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심원 선발에서의 인종 차별

Racial discrimination in jury selection

배심원 선발에서의 인종 차별은 전 세계의 많은 사법권들에서 법에 의해 특별히 금지되어 있다.미국에서는 일련의 사법적 결정을 [1]통해 정의되어 왔다.그러나 미국과 다른 나라에서는 한 인종 집단으로만 구성된 배심원들이 합법적이다.배심원의 인종적 구성은 법에 의해 규정되지 않지만, 배심원 선발에서의 인종적 차별은 (배심의 최종 구성과 상관없이) 특별히 금지된다.문맥에 따라 "전백인 배심원" 또는 "전백인 배심원"이라는 문구는 많은 기대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데, MIT의 사회 신경과학자 레베카 색스가 지적했듯이 "심의가 [2]공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기대"이다.

호주.

호주에서는 대표 배심원에 대한 권리가 심각하게 제한된다.호주 원주민들은 형사사법제도에 과잉대표되어 있지만,[3] 인구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호주 일부 지역에서도 배심원단에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법원은 배심원 선정이 피고인의 사회적 계층이나 인종적 배경을 대변하지 않을 때 제기된 이의제기를 검토해왔다.현행법은 배심원단이 1967년 배심원법(VIC)[3]에 준거한 경우 배심원단의 대리권 수준까지 법적 권리를 확대하지 않는다.

원주민 피고가 관련된 사건을 심리하기 위해 선발된 배심원단에 원주민 사람들이 불충분하게 대표되거나 완전히 결석한 역사가 있다.원주민들이 투표에 등록하지 않아 배심원단에서 제외되거나(일반적으로 배심원단이 선발되는 방식), 소환에 응하지 못하거나 검찰과 변호사의 도전이나 영어가 서툴러서 배심원단에서 제외될 수 있다는 이유들이 제시된다.호주에는 유권자 등록과 투표가 의무화되어 있지만, 이것은 특히 외딴 지역이나 노숙자들 [3]사이에서 시행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원주민들이 형사사법제도 자체와 그 과정(배심원 선발 등)에 의해 불이익을 받고 있다는 증거도 있다.ALRC는 호주 원주민들이 범죄로 기소되어 법정에 설 가능성이 7배 높지만,[4] 12.5배는 징역형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알아냈다.

  • 1983년 호주 서부 로번에서 16세 원주민 소년 존 팻이 경찰관 5명에게 공격을 받고 구타당해 숨졌다.그 경찰관들은 과실치사죄로 재판을 받았지만, 자기 [5]변호를 주장한 후 백인 배심원 전원에게 무죄를 선고 받았다.
  • 2004년 원주민인 카메론 두마지는 퀸즐랜드 팜아일랜드의 경찰 감방에서 부상으로 체포되어 사망했다.2007년 체포된 경찰관 크리스 헐리는 폭행과 과실치사 혐의로 기소됐지만 이후 백인 배심원 [6]전원에게 무죄가 선고됐다.
  • 2019년 노던테리토리 윈두무에서는 경찰관 재커리 롤프가 월피리 남성 쿠만제이 워커를 3차례 쏴 살해했다.이것은 워커가 가위로 롤프를 찌른 직후에 일어났다.2022년 롤프는 노던 준주가 30%의 [8]원주민임에도 불구하고 호주 원주민이 [7]없는 배심원단에 의해 무죄 판결을 받았다.

캐나다

캐나다는 또한 배심원 선발에서 인종 차별 문제와 씨름해왔다. 특히 퍼스트 네이션스 사람들에게 이다.2001년, Indian and Northern Affairs Canada(INAC)는 프라이버시 문제로 인해 주 배심원 명단을 위해 예비로 살고 있는 퍼스트 네이션스 사람들의 밴드 리스트 제작을 중단했다.이 정보가 지방 배심원 명단에서 제외된 것은 예비역 생활을 하는 퍼스트 네이션스 사람들이 [9]배심원으로 제대로 대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방 배심원 명부에서 예비역으로 생활하는 퍼스트 네이션스 사람들의 제거는 1991년 캐나다 대법원의 R. V. Sherrat[1991년] 1 SCR 509 결정과 직접적으로 충돌했다. 여기서 법원은 "대표권"이 배심원들에 의한 재판권의 필수적인 구성요소라고 판결했다.특히 법원은 다음과 같이 밝혔다.

