiden in al-Hîra. Ein Versuch zur arabisch-persichen Geschichte zur Zeit der Sasaniden [The Dynasty of the Lakhmids at al-Hira. An Essay on Arab–Persian History at the Time of the Sasanids] (in German). Berlin: Reuther & Reichard.
  • Shahîd, Irfan (1995). "al-Nuʿman (III) b. al-Mund̲h̲ir". In Bosworth, C. E.; van Donzel, E.; Heinrichs, W. P. & Lecomte, G. (eds.). The Encyclopaedia of Islam, New Edition, Volume VIII: Ned–Sam. Leiden: E. J. Brill. pp. 119–120. ISBN 978-90-04-09834-3.

추가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