뱅크스타운 벙커

Bankstown Bunker
뱅크스타운 벙커
Bunkerheyday.jpg
1945년 뱅크스타운 벙커
위치오스트레일리아 뉴사우스웨일스캔터베리 뱅크스타운 콘델 파크
좌표33°55′01″S 151°00′54″E / 33.9170°S 151.0149°E / -33.9170; 151.0149좌표: 33°55′01″S 151°00′54″E / 33.9170°S 151.0149°E / -33.9170; 151.0149
빌드됨1943–1944
을 위해 제작됨오스트레일리아 공군
건축가연합 작업 위원회
공식명방공본부 파괴 시드니(전); ADHQ 시드니; 전투기 부문 1위; 1FSHQ; 뱅크스타운 벙커; RAF 1위 설치 뱅크스타운; 101위 전투기 부문
유형국가 유산(복수/그룹)
지정된2011년 11월 18일
참조번호1857
유형디펜스 베이스 공군
카테고리디펜스
빌더스튜어트 브로스 프티 주식회사
Bankstown Bunker is located in Sydney
Bankstown Bunker
시드니 뱅크스타운 벙커 위치

뱅크스타운 벙커(Bankstown Bunker)는 과거 방공본부 시드니(ADHQ Sydney)로 알려진 곳으로 호주 뉴사우스웨일즈캔터베리-뱅크스타운 시콘델파크에 있는 마리온과 에드가 스트리트 모퉁이에 위치한 유산상장 왕립 호주 공군(RAF) 작전시설이다. Allied Works Council에 의해 설계되었고 1943년부터 1944년까지 시드니의 스튜어트 브로스 프티 주식회사가 건설했다. 방공 본부인 루네 시드니(전), 전투기 부문 1위 본부, 1FSHQ, 뱅크스타운 벙커 및 RAF 1위 설치 뱅크스타운, 101위 전투기 부문으로도 알려져 있다. 그것은 2011년 11월 18일 뉴사우스웨일스 주립 유산 등록부에 추가되었다.[1]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이 호주에 도착한 뒤 뱅크스타운 공항은 전쟁 노력을 뒷받침할 핵심 전략 공군기지로 설립됐다. 이 기간 동안 특수 제작된 벙커는 1945년부터 1947년 폐쇄될 때까지 중요한 RAAF 본부가 되었다.[2] 뱅크스타운 벙커는 현재 테일러 스트리트 끝에 있는 공원 아래에 묻혀 있다.[3][4][5]

역사

제2차 세계 대전 중의 뱅크스타운 벙커
1972년 화재로 소실된 후 오늘날과 같은 방

1945년부터 1947년까지 뱅크스타운 벙커는 비밀스러운 RAAF(Royal Australian Air Force (RAAF) 이 시설의 건설은 1945년 1월 제1전투기 부문 RAF의 본부로 공식 위촉되면서 1942년 말 30,579파운드의 비용으로 시작되었다. 이 부대는 이전에 뱅크스타운의 캐피털 홀 그림극장과 세인트 제임스 철도역 아래의 터널에서 운영되었다.[6]

벙커는 공군이 '비행기'라고 부르는 교대로 상시 유인됐다. 벙커에서 근무한 인력은 대부분 현지인이었다. 그럼에도 공군은 뱅크스타운 채플로드에 이들을 위한 숙소를 마련해줬고, 창문이 깜깜해진 버스는 군 장병들을 벙커로 이송했다. 벙커의 모든 직원들은 채플 로드에서 진행된 '비행기 식별' 훈련 등 특별한 훈련을 받아야 했다.

벙커는 제2호 자원항공관찰단, 여성보조호주공군, 왕립호주공군, 미육군공군 등이 유인했다.[7]

벙커의 송신소베이스 힐의 존스턴 로드에 위치해 있었고 지상 공사 건물이었다.[8]

벙커는 1947년 ADHQ가 해체되면서 해체된 것으로 보인다.[9] 그 후 벙커를 돌보는 관리인이 배치되었다.

1971년에야 리젠츠 파크에 있는 2호점 디포 RAF 회원들이 당시 뱅크스타운 토치 편집장 필 엥기쉬를[10] 벙커로 초대했다. 많은 사진들이 찍혔고 그 발견을 상세히 기술한 기사가 지역 신문에 실렸다. 1972년에 방화범들은 벙커에 불을 질렀다. 1976년 NSW 주택부는 벙커가 건설된 토지를 인수하여 그 지역을 현재 대부분의 부지를 차지하고 있는 연립주택으로 재개발하였다. 이 지역은 현재 8~11개의 빌라가 들어 있는 여러 개의 개별 단지 또는 "클로스"로 구성되어 있다. 각 클로즈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뱅크스타운에서 날아온 항공기의 일종에 따라 적절하게 이름이 붙여졌다.

전투기 부문 본부 1호 부대

1942년 1월과 2월에 라바울과 싱가포르가 일본군에 함락되고 1942년 2월 19일에 다윈이 폭격되면서 호주 정부와 많은 호주인들은 일본이 호주 본토를 침공할 것을 두려워하게 되었다. 이 위협에 대한 호주 정부의 대응의 일환으로, 영국 호주 공군(RAAF)이 대폭 확대되었고, 처음으로 RAF가 호주 전략 지역의 방공 역할을 맡게 되었다. 전투기 부문 본부는 시드니, 뉴 램턴(NSW), 멜버른, 브리즈번, 타운즈빌, 다윈, 퍼스, 포트모르즈비에 설립되었다. 또 다윈, 퍼스, 타운즈빌, 캠든(NSW) 등지에 이동전투기 부문 본부가 구성됐다.[1]

전투기 부문 본부의 주요 책임은 다음과 같았다.

