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 1939 카나리아스
CB 1939 Canarias레노버 테네리페 | |||
---|---|---|---|
![]() | |||
리그 | 리가 ACB 챔피언스 리그 | ||
설립. | ( 전 | 전 (||
역사 | CB 카나리아스 (1939–1994) CB 1939 카나리아스 (최종– 현재) | ||
아레나 | 산티아고 마르틴 | ||
용량. | 5,100 | ||
위치 | 스페인 테네리페 주, 산 크리스토발 데 라구나 | ||
팀 컬러 | 골드, 블랙 | ||
메인 스폰서 | 레노버 | ||
대통령 | 펠릭스 에르난데스 | ||
헤드코치 | 투수스 비도레타 | ||
선수권 대회 | 2 챔피언스 리그 2 인터콘티넨탈컵 | ||
웹 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
|
Club Cantera Base 1939 Canarias S.A.D.는 스페인 테네리페주 산 크리스토발 데 라구나를 연고지로 하는 프로 농구팀이다.[1]국내적으로는 스페인 최상위 리그인 리가 ACB에서 뛰고 유럽 전체 대회에서는 FIBA의 농구챔피언스리그(BCL)에서 뛰고 있다.그들의 홈구장은 산티아고 마르틴이다.
역사
1994년 당시 재정난이 컸던 구 CB 카나리아스 구단이 스페인 테네리페 섬의 다른 구단과 합병해 리그가 스페인 2부 리그였던 당시 EBA 대회에서 두 시즌만 뛰었던 테네리페 카나리아스 구단을 창단했다.
이 합병에 동의하지 않는 사람들은 새로운 CB 1939 Canarias 클럽을 만들었고, 그것은 클럽의 색깔과 로고를 물려받았다.2012년, 이베로스타 카나리아스는 LEB 오로 우승 후 스페인 최상위 리그인 리가 ACB로 승격되었다.하지만, 구단은 리그의 주최자인 ACB가 [2]요청한 리그에 참가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했기 때문에, 실제로 승격할 수 없었다.한 달 후인 2012년 7월 20일, 루센툼 알리칸테의 리그 공백이 CB 1939 카나리아스에게 [3]넘어간 후, CB 1939 카나리아스는 마침내 리그 승격에 성공했다.
2003년 사령탑에 오른 알레한드로 마르티네스는 LEB 플라타(스페인 3부 리그)에서 최상위 리그인 리그 ACB로 올라서는 등 팀을 여러 리그 승격을 이끌어냈다.그는 2015년에 [4]팀의 감독직을 사임했다.
2017년 3월 29일, 카나리아스는 FIBA 농구 챔피언스 리그(BCL) 2017 결승에 진출하였다.[5][6]2017 챔피언스 리그 결승 4는 카나리아의 홈경기장인 파벨론 인슐라 산티아고 마르틴에서 열렸다.카나리아스는 결승전에서 터키 슈퍼리그의 반빛을 꺾고 BCL 챔피언십을 차지했다.그 챔피언십은 클럽 역사상 최초의 메이저 타이틀이 되었다.
2017년 9월 24일 2017 FIBA 인터콘티넨탈 컵에 농구 챔피언스 리그 디펜딩 챔피언으로 참가했다.이 팀은 FIBA 아메리카 리그의 디펜딩 챔피언인 베네수엘라 클럽 과로스 데 라라를 76-71로 꺾고 FIBA 인터콘티넨탈 컵 우승을 차지하였다.CB 카나리아스 1939는 또한 2020 FIBA 인터콘티넨탈 컵에서 이탈리아 클럽 비르투스 볼로냐를 80-72로 꺾고 우승을 차지하였다.
2020년 3월,[7] 스페인의 COVID-19 대유행으로 인해 시즌이 중단되었다.
스폰서 이름 지정
스폰서십의 이유 때문이기도 하지만, 이 팀은 수년간 다음과 같은 이름으로 알려져 왔습니다.
