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비누스(목)

Albinus (cardinal)

알비누스[1](Albinus, 1197년 사망)는 12세기 후반의 이탈리아 추기경이었다. 밀라노 출신, 아니 아마도 가에타 출신으로 아우구스티누스의 정규 캐논이 되었다.[2]

초년기

알비누스는 어린 나이에 고아가 되어,[3] 수도사였던 외삼촌에게 끌려들어, 그가 살아 있는 한, 아버지와 어머니 역할을 모두 하며 신앙심을 가르쳤다.[4] 어느 틈엔가 밀라노 교구의 산타 마리아 데 크레스첸차고에서 캐논 정관이 되었다.[5] 그리고 나서 그는 고국을 떠났다.[6] 고국, 고국, 고국, 고국. 그 후 그는 형 리차드의 감독하에 합격했는데, 그 당시 그는 훨씬 후에 오르비토(1177–1201)의 주교가 되어 교양과목을 공부했다.[7][8] 생활비를 지불하기 위해 알비누스는 교직을 맡아야 했다.[9] 그 후 그는 철학을 연구했고,[10] 또한 성직자들과 그라티아인으로부터 자료를 연구하면서 성론법으로도 발전했다.[11] 그는 신학 연구에 광범위한 에너지를 주었으며, 피터 롬바르드문장들을 잘 알고 있었다.[12] 1186년 6월 29일의 문서에서 교황 우르바노 3세는 알비누스 추기경을 "마기스터"[13]라고 칭한다.

그가 '비르'가 되었을 때 로마로 불려갔고, 루치우스 교황 2년 1182년, 추기경 서명이 가장 이른 12월 23일 이전에 집사 서품을 받았으며,[14] 같은 교황 4년 1185년 3월에 사제 서품을 받았다.[15]

그는 1182년 12월 엠버 데이 때 벨레트리에서 열린 성찬식에서 루치우스 3세 교황에 의해 산타 마리아 누오바의 추기경 집사가 되었다. 그는 1182년 12월 23일 교황 문서에 처음으로 서명한다.[16]

투스쿨룸

교황 알렉산데르 3세는 1181년 8월 30일 시비타 카스텔라나에서 망명 중 사망했다.[17] 그의 시신은 장례를 치르기 위해 로마로 다시 끌려오고 있었기 때문에 로마 시민들에 의해 돌로 처리되었고, 다만 어렵게 라테란에 매장될 수 있는 허가를 받았다.[18] 그의 후계자 루치우스 3세는 1181년 9월 1일에 선출되었으나, 로마인들의 적대감 때문에 벨레트리에서 성결하고 즉위해야 했다.[19] 그는 10월 말에야 로마로 돌아갈 수 있었지만, 1182년 3월 중순, 이전의 교황들이 양보한 콘세투데인을 허락하는 것을 거절한 그는 벨레트리로 후퇴할 수밖에 없었다.[20] 그 사이 로마 공동체에 의해 세기 초 파괴되었던 투스쿨룸에서 피난민들이 요새를 재건하기 시작했다. 그 도전에 짜증이 난 로마 공동체는 전쟁을 재개했다. 루치우스 교황은 투스쿨리안스의 일부를 맡았으나 로마인들이 잇따라 성공을 거두자 이탈리아의 제국 비카르, 마인츠 대주교 크리스찬의 도움을 요청했다. 크리스찬은 간신히 로마인들을 몰아냈지만 곧 투스쿨럼에서 열병으로 죽었다. 로마인들은 다시 공세를 펴서 1184년 4월 투스쿨룸의 영토를 황폐화시킨 다음 라티움에게 분노를 돌렸다. 이어 교황은 베로나에 있던 프레데릭 황제로 베롤리에서 소라로, 그 다음 안코나, 리미니, 파엔자, 모데나로 피신했다.[21]

로마인들은 그들의 호전주의와 교황에 대한 태도를 승리한 시위로 라티움에서 그들의 군인들이 붙잡은 26명의 성직자들을 데리고 가서 한 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눈이 멀었다. 각각 머리에 종이 한 장씩을 고정시키고 엉덩이에 달았다. 각각의 목 주위에는 플래카드가 채워져 있었는데, "S. 조르지오 ad velum aureum"이라고 쓰여 있었다(예를 들어, 이 사람은 S. 조르지오 ad velum aureum의 추기경이다). 실명하지 않은 자는 '교황'으로 지정되었고, 그는 '교황'을 교황 루치우스에게 인도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실제 추기경 중에는 루치우스 교황을 따라 베로나로 간 추기경도 있었고, 그중에는 산타 마리아 노바의 알비누스 추기경도 있었다. 그러나 추종자들이 폭동을 자행했던 다른 추기경들은 이 도시에 남아 있었다.[22]

