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마비르 주

Armavir Province
아르마비르
Արմավիր
Location of Armavir within Armenia
아르메니아 내 아르마비르의 위치
좌표: 40°09°N 44°03°E / 40.150°N 44.050°E / 40.150; 44.050좌표: 40°09′N 44°03′E / 40.150°N 44.050°E / 40.150; 44.050
나라아르메니아
자본
가장 큰 도시
아르마비르
바하르샤파트
정부
주지사함바르줌 마테보산[1]
면적
• 합계1,242km2(최대 sq mi)
면적 순위10일
인구
(2011[3])
• 합계265,770
• 견적
(1919년 1월 1일)
263,900[2]
• 순위두 번째
• 밀도210/km2(550/sq mi)
시간대AMT(UTC+04)
우편번호
0901-1149
ISO 3166 코드AM.AV
FIPS 10-4AM03
HDI(2017년)0.723[4]
하이 · 10위
웹사이트공식 웹

아르마비르(아르메니아어: արմավրր,[a] 아르메니아어 발음: [ɑmmɑviɾ] About this sound(듣기))는 아르메니아 서부에 있는 지방(마르츠)이다. 남쪽의 아라라트 산과 북쪽의 아라가츠 산이 지배하는 아라라트 평야에 위치한 이 지방의 수도는 아르마비르 마을이고, 가장 큰 도시는 바그하르샤파트(에치미아드진)이다. 이 지방은 터키와 남쪽으로 72km(45mi) 길이의 국경을 공유하고 있다.

이 지방은 아르메니아 민족의 정신적 중심지인 아르메니아 사도교회의 성 에치미아딘의 어머니회가 있는 곳이다. 알 아르메니아인의 카톨릭 신자들의 자리다.

이 지방은 기원전 331년에 세워진 고대 도시 아르마비르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이 지방은 1918년 아르메니아 공화국의 건국을 초래한 결정적인 사르다라바드 전투의 현장이기도 하다. 이 전투는 터키군이 아르메니아의 나머지 지역으로 진격하는 것을 막았을 뿐만 아니라 아르메니아 국가가 완전히 파괴되는 것을 막음으로써 중요한 역사적 사건으로 여겨진다.[5]

메트사모르 원자력 발전소메트사모르 마을 근처의 아르마비르 지방에 있다.

예레반 즈바르츠 국제공항은 아르마비르 주 파라카르 마을(예레반에서 서쪽으로 12km(7mi)) 부근에 있다.

어원

이 지방은 아르메니아의 13개의 역사적인 수도 중 하나인 고대 도시 아르마비르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모비스 코레나시에 따르면, 고대 아르마비르는 타론에서 아라라트 평야로 이주한 하이크의 손자 아라마이스에 의해 지어졌다고 한다.

지리

아르마비르는 면적이 1,242km2(아르메니아 전체 면적의 4.2%)로 전체 면적으로 볼 때 전국에서 가장 작은 지방이다. 서쪽으로는 터키카르스 주, 남쪽으로는 이드르 주와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아라스 강이 아르메니아와 터키를 분리하는 경계선 길이가 130.5km에 이른다. 국내적으로는 북쪽으로는 아라가츠톤 주, 동쪽으로는 아라라트 주, 북동쪽으로는 수도 예레반 주와 접해 있다.

아르마비르 지역의 아라라트 평원의 항공경관

역사적으로 현재 지방의 영토는 주로 아라가토트(Aragatsotn)의 광구를 차지하고 있으며, 고대 아르메니아 아이라트 지방의 아르샤루니크(Arsharunik)의 작은 부분과 마시아토트(Masyatsotn) 칸톤을 차지하고 있다.

지방은 전적으로 아라라트 평야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며, 주로 농경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해발 평균 850m의 높이로 일부 평야는 1,200m에 이른다.

메트사모르 강(일명 세브주르 강)은 이 지방에서 발원하는 유일한 강이다. 아크날리치 마을 근처에 위치한 아이거의 작은 호수는 이 지방의 몇 안 되는 수면에 속한다.

아르마비르 주는 건조한 대륙성 기후가 특징이며, 여름은 덥고 겨울은 약간 춥다.

