앨버트 E.슈바브
Albert E.알베르트 어니스트 슈워브 | |
---|---|
![]() 앨버트 E.슈와브, 사후 명예 훈장 수여자 | |
태어난 | 워싱턴 | 1920년 7월 17일
죽은 | 1945년 5월 7일 오키나와, 류큐 열도, 일본 제국 | (24세)
매장지 | 오클라호마 툴사 기념공원묘지 |
얼리전스 | ![]() |
서비스/지점 | ![]() |
근속년수 | 1944–1945 |
순위 | ![]() |
구성 단위 | 1대대대, 해병 5대, 해병 1사단 |
전투/와이어 | 제2차 세계 대전 |
수상 | 메달 오브 아너 퍼플 하트 |
일등병 알베르트 어니스트 슈와브(Albert Athen Schwab, 1920년 7월 17일 ~ 1945년 5월 7일)는 오키나와 전투 중 영웅적인 행동으로 미국의 최고 군사적 영예인 명예훈장을 추서받은 미 해병이다.미 해병대의 1년 복무 완료까지 불과 5일밖에 남지 않은 1945년 5월 7일, PFC 슈와브는 중요한 전투 단계에서 일본의 중요한 기관총 두 자리를 단독으로 파괴하여 그의 고정된 부대가 전진할 수 있도록 했다.
전기
알버트 어니스트 슈워브는 1920년 7월 17일 워싱턴 D.C.에서 태어났다. 그의 생애 초기에, 그의 가족은 오클라호마주 툴사로 옮겨왔고, 그는 1937년에 툴사 고등학교를 졸업했다.툴사 대학에서 한 학기를 마친 뒤 슈와브는 석유 회사에 출근했다.[1]
1944년 5월 12일 해병대에 입대하여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에서 신병훈련을 받았다.졸업 후 그는 열흘간의 휴가를 얻어 집으로 돌아갔다. 그의 가족은 그가 해병대 유니폼을 입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는 유일한 시간이었다.이후 슈와브는 캘리포니아주 캠프 펜들턴의 제2훈련대대에 파견됐다.11월에 그는 제13차 대체 초안으로 이송되었고 1944년 11월 12일 USS 와튼호(AP-7)를 타고 해외 근무를 떠났다.러셀의 파부부 섬에서 제1 해병 사단에 입대하여 본부 중대, 제1 대대, 제5 해병대에 배속되었다.1944년 12월 24일, Pvt Schwab은 일등석으로 진급하였고, 1945년 2월, 나머지 사단과 함께 기동훈련에 나섰고, 결국 1945년 4월 1일 부활절 일요일 일본 오키나와 해안에 상륙하였다.[1]
퍼스트 클래스 슈와브 일병은 본사 사의 화염방사기 운영자였다.5월 7일, 그 회사가 계곡에 갇혔을 때, 높은 산등성이에서 회사 앞으로 오는 기관총의 시들어가는 불에 의해, 슈와브는 심한 불 앞에서 벼랑을 기어올라 그의 화염방사기로 그 총을 공격했다.그 직책과 그 승무원을 재빨리 무너뜨리고, 그의 회사는 능선을 점령할 수 있었다.거의 즉시, 두 번째 기관총이 발사되어 부대에 더 많은 사상자를 냈다.비록 연료 공급을 보충할 시간이 없었지만, PFC 슈와브는 주저하지 않고 두 번째 총을 향해 전진했고, 마지막 폭발이 그의 왼쪽 엉덩이에 걸려 치명상을 입혔다.[1]
슈바브 일병의 시신은 미국으로 송환되어 1949년 2월 27일 툴사 메모리얼 파크에 군장되었다.[1]
명예훈장은 1946년 현충일에 툴사 볼더공원에서 열린 PFC 슈워브의 세 살배기 아들에게 수여됐다. 미국 해군항공기초기수련사령부(USN) 사령관 J.J. 클라크가 텍사스 주 코퍼스 크리스티 해군항공기사령관을 맡았다.[1]
명예훈장 표창
미국 대통령은 사후 명예훈장을 수여하는 것에 자부심을 갖는다.
