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톤증후군

Anton syndrome

안톤증후군안톤의 실명, 시각 무신경증이라고알려져 있는데 후두엽에서 뇌 손상이 일어나는 흔치 않은 증상이다. 그것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피질적으로 맹목적이지만, 종종 꽤 완강하게 그리고 그들의 실명에 대한 명확한 증거 앞에서 그들이 볼 수 있다고 단언한다. 안톤 증후군을 가진 사람들은 장님이라는 것을 받아들이지 못하면서 자신의 상태에 대한 증거를 무시하고 누락된 감각적 입력을 채우기 위해 교란작용을 한다. 신경과 의사 가브리엘 안톤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출판된 사례는 28건에 불과하다.[1]

안톤 신드롬
전문신경학

비록 때때로 두 용어가 동의어로 사용되지만, 안톤 증후군은 안톤-바빈스키 증후군과[2]혼동해서는 안 된다. 안톤-바빈스키 증후군은 안톤-바빈스키 증후군으로 임상적으로 특징지어진다. 안톤-바빈스키 증후군은 안톤-바빈스키 증후군과 혼동하지 않아야 한다. 안톤-바빈스키 증후군은 게르스트만 증후군과 동등한 우뇌증후군으로, 비지배적 하두정 로불에 의한 것이다.

프리젠테이션

안톤 증후군은 뇌졸중에 이어 주로 나타나지만 머리 부상 후에도 나타날 수 있다. 신경학자 맥도날드 크라이틀리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양쪽 후두부 기능장애의 갑작스러운 발전은 정신적 혼란이 두드러질 수 있는 일시적인 신체적, 심리적 영향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친척들, 즉 간호원들이 환자가 실제로 시력을 잃었다는 사실을 우연히 발견하기까지는 며칠이 걸릴지도 모른다. 이것은 환자가 평소에는 장님이 되었다는 정보를 자진해서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마치 그들이 목격된 것처럼 행동하고 이야기함으로써 수행자들을 오도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가구 조각과 충돌해 물체를 넘어뜨리고 길을 찾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밝혀지면 관심이 쏠린다. 그들은 한 방에서 다른 방으로 가는 길에 벽을 통과하거나 닫힌 문을 통과하려고 할지도 모른다. 의심은 주변 인물과 사물을 묘사하기 시작했을 때, 사실, 전혀 존재하지 않는 것에 대해 여전히 더 경각심을 갖게 된다.

따라서 우리는 무식증(또는 결함에 대한 인식 부족)과 교란증상의 두 가지 증상을 가지고 있는데, 후자는 말과 행동 모두에 영향을 미친다.[3]

안톤 증후군은 이상적으로 시각 영역의 일부가 의식적으로 경험하지 못할 때 발생하는 시각, 시각장애의 반대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실제로 어떤 신뢰할 수 있는 인식이 일어난다.[citation needed]

원인들

안톤증후군 환자들이 왜 그들의 실명을 부인하는지는 여러 설이 있지만 알 수 없다. 한 가지 가설은 시각 피질이 손상되면 뇌의 언어 영역과 의사소통이 불가능해진다는 것이다. 시각적 이미지는 수신되지만 해석될 수 없다; 뇌의 언어 중심은 반응을 조절한다.[4]

허혈성 혈관 뇌질환을 경험한 뒤 시각적 무뇌증도 보고됐다. 심한 두통과 갑작스러운 시력 상실을 호소하며 응급실에 입원한 96세 남성은 이후 뇌동맥 혈전증을 앓아 결과적으로 시력이 떨어진 것으로 밝혀졌다. 그는 안과검사가 다르게 증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볼 수 있었다고 완강히 주장했다. 그의 뇌 MRI를 통해 그의 오른쪽 후두엽이 허혈성이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 비슷하게, 56세의 한 여성은 혼란스러운 상태와 심각한 장애 정신 이상자 기술을 가지고 응급실에 입원했다. 시력 운동과 동공 반사작용은 여전히 온전했지만 환자는 사물의 이름을 대지 못하고 방의 빛 변화를 알지 못했으며, 그녀의 시각적 결함을 모르는 것 같았다.[citation needed]

