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니발레 부니니

Annibale Bugnini
안니발레 부니니

이란에 대한 사도 프로눈치오
Bugnini col.jpg
참조디오클레티아나
임명됨1976년 1월 4일
기간이 종료됨1982년 7월 3일
전임자에르네스토 갈리나
후계자조반니 데 안드레아
기타 게시물디오클레티아나 대주교
주문
서품1936년 7월 26일
알시데 마리나로
성결1972년 2월 13일
교황 바오로 6세
개인내역
태어난(1912-06-14)14 1912년 6월
키비텔라델라고, 움브리아
죽은1982년 7월 3일(1982-07-03) (70세)
이탈리아 로마
국적이탈리아의
디노미네이션가톨릭의
이전 게시물신예회 서기(1969~1976)
스타일
안니발레 부니니
Mitre plain 2.png
참조 스타일더 모스트 프레지던트
구어체각하
종교 양식몬시뇰

Annibale Bugnini CM(Annibale Bugnini CM, 1912년 6월 14일 ~ 1982년 7월 3일)은 카톨릭 성직자였다. 1936년에 서품되어 1972년에 대주교로 임명되었으며,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 이어 가톨릭 재판소의 개혁을 위해 일하는 위원회의 비서였다. 로마 의례 미사와 바티칸 2세 전후의 다른 소송 관행에 대한 변경에 대한 비평가와 지지자들은 이러한 노력에서 그를 지배적인 세력으로 간주한다.[1] 그는 로마 퀴리아에서 다른 여러 직책을 맡았으며 1979년부터 1981년까지 이란 인질극 기간 동안 중재자 역할을 했던 이란으로의 교황 수녀원으로서 생애를 마감했다.

조생과 서품

Annibale Bugnini는 UmbriaCivitella del Lago에서 태어났다.[2] 1928년에 그는 선교회의 신학 연구를 시작했고 1936년 7월 26일에 사제 서품을 받았다.

는 성 교황 대학교에서 신학 박사학위를 마쳤다. 토머스 아퀴나스 안젤리쿰은 1938년 콜로니오 트리덴티노에서 'De liturgia eiusque momento'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다.[3]

그는 로마 교외에서 교구 일을 하며 10년을 보냈다.[2] 1947년 부니니는 그의 명령의 선교적 출판물 제작에 관여하게 되었고, 가톨릭 재판소의 개혁을 전담하는 학술지인 에페메르데스 리투르시메트의 초대 편집자가 되었다. 1949년부터는 교황청 도시대학(현재의 교황청 도시대학)에서 임상학을 가르쳤다. 그는 후에 교황청 라테란 대학의 교수가 되었다.[2]

큐리알 경력

1948년 5월 28일 교황 비오 12세는 1951년 부활절 철야를 위한 개정 의식과 1955년 남은 홀리위크에 대한 개정 의식을 만든 부니니 개혁위원회 서기장을 임명했다.[2] 위원회는 또한 1955년 미사와 사무실의 폐단을 수정하여 교회의 옥타브와 다수의 집회를 탄압하고, 대부분의 잔치에서 처음 목사를 폐지했다. 1960년에 위원회는 루브릭스의 강령을 개정하였고, 1961년에는 로마 브레비야리, 1962년에는 로마 미살(Missal)의 신판을 만들었다.[4]

1959년 1월 25일 교황 요한 XX3세제2차 바티칸 평의회 소집 계획을 발표했다. 1960년 6월 6일 Fr. Bugnini는 Lturgy에 대한 교황 준비 위원회의 비서로 임명되었다. 이 기구는 많은 변화 후에, 신성한 법전관한 의회의 헌법이 되는 문서의 첫 초안을 작성했다. 1962년 10월 평의회가 소집되자 준비위원회는 성스러운 리투르기에 관한 조정위원회의 뒤를 이어 부그니니에게 명예(전문가)의 역할을 맡겼다. 그와 동시에 부그니니는 폰티피컬 라테란 대학의 리투르기 의자에서 해임되었는데, 피에로 마리니의 말에 의하면 그의 소송사상이 너무 진보적인 것으로 보였기 때문이다.[5] 제2차 바티칸 평의회 고문인 루이 부이어는 사후에 출간된 회고록에서 부니니를 "기본적으로 정직했던 것처럼 문화가 절실한 사람"[6]이라고 불렀다.

평의회와 교황 바오로 6세는 1963년 12월 4일 리투르기에 관한 헌법을 승인했다. 1964년 1월 30일 교황은 부니니 헌법실천협의회 서기장을 임명했다.[7] 부니니는 1969년 5월 교황 바오로에 의해 신성한 예배회의 서기로 임명되었다.[8] 1965년 1월, 그는 구타와 성인의 원인을 담당하는 예식회 사무차관이 되었다.[9]

1972년 1월 6일 교황 바울은 부니 티툴라 디오클레티아나의 대주교로 임명하고 다음 2월 13일 그를 주교로 임명했다.