  • 레이더 초소(라디오 방향 탐지 초소), 해군 함정, 자원 항공 관측소 감시 초소 및 기타 출처에서 항공기 조준을 받는다.
  • 항공기가 우호적이었는지 적대적이었는지, 그리고 항공기를 격추하기 위해 적대적 직접 전투기 편대 및/또는 해군 함정과 육군 대공포 부대인지 판단한다.
  • RAAF, 육군 및 해군 본부 및 경찰, 소방대 등 민간 당국에 공습경보를 발령한다.
  • 서치 라이트 배터리를 [1]작동시키다

제1의 전투기 부문 본부(1FSHQ)로 알려진 시드니 전투기 부문 본부는 1942년 2월 25일 창설되어 뉴사우스웨일스의 방공작전을 담당하였다. 뱅크스타운(현재의 뱅크스타운 타운홀 부지)의 캐피톨 픽처 극장에는 임시 작전과 음모의 방이 설치되었다. 그로부터 두 달이 채 지나지 않은 4월 16일 1FSHQ는 미 육군항공대에 책임을 떠넘기고 부대는 해체되었다. 그 후 몇 달 동안, 미 육군항공군단은 방공작전을 도시의 세인트 제임스 기차역 근처의 불용 철도 터널로 이전했다.[1]

1942년 8월 3일 RAAF 본부 동부지역의 지휘 아래 1FSHQ가 개혁되었고 1FSHQ는 뉴사우스웨일스의 방공 책임을 다시 한번 떠맡았다. 작전실은 1942년 9월 7일 뱅크스타운에 있는 캐피톨 극장으로 다시 옮겨졌다. 이때 1FSHQ는 여군 보조 호주 공군(WAAF) 119명 등 19명의 장교와 164명의 계급으로 구성되었다. RAAF 고위 장교들은 주로 항공 승무원 출신이었고, RAAF 하급 장교들은 정보원이나 행정관이었다. 부대 장교 중 2명은 WAAAF 장교였으며, 부대에는 연락 임무를 위한 육해군 장교도 있었다. 사병들은 다음을 포함했다.[1]

레이더 관측소, 의용항공관찰단(호주), 선박, 제2호 및 제8호 전투기 부문 본부 등으로부터 항공기 이동에 관한 보고를 받은 전화, 텔레프린터, 무선전신 및 전화장비의 운용자

  • 대형 지도에 항공기의 위치 및 배송을 표시한 점원
  • 통신 장비를 유지 관리하는 기술자
  • 행정사무원, 조리사,[1] 운전기사 등 지원요원

1943년 10월과 1945년 1월 사이에 1FSHQ는 몇 가지 명칭을 변경하였다. 1943년 10월 18일 제101호 전투기 부문으로 개칭되었다가 1944년 3월 7일 제101호 전투기통제부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45년 1월 21일, 그 부대는 방공본부 시드니(ADHQ 시드니)로 개칭되었고, 방공작전은 콘델 공원에 위치한 전용 건설 작전실로 옮겨졌다. 이때까지 이 부대의 RAF 대원들 중 많은 수가 호주 북부나 뉴기니에 포스팅되었고 제2호 자원항공관측단(VAOC)의 대원들이 자리를 잡았다.[1]

시드니 방공 본부

문서화 증거에 따르면 1942년 8월까지 용도를 건설한 전투기 부문 본부와 군 작전실을 건설하기 위한 영구 부지를 찾는 작업이 진행 중이었다고 한다. 결국 블랙 찰리 언덕에 있는 얕은 채석장이 있는 장소가 선정되었다. 이 유적지는 동쪽, 서쪽, 남쪽, 맑은 날에는 시드니 하버 브리지의 아치를 볼 수 있는 광활한 경관을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뱅크스타운 병원신탁이 소유하고 있던 토지는 국가보안규정에 따라 재개됐다. 영연방정부는 1945년 8월 경에 그 부지를 취득했다.[1]

전투기 부문 본부 건설에 대한 승인은 1942년 11월 7일 항공부 장관이 긴급 전쟁 대책으로 내렸다. 2층 지하 벙커에 대한 작업은 1943년 1월에 시작될 예정이었고, 남아있는 문서들은 4월까지 그 구조물의 기초가 잘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전투기 부문 본부는 1944년 8월까지 공사가 완료되었는데, 그 해 11월에 우체국총국이 설치하기로 되어 있던 전화와 신호 케이블의 설치를 제외하였다.[1]

이 프로젝트의 주 계약자는 시드니의 스튜어트 브로스 프티 주식회사였다. 뱅크스타운 시의회는 건물의 전기적 개조 작업을 실시했으며, 에어컨 장비는 시드니 스프링스트리트의 캐리어 에어컨 유한회사가 공급·설치한 것으로 보인다. 벙커와 위 지반, 행정 건물, 휴게실 및 주방, 남성 및 여성용 라트라인, 차고 등 지원 건물을 건설하는 데 드는 예상 비용은 20,400파운드였다. 프로젝트의 최종 비용은 36,255파운드였다.[1]

건물이 완공되었을 때 지하와 1층으로 이루어져 있었고, 그 중심에는 2층 높이의 운영실이 있었다. 작전실은 WAAF 직원이 항공기 이동을 계획한 대형 플롯 테이블이 지배하고 있었다. 이 벙커의 다른 주요 작전 구역은 군 작전실, 수색 조명 작전실, 해군 작전실이었다.[1]

새로운 비밀 방공 본부는 1945년 1월에 가동되었다. 이 기간 동안의 부대 병력 보고서는 49명의 장교와 128명의 RAF와 WAAAF가 육군, 해군, 자원 봉사 항공사의 직원들과 함께 ADHQ에 근무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ADHQ가 24시간 운영되면서 1주일에 7일씩 배정된 인원이 한꺼번에 모두 근무한 것은 아니다. 보안상의 이유로, 그 직원들은 ADHQ를 버스로 왕복했다. ADHQ 직원들을 위한 숙소는 뱅크스타운 쇼핑 지역에 위치해 있었다.[1]

1945년 9월 태평양에서의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면서, VAOC는 상근 운영을 중단했고 RAF와 WAAAF 직원들은 해고되었다. 1947년 1월 ADHQ 부대가 해체되고 벙커가 폐쇄되었다. 이 건물은 1965년 태평양에서 해군 기동훈련을 위해 해군에 잠시 재점거될 때까지 비어 있었다. 그 기동의 결론에 따라 그 건물은 다시 폐쇄되었다. 이 벙커는 1971년 4월 앨더먼 레슬리 길먼 등이 동행한 뱅크스타운-캔터베리 토치 신문의 필 엥기쉬 편집장이 시설을 둘러보기 전까지 거의 방해받지 않고 놓여 있었다. 투어에 이어 횃불신문에 실린 기사에서 ADHQ의 위치가 공개됐다. '토치는 비밀 RAAF 전쟁기지를 파괴한다'는 제목의 이 기사는 데일리 텔레그래프시드니 모닝헤럴드에도 동시에 실렸다.[1]

기사에서 Engisch는 그 경험을 "Sean Connery 007 영화에서 기대할 수 있는 것"에 비유하면서, 그 투어 파티가 어떻게 회랑과 온전한 방을 헤매는지를 기록했다. 불행히도 벙커의 위치가 공개된 지 약 4개월이 지난 후, 건물 내부는 화재로 소실되었다. 이번 화재는 노숙자들이 벙커에 대피하거나, 반달들이 불을 지른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화재는 8월 9일 저녁부터 시작돼 일주일 넘게 탔다고 한다.[1]

