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교외 사비나-포기오 미르테토 교구
Roman Catholic Suburbicarian Diocese of Sabina–Poggio Mirteto교외 사비나-포기오 미르테토 교구 사비넨시스-만델렌시스 | |
---|---|
![]() 포조오 미르테토 대성당 | |
위치 | |
나라 | 이탈리아 |
교회주의 주 | 로마 |
통계 | |
면적 | 918km2(354 sq mi) |
인구 - 총계 - 가톨릭(비회원 포함) | (2014년 기준) 196,954 182,478 (92.7%) |
파리시 | 82 |
정보 | |
디노미네이션 | 가톨릭교회 |
굿 | 로만 레트 |
확립된 | 5세기 |
성당 | 캣테드랄레 디 S. 마리아 아순타 (포기오 미르테토) |
공동카트랄 | 콘카트랄레 디 S. 리베라토레 베스코보 e 마르티레 (마글리아노 사비나) |
세속 사제 | 77 (제산) 29 (종교령) |
현 리더십 | |
교황 | 프란시스 |
비숍 | 에르네스토 만다라 |
웹사이트 | |
www.diocesisabina.it |
사비나-포기오 미르테토 교구는 신성로마교회의 교외(즉, 비숍 추기경의 희귀한 계급이 실려 있다는 뜻)이며, 교황의 로마 지방에 있는 이탈리아 가톨릭 교회의 교구다.
역사
![]() | 이 구간은 확장이 필요하다. 추가하면 도움이 된다(2016년 10월) |
사비나는 6세기 이후부터 그러한 주교의 자리에 있었지만, 주교 명단의 초창기 이름은 불분명할 수도 있다.
사비나의 산 살바토레 고대 성당은 포럼 노붐(베스코비오)에 위치해 있었다.
공식 교황 사비나 주는 1605년 교황 바오로 5세 때 제정되었다.
1842년 이후 사비나의 추기경 주교에도 파파의 영지교주교라는 직함이 있다.
1925년부터 사비나의 추기경 티툴라 교회는 포조 미르테토와 연합하여 1986년부터 사비나-포조 미르테토(Sabina-Poggio Mirteto)를 공식적으로 사비나 에 포조 미르테토(Sabina e Poggio Mirteto)라고 명명하였다. 현재 비숍 추기경은 조반니 바티스타 르이고, 교구 일반은 에르네스토 만다라 주교다.
사비나의 추기경
![]() |
만약 ?, 세기 또는 c.가 주어진다면, 그의 재임 기간에는 아직 정확한 연도와 날짜가 발견되지 않았다.
1000까지
- 마리아노 (721년)
- 피에트로(778~799년 이전)
- 잇사 (혹은 제시) (799년 ~ 804년 이전)
- 테오도로(826년 이전)
- 사뮤엘레(853년 이전 826년)
- 세르히오(853–868 또는 879 이전)
- 레오네 (879년 ~ 928년 이전)
- 그레고리오(928년 ~ 948년 이전)
- 아나스타시오(948년 ~ 963년 이전)
- 조반니 (984년 이전 963토)
- 조반니(984~993년 이전)
- 도메니코(993년)
- 베네데토 (999)
- 레이니에로 (999–1011)
1000~1300년
- 크레스켄지의 요한, 미래의 교황 (또는 안티오페) 실베스터 3세 (1011–1062)[1]
- 우발도 (1063–1094), 최초의 추기경 비숍[2]
- 레지손 (Regizzo) (1084/90–1092/97), 가심초음파
- 크레스켄지오, 세니오레(1100–1106)
- 크레스켄지오, 이우니오레(117-1126)
- 코라도 델라 누드라(1127/28–1153)[3]
- 그레고리오(11544)
- 그레고리오 데 클레드라(1154–1163년)
- 콘라드 오브 비텔스바흐(1166–1200)
- Giovanni (1172–1173), Antiope Callisto III의 음경음파
- 조반니 디 산 파올로(1204–1214)
- 베네벤토의 베드로 (1217–1220)
- 알도브란디노 오르시니(1221)
- 올리비에 폰 파더보른 (1225–1227)
- 장 할그린 다브빌, 오하이오.클룬. (1227–1237)
- 고프레도 다 카스티글리오네 (1238–1241)
- 모데나의 윌리엄(1244–[4]1251)
- 피에르 드 바 (데 바로), 시스터치안 (1251/52–1253)
