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KCO를 조심하십시오!
Beware of ABKCO!ABKCO를 조심하십시오! | |
---|---|
![]() | |
스튜디오 앨범(부트레그) 기준 | |
방출된 | 1994 |
녹음된 | 1970년 5월 27일 |
스튜디오 | 런던 애비 로드 스튜디오 |
장르. | 록 |
길이 | 52:12 |
라벨 | 딸기 |
ABKCO 조심!은 영국의 록 뮤지션 조지 해리슨이 1970년 5월에 공연한 곡들을 담은 앨범이다. 해리슨이 비틀즈 해체 이후 솔로 가수로 첫 발매한 트리플 앨범 올싱즈 머스트 패스(All Things Must Pass)를 염두에 두고 있던 곡들이 담겨 있다. 해리슨의 공동 프로듀서인 필 스펙터의 이익을 위해 1970년 5월 27일 런던의 애비 로드 스튜디오에서 이 공연은 한 세션으로 녹화되었다. 이후 해리슨이 '프랭키 크리스프 경의 발라드(Let It Roll)'로 재작업한 후 'Everybody, Nobody'처럼 15곡 중 7곡이 All Things Must Pass에 포함되도록 정식으로 녹음되었다. 스트로베리 레코드가 1994년에 발표한 앨범부터, 이 부트레그는 해리슨이 선수 생활 동안 한번도 재방문하지 않은 5곡의 유일한 음반으로 제공되었다.[1] 이 중에는 1968년 밥 딜런과 "Nowhere to Go"라는 제목의 콜라보레이션도 있다. 15곡 모두 2021년 8월 정식 발매될 예정으로 우버와 슈퍼 디럭스 에디션의 All Things Must Pass: 50주년 기념 박스 세트의 일부분이다.[2]
해리슨은 어쿠스틱 기타와 일렉트릭 기타를 연주하는 내내 이름을 알 수 없는 베이스 연주자가 '와-와'에서 유일한 추가 반주를 제공한다. 앨범 제목은 해리슨이 앨런 클라인의 매니지먼트 회사인 ABKCO를 언급하기 위해 대사를 바꾼 "Beeware of Darkness"의 공연에서 유래되었다. 이 컬렉션의 3개의 음반은 이후 공식 발매물에 발표되었다. 해리슨이 2001년 출간한 올댓츠 머스트 패스(Let It Down)[3][4]의 보너스 트랙으로 수록한 '어둠의 비'와 'Let It Down'에 리드 기타와 키보드 오버듀브가 추가된 'Run of the Mill'은 2012년 아웃테이크와 데모 컴파일 얼리 테이크: 1권이다.[5]
녹음
해리슨은 런던의 애비 로드 스튜디오에서 'Abby Road Must Pass'에 이어 'ABKCO 주의'가 된 테이프를 일찌감치 녹음했다.[6] 1970년 5월, 그는 비틀즈에서 작곡가로써의 공헌도가 존 레논과 폴 매카트니의 지배에 의해 항상 제한되었기 때문에 많은 양의 곡을 비축해 두었다.[7][nb 1] 해리슨은 그의 공동 프로듀서인 올 Things Must Pass의 필 스펙터의 이익을 위해 그의 사용하지 않는 곡들의 선곡을 끝냈다.[8][9][10]
해리슨은 2001년 출간된 올 Things Must Pass에 대한 라이너 노트에서 녹음 날짜를 5월 27일로 제시한다. 그는 또한 자신의 공연이 녹화되고 있다는 것을 몰랐다고 쓰고 있다.[1][11] 해리슨은 재발행을 홍보할 때 한 엔지니어가 우연히 마이크를 설치하고 녹음했다고 회상했다.[12]
이 곡들은 '와-와'의 베이스 기타 반주를 제외한 모두 해리슨의 솔로 공연이다.[13][10] 그는 "Wah-Wah", "Hear Me Lord" 그리고 "Nowhere to Go"의 세 곡의 전기 기타로 바꾸면서 대부분의 트랙에서 통기타를 연주한다.[nb 2] 이 공연은 해리슨의 작곡에 대한 민속적 측면을 고조시키며, 공식 앨범의 대부분에 고용된 대규모 편곡과 사운드의 월 프로덕션과 대조를 이룬다.[14] 해리슨은 몇 곡의 노래 앞에서 간단한 구어소개를 하는데, 그 동안 그는 가사가 아직 불완전할 때를 가끔 인정한다.[15]
음악 콘텐츠
해리슨이 공식적으로 발표한 노래들
이후 15곡 중 7곡이 All Things Must Pass에 녹음되었다. 게다가 해리슨은 5월 27일에 공연한 직후, "Everybody, Nobody"를 신곡 "Frankie Crash경의 발라드 (Let It Roll)"에 수록했는데, 이 곡도 공식 발매에 포함되었다. 남은 두 곡은 해리슨이 솔로 활동 후반기에 복귀한 곡이었다.[16] '뷰티풀 걸'은 1976년 앨범 '서른쓰리&1/3'에 등장했고,[1] 밥 딜런이 쓴 'I Don't Want Do It'은 1985년 포키의 리벤지!의 사운드 트랙에 해리슨의 기고가 되었다.[17] 후자의 경우 해리슨이 테이프로 스펙터에게 다음 날 세션에서 트랙을 녹음할 생각이라고 말했는데도 불구하고 그랬다.[18]
앨범 전용 노래
창
1969년 1월 렛 잇 비 앨범과 영화를 제작하는 세션 동안, 해리슨 작곡의 몇 편 중 하나가 비틀즈에게 선보였으나, 비틀즈로부터 거절당했다.[19] 해리슨은 11일 전 밴드를 떠난 후 첫 출근일인 1월 21일 애플 스튜디오에서 이 노래를 데뷔시켰다.[20] 이 그룹은 매카트니가 이 노래를 이어받아 더 이상 진지하게 다루지 않도록 하기 전까지 1월 26일 간단한 리허설을 했다.[21] 이 곡은 민요풍의[22][23] 곡으로 해리슨이 1970년 5월 공연에서 "조금 바보"라고 소개한 곡이다.[24] 음악평론가 리치 운터버거는 ABKCO 조심!에 대한 논평을 통해 "창문, 창"을 "고난스럽고 골치 아픈 발라드"[24]라고 표현한다.