1970년대 초 국방부는 4헥타르(9에이커) 부지를 영연방 주택부에 넘겼다. 1976년 건축회사 로버트슨과 힌드마르슈 프티가 설계한 국방 주택청 중밀도 주택계획이 이전 ADHQ 부지에 건설되었다. 주택용지는 지하벙커가 해당 토지의 열린 공간 중 하나에 위치하도록 설계됐다. 위 지반인 벙커 지지 건물이 철거된 것은 이때였다.[1]

벙커로 들어가는 주요 출입구의 정확한 위치는 건물 위와 옆면 위쪽에 벙커의 존재를 감추는 조경이 이뤄졌기 때문에 알려지지 않았다. 그러나 1980년대와 1990년대에 벙커는 적어도 세 번 이상 진입했다. 그러한 경우, 인기 있는 텔레비전 쇼인 버크의 뒷마당에 있는 한 영화 제작진이 통풍구를 통해 시설로 기어들어갔고, TV 쇼의 진행자인 돈 버크는 벙커에서 이 쇼의 에피소드를 진행하였다. 텔레비전 쇼의 영상과 건물 입주를 얻은 다른 사람들이 찍은 사진들은 그 시설이 구조적으로 온전하다는 것을 보여준다.[1]

관련 건물

Air Board documentation indicates that the Fighter Sector VHF/RT system (Very High Frequency Radio Transmission System) was to comprise: 3 VHF/DF (Direction Finder) fixer stations, 1 VHF/DF homing station, 1 remote (local) transmitting station, 1 remote (local) receiving station and 2 relay stations (each consisting of a receiver and transmitter). 시드니 ADHQ 중계소의 경우, 새로운 VHF 송신기와 수신기 방송국으로 선정된 현장의 높이가 만족스러운 통신을 보장할 것으로 예상되어 국방 당국은 불필요한 것으로 간주했다. 밝혀진 바와 같이, 새로운 송수신국은 결코 건설되지 않았고 시드니 ADHQ는 레베스비 피크닉 포인트의 기존 수신국과 베이스 힐의 존스턴 가의 기존 송신소에 의존했다. 로버트슨에 남아 있는 문서에 따르면, 웬트워스서머스비는 ADHQ의 VHF/DF 픽서 스테이션으로 활동하기로 되어 있었다.[1]

정보(보통 전화상으로)를 1FSHQ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진 다른 레이더 스테이션은 키아마에 위치한 모루야, 18번 레이더 스테이션에 위치한 17번 레이더 스테이션, 고스포드 인근 봉비에 위치한 19번 레이더 스테이션, 시드니 북헤드에 위치한 101번 레이더 스테이션이었다. 램턴의 2번 전투기 부문 본사와 브리즈번 8번 전투기 부문 본사에서 정보도 전달됐을 것이다.[1]

기타 전투기 부문 본부

No. 1942년 2월 25일 New Lambton NSW에 결성된 전투기 부문 본부. 이 부대는 1944년 12월 3일 애쉬 아일랜드로 이동하기 전에 뉴 램턴 공립학교에 작전을 명령했다. 2번 전투기 부문 본부는 뉴캐슬과 헌터 지역의 전투기 조종과 조정을 담당하게 되었다. 그러나 2FSHQ는 New Lambton에 위치한 동안 운영되지 않고 훈련 시설로 기능한 것으로 보인다. 이 유닛을 위해 (콘델 파크에 건설된 것과 유사한) 용도 구축 본부가 건설되었다는 징후는 없다.[1]

1942년 2월 25일 타운즈빌에 3번 전투기 부문 본부가 결성되었다. 이 부대는 북부 퀸즐랜드와 뉴기니를 통해 전투기 작전과 대공 방어망을 통제했다. North Ward의 문법학교에서 준지하 벙커(모든 케이블이 지하에 깔려있기 때문에 그렇게 식별됨)까지 운영된 부대는 1942년에서 1943년 사이에 건설되었다. 새로운 전투기 부문 본부는 스튜어트 산의 아래쪽 비탈에 건설되어 1944년 12월 20일에 완전 가동되었다. 1962년 또는 1963년에 벙커의 내부는 화재로 파괴되었다.[1]

5호 전투부대는 일본군의 다윈 폭격 엿새 만인 지난 2월 25일 다윈에 창설됐다. 이 부대는 브룸에서 케이프 요크까지 호주 북부 전역의 모든 항공 작전을 담당했다. 처음에 전투기 부문 본부는 텐트를 치고 다윈 활주로에서 남쪽으로 1킬로미터 떨어진 샌플라이 굴리에 있는 거친 오두막을 운영했다. 이후 다윈에서 동쪽으로 15km 떨어진 베리마(Berrimah)에 작전실이 건설되었다. 현장에서 일했던 남성들이 제공한 정보는 이 건물이 처음에는 한 방으로 구성되어 있었지만 나중에는 두 개의 방으로 확장된 반지하 구조였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몇 년 동안 베리마 운영실의 정확한 위치는 분실되었으나, 1995년에 그 건물에 대한 검색이 시작되었고 1997년에 이르러 베리마 농장에서 인접한 두 개의 방(가칭 여과실 및 운영실)의 온전한 콘크리트 바닥이 확인되었다.[1]

제6 전투 부문 본부는 1942년 4월 22일 퍼스에 결성되었다. 수술실은 로리산의 알마 스트리트 미소닉 홀에 설치되었다. 1945년 1월과 3월 사이에 그 부대는 퍼스 벨몬트의 엡섬 에비뉴에 있는 새로운 지하 벙커로 이동했다. 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 Belmont Bunker에 대한 헤리티지 위원회는 이 벙커는 중간에서 높은 무결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전의 전투기 부문 본부를 민방위 비상부(State Eme라고도 한다)의 잠재적 작전 본부(Committee)로 전환하기 위해 몇 가지 변경이 일어나고 있다고 설명한다.리젠시 서비스).[1]

다른 전투기 부문 본부와 마찬가지로 급조하여(1942년 5월 4일), 작전실이 멜버른 프레스턴 타운 홀에 설치되었다. 7번 전투기 부문 본부는 RAAF 기지인 포인트 쿡으로 이전된 1946년 2월까지 프레스턴 타운홀에 남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본 부대를 위해 건설된 (콘델 파크 시설과 유사하게) 목적에 맞게 건설된 본부는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1]

8번 전투기 부문 본부는 원래 미국 제8전투그룹인 USAAC가 운영했다. 제8전투단이 타운즈빌에 재배치되었을 때 전투기 부문 본부는 미 육군 제565항공경보대대에 의해 잠시 인계되었다. 1942년 8월 3일 8호 전투기 부문 본부가 결성되었다. 이 부대는 앤 스트리트 브리즈번 윌즈 빌딩 3층에 위치하고 있었다. 그 건물은 이후 철거되었다.[1][11][12][13][14][15][16][17][18][19][20][21]