베로나

알비누스는 교황 북으로 이동해 프레데릭 바르바로사 황제를 만난 추기경 중 한 명이었다 3세와 함께 루치우스.[23] 1184년 7월 14일 모데나 대성당 성당에 교황과 함께 참여한 추기경 10명 중 한 명이었다.[24] 1185년 2월 27일 베로나에서 라티스본에 있는 S. 마리아 교회에 찬성하는 황소를 추기경 집사로 등록했다.[25] 그는 1185년 3월 15일에서 1185년 3월 19일 사이에 베로나에서 교황과 함께 예루살렘에서 산타크로체라는 칭호를 받으며 추기경으로 승진했다.[26] 교황이 죽기 2주 전인 1185년 11월 11일 그와 17명의 동료들은 S. Peter Lobiensis의 수도원에 찬성하는 황소를 구독했다.[27] 루치우스는 1185년 11월 25일 사망하였고, 후계자 선출은 같은 날 장례식이 끝난 직후에 이루어졌다. 알비누스 추기경은 새 교황 선출에 확실히 참여했는데, 그것은 간결하고 만장일치였다.[28] 페르디난드 그레고로비우스의 말로 밀라노 대주교 겸 다마소 로렌초 추기경인 험베르투스 크리벨리가 "폭력적이고 굽히지 않는 정신이며 프레데릭(바르바로사)"의 강력한 적수였다. 그는 Urban III라는 이름을 가졌다.[29]

Urban III는 루치우스 3세의 반제국주의 정책을 지속하고 강화했다. 아직 베로나에 있는 알비누스 추기경은 계속해서 서류를 구독했다. 1185년 12월 16일, 소이손 교구에서 S. Peter de Consiaco의 전리품과 재산을 확인하는 황소와 아미엔스의 S. Maria Montisdesideri의 클루니악 전리품에 그의 이름이 나타났다.[30] 1186년 1월 11일 베로나에서 루체르나의 산타 트리니타스 수도원에 찬성하는 황소를, 1월 20일에는 피아첸사의 S. 식스토스 수도원에 찬성하는 황소를 모집했다. 1월 27일, 그는 S. Maria de Reno에 가입했다.[31] 1186년 8월 30일, 그는 S. 마리아 드 시탄슈타인의 수도원을 위해 황소와 계약한 18명의 추기경들 중 한 명이고, 9월 20일, 베르가모에 있는 S. 마리아 수녀들의 특권을 기부했다.[32] 1186년 10월 24일, 알비누스는 베로나에서 교황 우르바노 3세를 위해 최근에 알려진 황소를 구독했다.[33] 1187년 9월, 교황 우르반은 베로나의 제국 봉쇄에서 탈출할 수 있었고, 페라라로 도망쳐 1187년 10월 20일 사망하였다.[34]

로마

교황 클레멘스 3세는 1187년 12월 19일 피사에서 선출되었다.[35] 그는 1월 마지막 주에 피사를 떠나 1188년 2월 11일에 로마에 도착했다. 테레사 몬테슈치 팔라치는 알비누스 추기경이 이미 로마에 있었고, 로마시의 교황 대리인으로 활동했다고 주장하는데, 이는 그에 대한 교황의 신뢰의 표시다.[36]

그는 교황의 중요한 인물이었다. 1188년 여름, 그와 함께 다마소의 S. 로렌초 추기경 페트루스(Petrus)는 교황 클레멘스 3세에 의해 시칠리아 왕 윌리엄 2세의 교황 공관으로 임명되어, 큐리아와 왕 사이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임무를 맡았다. 윌리엄 왕은 추기경들을 통해 교황직에 대한 충성을 맹세했다.[37]

그는 1189년부터 1197년까지 알바노의 주교였다.[38][39]

교황 셀레스티네 3세 (1191년–1198년)는 포르티쿠의 산타마리아의 그레고리 갈가노 추기경과 함께 나르니 교회의 카논 서품 논란에서 그를 감사(판사)로 임명했다.[40] 정치에서 그는 레체[41] 탠크레드와 사이가 좋았다 1191년 7월 7일 알비누스 추기경이 메세니아에 있으면서 교황 셀레스티네 3세의 대리인으로 활동했다 그의 요청으로 시칠리아 [42]탠크레드 왕은 가에타시가 그에게 두 갤리선을 파견할 의무와 한 마리를 파견할 의무를 줄였다

1196년 5월 26일 알비누스 추기경은 루시나에 있는로렌초 성당의 성당에 참여하였다.[43]

그가 최근 교황 문서를 구독하는 날짜는 1196년 7월 9일이며, 1198년 3월 교황 인노첸시오 3세는 자신이 죽었다고 언급했다.[44]

는 자유 검열의 원천인 게슈타 포페리스 스콜라리스의 작가였다.

