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 세포

Blood cell
조혈모세포에서 성숙한 세포까지 다양한 혈액세포의 발달을 나타내는 도표.

조혈세포, 혈구, 또는 혈구라고도 불리는 혈액세포조혈에 의해 생산되고 주로 혈액에서 발견되는 세포이다.주요 유형의 혈액 세포는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이다.이들 세 종류의 혈액세포를 합치면 부피별로 혈액조직의 총 45%를 합하고 나머지 55%는 [1]혈액의 액체 성분인 혈장으로 구성된다.

적혈구

파란색 슬라이드 얼룩을 사용하여 현미경으로 본 적혈구 및 백혈구
진한 빨간색 혈액 주사기는 탈산소화된 혈액을 가지고 있는 반면 밝은 빨간색은 산소화된 혈액을 가지고 있다.

적혈구 또는 적혈구주로 산소를 운반하고 헤모글로빈[2]사용하여 이산화탄소를 수집합니다.헤모글로빈은 적혈구에 색을 주고 에서 조직으로 산소를 운반하고 조직에서 [3]폐로 이산화탄소를 내쉬게 하는 철분을 함유한 단백질이다.적혈구는 혈액에서 가장 풍부한 세포로 부피의 약 40-45%를 차지한다.적혈구는 원형이고, 쌍동굴이며, 원반 모양으로 변형되어 좁은 모세혈관을 통해 짜낼 수 있다.그들은 핵을 가지고 있지 않다.적혈구는 대부분의 다른 인간 세포보다 훨씬 작다.

RBC는 적혈구 줄기세포로부터 적혈구라고 알려진 과정에서 적혈구 줄기세포로부터 적혈구 골수에 형성된다.성인의 경우 초당 약 240만 개의 RBC가 생성됩니다.RBC의 통상의 카운트는, cu.mm 마다 450 ~500만입니다RBC의 수명은 약 100~120일입니다수명이 다한 후 비장에 의해 혈류에서 제거된다.

성숙한 적혈구는 핵이 없다는 점에서 인체 세포 중에서 독특하다.

적혈구가 너무 적은 상태를 빈혈이라고 하며, 적혈구가 너무 많은 상태를 다세포증이라고 합니다.

적혈구침강속도(ESR)는 RBC가 바닥으로 가라앉는 속도이다(항응고제 첨가 후 수직기둥에 놓였을 때).ESR 의 통상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 남성의 경우 시간당 3~5mm.

• 여성의 경우 시간당 4~7mm.

백혈구

혈액 세포의 인공 착색 전자 현미경 사진.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적혈구, 혈소판구, 백혈구

백혈구 또는 백혈구감염성 질병과 이물질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데 관여하는 면역계의 세포이다.그들은 조혈모세포로 알려진 골수의 다기능 세포에서 생산되고 파생된다.백혈구는 혈액과 림프계를 포함한 몸 전체에서 발견됩니다.인간의 면역 체계에서 특정한 역할을 하는 다양한 종류의 백혈구가 있다.WBC는 혈액량의 [4]약 1%를 차지한다.

백혈구는 과립구무과립구로 나뉘며, 세포질 내 과립의 유무로 구분된다.과립구는 호염기구, 호산구, 호중구, 돛대 세포를 포함한다.무과립구는 림프구와 단구를 포함한다.

백혈구가 너무 적은 것은 백혈구 감소증이고, 너무 많은 것은 백혈구 증가증입니다.특정 유형의 백혈구의 부족이나 과잉에 대한 개별 용어가 있다.혈액순환 중인 백혈구의 수는 일반적으로 [5]감염 발생률에서 증가한다.많은 혈액암은 백혈구의 부적절한 생성에 기초하고 있다.

혈소판

혈소판 또는 혈소판은 매우 작고 불규칙한 모양의 투명한 세포 조각으로, 직경이 2~3µm이며, 거핵구 조각에서 파생된다.혈소판의 평균 수명은 보통 5일에서 9일입니다.혈소판은 성장 인자의 자연적인 원천이다.그것들은 포유류의 혈액을 순환하고 지혈에 관여하여 혈전이 형성된다.혈소판은 이러한 응집을 형성하기 위해 실 같은 섬유를 방출합니다.

혈소판의 정상 범위(분석된 모집단의 99%)는 입방 [6]밀리미터당 150,000 - 450,000입니다.혈소판 수가 너무 적으면 과다 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그러나 혈소판 수가 너무 많으면 혈전이 혈전을 형성해 혈관을 막고 뇌졸중, 심근경색, 폐색전증, 팔이나 다리 끝 등 신체의 다른 부위로 가는 혈관 막힘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혈소판의 이상이나 질병은 혈소판 감소, 혈소판의 기능 저하 또는 혈소판 수의 증가일 수 있는 혈소판증이라고 불립니다.헤파린유도혈소판감소증(HIT)이나 혈전혈소판감소성퍼부라(TTP)와 같은 혈소판 수를 감소시키는 질환이 있는데, 이는 출혈 대신 혈전이나 혈전을 일으킨다.

