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슈르 이븐 마르완

Bishr ibn Marwan
비슈르 이븐 마르완
우마야드 쿠파 주지사
재직중
690/91–694
모나크압드 알말리크
선행자무사브이븐 알주바이르 (비우마야드)
성공자알하지자 이븐 유수프
우마야드 바스라 주지사
재직중
692/93–694
모나크압드 알말리크
선행자칼리드 이븐 압달라 이븐 칼리드 이븐 아시드
성공자알하지자 이븐 유수프
개인내역
태어난c. 650년대
죽은694(40대 중반)
바스라
배우자
  • 움 하킴 빈트 무함마드 이븐 우마라 이븐 우크바 이븐 아비 무에트
  • Umm Kulthum bint Abi Salama ibn Abd al-Rahman ibn Awf
  • 힌드 빈트 아스마 알 파자리야
아이들.압드 알말리크
상위 항목마르완 1세(아버지)
쿠타야 빈트 비슈르 (어머니)

아부 마르완 비슈르 이븐 마르완 이븐하캄(아랍어: بشررنن,,,,,, roman, 로마자화: 비슈르 이븐 마르완 이븐 알-야캄; 650년대–694년)은 아우 칼리프 압드 알-말리크의 치세에 우마야드 왕자 겸 이라크 총독이었다. 비슈르는 아버지 칼리프 마르완 1세(r.684–685)와 함께 마르즈 라히트에서 싸웠다. 마르완은 동생 압드아지즈와의 교제를 위해 비슈르를 이집트로 보냈다. 690년/91년 비슈르는 쿠파 총독이 되었고 약 1년 후 바스라가 총독에 추가되어 이라크에 대한 완전한 통제를 하게 되었다.

비슈르는 이라크 지사 시절 접근성이 높고 상대적으로 자비심이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시를 좋아한 그는 수행원에 자리르, 알 파라즈닥, 알 라이를 비롯한 아랍의 많은 시인을 두고 있었으며 많은 창녀에서 선글라스화되었다. 그는 바스라에서 무사브 이븐주바이어의 남은 빨치산들을 제거했고, 이 지방의 카리히테 반군에 대한 전쟁 활동을 공식적으로 지휘했다. 그러나 그는 알 무할라브 이븐 아비 수프라에게 이라크군의 지휘권을 넘겨줄 수밖에 없었다. 그는 알 수 없는 병으로 관직에서 죽었고 바스라에 묻혔다.

어린 시절과 경력

비슈르의 아버지는 바누 우메이야(우마야드)의 마르완 이븐하캄이었고, 어머니는 쿠타야 빈트 비슈르로 바누 킬랍의 귀족 가문인 바누 자파르 출신이다.[1] 비슈르는 684년 마르즈 라히트 전투 중에 바누 킬랍의 족장을 살해했다.[1] 경쟁자인 메카 칼리프 압드 알라 이븐주바이어의 지지자들을 상대로 한 마야드 라히트에서의 우마야드 승리는 마르완 이븐 알 하캄의 시리아 칼리프를 통합시켰다.[1]

비슈르는 685년 초까지 주바리드 총독 압드라흐만 이븐 우트바피리로부터 이집트를 탈취할 때 마르완과 동행했다. [1] 마르완은 또 다른 아들인 압드아지즈 이집트 총독을 임명하고 비슈르를 이 지방에 남아 압드 알 아지즈 회사를 유지하도록 했다. 비슈르는 압드 알 아지즈 회사가 시리아에 있는 다른 친족들과 멀리 떨어진 곳에 게시되었기 때문이다.[1] 형제간의 관계가 긴박해져서 비슈르가 시리아로 돌아가게 되었는지도 모른다.[1] 그때쯤 칼리팔 왕위는 마르완의 또 다른 아들인 압드말리크(r.685–705)에게 넘어갔다.[1] 비슈르가 돌아오자마자 시리아에서 행한 활동은 문학적 출처에 의해 명시되지 않지만, 원래 비잔틴 청동 무게에 "신의 이름으로 비슈르 이븐 마르완, 아미르, 이것은 12의 무게"라는 쿠피크 아랍어 비문이 새겨져 있는 것이 시리아에서 생산되었을 가능성이 있다.[2] 숫자론자 조지 C에 따르면. 마일리츠 동체중량은 비슈르가 지방 총독이든 재정 통제관이든 시리아의 관공서를 점령했음을 나타낸다.[3]