참고 및 참조

  1. ^ 알비니, 알비노.
  2. ^ 블루멘탈, 페이지 18-20. 블루멘탈이 지적하는 바와 같이 밀라노 태생의 가장 초기 출처는 S. 마리아 데 크레스첸차고의 수도사였던 조반니 데 필리피(c. 1480–1535)이다.
  3. ^ 블루멘탈, 페이지 11. "...안테 미아 유아암 파울로 - 우트리우스케 쿠라 부모 또는 바투스 essem..".
  4. ^ 몬테치 팔라치, 660 페이지: "Avunculi tamen mei ratteru et resurna me vietas rememberlegit et amboria genicatorum in my dum vixit indesinter ostendit."
  5. ^ 블루멘탈, 페이지 19.
  6. ^ "De domo patris longius me iam recedente… et magni consilii angelo duce vie <estraneus> in gente alia factus esseem." 631페이지의 몬테치 팔라치는 이것을 빌레 우주선으로 떠났다는 뜻으로 받아들인다. 그녀는 파리가 아닐까 추측한다. 롬바르디를 떠나 볼로냐로 떠났다는 뜻도 될 것이다. Cf. 블루멘탈, 페이지 14.
  7. ^ 블루멘탈, 페이지 19-20. 몬테치 팔라치, 635페이지.
  8. ^ 몬테치 팔라치, 페이지 662: "기그나시움 아리오파기, 팩투스 에물루트 외 아디우투스 리카르도, 우르베베베타노 롱토 템포레포, 파페리모 엣 자궁경부 25 파르트 게르마노의 베니모. 자유 이그티투르 루럼, 아르티버스 사인 옴니리브로 콰이아 세쿠스 논 포테람, 레게밤."
  9. ^ 블루멘탈, 페이지 12.
  10. ^ Montecchi Palazzi, pp. 646-647; 666: "Factus tandem imitator Crisippi sed non in omnibus, de auditis multa collegi, de collectis ab aliis plura posui, quedam de diversis libris assumpsi que nec in scolis facile differuntur, sed hec omnia in scedulis et protocollis quia libros in quibus [cum]a opus erat inquirere non habebam...," Blumenthal, p. 16, 이 크리시푸스를 솔리의 크리시푸스가 아닌 예루살렘의 5세기 제사장으로 삼는다.
  11. ^ 몬테치 팔라치, 666 페이지: "아디운크시 퀘스캄 필요자객들은 그라티아니 적색락티스 컴바인 콜레기 판에 있는 퀘스 드 다이버시스 퀘스 드 디 다이버시스 콰이브스 비 옴니버스 페비니스 non 옴니버스 non 옴니버스 nec."
  12. ^ 몬테치 팔라치, 650페이지.
  13. ^ 12세기 마지막 수십 년 동안 '마법사'라는 칭호를 사용한 것은 촌철살이었고 장소마다 달랐다. 따라서 '마법사'라는 호칭이 성직자의 이름을 붙일 때는 특히 그 용어를 정확하게 해석하기 어렵다."
  14. ^ 블루멘탈, 페이지 25.
  15. ^ Blumenthal, p. 24, citing Albinus own words, "Cum autem factus sum vir, meritis peccatorum vocatus sum ad Romanam ecclesiam, et...a tempore Lucii III qui me indignum diaconum ordinavit anno 11° [September 1, 1182/1183] et sacerdotem quarto anno [September 1, 1184/1185] sui pontificatus."
  16. ^ 카터슈, 79페이지 블루멘탈, 페이지 24-25.
  17. ^ 제페, 페이지 418.
  18. ^ 그레고로비우스 4세, 페이지 607. The Continuator of Sigebert Aquicinctinus, quoted in Watterich II, p. 649: "Cuius obitu quidam insipientes Romani audito, ei non ut debuerunt, obviam cum ad Urbem deferretur, venerunt et ei maledicentes, luto etiam et lapidibus lecticam in qua portabatur lapidantes, vix eum in patriarchio Lateranensi sepeliri permiserunt.