설명

구 방공본부(ADHQ)는 높이 1.83m의 바브와이어 남자가 위장 울타리를 두른 9에이커의 부지를 점령했다. 이 부지의 동쪽 절반은 남북 방향으로 그 부지를 가로지르는 자갈길에 의해 해부되었다. 현지의 주요 출입구는 이 도로의 남쪽 종착역이었다. 자갈길 북쪽 끝에 두 번째 진입/출입 지점이 있었다.[1]

현장에서 가장 큰 구조물은 뉴사우스웨일스의 방공호가 통제된 2층짜리 지하벙커였다. 벙커 외에 1942년 부지 계획에는 지상 5층, 지지 구조물이 있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그 건물들은 행정 오두막, 휴게실과 주방 오두막, 여성 변소, 남성 변소, 그리고 자동차 운송 차고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 건물들은 자갈길 바로 서쪽인 이 부지의 남쪽 경계선에 인접해 있었다.[1]

오늘날 구 방공본부는 1970년대에 부지에 건설된 주택지의 개방된 공간 중 하나에 놓여 있다. 건물의 위와 옆면을 가로지르는 구역은 건물의 존재를 감추는 조경을 하고 있다. 벙커로 들어가는 주 출입구의 정확한 위치는 알려지지 않았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 찍힌 벙커 내부 사진은 건물 내부를 내장으로 내부가 꺼진 화재에도 불구하고 구조적으로 온전한 상태임을 보여준다.[1]

상세설명

방공본부와 지상, 지원건물에 대한 다음의 설명은 1942년 11월 4일자 부지계획, 1943년 3월 3일자 평면도와 단면도, ADHQ(특히 군실, 육군 스위치 및 시험실)의 변경 및 추가 계획, 1943년 8월 27일 및 빌디에서 주로 취해졌다.ng 사양 1942년 11월경.[1]

서포트 빌딩

위 지반 중 4개 지반이 1942년 부지 계획에 서향으로 자갈길에서 갈라진 진입로 주변에 서포트 건물이 집단으로 배치되어 있다. 다섯 번째 건물(여성 변소)은 본조의 북쪽에 가까운 거리에 있었다.[1]

1942년 부지 계획에 따르면 진입로를 따라 가장 먼저 마주친 건물은 휴게실과 주방 건물이 바로 맞은편인 진입로 남쪽에 있는 행정 건물이었다. 각각의 건물들은 두 개의 "c 시리즈" 군용 오두막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행정 건물(C15군 오두막)에는 사무실 공간, 일반 마스터스 매장, 질서 정연한 방이 있었다. 휴게실과 주방 건물(C7 군용 오두막)의 중앙에 주방, 구내식당, 가게가 있었다. 주방 매점 한쪽에는 장비담당관실과 뷔페, 휴게실이 자리 잡고 있었고 다른 한쪽에는 뷔페와 휴게실이 자리 잡고 있었다.[1]

진입로를 따라 마주친 다음 건물은 말레 라트린이 있었는데, 이 건물은 진입로 북쪽에 위치해 단일 'c시리즈'(c.12)의 군용 오두막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변소는 동쪽 끝에 장교의 변소가 있고, 서쪽 끝에 다른 계급의 시설이 있는 두 구역으로 나뉘었다. 휴게실과 주방 건물과 남성 변소 사이, 그리고 이 건물들의 북쪽에는 여성 변소가 있었는데, 이 변소들은 또한 하나의 'c 시리즈 (c.12) 군사 오두막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Male Latrin과는 달리, 제공된 시설에서는 장교와 다른 계급 사이의 분열이 없었다. 그 운전의 끝에는 기둥 4개와 지붕 1억개로 구성된 차고가 있었다.[1]

방공본부

구 방공본부는 준공 후 완전 지하화된 반지하 벙커다. 그 건물은 "자르고 채우는" 방식으로 지어졌다. 지하 1층부터 자연지반까지 굴착된 토양은 지상 2층까지를 덮는 데 사용되었다.[1]

지하 벙커는 지상 2층, 지하 2.75m의 높이였다. 구조물의 외벽은 두께가 약 2' (61 cm)인 벽돌로 구성되었고, 흙으로 채워졌다. 내부 칸막이 벽은 대부분 벽돌과 목재로 만들어졌고, 회초리로 덮여 있었다. 1970년대 벙커의 한 방문객은 인테리어가 "군대의 색으로 칠해져 있다"고 말했다. 천장과 바닥은 철근 콘크리트 두께 4인치(10.2cm)로 구성되었다. 벙커의 평평하고 돌출된 콘크리트 지붕은 두께가 최소 18인치(45.7cm)로 500개의 1b 폭탄의 직격탄을 맞고도 살아남도록 설계되었다. 3/4인치(1.9cm) 두께의 아스팔트를 축축한 코스로 평평한 콘크리트 지붕 위에 깔았다. 그 후 아스팔트는 최소 2' 3"(68.6 cm)의 흙으로 덮여 있었다.[1]

벙커의 입구는 벙커의 동쪽 면적의 거의 중간 지점에 위치해 있었고, 전략적으로 토사 제방 뒤에 위치한 콘크리트 통로를 통해 접근한 것으로 보인다. 1943년 12월에 실시된 1FSHQ(임시 HQ와 신축 건물 모두)에 필요한 화재 보호 조치에 대한 평가는 건물의 남단과 북단에 "비상 탈출"이 있었다고 지적했다. 1943년 3월의 벙커 평면에는 건물의 남쪽 끝에서 1층으로 나가는 출구가 나와 있다.[1]

지상층 배치도

평면도는 벙커의 1층 바닥이 기본적으로 직사각형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벙커의 남서쪽 구석에 작은 직사각형 모양의 연장선이 붙어 있음을 나타낸다. 지상층은 서쪽을 따라 약 97'와 1 1/4", 북쪽 끝을 따라 54' 그리고 동쪽을 따라 97'와 1 1/4" 그리고 남쪽을 따라 35'와 4 1/2"이다. 대략적인 크기 29.60 x 16.46 x 29.60 x 10.78m에 해당한다. 직사각형 모양의 확장은 가로 20'와 세로 7 1/2" 그리고 세로 7 1/2" (약 6.27 x 5.68 미터)[1]이다.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벙커의 입구는 건물의 동쪽 면을 통해 얻어졌다. 콘크리트 통로를 지나 벙커로 가는 방문객은 가벼운 자물쇠로 모습을 드러내곤 했는데, 벙커로 들어가는 것은 바로 앞 벽에 있는 문을 통해서였다. 문을 열고 들어서면, 방문객들은 벙커에 접근하는 모든 사람들의 신원을 확인하는 임무를 맡은 경비원과 대치하고 있는 그를 발견할 것이다. 출입문 왼쪽에는 거의 8미터 길이의 복도가 펼쳐져 있었고, 이 복도는 육군 뷔페로 이어져 남단에 위치한 AWAS 라트린이 접근할 수 있었다. 출입문 바로 앞(통로 건너편)에는 안테캄버가 있었다. 방의 북쪽 벽에 있는 문이 광학 협착기로 이어졌다.[1]

