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레일리아당

Australian Party
오스트레일리아당
약어AP
리더빌리 휴스
창시자빌리 휴스
설립됨1929년 12월 2일
용해됨1931년 5월 7일; 90년 전(1931년 5월 7일)
분할 위치민족주의
로 병합됨통합호주당
멤버십 (1930/31)Increase <8,600[a][1][2]
이념
정치적 입장중앙-좌-우-우-우측
슬로건미국,[3] 백인, 자유, 번영
하원
3 / 75
(1929–1931)
상원
1 / 36
(1929–1932)

오스트레일리아당국민당으로부터 제명된 후 빌리 휴즈가 창당한 정당이었다. 그 정당은 1929년에 결성되었고, 전성기에 연방의회 의원 4명이 선출되었다. 1931년 통합호주당으로 통합되어 연방선거에 도전한 적이 없다.

역사

배경

빌리휴즈전 총리는 노동당, 전국노동당, 국민당 소속으로 연달아 활동해 온 총리였다.[5] 1928년까지 그는 스탠리 브루스 정부에 적대적인 백벤져스 집단의 사실상의 지도자였다(1923년 그를 민족주의 지도자로 대체했다). 그와 그의 지지자들은 자주 장내를 건너 정부에 반대표를 던지기 시작했고, 특히 논란이 되고 있는 산업관계 문제에 대해서는 반대표를 던지기 시작했다. 1929년 8월 22일, 휴즈와 에드워드 만은 정부에 대한 비난에 실패한 투표로 국민당으로부터 제명되었다. 휴즈가 정부의 대표적인 해양산업법 개정안을 성공적으로 통과시킨 9월 10일 마침내 긴장이 고조되었다. 브루스는 이것을 불신임 투표로 받아들였고, 10월 12일 선거를 선언했다. 제임스 스컬린 휘하의 노동당이 압승을 거뒀고 휴즈를 비롯한 2명의 전 국민주의자들이 무소속으로 재선됐다.[6]

포메이션

1929년 선거가 끝난 후 휴즈는 그가 총리로 돌아올 수 있다는 희망으로 국민당과 노동당에 재입당하려는 시도를 하지 못했다. 그는 결국 자신의 당을 만들기로 결심했는데, 그것이 권력의 균형을 확보하기를 바랐다.[7] 신당은 1929년 12월 2일에 출범했다. 다른 연방 하원의원 3명이 휴즈 의원으로 합류했다. - 월터 마크스, 조지 맥스웰, 그리고 월터 던컨 상원의원.[8] 언론은 호주당을 휴즈의 야망을 위한 수단으로 여겼다. 시드니 타블로이드판 신문인 The Sun은 이 신문에게 호평을 준 유일한 신문이었다. 그 정점에 75개 지부와 4,000명의 당원을 확보했지만, 유일한 실제 활동은 하원의원 선거구에서 이루어졌다. 그것은 주로 뉴사우스웨일스에 기반을 두고 있었으며 빅토리아에 한정된 주둔지로 남호주로 확장하려는 시도가 무산되었다.[9] 휴즈와 마크스는 당의 주요 재정 후원자였는데, 그 이유는 당비가 의도적으로 낮게 책정되어 있었고 당의 널빤지 중 하나가 기업 기부를 거부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휴즈는 특히 자신의 돈에 인색하여, 요청된 250파운드 중 100파운드만 당 출납원에게 보내고 그 비용에 대해 불평할 정도였다.[10]

선거

호주당이 경합한 첫 선거는 1930년 7월 레인 코브 선거구에서 뉴사우스웨일스 입법회의 보궐선거였다. 프레데릭 던(전 레인코브 시장)을 후보로 내세우며 25.6%의 득표율을 기록해 노동(30.7%), 국민당(43.5%)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비록 그것이 국민당의 안전한 의석임에도 불구하고, 일부 사람들은 노동당이 선거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다면 호주당이 승리했을 것이라고 제안하였다.[11]

1930년 10월 뉴사우스웨일스 주 선거에서 호주당은 후보들을 18석(시드니에서 2석 제외)으로 앞섰다. 투표 결과 9.8%의 의석을 차지했지만 주 전체는 2.1%에 불과했다. 이번 선거전은 다수 의석을 얻기를 희망했다는 점에서 실패작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었다. 휴즈는 주 정치에 거의 관심이 없었고 주로 연방 문제에 대해 선거운동을 했다. 는 토마스 바빈 현 국민당 정부의 대안으로 자신의 당을 내세웠지만, 반정부 유권자들은 55.0%의 득표율로 압승을 거둔 잭 의 노동당에 압도적으로 찬성했다.[12] 휴즈는 자신의 당이 받은 언론 보도의 부족에 대해 자주 불만을 토로하며, 언론이 "당선을 따르는 파시스트 이탈리아나 소련과 같은 순응주의자"라고 말했다.[13]

