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라스 수도원

Amaras Monastery
아마라스 수도원
Amaras-church.jpeg
성당 아마라스 수도원의 그리고리스(4세기 설립, 1858년 재건)
종교
소속아르메니아 사도교회
위치
위치아제르바이잔 호자벤드 소스 인근(데 쥬레)
마르투니, 아르타흐 (사실상)
Amaras Monastery is located in Republic of Artsakh
Amaras Monastery
아르타크 공화국 내에서 표시됨
Amaras Monastery is located in Azerbaijan
Amaras Monastery
아마라스 수도원 (아제르바이잔)
지리 좌표39°41′02″N 47°03′25″E / 39.684°N 47.057°E / 39.684; 47.057좌표: 39°41′02″N 47°03′25″E / 39.684°N 47.057°E / 39.684; 47.057;
건축
스타일아르메니아어
완료된4세기(설립); 1858년(설립)
웹사이트
www.amaras.org

아마라스 수도원(Armenian: ամրասս վաքք)은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지역에 있는 아르메니아 수도원으로[1], 아제르바이잔호자벤드 지구소스데쥬르 마을 근처로, 사실상 자칭 아르타크 공화국마르투니 지방에 있다.[2] 중세 아르메니아의 저명한 종교 및 교육 중심지였다.[3]

아제르바이잔에서는 수도원을 아마라스(아제르바이잔니: 아마라스 모나스트르); 국가는 아르메니아 사도교 유산을 부인하며, 대신 "카우카시아 알바니아인"[4]이라고 부른다.

역사

4~5세기

중세 고학자 파우스터스 바이잔드무브스 카그한카트바츠시에 따르면 아르메니아의 수호성인이자 전도사인 성 그레고리 일루미네이터는 4세기 초에 아마라스 수도원을 세웠다.[5][6]

아마라스는 세인트루이스의 매장지였다. 일루미네이터 그레고리의 손자 성 그리고리스(338년 사망) 그의 유해를 위해 세워진 무덤이 19세기 성교회의 압살 아래 아직도 남아 있다. 그리고리스.

5세기 초에 아르메니아 알파벳의 발명자인 메스로프 마슈토트는 그의 대본을 사용한 최초의 학교인 아마라스에 설립되었다.[7][8]

파괴와 재생 (13~19세기)

수도원은 13세기에 몽골군에 의해 약탈당했고, 1387년 타메레인의 침입으로 파괴되었다가 16세기에 다시 철거되었다. 그것은 살아남은 방어벽이 건설된 17세기 2/4분기에 급진적인 구조조정을 겪었다.

아마라스는 이후 버려졌고, 19세기 전반에는 수도원이 러시아 제국군국경 요새 역할을 했다.

아르메니아 사도교회는 1848년에 수도원을 개간했다. 수도원 교회는 옛 교회가 있던 자리에 새 교회를 지어야 할 정도로 군사 점령기에 심하게 훼손된 것으로 보인다. 이 새 교회는 세인트루이스에 바쳐졌다. 그리고리스(Groris)는 1858년에 건설되어 슈시 시의 아르메니아인들이 돈을 지불했다. 그것은 여전히 살아남고 밝은 하얀 돌로 만들어진 3나베의 바실리카다.[citation needed]

성묘 그리고리스

장례식장에 있는 세인트 그리고리스의 석르소파거스

그리고리스 성당은 원래 지금 갈고 닦은 성당의 동쪽 끝에 묻혔다. 그레고리 교회. 고고학자들은 전통적인 교회 건축으로는 이례적인 무덤의 동쪽 입구가 예루살렘의 성세풀크레교회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9] 489년 카프카시아 알바니아의 왕 바차간 3세가 아마라스를 개조하여 교회를 복원하고 성묘를 위한 새 예배당을 지었다. 그리고리스 후세기에 이 예배당 위에 교회가 세워졌다.

성 그리고리스 교회의 제단 아래에는 서쪽 끝에 두 개의 계단으로 이루어진 무덤방이 있다. 동쪽 끝의 통로가 막혔다는 것은 원래 그 방향에서도 입구가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배럴볼트 묘실은 가로 1.9m, 세로 3.75m, 높이 3.5m이다. 이 구조물의 상반부는 당초 1.5~2m 상공으로 투영됐지만 지금은 완전히 지하에 있다. 조각된 디테일은 5세기까지 스타일리시하게 나타난다.[10]

갤러리

참고 항목

참조

  1. ^ 토마스 드왈/ 더 코카서스: 소개/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2018, 페이지 103- 페이지 312

    이 지역의 인구 통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급격히 변동했지만, 수세기 동안 아르메니아인의 존재는 그 곳에 기록되어 왔고, 언덕에는 아마라스, 간자르와 같은 중세 아르메니아 교회들이 산재해 있다.

  2. ^ 하체리아, 흐라이르 아르타흐: 사진 여행. 1997년 미국 아르메니아 사도교회의 동부 수도원장, 페이지 6. OCLC37785365
  3. ^ Hasratyan, M. M. (1975). "Ամարասի ճարտարապետական համալիրը [Architectural complex of Amaras]". Lraber Hasarakakan Gitutyunneri (in Armenian) (5): 35–52.
  4. ^ "Amaras məbədi - XOCAVƏND RAYON Icra Hakimiyyəti". www.xocavend-ih.gov.az. Retrieved 2021-05-28.
  5. ^ 파브스토스 바이잔드 아르메니아 역사. 예레반. 1987. 17페이지.
  6. ^ 카한카트바츠시 영화. 알루앙크의 역사. 제1권. 제14장.

    [나라의] 대제사장을 받아들고 이베리아와 알루앙크의 나라들을 계몽하기 위해 떠났다. 하반의 가바르에 도착하여 하나님의 아들 계명을 어기지 말라고 설교하고 훈계하였다. 여기서 그는 아마라스에 교회를 짓기 시작했고, 그것을 완성하기 위해 일꾼과 선각자를 고용했다. 아르메니아로 돌아온 후 그는 아들 브르타네스를 자기 대신 거룩하게 하고 임명하였는데, 그는 [기독교] 가르침에 따라 생활하며 우상숭배의 이단성을 고수하는 모든 사람들을 벌하고 훈계하였다.

  7. ^ 비비아노, 프랭크 2004년 3월 내셔널 지오그래픽 매거진 "아르메니아의 부활"
  8. ^ 존 노블, 마이클 콘, 다니엘 시스터맨스 조지아,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Lonely Planet; 3판(2008년 5월 1일), 페이지 307
  9. ^ "Armenians displaced from Nagorno-Karabakh fear their medieval churches will be destroyed".
  10. ^ M. Hasratyan, "Amaras", Yerevan 1990.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