미국 해병대 예비군
다음 인용문에 명시된 서비스:
- 1945년 5월 7일, 류큐 제도 중 하나에 있는 오키나와 시마에서 일본군에 대항하여 본부, 제1대대대, 제5 해병대, 제1해병사단 소속의 화염방사기 운영자로서 목숨의 위와 너머에 있는 그의 눈에 띄는 용맹과 용맹을 위해.높은 산등성이에서 전방으로 뿜어져 나오는 기관총 포화에 의해 그의 회사가 계곡에 갇혔을 때 재빨리 조치를 취하자, 일등병 슈워브는 양쪽의 가파른 절벽으로 인해 적의 전위대를 측면으로 향할 수 없게 되어 과감하게 저항하며 산등성이의 얼굴을 향해 전진했다.긴장된 빗장과 화염방사기의 화재를 능숙하게 지휘한 그는 재빨리 적대적인 총 위치를 파괴하여 그의 회사가 산등성이를 점령할 수 있게 했다.갑자기 두 번째 일본 기관총이 발사되었고, 초기 폭발로 여러 명의 해병대가 죽거나 부상을 입었다.슈와브 일병은 동료들이 직면하고 있는 전술상의 어려움을 1초 단위로 추정하면서 화염방사기에 대한 연료 공급이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1인 공격을 계속하기로 결정했다.냉정하고 불굴의 자세로 적의 포화가 직접 집중되는 앞에서 앞으로 나아가서 가차없이 적의 진지를 폐쇄하고 공격했다.비록 적군 무기의 마지막 악랄한 공격으로 중상을 입었지만, 슈와브 일병은 작전의 중요한 단계 동안 두 개의 매우 전략적인 일본 총 위치를 파괴하는 데 성공했고, 그의 용감하고 한손의 노력으로 그의 회사의 발전을 실질적으로 손상시켰다.격렬한 분쟁 내내 그의 공격적인 주도권, 뛰어난 용맹, 그리고 전문적인 기술은 미국 해군 서비스의 최고 전통을 유지하고 강화시켰다.그는 나라를 위해 용감하게 목숨을 바쳤다.[2]
/S/HARY S. 트루먼
명예
- 2001년, 캘리포니아 미드웨이 시티에 있는 아메리칸 레전드 포스트 555는 알버트 E로 이름을 바꾸었다.레전드 포스트 555 멤버의 동생 슈와브에 이어 슈와브 아메리칸 레전드 포스트.[4][5]
- 오클라호마주 슈밥의 고향인 툴사(Tulsa)에 있는 해병대 리그 857부대는 '앨버트 E'이다.슈와브 분리.[6]
- 툴사 국제공항에 슈밥의 영예로운 전시회가 세워졌다.이후 2011년 완공된 동상이 추가됐다.
참고 항목
참조
- 횡대로
- ^ a b c d e f "PFC 앨버트 E."슈와브", 누가 해병대 역사에 남을 것인가.
- ^ "PFC 앨버트 E."슈와브" 해병대가 명예훈장을 수여했다.
- ^ Kaemmerer, LCPL T.J. (July 1, 2005). "Camp Schwab remembers namesake, fallen hero". Okinawa Marine. United States Marine Corp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28, 2007. Retrieved 2007-11-03.
- ^ Dana Parsons (April 18, 2001). "At Midway City Post, Disputes are Legion". Metro. Los Angeles Times. p. 3. Retrieved May 21, 2012.
- ^ Dennis Arp (June 7, 2001). "Itinerary: World War II". Calendar. Los Angeles Times. p. 3. Retrieved May 21, 2012.
- ^ "Albert E. Schwab Marine Corps League Detachment 85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7-01-06.
- "Private First Class Albert Schwab, USMCR". Who's Who in Marine Corps History. History Division, United States Marine Corp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5-16. Retrieved 2007-11-03.
- "PFC Albert E. Schwab, Medal of Honor, 1945, 1/5/1, Okinawa (Medal of Honor citation)". Marines Awarded the Medal of Honor. History Division, United States Marine Corp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7-02-22.
추가 읽기
- Alexander, Colonel Joseph H., USMC (Ret) (1995). The Final Campaign: Marines in the Victory on Okinawa. Marines in World War II Commemorative Series. Washington, D.C.: History and Museums Division, United States Marine Corp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November 2007. Retrieved 2007-11-03.
{{cite book}}
: CS1 maint : 복수이름 : 작성자 목록(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