1975년 7월 16일 교황 바울은 신성한 예배를 위한 회합과 성찬식 규율을 구성하기 위해 두 개의 큐리아 부처를 통합한다고 발표하여 부니니의 로마 큐리아에서의 경력은 종식되었다. 그의 개인 비서는 피에로 마리니였는데, 피에로 마리니는 현재 대주교 겸 국제 성찬회의 의장이다.[citation needed]

외교 서비스

1976년 1월 4일, 교황 바울은 이란에 부니니 친누치오를 임명했다. Bugnini는 그 나라, 그것의 역사, 그리고 전통을 연구했다. 그의 연구 결과는 1981년 이란의 라치사(이란의 교회)로 나타났다.[10]

1979년 부그니니는 교황의 이름으로 아야톨라 루홀라 호메이니 추종자들에 의해 미국 대사관에 억류되어 있는 미국인 인질들을 석방하는 데 실패했다. 그는 호메이니를 만나 인질 석방에 대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호소문을 전달했다.[11] 52명의 미국인들은 감금된 지 444일 만에 1981년 1월 21일에 석방되었다.

죽음

부니니는 1982년 7월 3일 로마의 교황 비오 12세 클리닉에서 자연사했다.[12]

그가 자신의 경력의 대부분을 바친 작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인 1948년부터 75년까지의 <리터기 개혁>이 사후에 나타났다. 영어 번역본이 1990년에 출판되었다.

혐의

부그니니가 프리메이슨이라는 주장이 반복된 것은 이탈리아 수필가 티토 카시니가 자신의 저서 넬 후모 사타나에서 처음 출판한 것이다. Verso l'ultimo scontro(플로렌스: Il carro di San Giovanni, 1976). 카시니는 익명의 소식통에 따르면 부니니가 회의실에 서류 가방을 두고 왔다고 주장했다. 누군가가 그것을 발견하고 주인을 알아보려고 했을 때, 유죄를 입증하는 서류들이 안에 있었다. 영국 작가 마이클 데이비스는 교황 바오로 6세가 이란에 부기니를 누시오로 보낸 것은 [13]바티칸 2세 이후의 신도들의 임무가 마무리됐음에도 불구하고 부기니의 미소닉 소속을 폭로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데이비스는 또한 1975년 여름, 이름을 밝히지 않은 보수적인 추기경이 자신에게 부니니의 프리메이슨 연결에 대한 증거를 담은 '도지르'를 교황 책상 위에 놓았다고 말했다고 주장했다.[2] 이러한 주장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최근 발표된 Fr과의 인터뷰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지만 이 두 주장 모두 검증되지 않았다. 1970년대 가그넌 추기경의 조수로 활동했던 찰스 무르.[14][15]

참고 문헌 목록

  • 이란의 라 치사 (이란의 교회), 1981년
  • 라 Riforma Liturgica 1948-1975 (The Reform of the Liturgy, 1948-1975), 1983년

참조

  1. ^ Wolfe, Kenneth J. (28 November 2009). "Latin Mass Appeal".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15 January 2017.
  2. ^ a b c d e 데이비스, 마이클 소송이 어떻게 결렬되었는가: 2016년 10월 1일 웨이백 기계보관부그니니 대주교의 수수께끼AD2000년, 1989년 6월, 2016년 9월 30일 회수.
  3.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May 2012. Retrieved 30 December 2015.{{cite web}}: CS1 maint: 제목(링크)으로 보관된 사본 2014년 12월 30일 접속
  4. ^ 데이비스, 마이클 교황 바울의 새 미사, 안젤루스 프레스 1980 페이지 497.
  5. ^ Marini, Piero (2007). A Challenging Reform: Realizing the Vision of the Liturgical Renewal. Liturgical Press. p. xix.
  6. ^ Bouyer, Louis (2015). The Memoirs of Louis Bouyer From Youth and Conversion to Vatican II, the Liturgical Reform, and After. Angelico Press.
  7. ^ "Pope Names Overseers For Reforms of Liturgy". The New York Times. 31 January 1964. Retrieved 15 January 2017.
  8. ^ Kappes, Christiaan. "Consilium and Vatican 2: Everything You Wanted to Know About Its Make-Up, Function, etc. (Replete with Graphs)". Academia.edu. Retrieved 10 December 2021.
  9. ^ "Pontiff Fills Posts in the Roman Curia" (PDF). The New York Times. 27 January 1965. Retrieved 15 January 2017.
  10. ^ Warda, Gladys. "Book Review: La Chiesa in Iran (The Church in Iran) by Annibale Bugnini" (PDF). Journal of Assyrian Academic Studies: 83–104.
  11. ^ "Ayatollah Gets a Plea From Pope on Hostages". The New York Times. 10 November 1979. Retrieved 15 January 2017.
  12. ^ "Papal Nuncio Bugnini Dies; Figure in Iran Hostage Crisis". The New York Times. Associated Press. 4 July 1982. Retrieved 14 January 2016.
  13. ^ Davies, Michael (2003). Liturgical Time Bombs in Vatican II: Destruction of the Faith through Changes in Catholic Worship. Tan Books. ISBN 9780895557735.
  14. ^ Kwasniewski, Peter. "RORATE CÆLI: BOMBSHELL: New historical evidence emerges in support of Bugnini's association with Freemasonry — Names are named". RORATE CÆLI. Retrieved 17 October 2021.
  15. ^ Kwasniewski, Peter. "RORATE CÆLI: EXPOSÉ: New Interview with Fr. Charles Murr on Mother Pascalina, Bugnini, Paul VI, and Other Major Figures". RORATE CÆLI. Retrieved 17 October 2021.
선행자 교황청 기념행사의 대표
1968 – 1970년 1월 9일
성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