평면도에 따르면 벙커에 들어서자마자 우회전해 복도를 따라 건물 동쪽 경계를 따라 북쪽으로 달리면 벙커의 북동쪽 구석에 위치한 시그널 룸이 나온다. 신호실은 ADHQ의 관련자들에게 배포되기 전에 전화, 텔레프린터, 레이더에서 들어오는 통신을 분류하는 곳이었다. 신호실에서 왼쪽으로 돌면 1층 북쪽 끝의 거의 길이로 이어지는 복도에 접근할 수 있었다. 복도 북쪽에서 마주친 첫 번째 문은 시그널 룸으로 통하는 문이었고, 이어 사이퍼 앤 인텔리전스 룸(보안이 필요할 때 인코딩하고 해독하는 메시지), P.B.X 스위치(개인 업무용 전화 교환), RAF 뷔페, WAAAF 라틴, RAF 남성 라트린으로 통하는 문이 열렸다. 복도 끝(벙커의 북서쪽 구석)에는 포스트 마스터스(PMG) 프레임 룸이 있었다. PMG는 ADHQ에 전신 케이블과 전화 케이블을 공급하는 책임을 맡았다.[1]

2층 높이의 작전실이 벙커의 중심부를 형성했다. 평면도는 운영실이 적절한 지도 참조로 지도에 도색되었을 대형 플롯테이블에 의해 지배되었을 것임을 나타낸다. WAAAF의 구성원인 플로터들은 필터 룸에서 통과된 항공기 이동을 플롯 테이블을 사용하여 플롯 테이블을 사용한다. 운영실(지상층) 상부의 동쪽 끝에는 관제사 갤러리가 있었다. 관제사는 일반적으로 전화기와 무전기를 갖춘 상급 조종사였다. 라디오는 그가 적기를 해석하기 위해 보낸 전투기와 직접 대화할 수 있도록 했다. 관제사 갤러리 동쪽 끝에서 4개의 무선 전화(R/T) 캐비닛 룸에 접속할 수 있었다. 운영실 상부 서쪽 끝에서 돌출된 것은 플랫폼 바로 뒤에 위치한 텔레프린터 및 교통상황실과 관련된 표시판에 접근할 수 있는 작은 플랫폼이었다. 텔레프린터 및 교통실의 남벽과 바로 인접한 방에는 비상 무선 텔레그래프/전화 장비가 수용되어 있었다.[1]

벙커 북쪽 절반은 2층 높이의 자원항공관측소(V.A.O.C)와 R/D/F(Radar Directive Finder) 필터룸 상부가 장악했다. 필터룸은 높이와 베어링을 설정하기 위해 항공기 조준에 대한 보고가 "필터링"된 곳이다. 작전 구역의 모든 연합 항공기 이동이 기록되어 있는 무브먼트 갤러리는 V.A.O.C R/D/F실 상부와 작전실 상부의 사이에 샌드위치처럼 놓여 있었다. 건스룸(방공포)과 수색조명작전실이 벙커 1층 남반부를 장악했다. 건스룸 남벽과 인접해 육군 전환실(벙커 본관 남서쪽 코너)과 테스트룸이 있었다.[1]

시험실 동쪽 벽의 문 개구부를 통해 나가면 동서 방향으로 흐르는 복도에 접근할 수 있었다. 복도 남쪽에는 세 개의 높이 변환기 부스가 늘어서 있었다. 복도 북쪽에 높이변환기 부스가 하나 더 자리 잡고 있었다. 이 방의 바로 북쪽에 서치라이트 작전실이 있었다. 북쪽 복도의 동쪽 끝에는 남자 육군 변소가 있었다. 라트린 바로 북쪽에는 앞서 언급한 호주여군국(AWAS) 라트린과 육군 뷔페가 있었다.[1]

육군 전환실(위 참조) 남벽의 도어 오프닝으로 벙커 1층 지상 1층 서남쪽 구석에서 투영되는 소형 직사각형 확장부의 북쪽 끝을 점유한 에어컨실 2개 중 1개에 접근할 수 있었다. 에어컨실 남쪽에는 벙커용 전원 장치와 비상 발전기가 자리 잡고 있었다. 벙커 남단에 위치한 '비상 탈출구' 출구는 비상발전기가 있는 지역 남벽의 구멍을 통해 접근한 것으로 보인다.[1]

지하실

평면도에 따르면 지하실은 북쪽 끝을 따라 약 12m(39ft 3.5인치), 서쪽을 따라 22m(72ft 5.75인치), 동쪽 고도를 따라 21m(69ft 1인치), 남쪽 끝을 따라 14m(46ft 5인치)이다. 지하실의 동쪽 높이 중앙은 움푹 들어가 있어 지하층에는 평면도에서 볼 때 대문자 "E"가 보인다. 수술실은 지하실 중앙을 장악하고 있다. 작전실의 동쪽 끝에는 요격장교의 데이스가 있었다. 요격 임원은 적기를 요격하는 최선의 항로를 계획할 책임이 있었다. V.A.O.C.와 R/D/F 필터룸이 지하실의 북쪽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작전실 남쪽에는 해군 플롯 룸이 있다. 지하층 평면도를 보면 이 방에는 거의 전체 길이를 차지하고 있는 긴 좁은 평면 테이블이 들어 있었다.[1]

필 엥기쉬가 작성한 신문 기사에 제공된 정보는 1943년 3월 계획이 작성된 후 ADHQ의 평면도에 어느 정도 조정이 있었을 수도 있음을 나타낸다. 엥기쉬는 기사에서 벙커에는 화장실과 샤워시설이 있다고 언급했다. Engisch는 또한 소수의 침실의 존재를 기록했는데, 이 침실은 이 건물의 1943년 평면에는 보이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변경은 ADHQ가 태평양의 해군 기동훈련에 사용되었던 1960년대부터 가능했을 것이다.[1][11][18][13][22][23][14][21]