배심원단과 배심원 재판에 대한 헌장의 중요성은 배심원이 공정하게 직무를 수행한다는 보장이 없으면 무의미합니다.또한 가능한 한 그리고 상황에 따라서는 보다 큰 커뮤니티를 대표합니다.사실, 공평성과 대표성의 두 가지 특성이 없다면 배심원은 [10]애초에 그 존재를 바람직한 것으로 만드는 많은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을 것이다.

[2015년]SCR28에 헌법 재판소가“피소된 알이 아니다 제목에 배심원도 포함된 멤버 중 자신의 인종이나 종교다;차라리, 그것들은 겨우 받을 자격이 공정하고 정직한 과정의 무작위 배심원 선정”[그 대법원 캐나다의 2015년에 배심원 재판에서 R.VKokopenance의 경우에는, 한“대표 바로”의 문제 발전했다.11]

대표권 문제는 죽은 것도 아니고 결정된 것도 아니다.2018년 연방정부는 콜텐 부시에 사건에 대응하여 Bill C-75를 도입했다.Bill C-75는 형사사건에서 배심원들의 절대적 불복신청을 배제함으로써, 영국측과 피고측 변호인 양측의 배심원 배제를 막았다.Bill C-75는 2019년 6월 21일에 법으로 제정되었으며,[12] 공교롭게도 캐나다의 National Native People Day이다.

미국

미국에서 배심원 선발에서 인종 차별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그 관행은 일련의 사법 [1]결정을 통해 법으로 금지되어 왔다.미국에서는 한 인종 집단으로만 구성된 배심원들이 합법적이다.배심원의 인종적 구성은 법에 의해 규정되지 않지만, 배심원 선발에서의 인종적 차별은 (배심의 최종 구성과 상관없이) 특별히 금지된다.그러나 "전백인 배심원" 또는 "전백인 배심원"이라는 문구는 많은 기대를 불러일으킬 수 있으며, 그중에서도 심의가 [13]공정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기대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현재의 판례와 법적 과제

스트라더 웨스트버지니아배슨 대 켄터키 연방대법원이 정한 기준에 따르면 인종을 이유로 배심원을 파업하는 것은 헌법상 피고인의 평등한 보호를 부인한다.그러나 법원은 피고에게 특정 인종 구성원을 포함하거나 부족할 수 있는 배심원 자격을 부여하지 않으며 인종 중립적인 이유로 배심원을 파업하는 것은 허용된다.이 표준은 Edmonson v. Leesville Concrete Company의 민사 재판과 J.E.B v. Alabama ex rel의 성별에 따라 확대되었다. 티비

역사

남북전쟁에 이어 미국 헌법 수정 제13조, 제14조, 제15조는 노예제도를 폐지하고 흑인들에게 기본적시민권을 보장했다. 1875년 민권법은 이[14]"공공 수용소"와 배심원 선발로 확대했다.

제4조 법률에 의해 규정되거나 법으로 규정될 수 있는 기타 모든 자격을 가진 시민은 인종, 피부색 또는 이전의 노예 조건에 의해 미국 또는 어느 주 법원에서도 대배심원 또는 소배심원으로서의 자격을 박탈당하지 않는다.또한 그 선택 또는 소환에 관한 의무를 지는 임원 또는 기타 자도 있다.ng 상기 사유로 시민을 배제하거나 소환하지 않는 배심원은 유죄판결 시 경범죄로 간주되며 5천달러 [15]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미국 대법원은 1880년 스트라우더 웨스트 버지니아에서 배심원 서비스에서 흑인을 배제한 법이 수정헌법 14조의 평등 보호 조항을 위반했다고 판결했다; 그러나 버지니아 라이브스(1879)에서 법원은 흑인 배심원 3분의 1 이상의 배심원을 만들 것을 요구한 흑인 피고의 항소를 기각했다.n 백인 배심원단은 그 자체로 피고의 권리가 침해되었다는 증거는 아니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남부 주들은 스트라우더를 쉽게 피해 흑인 미국인을 배심원단에서 [16]배제하기 위한 명시적인 법적 금지 외에 다른 방법을 마련했다.