역사

대부분의 안톤 증후군은 성인에게서 보고된다. 유럽신경학저널(European Journal of Neuroy)은 2007년 안톤 증후군을 앓고 있는 6세 아동의 사례연구와 아드레놀레우쿠다이드스트로피 초기단계에 대해 조사한 기사를 게재했다. 이 아이는 비정상적인 눈 움직임을 보였으며, 자주 넘어지고, 물건을 잡으려고 손을 뻗쳐 목표물을 놓치곤 했다고 한다. 그의 시력이 20/20으로 시험되었을 때 그는 여전히 차트에 있는 큰 글자들을 읽을 수 없었다. 그는 두통, 두통, 두통, 눈의 통증을 부인했으며 자신의 나쁜 시력을 의식하지 않고 모르는 것처럼 보였다. 검사 결과, 그의 동공은 모양과 동그라미, 빛에 반응했다. 그의 어머니는 그가 특이한 눈 움직임을 발달시켰고, 그들이 "로빙 품질"[5]을 가졌다고 말했다.

문화와 사회

안톤 증후군은 실생활에서 보통 신드롬을 일으키지 않는 병인 1차 아메바성 뇌염에 기인했지만, '유포리아'라는 제목의 텔레비전 시리즈 하우스 M.D.의 2부 에피소드에 등장하였다. 이 증후군은 루퍼트 톰슨 소설 '모욕'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피터 와츠가 쓴 공상과학소설 '눈먼 시야'에서도 언급되고 있다.[citation needed]

라지 파텔의 <무의 가치>에서 주요한 은유 중 하나로 "안톤의 실명"으로 자주 언급되고 있다. 라르스 트리에의 영화 도그빌에서 잭 매케이라는 캐릭터는 그가 볼 수 있는 것처럼 행동하지만 그가 볼 수 없는 많은 신호를 준다.[citation needed]

이 증후군은 말레이시아 영화 데솔라시(Desolasi)의 주제가 되기도 하는데, 환자들은 실제 세계를 볼 수 없는 상태에서 자신만의 상상력 세계 속에서 살고 있다.그것은 또한 올리버 색스의 화성있는 인류학자에도 언급된다.[citation needed]

참고 항목

참조

  1. ^ Kim, Nina; Anbarasan, Deepti; Howard, Jonathan (April 2017). "Anton syndrome as a result of MS exacerbation". Neurology: Clinical Practice. 7 (2): e19–e22. doi:10.1212/CPJ.0000000000000273. PMC 5669417. PMID 29185543.
  2. ^ Marková, Ivana S.; Berrios, German E. (1 December 2014). "The construction of anosognosia: History and implications". Cortex. 61: 9–17. doi:10.1016/j.cortex.2014.09.011. PMID 25481463. S2CID 46659573.
  3. ^ Critchley, Macdonald (1979). "Modes of reaction to central blindness". The Divine Banquet of the Brain and Other Essays. Raven Press. p. 156. ISBN 978-0-89004-348-6.
  4. ^ Prigatano, George P.; Schacter, Daniel L (1991). Awareness of deficit after brain injury: clinical and theoretical issues. Oxford [Oxfordshire]: Oxford University Press. pp. 53–60. ISBN 978-0-19-505941-0.
  5. ^ Trifiletti, R. R.; Syed, E. H.; Hayes-Rosen, C.; Parano, E.; Pavone, P. (February 2007). "Anton-Babinski syndrome in a child with early-stage adrenoleukodystrophy". European Journal of Neurology. 14 (2): e11–e12. doi:10.1111/j.1468-1331.2006.01581.x. PMID 17250706. S2CID 26141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