- 귀도 일 그로소(Guido Il Groso, Guy Le Gros) 1261–1265, 교황 클레멘스 4세 선출
- 베르트랑 드 생마르탱, 베네딕틴(1273–1277 또는 1278)
- 제라르도 비안치(1281–1302)
1300–1500
- 페드로 로드리게스(카드리날) (히스파노)(1302–1310)
- 아르노데팔기에르 (파우제르) (1310–1317)
- 기욤 피에르 고딘, 도미니카 (1317–1336)
- 마테오 오르시니, 도미니카 (1338–1340)
- 페드로 게메즈 데 바로소(1341–1348)
- 베르트랑 드 데울렉스(1348–1355)
- 에기디오 알보르노즈(1356–1367)
- 기욤 드 에이그레페우유, 베네딕타인 (1367–1369)
- 필리프 드 카바솔스 (1370–1372)
- 장 드 블랑디악 (1372–1379)
- 휴즈 드 몬텔레이스(또는 몽트렐라이스)는 드 브레타뉴(아비뇽 1379–1384의 순종)라고 불리는 젊은이다.
- 피에르 드 소르테낙(또는 드 베르니에) (아비뇽 1384–1390의 순종)
- 필리프 발루아달렌손(필리프달렌손)의 차남 찰스 2세, 알렌손 백작(1388–1388) (포프 우르반 6세 퇴위 및 복권)
- 제이미 드 아라곤 (아비뇽 1391–1392의 순종)
- 프란체스코 카본 토마셀리, 시스터치안 (1405)
- 엔리코 미누톨리 (또는 미누톨로) (1409–1412)
- 장 플랑드린(아비뇽 1405–1415의 복종)
- 페드로 페르난데스 (데 프리아스) (1412–1420)
- 프란체스코 란도 (1424–1427)
- 조르다노 오르시니 (1431–1438)
- 브랜다 다 카스티글리오네 (1440–1443)
- 바실리오스 베사리온 (1449)
- 아메데오 디 사보이아 (1449–1451), 항정신병자 펠릭스 5세 (1439–1449)를 지냈다.
- 키예프의 이시도레 (Isidoro da Tesalonica) (1451–1462)
- 후안 데 토르케마다 (1463–1468)
- 바실리오스 베사리온 (again) (1468–1472)
- 알랭 드 코에티비 (1472–1474)
- 베라르도 에롤리 (1474–1479)
- 줄리아노 델라 로베레 (1479–1483) (나머지 교황 율리우스 2세)
- 올리비에로 카라파 (1483–1503)
1500–1700
- 지롤라모 바소 델라 로베레(1503–1507)
- 라파엘 리아리오(1507–1508)
- 조반니 안토니오 산조르지오(1508–1509)
- 베르나르디노 로페스 데 카르바잘(1509–1511, 폐위, 다시 1513–1521)
- 프란체스코 소데리니(1511–1513)
- 니콜로 피에스키 (1521–1523)
- 알레산드로 파르네세(1523–1524)
- 안토니오 마리아 치오치 델 몬테 (1524년)
- 피에트로 어콜티(1524–1532)
- 조반니 도메니코 데 큐피스 (1533–1535)
- 보니파시오 페레로 (1535–1537)
- 로렌초 캄페지오(1537–1539)
- 안토니오 산세베리노 (1539–1543)
- 안토니오 푸치 (1543–1544)
- 조반니 살비아티 (1544–1546)
- 조반니 피에트로 카라파 (1546–1550) (나머지 교황 바오로 4세)
- 프랑수아 드 투르논 (1550–1560)
- 로버트 드 레논쿠르트[5]
- 조반니 모론 (1561–1562)
- 알레산드로 파르네세 (1564–1565)
- 라누치오 파르네세 (1565)
- 크리스토포로 마드루초, 1567년에서 1578년 사이
- 티베리오 크리스포 (1565–1566)
- 조반니 미슐레 사라세니 (1566–1569)
- 조반니 바티스타 시칼라 (오 매미) (1569–1570)
- 오토 트루히세스 폰 발트부르크 (1570년)
- 줄리오 델라 로베레 (1570–1573)
- 조반니 리치(1573–1574)
- 스키피오네 레비바 (1574–1577)
- 자코모 세이벨리 (1577–1578)
- 조반니 안토니오 세르벨로니 (1578년)
- 앙투안 페레노 드 그란벨레 (1578–1586)
