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디 오코너
Buddy O'Connor버디 오코너 | |||
---|---|---|---|
1988년 하키 명예의 전당 | |||
![]() | |||
태어난 | 몬트리올, 퀘벡, 캐나다 | 1916년 6월 21일||
죽은 | 1977년 8월 24일 | (61세)||
높이 | 5피트 7인치(170cm) | ||
체중 | 145lb(66kg, 10st 5lb) | ||
위치 | 센터 | ||
샷 | 왼쪽 | ||
다음을 위해 연주됨 | 몬트리올 캐나디언스 뉴욕 레인저스 | ||
선수경력 | 1941–1951 |
허버트 윌리엄 "버디" 오코너(Herbert William "Buddy" O'Connor, 1916년 6월 21일 ~ 1977년 8월 24일)는 1941년부터 1951년까지 내셔널 하키 리그의 몬트리올 캐나디언스와 뉴욕 레인저스에서 뛰었던 캐나다의 아이스하키 선수였습니다. 그는 1948년 하트 트로피와 레이디 빙 트로피를 수상했습니다.
선수경력
O'Connor는 1941년부터 1947년까지 몬트리올 캐나디언스에서 뛰었고, 캐나다에서 뛰는 동안 1944년과 1946년에 그의 경력 동안 두 번의 스탠리 컵을 우승했습니다.
1947년, 오코너는 뉴욕 레인저스로 이적했습니다. 그 시즌에 그는 60점을 득점 경쟁에서 몬트리올의 엘머 라흐에 이어 2위를 차지했습니다. 그는 또한 하트 메모리얼 트로피와 레이디 빙 메모리얼 트로피를 수상했으며 같은 해에 둘 다 우승한 최초의 선수였습니다.[1] 그는 또한 하트를 수상한 최초의 레인저였습니다.[2] 이러한 성과는 그가 1948년 캐나다 올해의 남자 운동선수로 라이오넬 코너 상 수상자로 선정된 것에 반영되었습니다.
오코너는 1951년까지 레인저스에서 뛰었습니다. 그는 1988년 하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며, 현재는 없어진 베테랑 부문의 첫 헌액자가 되었습니다.
저자들은 2009년 책 100 Ranger Greats에서 O'Connor를 팀의 첫 82시즌 동안 뛰었던 901명의 뉴욕 레인저스 중 역대 38위로 평가했습니다.[2]
경력통계
정규시즌과 플레이오프
정규시즌 | 플레이오프. | |||||||||||||
---|---|---|---|---|---|---|---|---|---|---|---|---|---|---|
계절 | 팀. | 리그 | GP | G | A | Pts | 핌. | GP | G | A | Pts | 핌. | ||
1934–35 | 몬트리올 주니어 로열스 | QJHL | 10 | 15 | 7 | 22 | 4 | 2 | 1 | 1 | 2 | 0 | ||
1934–35 | 몬트리올 로열스 | QSHL | — | — | — | — | — | 4 | 1 | 0 | 1 | 2 | ||
1934–35 | 몬트리올 로열스 | 알컵 | — | — | — | — | — | 1 | 1 | 0 | 1 | 0 | ||
1935–36 | 몬트리올 로열스 | QSHL | 22 | 14 | 10 | 24 | 6 | 8 | 6 | 5 | 11 | 6 | ||
1935–36 | 몬트리올 로열스 | 알컵 | — | — | — | — | — | 4 | 1 | 0 | 1 | 4 | ||
1936–37 | 몬트리올 로열스 | QSHL | 19 | 10 | 17 | 27 | 27 | 5 | 0 | 4 | 4 | 2 | ||
1937–38 | 몬트리올 로열스 | QSHL | 22 | 9 | 14 | 23 | 10 | 1 | 0 | 0 | 0 | 0 | ||
1938–39 | 몬트리올 로열스 | QSHL | 22 | 13 | 23 | 36 | 28 | 5 | 5 | 4 | 9 | 2 | ||
1938–39 | 몬트리올 로열스 | 알컵 | — | — | — | — | — | 13 | 10 | 10 | 20 | 15 | ||
1939–40 | 몬트리올 로열스 | QSHL | 29 | 16 | 25 | 41 | 6 | 8 | 8 | 6 | 14 | 2 | ||
