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코네우스 근육

Anconeus muscle
안코네우스 근육
Gray1232.png
오른쪽 상지의 뒤쪽. (하단 중앙의 라벨 부착)
Musculusanconeus2.png
팔뚝의 뒤쪽 표면. 피상적인 근육. (오른쪽 중앙에 앙코네가 보인다.)
세부 사항
기원근위축횡격막.
삽입척골의 올레크라논 과정과 후골상부 근위부 측면 표면
동맥깊은 쇄골동맥, 재발성 간동맥
신경방사신경(C5, C6, C7, C8, T1)
행동들그것은 부분적으로 삼두근과 섞여서 팔뚝확장을 돕는다. 또한 발음복근 시 팔꿈치를 안정시키고 연장 시 팔꿈치 관절 캡슐에서 느슨한 부분을 당겨서 충돌하지 않도록 한다.
식별자
라틴어무스쿨루스 안코네우스
근육질 안코나에우스
TA98A04.6.02.023
TA22510
FMA37704
근육의 해부학적 용어

안코네우스 근육(또는 안코네우스/안코네우스)은 팔꿈치 관절의 후면에 있는 작은 근육이다.

어떤 사람들은 안치누스를 삼두근의 연속이라고 생각한다.[1][2][3] 어떤 출처는 팔의 뒷부분으로 보는 반면,[4] 다른 출처는 팔뚝의 뒷부분의 일부로 간주한다.[5]

앙코네우스 근육은 척골의 올레크라논 과정 바로 옆으로 쉽게 증식될 수 있다.[6]

구조

안코네우스는 상완골의 상완골 후면에서 발원하여 상완골 후측면과 올레크라논의 측면면에 원위적으로 삽입한다.[6] [7]

내경사

안코네우스는 안코네우스에게 신경이라고 불리는 쇄골연골의 후줄로부터 방사신경(서근뿌리 7과 8)[7]의 한 가지에 의해 내향된다. 방사상신경 내측근의 섬모토터 부분은 상어의 방사상 홈에 있는 주가지로부터 분리된다. 이 내경사 패턴은 방사상 신경에 의한 후측 팔뚝(확장기) 구획의 근골의 내경사 법칙을 따른다.

함수

팔 뒤쪽의 동맥과 신경

팔꿈치 확장에 있어서 그것의 역할은 인간에게 사소한 것이다. 삼두근 브라치가 주작용제인 팔꿈치 연장에 도움을 주고, 팔꿈치를 완전 연장하여 지지한다.[7] 또한 팔꿈치 연장 시 올레크라논 fossa에 팔꿈치 관절 캡슐이 끼이는 것을 방지한다. 안코네우스는 또한 척추를 유괴하고 팔꿈치 관절을 안정시킨다. 안코네우스는 척골의 반지름으로 미세한 움직임을 하는 역할을 한다. 척추를 살짝 유괴할 때 어떤 손가락이라도 팔뚝의 회전축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혈액공급

안코네우스는 프로푼다 브라치 동맥에서 중간 측두동맥에 의해 공급된다.[7]

임상적 유의성

안코네우스 근육의 신경 공급에 대한 트라우마는 보통 어깨 탈구 또는 상완골 또는 올레크라논 주위의 골절 또는 방사상신경을 손상시키는 상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메커니즘을 통해 방사상 신경에 가해지는 해악은 팔꿈치와 손목의 다른 확장뿐만 아니라 보조근육을 마비시킬 수 있다.[8] 보조근육에만 영향을 미치는 특정 후천성 부상은 없지만, 특히 팔의 확장(즉, 근위축증)과 같은 근육 기능을 손상시키는 질병은 이 특정 부속근육에 영향을 줄 것이다. 이질성 오사화는 비삼질 조직(예: 근육 조직)에서 삼질 조직의 비정상적인 성장이기 때문에 특정한 트라우마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 질환은 팔과 다리에서 발생하는 특정 개인에 대한 문서화된 사례가 있지만 대개 엉덩이에서 발견된다. 공정이 시작되는 원인은 잘 이해되지 않고, 단지 그것이 일반적으로 수술이나 트라우마에 기인한다는 것뿐이다.[9]

역사

어원과 철자

안코네우스 근육은 1895년[10] 바젤과 1935년 예나에서 비준된 노미나 아나토미카에서 찾아볼 수 있듯이 라틴어 표현인 무스쿨루스 안코네우스(musculus anconaeus)의 영어화된 형태다.[11][12] 해부학적 라틴어 형용사 아코나에우스는 1955년 파리에서 허가된 노미나 아나토미카의 후속 판에 이 구체적인 디프통 축소에 대한 더 이상의 설명 없이 [13]anconeus로 쓰여졌다. 다음 1961년 판은 다음과 같이 명시하여 그 정책을 명시하였다. 모든 쌍둥이는 제거되어야 한다.[14] 비록 선택된 단음절의 수가 되돌아가긴 했지만, 노미나 아나토미카의 후속 판본과 그것의 가장 최근의 외출 Terminologia Ancomica근육질의 ancornus를 쓸 것을 주장했다.[14][15][16][17][18] 일찍이 노미나 아나토미카앙코나에우스를 선호했음에도 불구하고 고대 그리스의 형태인 ἀγωωαα noς는 증명되지 않는다.[19] 현대 그리스어에서는 ἀγωωαίς μυ[20] expression이라는 표현이 사용되는데, anconaeus에서 theγωωωω adject adject adject adject 형용사 ἀγωωααςςςς.[21][20]

Anconaeus는 고대 그리스 명사 ἀγών에서 유래되었다.[22][21] 'ακνν은 이나 팔꿈치굽힘으로 번역할 수 있다.[22][23] 근육질의 안코나에우스라는 표현은 1907년 노미나 아나토미카 초판[24] 영문 번역에서 팔꿈치 근육으로 영어로 번역되었다.