혈소판은 강력한 화학작용제인 혈소판유래성장인자(PDGF)와 세포외 기질의 퇴적을 자극하는 TGF 베타 등 다수의 성장인자를 방출한다.이들 성장인자 모두 결합조직의 복구와 재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혈소판에 의해 생성되는 다른 치유 관련 성장인자에는 염기성 섬유아세포 성장인자(bFGF),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 1(IGF-1), 혈소판 유래 상피 성장인자(VEGF) 및 혈관 내피 성장인자(VEGF)가 있다.이러한 인자의 국소적 응용은 혈소판 풍부 혈소판(PRP)을 통해 사용되어 왔다.수십 년 동안 상처 치료의 부속물이었어요

전체혈액수

완전혈액수(CBC)는 의사 또는 다른 의료 전문가가 요청한 검사 패널로, 환자의 혈액에 있는 세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과학자 또는 실험실 기술자가 요청된 테스트를 수행하고 요청 의료 전문가에게 CBC 결과를 제공합니다.과거에는 환자의 혈액 샘플로 작성된 슬라이드를 현미경으로 보면서 환자의 혈액 내 세포를 수동으로 세는 작업이 이루어졌습니다.현재 이 프로세스는 일반적으로 자동 분석기를 사용하여 자동화되며, 현재 샘플의 약 10-20%만이 수동으로 검사되고 있습니다.비정상적으로 높거나 낮은 수치는 다양한 형태의 질병의 존재를 나타낼 수 있으며, 따라서 혈액 수치는 환자의 일반적인 건강 상태에 대한 개요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의학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수행되는 혈액 검사 중 하나이다.

검출

1658년 네덜란드의 박물학자스와머담은 현미경으로 적혈구를 관찰한 최초의 사람이었고, 1695년 역시 네덜란드인인 현미경학자 안토니리우웬훅이 적혈구라고 불리는 "적혈구"의 삽화를 최초로 그렸다.프랑스의 의사 알프레드 도네가 혈소판을 발견한 1842년까지 더 이상의 혈구는 발견되지 않았다.이듬해 백혈구는 프랑스 의학 교수 가브리엘 안드랄영국 의사 윌리엄 애디슨에 의해 동시에 처음 관찰됐다.두 사람 모두 적혈구와 백혈구 둘 다 질병으로 인해 변한다고 믿었다.이러한 발견으로 새로운 의학 분야인 혈액학이 확립되었다.조직과 세포를 염색하기 위한 약제가 사용 가능했지만, 폴 에를리히가 혈액막을 염색하는 기술과 혈액 세포 수를 [7]세는 방법을 발표한 1879년까지 혈액 세포의 형태학에 대한 지식은 거의 진보하지 않았다.

레퍼런스

  1. ^ Maton, Anthea; Jean Hopkins; Charles William McLaughlin; Susan Johnson; Maryanna Quon Warner; David LaHart; Jill D. Wright (1993). Human Biology and Health. Englewood Cliffs, New Jersey, USA: Prentice Hall. ISBN 0-13-981176-1.
  2. ^ Boron, Walter F.; Boulpaep, Emile L. (2017). Medical Physiology (3rd ed.). Philadelphia: Elsevier. p. 434. ISBN 978-0-323-42796-8.
  3. ^ Basic Biology (2015). "Blood cells".
  4. ^ Alberts, Bruce; Johnson, Alexander; Lewis, Julian; Raff, Martin; Roberts, Keith; Walter, Peter (2002). Molecular Biology of the Cell (4th ed.). New York: Garland Science. ISBN 0-8153-4072-9.
  5. ^ Kumar, Vinay; Abbas, Abul K.; Fausto, Nelson; Aster, Jon C. (2010). Robbins and Cotran Pathologic Basis of Disease (8th ed.). Philadelphia: Saunders/Elsevier. ISBN 978-1416031215.
  6. ^ Ross DW, Ayscue LH, Watson J, Bentley SA (September 1988). "Stability of hematologic parameters in healthy subjects. Intraindividual versus interindividual variation".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Pathology. 90 (3): 262–7. doi:10.1093/ajcp/90.3.262. PMID 3414599.
  7. ^ Hajdu, Steven I. (2003). "A Note from History: The Discovery of Blood Cells". Ann Clin Lab Sci. 33 (2): 237–8. PMID 12817630.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