1883년, 1875년 민권법은 8 대 1의 결정으로 대법원에 의해 완전히 뒤집혔다.1896년, 역사적인 플레시 대 퍼거슨 결정은 분리되었지만 동등한 수용에서 유권자의 선거권 박탈과 배심원 배제에 이르는 짐 크로라는 비공식 민법을 포함시켰다. 따라서 흑인들은 대중,[14] 정치, 사법 영역에 대한 접근이 거부되었다.

1931년 Scottsboro Boys 사건에서, 9명의 흑인 청년들이 두 명의 백인 여성을 강간한 혐의로 기소되었고, 그들 중 한 명은 나중에 그녀의 증언을 철회했다.피고들 중 8명이 사형 선고를 받았다.변호인 사무엘 라이보위츠앨라배마 대법원에서 흑인들이 배심원 명단에서 제외됐으며, 재판 후 흑인들의 이름이 이 [17]사실을 숨기기 위해 명부에 추가됐다고 주장했다.이 사건의 항소심은 결국 두 가지 획기적인 대법원 판결로 이어졌다.파월 앨라배마 사건(1935년)에서 법원은 범죄 피고에게 효과적인 변호사를 선임할 권리가 있다고 판결했고, 노리스 대 앨라배마 사건(1935년)에서는 흑인을 [18]배심원단에서 체계적으로 배제하지 않을 수 있다고 판결했다.

노리스에도 불구하고 배심원단에서 흑인을 배제하는 관행은 사라지지 않았다.1985년 배트슨 대 켄터키 주 대법원은 검사가 그의 독단적인 도전을 이용해 배심원단으로부터 흑인 후보 4명을 모두 공격해 유죄 판결을 받은 상황을 해결했다.피고는 주 법원이 체계적으로 흑인들을 배심원단에서 제외시켰다는 것을 입증할 수 없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특정 사건에서 정당한 절차와 동등한 보호 주장제기했다.배슨에서 법원은 피고인이 기록에 의존하여 배심원 선발에서 의도적인 인종 차별에 대한 소명적 주장을 할 수 있으며, 주정부는 그의 인종 구성원들이 의도적으로 [19]배제된 배심원들 앞에서 피고인에게 동등한 보호를 거부한다고 판결했다.

배트슨은 배심원단에서 흑인을 배제하지 않았다.배트슨은 형사재판, 검사에게만, 그리고 기각된 배심원과 피고인이 같은 [20]인종인 경우에만 지원했다.미시시피 대법원은 2004년 흑인 살인죄 판결을 뒤집는 과정에서 검찰이 흑인 배심원을 배제하기 위해 15건의 압류파업을 모두 사용한 것에 주목했다. "인종적 동기에 의한 배심원 선발은 배슨 이후 20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널리 행해지고 있다."2010년 앨라배마주의 한 백인 남성은 [21]배심원 11명과 흑인 배심원 1명의 재판 끝에 배심원 선정이 배심원단에서 흑인 배심원을 추가로 배제하는 인종 차별에 의해 얼룩졌다며 자신의 살인 유죄 판결과 사형 선고를 항소했다.

2016년 12월 15일, 켄터키 대법원은 배슨을 인용하여 판사들이 인종 다양성의 결여를 이유로 무작위로 선택된 배심원단을 해임할 권한이 없다고 판결했다.이 판결은 제퍼슨 카운티 순회법원 판사 올루 스티븐스가 2014년 흑인 피고와 관련된 사건에서 거의 백인 배심원단을 기각한 판결에서 비롯됐다.루이스빌의 검찰이 켄터키 대법원에 스티븐스 판사가 백인 배심원단을 기각하는 데 재량권을 남용했는지 재심해 달라고 요청하자 스티븐스 판사는 페이스북을 통해 "검사의 요구는 백인 배심원단을 탄핵할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고 논평했다.스티븐스 판사는 또한 "더 불길한 것"을 제안했고 검사가 "오명 속에 살 것"이라고 썼다.스티븐스 판사는 그의 발언에 대해 무보수로 정직 90일을 선고받았고 그가 사법규범을 위반했다는 것을 인정했으며 검사가 [22][23][24]인종차별주의자임을 암시하는 진술에 대해 사과했다.