역사

기원전 5천년 전의 메트사모르 성 유적지 석재

고대 아르마비르의 영토는 기원전 5천년 이래로 거주했다. 메트사모르 성, 슈레쉬 언덕, 모크라블루르 언덕을 포함한 많은 유적지는 신석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고대 우라르트아르기슈티키히닐리 정착촌은 기원전 776년 아르기슈티 1세에 의해 세워졌다. 이 지역에 관한 가장 오래된 기록 중 하나는 우라르트의 왕 루사 2세 (기원전 685년–645년)가 남긴 비문에서 발견되었다. 바하르샤파트 마을은 기원전 685년 루사 2세에 의해 쿠알라리니( (ուարլիի)로 창건된 것으로 여겨진다.

고대 아르기쉬티키히닐리의 재건된 성벽

모비스 코레나츠시에 따르면, 현대 아르마비르 성의 영토는 주로 아르메니아 고원의 중심부에 있는 역사적인 아이라트 지방의 중심부를 차지하고 있다. 아르샤루니크, 마시아토트 등의 작은 부분과 함께 아라가토튼의 일부를 포함하고 있다. 이 영토는 우라르투 시대 이후 고대 아르메니아에서 가장 중요한 지역 중 하나였다. 그것의 전략적 중요성은 기원전 331년 오론티드 왕조에 의해 아르메니아 왕국이 설립되면서 크게 커졌다.

고대 아르마비르 유적지

아르메니아의 역사적인 수도 중 3개는 현대 아르마비르에 위치해 있다. 고대 도시 아르마비르는 기원전 331년 기원전 210년까지 수도가 되었다. 아르탁시아드 왕조의 통치하에 기원전 176년까지 왕국의 수도로 남아 있던 인근 도시 예르반다샤트로 대체되었다. 서기 120년에서 330년 사이에 왕국의 수도는 아르사키드 왕조 아래 바하르샤파트의 도시였다.

301년 아르메니아의 기독교화 이후, Vagharshapt는 전세계 아르메니아인들의 정신적 중심이 되었다. 405년 메스로프 마슈토트는 새로 만들어진 아르메니아 문자를 바하르샤파트의 아르메니아인들에게 소개했다. 428년 아르메니아 왕국이 멸망한 후 이 지역은 7세기 중반 아랍이 아르메니아를 정복할 때까지 페르시아의 사사니아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9세기 말까지 이 지역은 새로 설립된 아르메니아 바그라티드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11세기에서 15세기 사이에 이 지역은 각각 셀주크, 몽골, 아그코윤루, 카라 코윤루의 침략을 겪었다. 그러나 1441년 아르메니아 카톨릭교회의 좌석이 시스 시에서 에치미아드진으로 다시 옮겨지면서 바그하르샤파트 마을은 그 중요성을 회복했다.

16세기 초에 아르마비르의 영토는 1514년에서 1736년 사이의 오스만-페르시아 전쟁 동안 오스만 제국의 간략한 규칙을 제외하고는 사파비드 페르시아 내에서 에리반 베가르베기의 일부가 되었다. 18세기 전반기에 이 영토는 아프샤리드 왕조의 지배하에 에리반 칸국(Erivan Khanate)의 일부가 되었고, 이후 페르시아의 카자르 왕조하에 영토가 되었다. 1826–28년의 루소-페르시아 전쟁투르크멘차이 조약의 체결로 동부 아르메니아를 러시아 제국에 양도할 때까지 페르시아 통치하에 있었다.

아라크스 근교의 사르다라바드 전투에서 아르메니아군의 승리를 위해 헌화한 기념비.