조건

1971년 4월 벙커의 존재가 공개된 지 몇 달 후, 벙커 내부는 화재로 내부가 소실되었다. 그 벙커는 화재 이후 여러 차례 접속되었다. 피터 트레세더는 호주 지오그래픽 1994년 1월~3월호에 실린 기사에서 1987년 벙커에 들어갔다고 주장했다. 트레세더는 벙커에 대해 "...방과 통로가 여러 층으로 흩어져 있는 검게 그을린 껍데기"라고 묘사했다. 벙커 보이즈라고 알려진 그룹은 1996년에 벙커에 들어갔다. 벙커 안에 있는 그룹 멤버들의 사진을 보면 벙커가 구조적으로 온전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재 벙커 내부는 접근이 불가능하다.[1]

벙커의 내부는 화재로 소실되었다. 현재는 벙커로 진입할 수 없지만 건물 내부를 촬영한 이미지에는 구조적으로 이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1]

벙커 안쪽

벙커 복도 중 하나 안쪽에

뱅크스타운 벙커는 독일의 침입자 루프트와페에 대한 영국의 방공 전투기의 공격을 지휘한 전시 잉글랜드의 지하 작전실과 비슷한 설계였다. 벙커 입구는 다양한 구간으로 이어지는 복도와 복도가 있는 풀밭 경사면 아래에 숨겨져 있는 콘크리트 통로를 통해 확보됐다.[24]

벙커의 벽은 두께가[25] 1.5m로 300lb(140kg)짜리 폭탄의 직격탄을 거의 견딜 수 있었다. 그것은 최고 비밀 작전 방어 기지를 운영하는 데 필요한 모든 감쇠된 고정장치를 가지고 있었다. 정착역 3곳과 호밍역 1곳으로 구성됐다. 최대 50개의 전화선을 연결하는 교환대가 설치되어 있었는데, 레이더 방송국과 벙커에 항공기 위치를 보고한 VAOC 감시 초소 등 다양한 장소로 이동했다. 벙커에는 자체 코드룸과 플롯룸, 탈출터널 2개, 무선송신실도 갖춰져 있었다. 벙커 중앙에는 약 2층 높이의 큰 방이 있었다. 이곳은 태평양 지역의 모든 RAAF 임무의 주요 작전실 및 통제 센터였습니다.[26] 그 방에는 2차 세계대전의 남서부 태평양 극장의 부대 위치를 나타내는 대형 지도(24' x 18')도 있었다.

벙커 내부의 시설도 벙커에서 2주 동안 생활하는 것과 관련된 회전목표를 작업하면서, 이 시설에서 생활하고 일하는 상근 직원들을 만족시켜야 했다. 거처는 부엌, 식당, 욕실, 침실로 구성되어 있었다. 벙커에는 자체 발전기와 에어컨도 설치돼 있었다.[27]: 89

벙커에서 알 수 없는 곳으로 터널이 흘러간다는 소문이 있다.[28]

수정 및 날짜

1971년 8월 9일에 시작된 화재로 벙커 내부가 파괴되었다. 벙커 지붕에 설치된 환기구, 전기 및 무선 전신주/전화 전주 등은 1976년 영연방 주택부가 부지 재개발과 연계해 철거했다. 위의 지반, 지지 건물도 1970년대 재개발의 일환으로 철거되었다.[1][13]

위치

테일러 스트리트 끝에 있는 마을 주택들 사이에 작은 예비역이 있다. 벙커가 묻힌 곳은 이 언덕 아래다. 벙커 입구는 이제 밀폐되어 있고 벙커 꼭대기에 있는 지역은 그 위치를 감추기 위해 조경을 해놓았는데, 거리에서 전혀 감지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뱅크스타운 시의 다른 벙커

원격 수신 스테이션. 지도 날짜 1942년 2월 17일.
슐로라 철도 워크샵 및 2차 세계 대전 제조 공장 이전 부지.

뱅크스타운에는 또 다른 확인된 벙커, 즉 '원격 수신 스테이션'이 있다.[29] 1945년에 "엄청나게 파괴되었다"고 보도되었지만 그것의 역사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그것은 사우스 시드니 발전소 근처에 있는 피크닉 포인트 국립공원에 위치해 있었다.[30] 그 지역 주민들에 따르면, 그것은 여전히 존재한다고 한다. 현대 지도와 역사적 지도를 비교한 결과, 수신국과 현재의 시드니 남부 전기 변전소는 동일한 발자국을 공유하고 있으며, 후자는 전자 바로 위에 위치한 것으로 보인다. 이 변전소는 조르주 국립공원에 있는 헨리 로슨 드라이브에 의해 남서쪽과 남동쪽으로 경계를 이루고 있다. 뱅크스타운 지역에는 밀페라 로드와 헨리 로슨 드라이브 모퉁이의 전기 블록 하우스 아래, 콘델 파크 고등학교 아래에 철거된 벙커 등 여러 개의 벙커가 더 있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뱅크스타운은 군사활동을 위한 벌집이었다. 뱅크스타운 공항은 여러 전투부대의 본거지였고 뱅크스타운 공항과 그 주변에 몇 개의 "더미 하우스"가 존재했다. 이 집들은 뱅크스타운 공항과 그 주변을 농장으로 보이게 하기 위해 지어졌다. 뱅크스타운에서 근무했던 군인들이 채플로드 주변(오늘날 폴 키팅 공원과 의회 회의실이 있는 곳)에 살았다. 시드니 주변의 여러 가지 플롯룸을 위한 훈련 시설도 이 지역에 위치해 있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주요 전시 제조 공장은 슐로라에 위치해 있었다. 이 지역은 한때 룩우드 공동묘지, 브룬커 로드, 흄 고속도로, 백주년 드라이브로 둘러싸인 100에이커의 땅을 차지했었다. 이 부지는 호주에서 군사용 무기, 비행기 부품, 탱크, 군수품 생산에 사용된 가장 큰 비밀 제조 공장이었다고 한다. 매일 2천 명이 넘는 남녀가 그 공장에서 일하기 위해 고용되었다. 전쟁 중에 그 공장은 700 뷰포트, 380 뷰파이터, 최대 50대의 링컨 항공기를 위한 부품을 생산했다. ACI 탱크 54대와 호주군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개조된 리 장군 탱크 60대가 70년대 현지 지프처럼 만들어졌다. 이 공장은 또한 영국 마틸다 탱크를 위한 81개의 큐폴라 터렛을 생산했다.[27]: 91–92 [31]

지하 '벙커'와 터널 시스템이 이 자리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데이빗슨 가와 마를렌 크레센트의 아파트 단지 바로 아래에 있다. "벙커"의 입구는 레일웰더라는 플랫폼에서 마를렌 크레센트에 평행한 철로를 따라 이어지는 철도의 절단면을 통해 콘크리트로 산비탈로 들어가는 강철 문으로 되어 있다. 이 "벙커"의 문은 1980년대 후반에 용접되었다. 흄 고속도로에서 한 때 보이던 환기구가 제거되었다.