- 유니버시다드 카나리아스 펩시 (1970~1975)
- 카하 시골 카나리아스(1975~1980)
- 코피사 카나리아스(1982년-1984년)
- 럭키 카나리아스 (1984년-1985년)
- 카하카나리아스(1985~1991년)
- 오토라카 카나리아스(1995~1996년)
- 보데곤 후아니토 카나리아스 (1996년 ~ 1998년)
- 야마하 카나리아스(1998~1999년)
- 시우다드 데 라구나 (1999-2001)
- 오가나시온 소카스 카나리아스(2001~2010)
- 테네리페 카나리아스 섬 (2010~2011)
- 이베로스타르 카나리아스 (2011-2012)
- 이베로스타르 테네리페 (2013~2021년)
- Lenovo 테네리페 (2021년 ~ 현재)
아레나

CB 카나리아스 1939는 스페인 테네리페 섬의 산 크리스토발 데 라구나에 위치한 파벨론 인슐라 산티아고 마르틴 경기장에서 홈경기를 치른다.1999년 개장해 농구경기 수용인원은 5,100명이다.CB 카나리아스 1939는 2010년부터 파벨론 인슐라 산티아고 마르틴을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2017 농구 챔피언스 리그 파이널 포,[8] 2017 FIBA 인터콘티넨탈 컵,[9] 2018 FIBA 여자 월드컵, 2020 FIBA 인터콘티넨탈 컵과 같은 주요 스포츠 행사를 개최했습니다.
플레이어
현재 명부
참고: 깃발은 FIBA가 승인한 이벤트에서 국가 대표팀의 자격을 나타낸다.플레이어는 FIBA가 아닌 다른 국적을 보유할 수 있다.
이베로스타 테네리페 명단 | |||||||||||||||||||||||||||||||||||||||||||||||||||||||||||||||||||||||||||||||||||||||||||||||||||||||||||||||||||||||||
---|---|---|---|---|---|---|---|---|---|---|---|---|---|---|---|---|---|---|---|---|---|---|---|---|---|---|---|---|---|---|---|---|---|---|---|---|---|---|---|---|---|---|---|---|---|---|---|---|---|---|---|---|---|---|---|---|---|---|---|---|---|---|---|---|---|---|---|---|---|---|---|---|---|---|---|---|---|---|---|---|---|---|---|---|---|---|---|---|---|---|---|---|---|---|---|---|---|---|---|---|---|---|---|---|---|---|---|---|---|---|---|---|---|---|---|---|---|---|---|---|---|
플레이어 | 코치 | ||||||||||||||||||||||||||||||||||||||||||||||||||||||||||||||||||||||||||||||||||||||||||||||||||||||||||||||||||||||||
|
갱신일 :2022년 7월 8일 |
깊이 차트
포스 | 시작 5 | 벤치 1 | 벤치 2 |
---|---|---|---|
C | 조르지 셰르마디니 | 프랑 게라 | 무사 디아뉴 |
PF | 팀 아브로마티스 | 애런 도어네캄프 | 이반 크루즈 |
SF | 엘긴 쿡 | 후안 사스트레 | 세르히오 로드리게스 |
SG | 사수살린 | 하이메 페르난데스 | |
PG | 마르셀로 휴에르타스 | 브루노 피티팔도 |
색상: 파란색 - 자생 선수; 빨간색 - 비-FIBA 유럽 선수
헤드코치
- 알레한드로 마르티네스: 2003-2015
- Txus Vidoreta : 2015 ~2017, 2018 ~ 현재
- 네나드 마르코비치: 2017
- 포티오스 카치카리스 : 2017 ~ 2018
계절별
계절 | 계층 | 나누기 | 포스 | W~L | 코파 델 레이 | 기타 컵 | 유럽 대회 | ||||||||
---|---|---|---|---|---|---|---|---|---|---|---|---|---|---|---|
CB 카나리아스 | |||||||||||||||
1974–75 | 2 | 2★ 디비시온 | 두 번째 | 14–2 | |||||||||||
1975–76 | 2 | 2★ 디비시온 | 일곱 번째 | 12–2–10 | |||||||||||