1917년 러시아 제국함락된 후 오스만군은 아르메니아를 분쇄하고 러시아 코르사카시아와 바쿠의 유정을 점령할 작정이었다. 1918년 5월 오스만군은 3전선으로 동부 아르메니아를 공격했다. 북쪽 전선에서 오스만군은 거의 저항 없이 5월 20일 카라킬리사(요즘 바나드조르)에 도달했다. 제2전선은 아파란 마을을 관통하였고, 제3전선은 아르마비르 지역의 사르다라바드(요즘 아라크스) 마을을 관통하였다. 5월 21일 쯔니 비예의 분대는 600명의 보병과 250명의 기병으로 구성된 아르메니아 부대를 격파한 뒤 사르다라바드를 점령했다.[6] 이후 오스만군은 예그누트 마을을 향해 진격했다. 대니얼 벡-피루미안모비스 실리칸이 이끄는 아르메니아 공세는 5월 22일 시작됐다. 아르마비르 지역은 사르다라바드, 아바란, 가르라킬리사 3전선에서 터키군을 상대로 아르메니아인이 결정적인 승리를 거둔 결과 1918년 5월 말까지 독립 아르메니아의 일부가 되었다.

아르메니아는 2년간의 짧은 독립 후 1920년 12월 소비에트 연방의 일부가 되었다. 1930년부터 1995년까지 현대 아르마비르는 아르메니아 SSR 에서 바그라마얀 레이온, 홉템베리아 레이온, 엣미아드진 레이온 등 3가지 레이온으로 나뉘었다. 1995년의 영토 행정 개혁으로 3개 군단이 통합되어 아르마비르 지방을 형성하였다.

인구통계학

인구

예르반다샤트 마을. 배경의 높은 곳은 고대 예르반다샤트가 있던 곳이다.

2011년 공식 인구조사에 따르면 아르마비르의 인구는 26만5770명(남성 13만3078명, 여성 13만5692명)으로 아르메니아 전체 인구의 약 8.8%를 차지한다. 도시 인구는 8만5050명(32%), 농촌은 18만720명(68%)이다. 도에는 3개의 도시지역과 94개의 농촌지역이 있다. 가장 큰 도시 공동체는 바하르샤파트(에치미아드진) 마을로, 인구는 4만6,540명이다. 다른 도시 중심지는 아르마비르와 메츠모어다.

인구 5,584명의 파라카르 마을은 아르마비르의 가장 큰 농촌 자치단체다.

민족과 종교

나렉 대성당 성 그레고리
아크날리치의 야지디 사원
쿠바메레 디와네 사원

아르마비르 주 인구의 대다수는 아르메니아 사도교회에 속한 아르메니아 민족이다. 교회의 규제 주체는 시온 아담얀 주교가 이끄는 아르마비르 교구다. 아르마비르 마을에 있는 나렉 대성당의 성 그레고리는 교구의 자리다.

그러나 아르마비르에는 상당한 수의 야지디스가 있으며, 주로 자르통크, 예라스카윤, 날반디얀, 예그누트, 아르타샤르, 노르 아르타샤르, 그리고 야지디스가 다수를 이루고 있는 페리크 작은 마을에 약 1만 7천 명이 살고 있다. 아크날리치 마을은 2019년 9월 이 마을에 문을 연 '쿠바 메레 디와네'로 알려진 세계에서 가장 큰 야지디 사원이 있는 곳이다.[7][8][9]

노르 아티거즈 마을에는 총 260여 명의 아시리아인 작은 마을도 있다.[10] 그들은 동양의 아시리아 교회에 소속되어 있다.

행정 구역

아르마비르 주는 현재 97개 시 지역사회(해마인크너)로 나뉘는데, 이 중 3개가 도시 지역이고 94개는 농촌 지역이다.[11][12]

유형 면적(km²) 인구
(2017년 에스트)
중앙 포함마을
아르마비르 시 어반 6 28,900 아르마비르
메츠모르 시 어반 9 9,000 메츠모어
바하르샤파트 시 어반 13 46,700 바하르샤파트

농촌 지역 및 포함된 정착:

문화

바체·타마르 마누키안 필사본 보관소
무사다그 저항 기념비

아르마비르는 아르메니아 공화국의 가장 부유한 문화 중심지 중 하나이다. 도의 도시 정착촌은 많은 공공도서관은 물론 문화궁의 본고장이다. 그러나 소련 시절 아르마비르에는 98개의 공공도서관이 있었고 그 중 21개 도서관만이 여전히 기능하고 있었다.