벙커와는 별도로 철도 작업장 아래 확장되는 저장시설 네트워크도 있다. 1977년과 1978년 사이에 강철 출입문에는 잠금장치(철도 SL형)가 장착되었다. 강철 출입문은 폭풍우 배수구의 측면으로 빗장되어 슐로라의 오래된 RTA 건물을 따라 흐른 다음 흄 휘 아래, 그리고 결국 철도 작업장 아래로 흘러 들어갔다. 또한 약 4마일 길이의 터널이 이 단지와 뱅크스타운 벙커를 연결한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32]

대중문화에서의 표현

뱅크스타운 벙커는 버크의 뒷마당 에피소드에 출연했다. 돈 버크는 벙커 안에서 공연의 일부를 진행했다. 벙커로 들어가려면 그는 통풍구를 통해 기어 들어가야 했다.[33][34]

유산상장

2010년 9월 27일, 일본의 침략 위협 인식으로 호주군의 증설이 진행되고 있던 시기에 구 제2차 세계 대전 시드니 방공본부(ADHQ)가 구상되고 계획되었다. 목적을 위해 건설된 전투기 부문 본부(Later ADHQ)는 시드니 지역 방어의 핵심으로 여겨졌다. 1945년 1월에 가동된 시드니 ADHQ는 제2차 세계대전 후기 오스트레일리아 방위망의 필수적인 부분이었다.[1]

콘델 파크의 옛 방공 본부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NSW에 세워진 유일한 시설이다. 지하 벙커는 호주에서 2차 세계 대전 ADHQ를 목적으로 건설된 네 개의 벙커 중 하나이며, 이 중 오직 세 개만이 살아남는다. 이 건물은 희귀한 2차 세계 대전 시설의 설계, 구조 및 건설에 관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는 능력에 있어 상당한 연구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1]

벙커는 호주에서 설계한 제2차 세계 대전투통제부대의 대표적인 사례로서 주정부 및 잠재적으로 국가적 의미가 있다. 해군 모의실 제공을 제외하고는 3개 군에서 모두 합의한 표준 설계에 따라 건물을 지었다. 대표적인 유형을 총체적으로 보여주는 소규모 전투통제부대의 일부다.[1]

구 방공본부는 전 군 3개 지부 소속의 군 복무 남녀는 물론, 제2기 자원관찰단(호주) 소속 전 대원들과 연계돼 있다. 벙커에서 일했던 남녀들은 2차 세계대전 후기 뉴사우스웨일스의 방공작전을 책임졌다.[1]

벙커 내부가 화재로 훼손됐음에도 구 방공본부(일반적으로 '뱅크스타운 벙커'로 통칭)에 대한 지역사회 관심이 상당하다. 그것은 많은 신문 기사의 주제가 되었고 1990년대 인기 있는 텔레비전 시리즈인 버크스 뒤뜰에 실렸다. 오늘날 이 벙커에 대한 정보는 월드 와이드 웹의 수많은 사이트에서 찾을 수 있다.[1]

뱅크스타운 벙커는 2011년 11월 18일 뉴사우스웨일스 주립 유산 등록부에 등재되어 다음과 같은 기준을 충족시켰다.[1]

그 장소는 뉴사우스웨일즈에서 문화 또는 자연사의 경로나 패턴을 증명하는데 중요하다.

구 제2차 세계 대전 시드니방공본부(ADHQ)는 일본의 침략 위협 인식으로 호주군의 증설이 진행되던 시기에 구상되고 계획되었다. 목적을 위해 건설된 전투기 부문 본부(Later ADHQ)는 시드니 지역 방어의 핵심으로 여겨졌다. 제1전투기 부문 본부의 건설은 1942년 11월 항공부 장관으로부터 긴급한 전쟁 대책으로 승인되었다. 1945년 1월에 가동된 시드니 ADHQ는 제2차 세계 대전 후기 오스트레일리아 방위망의 필수적인 부분이었다.[1]

그 장소는 뉴사우스웨일스 역사의 문화 또는 자연사를 중요시하는 사람 또는 집단과 강력하거나 특별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1945년부터 1947년까지 시드니방공본부로 활동했던 지하벙커는 전 3개 지부 소속의 전직 군인 남녀는 물론 제2호 자원관찰단(호주)의 전 대원들과도 연관돼 있다. 벙커에서 일했던 남녀들은 2차 세계대전 후기 뉴사우스웨일스의 방공작전을 책임졌다.[1]

그 장소는 사회적, 문화적, 정신적 이유로 뉴사우스웨일스의 특정 공동체 또는 문화 단체와 강력하거나 특별한 관계를 맺고 있다.

벙커 내부가 화재로 훼손됐음에도 구 시드니방공본부(일반적으로 '뱅크스타운 벙커'로 통칭)에 대한 지역사회 관심이 상당하다. 그것은 많은 신문 기사의 주제가 되었고 1990년대 인기 있는 텔레비전 시리즈인 버크스 뒤뜰에 실렸다. 오늘날 이 벙커에 대한 정보는 월드 와이드 웹의 수많은 사이트에서 찾을 수 있다.[1]

그 장소는 뉴사우스웨일스의 문화적 또는 자연적 역사에 대한 이해에 기여할 정보를 산출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콘델 파크의 구 방공 본부는 이 희귀한 2차 세계 대전 시설의 설계, 구조 및 건설에 관한 정보를 (다른 출처에서 구할 수 없는) 산출하는 능력에 있어 상당한 연구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1]

그 곳은 뉴사우스웨일스의 문화 또는 자연사 중 흔치 않은, 희귀한, 또는 멸종위기의 측면을 가지고 있다.

콘델 파크의 구 방공 본부는 2차 세계 대전 동안 NSW에 지어진 유일한 시설이다. 지하벙커는 호주에서 4대용으로 건설된 WW2 방공본부의 하나로 이 중 3개만 살아남는다.[1]

그 장소는 뉴사우스웨일스의 문화적 또는 자연적 장소/환경의 한 부류의 주요 특성을 입증하는 데 중요하다.