- Innico d'Avalos d'aragona Ordine di San Giacomo (1586–1589)
- 톨로메오 갈리오 (1589–1591)
- 가브리엘레 팔로티 (1591–1597)
- 루도비코 마드루초 (1597–1600)
- 지롤라모 루스쿠치(1600–1603)
- 시메오네 타글리아비아 다라고니아(1603–1604)
- 프랑수아 드 조여세(1604–1611)
- 안토니마리아 사울리 (1611–1615)
- 베네데토 기우스티니아니 (1615–1620)
- 피에트로 알도브란디니(1620–1621)
- 오도아르도 파르네세 (1621–1623)
- 보니파지오 베빌라크쿠아 알도브란디니(1623–1626)
- 카를로 가우덴지오 마드루초 (1626–1629)
- 스키피오네 보르게세(1629–1633)
- Felice Centini, OFMConv](1633–1641)
- 프란체스코 세니니 데 살라만드리 (1641–1645)
- 카를로 데 메디치(1645), 조반니 카를로 데 메디치
- 프란체스코 바르베리니 (1645–1652년)
- 베르나르디노 스파다(1652–1655)
- 줄리오 체사레 사케티 (1655–1663)
- 마르지오 기네티(1663–1666)
- 프란체스코 마리아 브란카치오 (1666–1668)
- 줄리오 가브리엘리 (1668–1677)
- 니콜로 알베르가티 루도비시(1677–1681)
- 피에트로 비토 오토보니 (1681–1683)
- 카를로 피오 디 사보이아 (iuniore) (1683–1689)
- 팔루초 팔루찌 알티에리 데글리 알베르토니 (1689–1691)
- 잔니콜로 콘티 (1691–1698)
- 가스파로 카페그나 (1698–1714)
1700–1925
- 풀비오 아스타리(1714–1719)
- 프란체스코 피그나텔리(1719–1724)
- 프란체스코 아콰비바 다라고나(1724–1725)
- 피에트로 오토보니(1725–1730)
- 아니발레 알바니(1730–1743)
- 빈첸초 비치(1743–1747)
- 라니에로 데엘시(1747–1753)
- 실비오 발렌티 곤사가(1753–1756)
- 호아킨 페르난데스 데 포르토카레로 멘도사 (1756–1760)
- 잔 프란체스코 알바니 (1760–1773)
- 카를로 레조소니오르(1773–1776)
- 안드레아 코르시니 (1776–1795)
- 조반니 아친토(1795–1799)
- 조반니 안드레아 아르케티[6](1800–1805)
- 이폴리토 안토니오 빈센트리 마레리(1807–1811)
- 로렌초 리타(1814–1820)
- 토마소 아레초(1820–1833)
- 카를로 오데스칼치(1833–1838)
- 안토니오 도메니코 감베리니(1839–1841)
- 루이지 엠마눌레 니콜로 람브루스치니[7](1842–1847)
- 자코모 루이지 브리골레(1847–1853)
- 가브리엘레 페레티(1853–1860)
- 지롤라모 단드레아(1860–1868)
- 카를 아우구스트 폰 라이사흐[8](1868–1869)
- 주세페 마일리 피로니 페레티(1870–1873)
- 루이지 빌리오, 바르나비테[9](1873–1884)
- 토마소 마르티넬리, OSA (1884–1888)
- 루이지 세라피니 (1888–1894)
- 마리오 모케니[10](1894~1904)
- 프란체스코 디 파올라 카세타[11](1905–1911)
- 가에타노 데 라이(1911–1925 참조)
사비나포기오미르테토의 추기경
- 가에타노 데 라이 (위 1925–1928 참조)
- 도나토 스바레티[12](1928–1939)
- 엔리코 시빌리아[13] (1939–1948)
- 아데오다토 지오반니 피아자(1949~1957)
- 마르첼로 밈미[14](1958~1961)
- 주세페 페레토(1961–1973)[15]
- 안토니오 사모레(1974~1983)
- 아그넬로 로시[16](1984~1995)
- 에두아르도 프란시스코 피로니오[17](1995~1998)
- 루카스 모레이라 네베스(1998~2002)
- 조반니 바티스타 레(2002년)
참조
- ^ 1011-1130년 기간의 출처: 루돌프 뮐스, 카르디넬레, 클라우스 und 키르첸 롬스: 1049–1130, 1977년 롬의 비블리오테크 데 도이첸 역사학 연구소, 페이지 125-129