바하르샤파트 마을에는 바하르샤파트 민족문학관, 호렌 테르하류티우니안 미술관 및 미술관, 머허 아베기안 미술관 및 미술관, 호바네스 호바니시얀 하우스뮤지엄 등 박물관이 밀집해 있다. 많은 박물관과 도서관들이 성 에치미아진 대모전 단지에 소장되어 있으며, 그 중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에치미아진 대성당 박물관,
  • 카톨릭 박물관,
  • 크리미안 박물관,
  • 알렉스와 마리 마누안 재무부,
  • 바체·타마르 마누키안 필사본 보관소
  • 인쇄소와 마더씨 서점.
  • 루벤 세박 박물관

무사르 마을은 무사다그 기념비를 중심으로 매년 9월 한 달 동안 전 세계 수천 명의 아르메니아인들이 마을에 도착하는 무사다그 저항의 연례 기념행사가 있는 곳이다.

아르메니아 민족학 박물관을 비롯한 유명한 사르다라파트 기념관 단지는 지방 중심 아르마비르에서 남서쪽으로 10km 정도 떨어진 아라크스 마을에 위치해 있다.

성곽과 고고학적 유적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618년 생 히피메 교회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630년 성가야네교회

교회와 수도원

교통

아르마비르 역

예레반의 즈바르츠 국제공항은 아르마비르 주의 영토 경계 내에 위치해 있다.

지방은 M-5 고속도로를 통해 예레반, 아르메니아 남부 등과 연결되며, M-3 고속도로는 아르마비르와 북부 아르메니아를 연결한다.

아르마비르 마을은 예레반과 규므리, 아르메니아 북부를 잇는 철도역으로서 설립되었다. 이 역은 21세기 1년 동안 보수되었다. 2009년 11월에는 아르마비르와 아라가타반 역, 아르메니아 북서부를 연결하는 전기 기관차가 이 역에 제공되었다.[13]

이코노미

농업과 바이테쿠션

아르마비르 가이 시의 온실

비옥한 아라라트 평원의 주요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아르마비르 성은 아르메니아 공화국의 농업 분야에 큰 공헌을 하고 있다. 도의 경제는 농업과 소 사육을 포함한 농업에 크게 기반을 두고 있다. 도내 전체 면적의 약 78%(970㎢)가 경작 가능한 땅이며, 이 중 40%(388㎢)가 경작된다.[14] 주요 작물은 포도, 살구, 복숭아, 자두, 곡물, 마른 씨앗, 야채 등이다. 현재 도는 아르메니아의 연간 총농산물 기여도가 17.8%에 달한다. 아르마비르는 포도 재배와 와인 수출 면에서 아르메니아의 대표적인 주 중 하나이다(아라랏, 바요츠 드조르와 함께).

바그라마얀과 아락스 가금 농장은 각각 마이스니키안과 주나르비 마을에 위치해 있다.

최근 도내에서 양식업이 크게 발전하고 있다.[15]

2004년부터 아르메니아 기금의 어린이들카라커트 아르마비르 지역에서 일하기 시작했다. 아르메니아 박사는 집 앞에 앉아 있는 노인에게 물 한잔을 부탁하면서 마을 사람들이 가장 가까운 도시에서 식수를 사야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 충격과 뒤이은 긴 대화로 카라커트는 아르메니아 기금의 어린이들이 일을 시작할 수 있는 장소로 결정되었는데, 이는 지역 사회와 학교에 필요한 물, 난방, 화장실 및 기타 인프라 개선의 부족을 해소하는 데서 출발한다. 2004년, COAF는 이 기구의 첫 번째 기부금으로 카라커트 마을 학교의 개보수 공사를 시작했다.[16]

카라커트의 급격한 변화는 아르마비르의 인근 마을들이 COAF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고무시켰다. COAF는 기반 시설 개선과 프로그램을 위해 인근 마을을 그룹화하면서 클러스터 접근 방식으로 일하기 시작했다. 2006년 COAF는 아르마비르의 18개 마을로 성장하여 조직의 지역사회 참여형 프로그램을 시행하였고, 학교, 방과후 동아리, 심리적 지원, 청소년 역량 강화와 더불어 COAF 전문가에 의한 전문적인 훈련과 감독을 포함하도록 성장하였다.