레퍼런스

  1. ^ a b Equal Justice Initiative (June 2010). "Illegal Racial Discrimination in Jury Selection: A Continuing Legacy". Equal Justice Initiative. p. 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ne 5, 2010. Retrieved June 11, 2010.
  2. ^ Dobbs, David. "The all-white jury v the diverse: Evidence, for a change". Scientific American. In the long, messy experiment that is the trial by jury, one of the most volatile and closely attended variables in the United States is a jury's racial make-up.
  3. ^ a b c "Aborigines and Juries". Australian Law Reform Commission. August 18, 2010.
  4. ^ "Finding a Path Towards Justice". Australian Law Reform Commission. July 7, 2020. Retrieved April 21, 2021.
  5. ^ Grabosky, 피터 N(1989년)." 제5장:양육권의 한 원주민 죽음:존 팻의 경우".Wayward 거버넌스:Illegality과 그 제어는 공공 부문에서.법, 범죄와 정의에 호주 연구.출판된 온라인으로 2017년.호주 형사 정책 연구원.를 대신하여 서명함. 79–92.ISBN 064214605 5.Retrieved 6월 8일 2020년이었죠.또 여기 세이지 Journalspaywall 사이트에.
  6. ^ "A question of good faith: The trial of Zachary Rolfe". The Monthly. August 19, 2021. Retrieved March 11, 2022.
  7. ^ Dr Hannah McGlade (March 14, 2022). "OPINION: All-white juries are a symptom of structural racism". NITV. Retrieved March 29, 2022.
  8. ^ "Region summary: Northern Territory".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2016. Retrieved March 29, 2022.
  9. ^ McKay-Panos, Linda. "The Right of First Nations Peoples to a Representative Jury". LawNow Magazine. Retrieved March 2, 2020.
  10. ^ "The Lack of Representation of Indigenous People in Canadian Juries". LawNow Magazine. Retrieved March 2, 2020.
  11. ^ Gallardo-Ganaban, Christopher. "The Lack of Representation of Indigenous People in Canadian Juries". LawNow Magazine. Retrieved March 2, 2020.
  12. ^ "Bill C-75 Courthouse Libraries BC". www.courthouselibrary.ca. Retrieved March 2, 2020.
  13. ^ Dobbs, David. "The all-white jury v the diverse: Evidence, for a change". Scientific American. In the long, messy experiment that is the trial by jury, one of the most volatile and closely attended variables in the United States is a jury's racial make-up.
  14. ^ a b Tsahai Tafari. "The Rise and Fall of Jim Crow: A National Struggle: Important Supreme Court cases in the battle for civil rights". PBS. Retrieved September 25, 2007.
  15. ^ "Civil Rights Act of 1875, 18 Stat. Part III, p. 335 (Act of Mar. 1, 1875)". The University of Denver Sturm College of Law.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20, 2007. Retrieved September 25, 2007.
  16. ^ Wiecek, William M. (2005). "Strauder v. West Virginia". In Hall, Kermit L.; Ely, Jr., James W.; Grossman, Joel B. (eds.). The Oxford Companion to the Supreme Court of the United States (2d e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pp. 985–986. ISBN 978-0-19-517661-2.
  17. ^ "Scottsboro Timeline". The American Experience. PB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13, 2001. Retrieved September 25, 2007.
  18. ^ "Scottsboro Trials Collection, 1931-1937". Cornell University Librar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ne 6, 2013. Retrieved May 28, 2013.
  19. ^ Browne-Marshall, Gloria (2007). Race, law, and American society : 1607 to present. New York: Routledge, Taylor & Francis Group. ISBN 978-0-415-95294-1. Retrieved August 31, 2009.
  20. ^ Sperlich, Peter W. (2005). "Batson v. Kentucky". In Hall, Kermit L.; Ely, Jr., James W.; Grossman, Joel B. (eds.). The Oxford Companion to the Supreme Court of the United States (2d e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p. 78. ISBN 978-0-19-517661-2.
  21. ^ Dewan, Shaila (June 2, 2010). "Study Finds Blacks Blocked From Southern Juries".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June 2, 2010.
  22. ^ Schreiner, Bruce (December 15, 2016). "Kentucky court says judge wrong to dismiss jury over race". Associated Press. Retrieved July 11, 2021.
  23. ^ "Opinion of the Court by Justice Venters" (PDF). Kentucky Courts. Retrieved July 11, 2021.{{cite web}}: CS1 maint :url-status (링크)
  24. ^ Weiss, Debra (December 19, 2016). "Judge didn't have discretion to dismiss jury panel for lack of diversity, top Kentucky court says". ABA Journal. Retrieved July 11,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