- ^ 훌스, 3-4페이지, 한스 월터 클레위츠, 리폼 und Kardinalkolleg, Darmstadt 1957, 34-35페이지.
- ^ 1130-1200년 기간의 출처: 요하네스 M. 브리시우스, 디 미트기디르 데스 카르디골레기움 폰 1130-1181, 베를린 1912, 페이지 135; 바바라 젠커, 다이 미트기디르 데스 카르디칼레기움 폰 1130 비스 1159, 위르츠부르크 1964, 페이지 46-51
- ^ 신성로마 교회의 추기경 - 교외 교구와 동방예의 추기경
- ^ (1560–1561)
- ^ Giovanni Andrea Archetti; Ivan Sergejevič Gagarin (1872). Un monce du pape à la cour de Catherine II (in French). Paris: V. Palmè.
- ^ Luigi M. Manzini (1960). Il cardinale Luigi Lambruschini (in Italian). Biblioteca apostolica vaticana. ISBN 9788821000270.
- ^ Wilhelm Molitor (1882). Cardinal Reisach (in German). Würzburg: Woerl.
- ^ David I. Kertzer (2006). Prisoner of the Vatican: The Popes, the Kings, and Garibaldi's Rebels in the Struggle to Rule Modern Italy. New York: Houghton Mifflin Harcourt. pp. 92, 148, 165–167. ISBN 0-618-61919-4. G. 마르티나 "라 콘푸타지오네 디 루이지 빌리오 ai discorsi 디 몬탈렘베르트 a Malines nell'agosto 1863. un passo decisivo versoil Silabo. un momento un materialativo nella storia della permantanza" in:T. 헤이든라이치, 에드 비오 9세 랑 데르 키르첸스타트 (Erlangen 1995), 55-69.
- ^ John F. Pollard (2005). Money and the Rise of the Modern Papacy: Financing the Vatican, 1850-1950.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68–69. ISBN 978-0-521-81204-7.
- ^ Harris M. Lentz (2009). Popes and Cardinals of the 20th Century: A Biographical Dictionary. Jefferson NC USA: McFarland. p. 38. ISBN 978-1-4766-2155-5.
- ^ 렌츠, 페이지 167-168
- ^ 렌츠, 페이지 17.4
- ^ 렌츠, 페이지 126.
- ^ 주세페 안토니오 페레토 추기경 [카톨릭-히에라치]
- ^ Martin Bräuer (2014). Handbuch der Kardinäle: 1846-2012 (in German). Berlin: De Gruyter. pp. 1941–1942. ISBN 978-3-11-026947-5.
- ^ Martin Bräuer (2014). Handbuch der Kardinäle: 1846-2012 (in German). Berlin: De Gruyter. p. 1996. ISBN 978-3-11-026947-5.
책들
- Kehr, Paul Fridolin (1907). Italia pontificia (in Latin). Vol. Vol. II: Latium. Berlin: Apud Weidmannos. pp. 53–74.
{{cite book}}
:volume=
추가 텍스트(도움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