"Nowhere to Go"
1968년 11월 해리슨-다일란의 두 번째 콜라보레이션은 해리슨이 All Things Must Pass의 오프닝 트랙으로 선택한 "I'd Have You Anyway"에 이어 이루어졌다. "Nowhere to Go"는 원래 "When Everybody Comes to Town"으로 알려져 있었다.[25][26] 해리슨은 1970년 4월 말 그리니치 빌리지에 있는 딜런의 집에서 이 노래의 데모를 녹음했다. 이 가사에서 해리슨은 1969년 3월 마약단속과 비틀로서의 삶에 대해 언급한다.[24]
"우주 제국"
신학자 데일 앨리슨은 '우주 제국'을 가사가 '크립틱(cryptic)'[27]이지만 '종교적 세계관을 분명히 표현하고 종교적 목표를 제시하는 행복한 노래'라고 표현한다. Unterberger는 그것을 "boyant, jaunty"라고 묘사하고 그것이 Harrison의 유머 감각을 보여준다고 말한다.[24] 해리슨은 공연 시작과 동시에 "코러스 보이스로 가득 찬" 노래를 구상하고 있다고 발표한다.[5]
"마더 디바인"
올리비아 해리슨은 고인이 된 남편의 자서전 '아이, 미, 마인'의 2017년 개정판을 편찬하면서 '마더 디바인'의 가사를 우연히 알게 됐고, 해리슨이 1960년대 후반 인도에 있을 때 이 곡을 썼을 것으로 보인다고 한다.[28] 이 곡은 중간 정도의 템포를 가지고 있으며, 그 의미는 해리슨이 1968년에 "롱롱롱롱롱"[29]과 함께 소개한 작사 스타일인 신에[24] 대한 것으로 해석될 뿐만 아니라 여성에 대한 것이기도 하고, 솔로 아티스트로서 자주 돌아오곤 했다.[30][31][nb 3] 그것은 자주 반복되는 후렴구로 구성되어 있다.[24] 두 구절 중 첫 번째 구절에서 해리슨은 다음과 같이 노래한다. "화려함에 찬란한 / 그녀의 얼굴, 그녀의 얼굴, 역시 상냥하게 미소짓는다. 아름다움 그 자체였는가? / 그리고 그녀가 나를 사랑한다는 것을 안다.[33] 올리비아는 또한 이 노래에 대해 "사랑스러운 감정이고, 그가 수년간, 어쩌면 만트라로 불렀던 것"[34]이라고 말했다.
"너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말해줘"
운터버거의 묘사에서 이 곡은 "혐오스러운 오름차순"과 좀 더 표준적인 민속 양식을 배경으로 한 부분을 담고 있다.[24]
트랙리스트
조지 해리슨이 작곡한 모든 곡은 다른 곳에 기록되어 있다.
- "밀의 달림"
- "죽음의 예술"
- "모두들, 아무도"
- "와와"
- 창
- "아름다운 소녀"
- "어둠을 조심하라"
- "Let It Down"
- "너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말해줘"
- "Hear Me Lord"
- "Nowhere to Go"(해리슨, 밥 딜런)
- "우주 제국"
- "마더 디바인"
- 하고 싶지 않다(다일란)
- "If Not for You"(Dylan)
인원
저자 Chip Madinger와 Mark Easter에 따르면:[10]
- George Harrison – 보컬, 통기타(1–3, 5–9, 12–15), 전기 기타(4, 10–11), 대화
- 이름 없는 세션 음악가 – 베이스 기타(4)
메모들
참조
- ^ a b c 스피저 2005, 페이지 220.