콘델 파크의 구 방공 본부는 호주에서 설계한 2차 세계 대전차 통제 부대의 대표적인 사례로서 주 및 잠재적으로 국가적 의미를 지닌다. 해군 모의실 제공을 제외하고는 3개 군에서 모두 합의한 표준 설계에 따라 건물을 지었다. 그것은 대표적인 유형을 총체적으로 보여주는 소규모 전투통제부대의 일부다.[1]

참고 항목

참조

  1.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ae af ag ah ai aj ak al am an ao ap aq ar as at au av aw ax ay az ba bb bc bd be bf "Air Defence Headquarters Ruin Sydney (former)". New South Wales State Heritage Register. Office of Environment and Heritage. H01857. Retrieved 18 February 2020.
  2. ^ Maltby, Kathy; Rosen, Sue. From Settlement to City. Bankstown: Sense of Identity. Civic Tower 66–72 Rickard Road Bankstown: Bankstown City Council. p. 13.{{cite book}}: CS1 maint : 위치(링크)
  3. ^ Veitch, Alen (24 June 1971). "The Bankstown Bunker". Australian Post.
  4. ^ 콘델 공원에 위치한 뱅크스타운 벙커의 이미지. 2006년 9월 16일 웨이백 머신보관
  5. ^ "NO. 1 FIGHTER SECTOR HEADQUARTERS RAAF". Australia @ War.
  6. ^ Stevenson, Clare; Darling, Honor (eds.). The W.A.A.A.F Book. Peter Dun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0 September 2007. Retrieved 18 October 2007.
  7. ^ "Bankstown Bunker – Western Sydney Bunkers". Westernsydneybunkers.webs.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March 2012. Retrieved 4 March 2012.
  8. ^ W/T. Transmit. Stn. of Bankstown, N.S.W. National Archives of Australia.
  9. ^ (호주 국가기록원 문서 151/2/1098)
  10. ^ "History". Torch Publishin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July 2008.
  11. ^ a b "No.1 Installation Bankstown". National Archives of Australia. NAA:A705,171/26/31 Pt 1 & 2
  12. ^ 공군역사관실 데이브 번스 비행대장이 제공한 정보
  13. ^ a b c Robertson & Hindmarsh P/L Architects (2006). World Wars 1 & 2, Survey of Buildings, Sites and Cultural Landscapes in NSW.
  14. ^ a b Bankstown City Library Vertical File Local Studies - RAAF Underground Bunker.
  15. ^ Rosen, Sue. Bankstown: A Sense of Identity.
  16. ^ 케빈 코크가 지은 뱅크스타운 시티의 영화사
  17. ^ 전투기 부문(다윈): 그레이엄 칼리 호주의 1942-45년 항공전 통제
  18. ^ a b Bankstown City Council (25 August 2009). Item 5.5 Second (WW2) Bunker at Condell Park, Ordinary Meeting of Bankstown City Council.
  19. ^ "RAAF Headquarters Bunker Belmont". www.ozatwar.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August 2006. Retrieved 26 June 2020.
  20. ^ "Operations and Signals Bunker (former)", www.heritage.gov.au
  21. ^ a b Burke, Don. Footage of Burke's Backyard. Australia: CTC Productions.
  22. ^ 전투기 부문(다윈): 1942-1945년 오스트레일리아 항공전 통제
  23. ^ Engisch, Phil (21 April 1971). The Torch uncovers secret RAAF war base. Cantebury-Bankstown Torch.
  24. ^ (R이 제공하는 정보). Eyers VAOC worker)
  25. ^ Teenagers raid bunker. BunkerBoyz.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August 2007. Retrieved 1 September 2007.
  26. ^ "Subterranean Sydney". Sydney Architecture. Retrieved 4 March 2012.
  27. ^ a b Lawrence, Joan; Madden, Brian; Muir, Lesley (September 1999). Pictorial History of Canterbury Bankstown. Kingsclear Books. ISBN 0-908272-55-3.
  28. ^ Peters, Merle (20 January 1993). "Historian's account". Bankstown Torch Newspaper.
  29. ^ 2차 세계대전 중 뉴사우스웨일스 뱅크스타운에 있는 뱅크스타운 원격수신 건물
  30. ^ 지도 – 이미지:뱅크스타운01.jpg
  31. ^ "Chullora "Bunker" and underground Tunnels. Were they used during WW2?".
  32. ^ "Chullora Munitions Site – Western Sydney Bunkers". Westernsydneybunkers.webs.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March 2012. Retrieved 4 March 2012.
  33. ^ Bankstown Library, Local Studies 컬렉션에서 사용 가능한 비디오, 레벨 3
  34. ^ Treseder, Peter (January–March 1994). "Backyard adventure uncovers a wartime secret". Australian Geographic. pp. 17–1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October 2007.

참고 문헌 목록

  • Bankstown City Council (25 August 2009). Item 5.5 Second (WW2) Bunker at Condell Park, Ordinary Meeting of Bankstown City Council.
  • Boyz, Bunker (1996). Photographs of Interior of Bunker.
  • CTC Productions. Footage of Former Air Defence Headquarters From Burkes Backyard.
  • Calley, Graham. Flighter Sector: Control of Australia's Air War 1942-45.
  • Heritage Council of Western Australia (2006). "RAAF Headquarters Bunker, Belmon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August 2006. Retrieved 26 June 2020.
  • Cork, Kevin. History of Cinema of Bankstown.
  • Engisch, Phil (21 April 1971). The Torch uncovers secret RAAF war base. Cantebury-Bankstown Torch.
  • Queensland Heritage Council (2006). "Operations and Signals Bunker (forme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January 2005. Retrieved 26 June 2020.
  • Robertson and Hindmarsh Pty Ltd (2006). World Wars: 1 & 2: Survey of Buildings, Sites & Cultural Landscapes in NSW, Volume 1 & 2.
  • Squadron Leader David Burns, Office of the Air Force History (2010). Information provided in emails dated: 26/02/10; 01/03/10; 04.03/10; 28/04/10; 10/11/10 from Office of Air Force History.
  • Rosen, Sue (1996). Bankstown: A Sense of Identity.
  • Bankstown City Library Vertical File Local Studies - RAAF Underground Bunker.
  • "No.1 Installation Bankstown". National Archives of Australia. NAA:A705,171/26/31 Pt 1 & 2
  • Works Director, Air Services (4 November 1942). No. 1 RAAF Installation Bankstown, FS Headquarters.
  • Robertson & Hindmarsh P/L Architects (2006). World Wars 1 & 2, Survey of Buildings, Sites and Cultural Landscapes in NSW.

귀인

CC-BY-icon-80x15.png 이 위키백과 기사는 원래 2020년 2월 18일 접속한 뉴사우스웨일스 주와 CC-BY 4.0 면허에 따라 발행된 뉴사우스웨일스 주립유산등록부 1857번 등록번호인 '뉴사우스웨일스 주립공군청(Office of Environment and Heritage 2020)은 2020년 2월 18일에 등록되었다.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