산업

MAP 와이너리의 와인 저장고

도는 아르메니아의 연간 총생산액에 4%의 기여를 하고 있다.[17] 도의 산업은 주로 식품 가공과 알코올 음료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바하르샤파트 마을은 아르메니아 역사상 첫 번째 제지 공장이 있는 곳이었다. 1780년, 예레반의 카톨릭교도 시메온 1세는 6년 동안만 근무했던 에치미아딘 제지 공장을 설립하였다.

메트사모르 원전은 아르마비르에서 가장 큰 원전으로 공화국 전체다. 1969년 메트사모르 마을 인근에 문을 열었으며 아르메니아에서 소비되는 전기의 약 40%를 생산하고 있다.

  • 아르마비르 주 영토 내에 위치한 고대 도시 아르기쉬티키히닐리는 와인 생산의 주요 중심지였다. 포도주와 곡물을 보관할 수 있는 넓은 저장 공간은 기원전 8세기경 고을의 요새 안에서 고고학자들에 의해 발견되었다.[18] 아르마비르에서 생산되는 포도주는 주로 아라라트 평원의 포도밭에서 생산된다.
  • Ejmiadzin은 소비에트 시절 동안 중요한 산업 중심지가 되었다. 군사기술 생산에 특화된 4대 산업기업의 본거지였다. 그러나 소련의 몰락 이후 식물의 생산성은 저하되었다. Currently, the largest industrial firms of the town are the "Echmiadzin Instrument Making Factory" founded in 1966, the "E.P.G. Echmiadzin Cannery" founded in 1969, the "Echmiadzin Kat" dairy factory founded in 1997, the "Sonimol" plant for grains founded in 2001, and the "Ekologia V.K.H." biological waste destruction plant founded in 2009.[20]
  • 수도 예레반과 가까워 파라카르타이로프 마을에는 가구 제조공방과 중합체 원료 생산업체 등 중소형 공장이 대거 입주해 있다. 무살러 마을에는 폴리에틸렌 제품 공장과 종이 제품 중진공장이 자리 잡고 있다. 메르자반 마을에는 의류와 봉제 공장이 있다.

관광업

도에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에치미아진 대성당, 즈바르츠 대성당, 생 히프시메 교회, 세인트 가야네 교회, 쇼가카트 교회 등이 있으며, 전체적으로 에치미아친 성당과 교회, 즈바르츠 고고학 유적지로 분류된다.

보단 카르미르 성소에서 발견된 아르메니아 코치날

세계적으로 아르메니아 국가의 정신적, 종교적 중심지임에도 불구하고 도내 관광서비스는 충분히 발전되지 않고 있다.[21] 하지만, Zvartnots 국제 공항의 본거지인 Parakar는 많은 도박장과 나이트 클럽의 본거지 입니다.

보단 카르미르 성역은 이 지방에서 유일하게 보호되는 자연 지역이다. 아르메니아 코치닐은 아르메니아에서 보단 카르미르로 알려진 진홍색 카르미누프를 생산하던 곤충이다. 이 곤충의 붉은 염료는 고대 및 중세 아르메니아 역사를 통틀어 아르메니아 미니어처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미술품에서도 주로 사용되었다.

사르다라파트 전투 기념관무사 다그 저항 기념비는 이 지방의 다른 주요 명소 중 하나이다.

교육

바하르샤파트에 있는 성 에치미아딘의 어머니회아르메니아 사도교회게보르크 신학교(신학 대학)가 있는 곳이다. 이 마을에는 또한 카레킨 1세 신학과 아르메놀로지 센터가 위치해 있다. 마더 시는 아르메니아의 대표적인 학교 중 하나인 유르네키아 공립학교도 운영하고 있다.