- ^ 폴 싱클레어, 2021년 6월 10일 (2021년 6월 14일 회수) "조지 해리슨 / 모든 것은 50주년 기념판을 통과해야 한다"
- ^ 2006년, 77페이지, 284페이지.
- ^ Spizer 2005, 223페이지, 224페이지.
- ^ a b 언터버거 2014.
- ^ Doggett, Peter (April 2001). "George Harrison: The Apple Years 1968–75". Record Collector. p. 36.
- ^ a b 운터버거 2006, 페이지 286.
- ^ 2006년, 페이지 77.
- ^ 헌틀리 2006, 페이지 49-50.
- ^ a b c d 매딩거 & 부활절 2000 페이지 426.
- ^ Harrison, George (2001). All Things Must Pass (CD booklet, liner notes). Gnome Records. p. 11.
- ^ White, Timothy (8 January 2001). "George Harrison: 'All Things' in Good Time". billboard.com. Retrieved 19 January 2015.
- ^ Unterberger, Richie. "George Harrison Beware of ABKCO!". AllMusic. Retrieved 27 July 2018.
- ^ 2006년 286쪽 288쪽
- ^ 운터버거 2006, 페이지 286–87.
- ^ 배드맨 2001, 페이지 10.
- ^ Harris, John (July 2001). "A Quiet Storm". Mojo. p. 72.
- ^ 매딩거 & 부활절 2000, 페이지 426, 464–65.
- ^ 2006년 훈틀리 18~19페이지.
- ^ 2006년 운터버거 페이지 248.
- ^ Sulpy & Schweighardt 1997, 페이지 273–74.
- ^ Sulpy & Schweighardt 1997, 페이지 270.
- ^ 헌틀리 2006, 페이지 49.
- ^ a b c d e f g 2006년 287페이지.
- ^ 2006년 연장 52 페이지 78.
- ^ 매딩거 & 부활절 2000 페이지 423.
- ^ 앨리슨 2006, 페이지 139.
- ^ Gensler, Andy (3 April 2017). "Olivia Harrison Reveals Ringo Recently Stumbled Upon a Lost George Harrison Song". Billboar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April 2017. Retrieved 28 July 2018.
- ^ 섀프너 1978, 페이지 115.
- ^ 앨리슨 2006, 페이지 12.
- ^ 잉글리스 2010, 페이지 139–40.
- ^ 칸 2020, 페이지 536–37.
- ^ 해리슨 2017, 226페이지.
- ^ Lewis, Randy (24 February 2017). "Olivia Harrison reflects on the music and a book marking what would have been 'quiet Beatle's' 74th birthday". Los Angeles Times. Retrieved 28 July 2018.
원천
- Allison, Dale C., Jr. (2006). The Love There That's Sleeping: The Art and Spirituality of George Harrison. New York, NY: Continuum. ISBN 978-0-8264-1917-0.
- Badman, Keith (2001). The Beatles Diary Volume 2: After the Break-Up 1970–2001. London: Omnibus Press. ISBN 978-0-7119-8307-6.
- Harrison, George (with Derek Taylor; Olivia Harrison) (2017). I, Me, Mine – The Extended Edition. Guildford, UK: Genesis Publications. ISBN 978-1-905662-40-1.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 Huntley, Elliot J. (2006). Mystical One: George Harrison – After the Break-up of the Beatles. Toronto, ON: Guernica Editions. ISBN 1-55071-197-0.
- Inglis, Ian (2010). The Words and Music of George Harrison. Santa Barbara, CA: Praeger. ISBN 978-0-313-37532-3.
- Kahn, Ashley, ed. (2020). George Harrison on George Harrison: Interviews and Encounters. Chicago, IL: Chicago Review Press. ISBN 978-1-64160-051-4.
- Leng, Simon (2006). While My Guitar Gently Weeps: The Music of George Harrison. Milwaukee, WI: Hal Leonard. ISBN 978-1-4234-0609-9.
- Madinger, Chip; Easter, Mark (2000). Eight Arms to Hold You: The Solo Beatles Compendium. Chesterfield, MO: 44.1 Productions. ISBN 0-615-11724-4.
- Schaffner, Nicholas (1978). The Beatles Forever. New York, NY: McGraw-Hill. ISBN 0-07-055087-5.
- Spizer, Bruce (2005). The Beatles Solo on Apple Records. New Orleans, LA: 498 Productions. ISBN 0-9662649-5-9.
- Sulpy, Doug; Schweighardt, Ray (1997). Get Back: The Unauthorized Chronicle of The Beatles' Let It Be Disaster. New York, NY: St. Martin's Griffin. ISBN 0-312-19981-3.
- Unterberger, Richie (2006). The Unreleased Beatles: Music & Film. San Francisco, CA: Backbeat Books. ISBN 978-0-87930-892-6.
- Unterberger, Richie (2014). The Unreleased Beatles: Music & Film (Revised, Expanded & Updated eBook ed.). BookBaby. ISBN 978-0-9915892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