소멸

조지 맥스웰은 1930년 5월 정책 차이를 이유로 국민당에 다시 입당하기 위해 당에서 사임했다.[14] 당 비서인 W. F. 잭슨은 8월에 시드니 모닝 헤럴드에 보낸 공개 서한에서 휴즈를 개인적으로 공격하면서 그와 같이 행동했다.[15] 9월에 휴즈는 "본드냐 프리냐"라는 제목의 16페이지짜리 팜플렛을 출판했다. 한 달 만에 (각각 3펜스로) 5만 부 가까이 팔린 오토 니메이어 경의 보고서". 그것은 신문에 널리 인용되었다. 이 성명은 경제 문제에 대해 호주당을 연방 노동 정부의 왼쪽에 효과적으로 배치했고, 랑 노동당이 갖고 있는 급진적 견해에 근접했다. 은 당의 지지를 철회했고, 월터 마크스는 휴즈가 자신과 상의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당적을 사임했다.[16]

호주당은 1930년 주 선거 이후 사실상 존립이 중단되었다. 1931년 4월 15일, 민족주의 지도자 겸 야당 지도자라담은 휴즈, 조셉 라이온스, 얼 페이지에게 당과 파벌을 통합하고 스컬린 정부에 대한 연합 반대파를 구성할 것을 제안했다. 휴즈와 라이온스가 수락했고, 라이온스를 지도자로 하는 새로운 통합호주당이 5월 7일 공식적으로 존재하게 되었다. 호주당의 유일한 남은 의원인 휴즈와 월터 던컨은 마크와 맥스웰이 그랬던 것처럼 새로운 UAP에 가입했다.[17]

휴즈의 전기 작가인 로리 피츠하르딘은 호주당에 대해 "그 당은 대중적인 뿌리는 없었지만 위에서 만들어진 것이며 휴즈와 던컨의 끊임없는 노력만이 그 활동을 지속시켰다"고 썼다. 그것은 경험이 부족했고, 일관성 있는 프로그램이 부족했으며, 무엇보다도 재정적인 것이 부족했다."[10]

플랫폼

아서 오키프 호주당 간사 시드니 당 사무소.

호주당은 스스로를 비정치적이라고 표현했다. 좌파 포퓰리즘과 경제 민족주의를 혼합한 '비그와 절충적 플랫폼'을 갖고 있었다.[8] 휴즈는 그 당이 "정말 민주적이고 진보적이어서 모든 노동당이 참여해서 지지할 수 있는 민주적인 정당"이 되기를 원했다.[7] 주지사입법회의 폐지 등 노동 강령에서 직접 풀리는 정책도 있었다. 휴즈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동당을 공산주의자들의 지배하에 있다고 비난하면서 동시에 대공황의 책임이 국민당원들에게 있다고 공격했다. 다른 호주당 정책들은 휴즈의 애완동물 관심사를 반영했는데, 예를 들어, 상업과 산업 관계에 대한 연방 정부의 권한을 증가시키기 위해 헌법을 개정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당론은 몇 가지 구체적인 내용을 제시하지 않았고, 당은 거의 전적으로 휴즈의 지지를 호소하는 데 의존하고 있었다.[18]

저명인원

국회의원
다른 구성원

외부 링크

참조

메모들

  1. ^ 빅토리아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의 회원 수를 합쳤다.

인용구

  1. ^ "The Australian Party". The Mercury. 2 September 1930.
  2. ^ "Australian Party". The News. 2 February 1931.
  3. ^ a b c "The Australian Party – What It Stands For". Australian Party – Federal Capital Press.
  4. ^ "New Party. Launched By Mr. Hughes". The Sydney Morning Herald. 3 December 1929.
  5. ^ 휴즈, 윌리엄 모리스 (빌리) (1862–1952) 오스트레일리아 전기사전
  6. ^ Fitzhardinge, Laurie (1979). William Morris Hughes: A Political Biography / Vol. II: The Little Digger, 1914–1952. Angus & Robertson Publishers. pp. 569–579.
  7. ^ a b 피츠하르댕(1979년), 페이지 591.
  8. ^ a b 피츠하르댕(1979년), 페이지 592.
  9. ^ 피츠하르댕(1979년), 페이지 593.
  10. ^ a b 피츠하르댕(1979년), 페이지 594.
  11. ^ Hogan, Michael; Clune, David (2001). The People's Choice: Electoral Politics in Twentieth Century New South Wales / Volume Two: 1930 to 1965. Federation Press. p. 21.
  12. ^ Hogan & Clune(2001), 페이지 33. 33.
  13. ^ 호건 & 클루네(2001년), 페이지 31. 31.
  14. ^ 피츠하르댕(1979년), 페이지 595.
  15. ^ 피츠하르댕(1979년), 페이지 596.
  16. ^ 피츠하르댕(1979년), 페이지 597.
  17. ^ 피츠하르댕(1979년), 페이지 604.
  18. ^ 호건 & 클룬(2001년), 페이지 2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