추가 이미지

참조

  1. ^ 윌리엄스, P. 외, 1995년 그레이 아나토미, 38부, 처칠 리빙스톤
  2. ^ Jones, W. 외 (eds), 1953년, Buchanan의 해부학 설명서, 8차 개정판, Balliere, Tindall and Cox, 페이지 496
  3. ^ 그랜트, J. & Basmajian J., 1965년, 그랜트의 해부학 방법, 제7편, 볼티모어의 윌리엄스 & 윌킨스 회사, 페이지 163-164
  4. ^ "Dissector Answers — Axilla & Ar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January 2008. Retrieved 2008-01-17.
  5. ^ "The Radius and Uln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8-06-11. Retrieved 2008-01-17.
  6. ^ a b "Anconeus". Department of Radiology, University of Washingt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October 2017. Retrieved 9 October 2017.
  7. ^ a b c d "Anconeus". The Hosford Muscle Tabl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02-04. Retrieved 5 February 2012.
  8.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08-29. Retrieved 2012-12-13.{{cite web}}: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9. ^ http://www.healio.com/orthopedics/journals/ortho/%7B1db95189-cf98-4da1-9b6d-03241994dbcc%7D/treatment-of-heterotopic-ossification
  10. ^ 그의, W. (1895) 해부학적으로 Nomenclatur를 죽인다. 노미나 아나토미카. Der von der Anatomischen Gesellschaft aufrer IX. 바젤 앙게놈넨 나멘의 베르사믈룽. 라이프치히: Verlag Veit & Comp.
  11. ^ 콥스, F. (1941) Die Nomina des Jahres 1895 (B.N.A.) 나흐 데르 Buchstabenreihe geordnet und Gegenübergestellt den Nomina des Jahres 1935 (I.N.A.) (3. Auflage) 라이프치히: 게오르크 티엠 베를라크.
  12. ^ Stieve, H. (1949년) 노미나 아나토미카. Zusammengestellt von der im Jahre 1923 gewählten Nomenklatur-Kommission, unter Berücksichtigung der Vorschläge der Mitglieder der Anatomischen Gesellschaft, der Anatomical Society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sowie der American Association of Anatomists, überprüft und durch Beschluß der Anatomischen Gesellschaft auf der Tagung in Jena 1935 endgül티그앤게놈멘 (제4판). 제나: Verlag Gustav Fischer.
  13. ^ 국제해부학적 명칭 위원회(1955) 노미나 아나토미카. 런던/콜체스터:스팟티스우드, 발란티네, 그리고 코. Ltd.
  14. ^ a b 국제해부학적 명명위원회(1966) 노미나 아나토미카. 암스테르담: 발췌파 메디카 재단.
  15. ^ 국제 해부학 명칭 위원회 (1977년). 노미나 아나토미카(Nomina Histologica)와 노미나 히스토로지카(Nomina Histologica(Nomina Histologica) 암스테르담-옥스포드: 발프타 메디카
  16. ^ 국제 해부학 명칭 위원회(1983) 노미나 아나토미카(Nomina Histologica)와 노미나 히스토로지카(Nomina Histologica(Nomina Histologica) 볼티모어/런던: 윌리엄스 & 윌킨스
  17. ^ 국제 해부학 명칭 위원회 (1989년). 노미나 아나토미카(Nomina Histologica)와 노미나 히스토로지카(Nomina Histologica(Nomina Histologica) 에든버러: 처칠 리빙스톤
  18. ^ 연방 해부학 용어 위원회 (FCAT) (1998) Terminologia Anatomica. 슈투트가르트: 티엠
  19. ^ 히틀, J. (1880). 아나토미카. 게스키히테와 크리틱 데어 아나토미센 스프레이체 데어 게겐와트. 빈: 빌헬름 브라위뮐러. K.K. 호프 und Universityithtsbuchhándler.
  20. ^ a b 슐리퍼, S.K. (Ed.) (2011) Corpus humanum, The human body, Le corps humain, Der menschliche Körper, Il corpo umano, El cuerpo humano, Ciało człowieka, Människokroppen, Menneskekroppen, Τό ανθρώπινο σῶμα, ЧЕЛОВЕК. FKG.
  21. ^ a b 트라이펠, H. (1910) 해부학 나멘을 죽이다. 이리 알 수니퉁과 아우스프라체 Mit einem Anhang: Biographische Notizen.(Dritte Auflage). 비즈바덴: Verlag J.F. 베르그만.
  22. ^ a b LA 크라우스(1844년) 렉시콘(Dritte Auflage)은 Kitte-etymologisches medicinisches 렉시콘(Dritte Auflage). 괴팅겐: 베를라크 데르 데를리히-와 디테리히센 부흐한들룽.
  23. ^ a b Liddell, H.G. & Scott, R.(1940). 그리스-영어 렉시콘. 헨리 스튜어트 존스 경에 의해 수정되고 증원되었다. …의 도움으로 로데릭 맥켄지 옥스퍼드: 클라렌던 프레스.
  24. ^ 바커, L.W. (1907) [BNA]를 특별히 참조하는 해부학적 용어 라틴어와 영어로 된 어휘와 삽화로. 필라델피아: P. Blakiston의 손앤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