이라크의 주지사

8세기 역사학자 알 와키디에 따르면 압드 알 말리크는 690년/91년 이라크의 양대 아랍 수비대 중심지 중 하나인 쿠파 주지사를 임명했고, 이라크는 여전히 주바이리드의 지배하에 있었다.[4] 현대 역사학자 루크 트레드웰에 따르면, 비슈르는 곧 있을 주바리드 이라크 반대 운동에 참여하는 대가로 압드 알 말리크로부터 주지사를 약속받았을지도 모른다.[4] 비슈르는 이라크의 통치자 무샤브 이븐주바이어와 비슈르의 패배와 죽음으로 끝난 691/92 캠페인에 참여했다.[1] 그는 693년 4월 시리아로 적어도 한 번은 돌아와 자신의 다마스쿠스 재산을 방문했다.[4] 케이-야만 부족 갈등 속에서 비슈르는 693년 바누 칼브(야마의 일부)에 대한 보복공격을 개시하도록 바누 파자라(케이의 일부)를 후원하고 부추겼을지도 모른다.[5]

쿠파에서 비슈르의 고문은 압드 알 말리크의 수석 보좌관인 라후 이븐 진바주드하미와 압드 알 아지즈의 의뢰인이자 향후 이베리아 반도의 정복자인 무사 이븐 누사이어였다.[1] 압드 알 말리크는 바스라의 총독 칼리드 이븐 칼리드 이븐 칼리드 이븐 아시드하리히테 반란을 진압하지 못하자 692/93년까지 바스라 총독을 비슈르로 이양했다.[1] 693년 말에 비슈르는 바스라로 이주하여 쿠판 정치가 암르 이븐 후라이스막즈미에게 부관으로 임명되었다.[1] Bishr formed a consultative council representing three key groups to help him govern Iraq: the three groups were the Syrians sent by Abd al-Malik, namely Rawh ibn Zinba and Musa ibn Nusayr; two prominent local nobles, Ikrima ibn Rabi'a and Khalid ibn Attab al-Riyahi; and religious scholars, such as Amir al-Sha'bi.[6] 비슈르는 하리히테 전선에서 선두 아미르(함장)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압드 알 말리크로부터 알 무할라브 이븐 아비 수프라에게 군대를 지휘하라는 명령을 받았다.[1] 비슈르는 우마르 이븐 우베이드 알라 이븐 마마르를 전쟁 노력을 이끌도록 임명할 의도였기 때문에 이러한 움직임에 반대했으나 결국 반대했다.[1] 그러나 쿠파 주재 부관을 설득해 지휘관과의 협력을 보류하는 등 여전히 알 무할랍에게 문제를 일으켰다.[1]

죽음

비슈르는 바스라에 도착할 때부터 알 수 없는 병이나 감염으로 다투었다.[1] 몇 달 후인 694년, 그는 40대 중반에 사망했다.[1] 그는 바스라에 묻혔지만 며칠도 되지 않아 그의 무덤은 같은 날 죽은 어떤 아프리카인의 무덤과 구별할 수 없게 되었다.[1] 알 무할랍의 군대의 일부 병사들은 비슈르의 사망 소식을 듣고 망명했다.[1] 압드 알 말리크는 알 하지 이븐 유수프를 이라크의 주지사, 즉 쿠파와 바스라의 연합주에 임명했다.[7]

평가

동양주의자 로라 베치아 질리에리에 따르면, "비쉬르는 아주 상냥한 젊은이였고, 어려움 없이 접근해 올 수 있는 주지사였으며, 자비로운 성향이 현저하게 강했다"고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스라에서 반체제 활동을 계속하고 있는 무사브의 당파적인 일당들의 처형에 책임이 있다고 한다.[8] 비슈르는 특정한 의례적 혁신으로 비난을 받았고 신하들에게 음식을 나눠주는 것을 게을리했는데, 이것은 그가 슈르샤와 궁정에 맡긴 임무였다.[8]

