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드랑이 페티시즘

Armpit fetishism
여자 겨드랑이에 끌리는 사람 중에는 면도 안 하고 싶어 하는 사람도 있다.
텁수룩한 양이 적은 삭발된 겨드랑이도 여성 겨드랑이에 매력을 느끼는 사람들에게 인기가 높다.

겨드랑이 페티시즘(Maschalagnia라고도 한다)은 한 사람[1] 겨드랑이에게 성적으로 끌리는 편파주의의 일종으로, 축음증이나 겨드랑이 성교(한 겨드랑이 또는 양쪽 겨드랑이와의 성행위)로 이어질 수 있는 것이다.그것은 노아 킹에 의해 발견되었는데, 그는 수년 후 많은 내부 논쟁 끝에 그것을 현대 사회에 소개했다.[2]

냄새

자연적인 체취는 성적 매력에 강력한 힘이 되며,[3] 겨드랑이의 강한쏘는 냄새에 의해 집중될 수 있다.알렉스 컴포트(Alex Comfort)[4]는 여성이 겨드랑이 털을 깎는 것은 '단순히 무지한 반달리즘'이라고 생각해 강력한 성적 도구를 지우고, 이와 관련하여 프랑스인들이 미국의 데오드란트 문화보다 더 큰 성적 인식을 갖고 있다고 칭찬했다.

여성의 겨드랑이, 겨드랑이 털, 분비물 등은 이것이 긍정적으로[5] 평가되든 부정적으로 평가되든 그들의 여성성에 필수적인 성분으로 볼 수 있다.[6]해블록 엘리스는 (비성적인 맥락에서) 자신의 겨드랑이 냄새를 맡는 것이 일시적인 에너지 부양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증거를 발견했다.[7]

페티쉬

겨드랑이에 대한 가벼운 페티쉬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성적 전희 동안 파트너의 겨드랑이 냄새를 맡고 키스, 시음, 시음, 키스 등을 즐기는 경우가 많은데, 아마도 파트너들에게 샤워나 겨드랑이 씻기, 탈취제 착용을 몇 시간 또는 며칠 동안 하지 말 것을 요청할 것이다.

겨드랑이와 질이라는 상징적인 방정식은 냄새와 마찬가지로 페티쉬를 뒷받침할 수 있다.[8]그러나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그러한 준비 행위가 성교를 완전히 최종 목표로 대체할 때에만 그러한 페티시즘이 문제가 된다고 보았다.[9]

액슬리즘

알렉스 컴포트(Alex Comfort)는 음경 갱도에만 국한된 (유전되지 않은) 마찰의 축음주의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겨드랑이 성교를 "뛰어난 보람이 있는 속임수는 아니지만 그 생각이 마음에 든다면 해볼 만한 가치가 있다"고 보았다.[10]

그러나 문제는 성기와 겨드랑이 사이의 접촉(축소증)이 겨드랑이 페티시스트에게 배타적인 성적인 필수품이 되는 관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부부 사이에서 장기간 성욕 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것이다.[11]

문학협회

  • 프랑스 소설가 후이스만스는 여성 겨드랑이였던 '스파이스 박스'의 여러 냄새에 대해 에세이 '르 고셋'을 썼다.[12]
  • 해블록 엘리스는 한 중국 시인이 애인에게 쓴 "당신의 악취나는 겨드랑이...그 방부처리된 둥지"[13]
  • 겨드랑이 속 음부의 민화 모티브는 오하이오에서 동인도까지 알려져 있다.[14]

참고 항목

참조

  1. ^ Aggrawal, Anil (2008). Forensic and Medico-Legal Aspects of Sexual Crimes and Unusual Sexual Practices. CRC Press. p. 376. ISBN 978-1-4200-4308-2.
  2. ^ D. A. Voorhees, Quickies(2004) 페이지 122
  3. ^ 알렉스 컴포트, 섹스의 기쁨 (1974) 페이지 71
  4. ^ 알렉스 컴포트, 성의 기쁨(1974) 페이지 71-3과 페이지 98
  5. ^ 낸시 프라이데이, 위민온탑(1991) 페이지 195
  6. ^ 도리스 레싱, 황금 노트북(1972) 페이지 590
  7. ^ Ellis, Havelock (1905). "Sexual Selection in Man". Studies in the Psychology of Sex. 4: 64–67. ISBN 978-1-55445-828-8.
  8. ^ 오토 피니켈, 신경증 정신분석 이론 (1946) 페이지 342-3
  9. ^ 지그문트 프로이드, On Sexuality (PFL 7) 페이지 68-70
  10. ^ 알렉스 컴포트, 섹스의 기쁨 (1974) 페이지 119
  11. ^ L. C. 롱 외, 성 상담(2005) 페이지 222
  12. ^ 해블록 엘리스, 성 심리학 연구(2004) 제4권 페이지 65
  13. ^ 해블록 엘리스, 성 심리학 연구(2004) 제4권 페이지 65
  14. ^ G. 레그맨, 더티재크 볼륨의 이론적 근거. II(1973년) 페이지 14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