1976–77 | 2 | 2★ 디비시온 | 넷째 | 16–1–11 | |||||||||||
1977–78 | 2 | 2★ 디비시온 | 여덟 번째 | 14–2–14 | 3 코라치 컵 | R1 | 0–2 | ||||||||
1978–79 | 2 | 1 † 디비시온 B | 다섯 번째 | 12–10 | |||||||||||
1979–80 | 2 | 1 † 디비시온 B | 여섯 번째 | 21–1–8 | |||||||||||
1980–81 | 2 | 1 † 디비시온 B | 세 번째 | 16–1–9 | |||||||||||
1981–82 | 1 | 1 † 디비시온 | 12번째 | 4–2–20 | 16강 | ||||||||||
1982–83 | 2 | 1 † 디비시온 B | 세 번째 | 20–1–5 | |||||||||||
1983–84 | 1 | 리가 ACB | 11번째 | 12–18 | |||||||||||
1984–85 | 2 | 리가 ACB | 15일 | 10–18 | |||||||||||
1985–86 | 2 | 1 † 디비시온 B | 첫 번째 | 24–4 | |||||||||||
1986–87 | 1 | 리가 ACB | 여섯 번째 | 15–18 | 준결선 진출자 | 코파 프린시페 | R16 | ||||||||
1987–88 | 1 | 리가 ACB | 여섯 번째 | 15–18 | 준결선 진출자 | 코파 프린시페 | QF | ||||||||
1988–89 | 1 | 리가 ACB | 19일 | 12–29 | 16강 | 3 코라치 컵 | R2 | 3–1 | |||||||
1989–90 | 1 | 리가 ACB | 16일 | 12–19 | 제1라운드 | ||||||||||
1990–91 | 1 | 리가 ACB | 24일 | 10–26 | 제2라운드 | ||||||||||
1991–92 | 2 | 1 † 디비시온 | 다섯 번째 | 22–22 | |||||||||||
1992–93 | 2 | 1 † 디비시온 | 다섯 번째 | 20–20 | |||||||||||
1993–94 | 2 | 1 † 디비시온 | 세 번째 | 27–11 | |||||||||||
CB 1939 카나리아스 | |||||||||||||||
1994–95 | 4 | 2★ 디비시온 | 다섯 번째 | 5–7 | |||||||||||
1995–96 | 4 | 2★ 디비시온 | 세 번째 | 22–7 | |||||||||||
1996–97 | 4 | 2★ 디비시온 | 세 번째 | 16–6 | |||||||||||
1997–98 | 4 | 2★ 디비시온 | 첫 번째 | 23–4 | |||||||||||
1998–99 | 3 | 리가 EBA | 넷째 | 19–11 | |||||||||||
1999–00 | 3 | 리가 EBA | 세 번째 | 17–9 | |||||||||||
2000–01 | 4 | 리가 EBA | 첫 번째 | 24–7 | |||||||||||
2001–02 | 4 | 리가 EBA | 첫 번째 | 33–4 | |||||||||||
2002–03 | 3 | LEB 2 | 10번째 | 13–17 | |||||||||||
2003–04 | 3 | LEB 2 | 13일 | 11–19 | |||||||||||
2004–05 | 3 | LEB 2 | 넷째 | 22–16 | |||||||||||
2005–06 | 3 | LEB 2 | 14일 | 13–21 | |||||||||||
2006–07 | 3 | LEB 2 | 두 번째 | 35–8 | 코파 LEB 2 | RU | |||||||||
2007–08 | 2 | LEB 오로 | 일곱 번째 | 17–19 | |||||||||||
2008–09 | 2 | LEB 오로 | 13일 | 15–19 | |||||||||||
2009–10 | 2 | LEB 오로 | 다섯 번째 | 26–16 | |||||||||||
2010–11 | 2 | LEB 오로 | 일곱 번째 | 20–19 | |||||||||||
2011–12 | 2 | LEB 오로 | 첫[a] 번째 | 26–8 | 코파 프린시페 | C | |||||||||
2012–13 | 1 | 리가 ACB | 10번째 | 17–17 | |||||||||||
2013–14 | 1 | 리가 ACB | 11번째 | 14–21 | 준결선 진출자 | ||||||||||
2014–15 | 1 | 리가 ACB | 11번째 | 16–18 | |||||||||||