이 지방에는 바하르샤파트 마을에 사립 "그리구 루스베리히 대학"이 있다.[22] 아르마비르에는 2015-16년 교육 연도를 기준으로 119개교와 특수학교 2개교가 있다.[23] 2015년 말 현재 도내 학교의 재학생 수는 3만1,100명이다.[24]

스포츠

2014년 7월 FIFA "목표를 살아라" 프로그램 중 주빌리 스타디움

축구는 그 지방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다. FC 아르마비르는 1965년부터 2003년까지 국내 축구 대회에서 아르마비르 마을을 대표하다가 재정난으로 해체되었다. 마찬가지로 FC Vagharshapt는 해체되기 전인 1967년과 2005년 사이에 Etchmiadizn을 대표했다.

아르마비르의 쥬빌리 스타디움은 아르메니아에서 세 번째로 큰 축구장이다. Vagharshapt는 또한 미미한 능력을 가진 축구 경기장이 있는 곳이다. 2개의 축구 아카데미는 현재 Vagharshapt와 Armavir의 마을에 건설 중이다. 바라샤파트 축구 아카데미는 2017년 10월 완공될 예정이며 아르마비르 축구 아카데미는 2009년 10월 완공될 예정이다.[25]

유도, 무에타이, 삼보, 태권도 등 무술도 도내에서 인기가 높다. 새로운 스포츠 스쿨은 현재 Vagharshapat에 건설 중이며 2019년에 완공될 예정이다. 아크날리치 마을(Vagharshapt에서 남쪽으로 10km)은 아라와 아이트센닉 승마장이 유명하다.

갤러리

참고 항목

참조

메모들
  1. ^ 고전 철자법: ամաւրրր
참조
  1. ^ 정부 회의에서 아르메니아 주지사 3명 추가 임명
  2. ^ https://armstat.am/en/?nid=https://armstat.am/en/
  3. ^ 아르마비르 인구, 2011년 인구조사
  4. ^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di.globaldatalab.org. Retrieved 2018-09-13.
  5. ^ 발라키안, 피터 불타는 티그리스: 아르메니아인 학살과 미국의 대응. 뉴욕: HarperCollins, 2003, 페이지 321 ISBN 0-06-055870-9
  6. ^ (터키어로) T.C. Genelkurmay Başkanlııı. 비린치 뒤냐 하르비엔데 튀르크 하르비 카프카스 세페시: 3 ncu 오르두 하레카스 세페시 [제1차 세계대전 중 코카서스 전선에 대한 터키 전역: T.C. Genelkurmay Başkanlıı Basım Evi, 1993, 페이지 516.
  7. ^ "World's Largest Yezidi Temple Opens in Armenia". Massis Post. 30 September 2019.
  8. ^ "아르메니아의 새 사원: 9월에 시작할 기초석 배치", EzidiPress.com, 2015-08-14
  9. ^ 아르메니아, 세계에서 가장 큰 야지디 사원 방문
  10. ^ "The ethnic minorities of Armavir Provinc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09-23. Retrieved 2015-11-17.
  11. ^ "RA Armavir Marz" (PDF). Marzes of the Republic of Armenia in Figures, 2002–2006. National Statistical Service of the Republic of Armenia. 2007.
  12. ^ 아르마비르 주 지역사회
  13. ^ 아르마비르 아라가타반 새 기관차
  14. ^ 아르마비르.agro 일반 정보
  15. ^ "Armavir general information: Econom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09-23. Retrieved 2015-11-23.
  16. ^ Minasyan, Armenuhi (8 April 2016). "08.04.2016 Հրապարակում". Public TV Armenia.
  17. ^ Armstat: 아르마비르
  18. ^ Alekseyev, V. P. (1968). Contributions to the archaeology of Armenia. Peabody Museum. p. 15. Retrieved 9 December 2012.
  19. ^ 메르자반 브랜디 팩토리
  20. ^ 에크미아드진(Ekologia V.K.H.) 생물폐기물 파괴공장이 문을 열었다.
  21. ^ 아르마비르: 일반 정보
  22. ^ 그리고 루스베리히 대학교
  23. ^ "Armavir province schools list"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6-03-04. Retrieved 2015-12-07.
  24. ^ 암라디오: 아르마비르 주 학생과 학교
  25. ^ 세르주 사르그시얀 대통령의 아르마비르 마르즈 방문 실무방문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