1939–40 | 몬트리올 로열스 | 알컵 | — | — | — | — | — | 5 | 5 | 5 | 10 | 6 | ||
1940–41 | 몬트리올 로열스 | QSHL | 35 | 15 | 38 | 53 | 12 | 8 | 2 | 7 | 9 | 4 | ||
1940–41 | 몬트리올 로열스 | 알컵 | — | — | — | — | — | 14 | 6 | 14 | 20 | 4 | ||
1941–42 | 몬트리올 캐나디언스 | NHL | 36 | 9 | 16 | 25 | 4 | 3 | 0 | 1 | 1 | 0 | ||
1941–42 | 몬트리올 로열스 | QSHL | 9 | 1 | 5 | 6 | 4 | — | — | — | — | — | ||
1942–43 | 몬트리올 캐나디언스 | NHL | 50 | 15 | 43 | 58 | 2 | 5 | 4 | 5 | 9 | 0 | ||
1943–44 | 몬트리올 캐나디언스 | NHL | 44 | 12 | 42 | 54 | 6 | 8 | 1 | 2 | 3 | 2 | ||
1944–45 | 몬트리올 캐나디언스 | NHL | 50 | 21 | 23 | 44 | 2 | 2 | 0 | 0 | 0 | 0 | ||
1945–46 | 몬트리올 캐나디언스 | NHL | 45 | 11 | 11 | 22 | 2 | 9 | 2 | 3 | 5 | 0 | ||
1945–46 | 몬트리올 로열스 | QSHL | 2 | 0 | 1 | 1 | 0 | 2 | 0 | 2 | 2 | 0 | ||
1946–47 | 몬트리올 캐나디언스 | NHL | 46 | 10 | 20 | 30 | 6 | 8 | 3 | 4 | 7 | 0 | ||
1947–48 | 뉴욕 레인저스 | NHL | 60 | 24 | 36 | 60 | 8 | 6 | 1 | 4 | 5 | 0 | ||
1948–49 | 뉴욕 레인저스 | NHL | 46 | 11 | 24 | 35 | 0 | — | — | — | — | — | ||
1949–50 | 뉴욕 레인저스 | NHL | 66 | 11 | 22 | 33 | 4 | 12 | 4 | 2 | 6 | 4 | ||
1950–51 | 뉴욕 레인저스 | NHL | 66 | 16 | 20 | 36 | 0 | — | — | — | — | — | ||
1951–52 | 신시내티 모호크스 | AHL | 65 | 11 | 43 | 54 | 4 | 4 | 2 | 3 | 5 | 2 | ||
1952–53 | 신시내티 모호크스 | AHL | 1 | 0 | 0 | 0 | 0 | — | — | — | — | — | ||
NHL 총계 | 509 | 140 | 257 | 397 | 34 | 53 | 15 | 21 | 36 | 6 |
개인적인
1950년대 중반, 대니 갈리반은 NHL 수석 심판 레드 스토리, NHL 스타 버디 오코너와 함께 PEI에 있는 교육부 체력단련부의 연례 하키 학교에서 도움을 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3]
참고문헌
- ^ Duff, Bob and Shea, Kevin (2011). 하키 명예의 전당 MVP 트로피와 수상자들. 반딧불북스 주식회사 67쪽
- ^ a b Cohen, Russ; Halligan, John; Raider, Adam (2009). 100 Ranger Greats: Superstars, Unsung Heroes and Colorful Characters. John Wiley & Sons. p. 136. ISBN 978-0470736197. Retrieved February 3, 2020.
- ^ "Annual Report of the Department of Education of the Province of Prince Edward Island for the fiscal year ending March 31st, 1957 Prince Edward Island Legislative Documents Onlin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6-12-20. Retrieved 2015-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