2015–16 | 1 | 리가 ACB | 아홉 번째 | 16–18 | |||||||||||
2016–17 | 1 | 리가 ACB | 다섯 번째 | 23–12 | 준결선 진출자 | 3 챔피언스 리그 | C | 15–1–4 | |||||||
2017–18 | 1 | 리가 ACB | 여덟 번째 | 19–17 | 준결승전 | 3 챔피언스 리그 | R16 | 13–3 | |||||||
2018–19 | 1 | 리가 ACB | 아홉 번째 | 17–17 | 준결승전 | 3 챔피언스 리그 | RU | 15–5 | |||||||
2019–20 | 1 | 리가 ACB | 일곱 번째 | 16–11 | 준결선 진출자 | 3 챔피언스 리그 | QF | 13-5 | |||||||
2020–21 | 1 | 리가 ACB | 세 번째 | 30–11 | 준결승전 | 슈퍼코파 | SF | 3 챔피언스 리그 | QF | 9-4 | |||||
2021–22 | 1 | 리가 ACB | 여섯 번째 | 22–15 | 준결승전 | 슈퍼코파 | SF | 3 챔피언스 리그 | C | 16–3 |
영예와 상
명예
전국:
국제:
기타 경기:
- 스페인 인비테이셔널 게임 라스팔마스
- 2018
개인상
- Jakim Donaldson – 2009, 2010
- 리카르도 기옌 – 2011
- 리카르도 기옌 – 2011
레퍼런스
- ^ "Relación de SAD — Portal del Consejo Superior de Deportes" (in Spanish). Consejo Superior de Deport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April 2017. Retrieved 7 September 2016.
- ^ Comunicado del CB 1939 Canarias CB 1939 Canarias 웹사이트.2012년 6월 12일
- ^ La ACB adquiere la plaza vacante del Lucentum y la asigna al CB Canarias Archived 2019-02-26 Wayback Machine ACB.com 2012년 7월 20일
- ^ "Cambio en el banquillo canarista" (in Spanish). ACB.com. 5 November 201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April 2016. Retrieved 5 November 2015.
- ^ "El Iberostar hace historia y estará en la Final Four de la Champions (61-51)" (in Spanish). ACB.com. 29 March 20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June 2017. Retrieved 29 March 2017.
- ^ "Este miércoles se cumplen 36 años del primer ascenso canarista" (in Spanish). ACB.com. 28 March 20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June 2017. Retrieved 29 March 2017.
- ^ El CB Canarias se detiene por el coronavirus elDiario.es, 2020년 3월 13일.2020년 7월 13일 접속(스페인어)
- ^ "Tenerife to host Basketball Champions League Final Four". BasketballCL.com. 31 March 2017. Retrieved 31 March 2017.
- ^ "Iberostar Tenerife to host Guaros de Lara in FIBA Intercontinental Cup". ChampionsLeague.basketball. 2017-08-25.
외부 링크
- 이베로스타 테네리페 공식 웹사이트 CBCanarias.net (스페인어)
- 챔피언스 리그의 이베로스타 테네리페.농구
- 이베로스타 테네리페(Eurobasket.com)
- 이베로스타 테네리페 ACB.com (스페인어)
- 이베로스타 테네리페 ACB.com (영어) (스페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