  19. ^ 제페, 432페이지 그레고로비우스 609쪽
  20. ^ 그레고로비우스, 609 페이지 2 (페드로보로의 베네딕트를 인용한 호베덴의 로저로부터) "로마노스와 파팜 루치움 사이에 있는 그레이브 디스카우트 오르툼 에스트 파팜 루치움 수퍼 콘세투디니버스 퀴버스담, 퀘스 프라에데오레 파파 루치우스의 독무대, 퀘스 파파 루치우스 세 넌퀴움 팩츄럼 이우라빗. 로마니 수모를 당하지 않은 로마니 수모는 테라 도미니 파파에서 라피나스와 이그니카 연소를 자주한다. 도미너스 베로 파파, 로크룸 푸기엔 드 로코, 카스텔라 수아 기타 무니타스 아디이트를 예우한다."
  21. ^ 그레고로비우스 609-611쪽 제페, 페이지 465-466.
  22. ^ 그레고로비우스 611쪽 Watterich II, 페이지 656에서 인용한 Sigibertus Aquicantina의 Continuator는 주석 4와 함께 인용된다.
  23. ^ 블루멘탈, 페이지 13.
  24. ^ 올리비에로 이오지, 베로나의 톰바 루시오 3세 (로마: Tipografia Labicana 1907), 페이지 29-30.
  25. ^ P. 자페와 S. 로웬펠트, 레제스타 폰티쿰 로마노룸 2판, 제2권 15371호.
  26. ^ 블루멘탈, 페이지 25.
  27. ^ 제페와 루웬펠드, 15471번지
  28. ^ 디케토의 랠프, in: J. 와테리히, 폰티쿰 로마노룸... 비태, 663페이지. 호레이스 킨더 맨, 중세 초기의 교황들의 삶 10권 (런던: 케간 폴 1914), 페이지 286-289.
  29. ^ F. 그레고로비우스, 중세 로마의 역사 vol. IV, 파트 2 (런던: 조지 벨 1896), 페이지 610-612.
  30. ^ 자페 2세, #15486, 15487. J.P. 미그네(에드), 초토기애 라틴애 콜렉시오. Tomus CCII (Paris 1855), 페이지 1337, 1341.
  31. ^ Migne, 페이지 1351, 1354, 1357.
  32. ^ Migne, 1433 페이지, 1442.
  33. ^ 재페, 페이지 506, #15684. 젠커, 페이지 79.
  34. ^ 제페, 528페이지 와테리히 II, 페이지 682-683. 그레고로비우스 4세, 페이지 614.
  35. ^ 제페, 페이지 536.
  36. ^ Montecchi Palazi, 페이지 627, 노트 14: "La présence d'Albinus a Roma, juste avant l'arrivé du pape, témoigne de la confances don'juit aupres de celui." 교황이 도착하기 전에 그가 얼마나 오랫동안 이 사무실을 지켰는지는 현재 증거로는 말할 수 없다.
  37. ^ 카터쉬, 페이지 79에 노트 14와 15.
  38. ^ Miranda, Salvador. "Suburbicarian Dioceses and Cardinal Patriarchs of Oriental Rite: Albano". The Cardinals of the Holy Roman Church. Florida International University. OCLC 53276621.
  39. ^ Miranda, Salvador. "ALBINO, Can. Reg. of S. Maria di Crescenziano (?-ca. 1197)". The Cardinals of the Holy Roman Church. Florida International University. OCLC 53276621.
  40. ^ 카터쉬, 쪽지 21쪽 80쪽 Julius von Pflugk-Harttung (1886). Acta ponticum romanorum inedita (in Latin and German). Vol. Dritter Band (III). Stuttgart: Kohlhammer. pp. 398, no. 473.
  41. ^ I. S. 로빈슨, 데이비드 루스컴베와 조나단 라일리-스미스, 뉴 케임브리지 중세사 IV, 페이지 382;
  42. ^ 폴 프리돌린 케르, 이탈리아 폰티피시아 볼. 8세(베를린: 웨이드만 1909), 페이지 57, 230번.
  43. ^ 블루멘탈, 페이지 26. 빈첸초 포셀라, 이스크리시오니 델레 치세 달트리 에디피티로마 볼. V (로마: 벤치니 1874), 페이지 119, 번호 344.
  44. ^ 블루멘탈, 페이지 26.

원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