비슈르는 다른 친척들과 마찬가지로 포도주를 마시고 친구들과 함께 축제 생활을 했다.[8] 이 친구들 중 몇몇은 비슈르가 속임수로 라후 이븐 진바의 대단히 중요한 존재에서 벗어나도록 도왔다.[8] 비슈르는 음악과 시를 좋아했으며, 알 파라즈닥을 포함한 수많은 시인에 의해 창문으로 기념되었다.[8] 그의 후원 아래 다른 시인들로는 자리르, 쿠타이미르 아자, 수라카 이븐 미르다스 알 바리키, 누사이브, 알 라이, 카브 알 아슈카리, 이븐 알 자비르, 알 우카이시르 알 아사디가 있다.[8] 비슈르는 자리르와 알 아크탈의 시적 결투를 선동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었다.[9] 비슈르를 반대한 한 시인은 친주바이리드 킬라비 치프테인, 우마야드 왕자를 운문으로 거세한 주파르 이븐하리스였다.[8]

결혼과 자손

Bishr was married to Umm Hakim bint Muhammad ibn Umara, a great-granddaughter of Uqba ibn Abi Mu'ayt, a member of the Umayyad clan; Umm Kulthum bint Abi Salama, a granddaughter of Abd al-Rahman ibn Awf of the Zuhra clan of the Quraysh; and Hind bint Asma of the Banu Fazara tribe.[10]

비슈르의 아들 압드 알 말리크는 720년 숙부인 마슬라마 이븐 압드말리크 이라크 총독에 의해 바스라 부주사로 임명되었으나, 그해 마슬라마의 후계자 우마르 이븐 후바이라파자리에 의해 해임되었다.[11] 740년 압드 알 말리크는 야히야가 후라산으로 도망칠 수 있을 때까지 자이드의 우마야드에 대한 반란의 여파로 총독 유수프 이븐 우마르타카피로부터 자이드 이븐 알리의 아들인 야히아에게 안식처를 제공하였다.[12] 압드 알 말리크는 우마야드족이 몰락한 후 750년 압바스 왕조에 의해 처형되었다.[13]

Abd al-Malik ibn Bishr's son Bishr moved to al-Andalus (the Iberian Peninsula) shortly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Umayyad emirate there by his distant cousin, the grandson of Caliph Hisham ibn Abd al-Malik (r. 724–743) Abd al-Rahman I ibn Mu'awiya, in 756, and became a close adviser of Abd al-Rahman.[13] 그는 압드 알라흐만에게 베르베르 마왈리(무슬림 자유인, 고객)를 사용하라고 충고하고 이슬람 이외의 노예를 징집하여 에미리트 내 아랍 부족의 강력한 영향력을 무력화하도록 한 공로로 역사학자 이븐 사이드 알 마그리비(d. 1286년)와 알 마카리(d. 1632년)로부터 공로를 인정받았다.[13][14] 비슈르 이븐 압드 알-말리크의 아들 압드 알-말리크도 알-안달루스의 우마야드 귀족의 일원으로 시리아에 본부를 둔 마지막 우마야드 칼리프 마르완 2세(744–750)r.의 조카딸과 결혼했다.[15][16]

참조

  1.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질리리리 1960, 페이지 1242.
  2. ^ 1962년 마일스, 페이지 113–114.
  3. ^ 1962년 마일스, 페이지 114.
  4. ^ a b c 트레드웰 2001, 225페이지, 노트 6.
  5. ^ 딕슨 1971 페이지 97.
  6. ^ 알-술라미 2003, 페이지 209.
  7. ^ 크론 1980, 232 페이지
  8. ^ a b c d e f g 질리리리 1960, 페이지 1243.
  9. ^ 2007년, 페이지 39-40.
  10. ^ 로빈슨 2020, 페이지 143.
  11. ^ 파워스 1989, 페이지 149, 163–164.
  12. ^ 힐렌브랜드 1989, 페이지 51-52.
  13. ^ a b c 피에로 1999 페이지 91.
  14. ^ 레비 프로베살 1950, 페이지 130, 노트 1.
  15. ^ 레비 프로베살 1950, 페이지 106, 노트 1
  16. ^ 기차드 1977 페이지 159.

참고 문헌 목록

선행자 이라크의 주지사
691–694
성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