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만오스트랄리스

Caiman australis

카이만 오스트랄리스는 1858년 아르헨티나 [1][2]엔트레리오스마이오세 후기 이투자이긴고 층에서 채취된 왼쪽 맥실라에 근거해 기술된 멸종 카이만 종이다.

카이만오스트랄리스
시간 범위:마이오세 후기, 9.0-7.3 Pre ꞓ S P N
과학적 분류 edit
왕국: 애니멀리아
문: 챠다타
클래스: 파충류
주문: 악어목
패밀리: 악어과
서브패밀리: 카이만아과
Clade: 쟈카레아
속: 카이만
종류:
§ C. australis
이항명
카이만오스트랄리스
(Bravard, 1858)
동의어
  • 호주악어
    브라바르, 1858
  • 악어오스트랄리스
    (Bravard, 1858)
  • 프로알리제이터오스트레일리아리스
    (Bravard, 1858)

어원학

"오스트레일리아"라는 종 이름은 그리스 어근인 australia에서 유래했는데,[1] 이는 남아메리카에서 발견된 이후 "남쪽"을 의미합니다.

검출 및 분류

카이만 오스트랄리스아르헨티나 [3][2]엔트레리오스주의 파라나 강둑을 따라 있는 이투자이징고 지층에 속하는 상부 미오세 지층에서 수집한 완전한 왼쪽 맥실라에 기초하여 Museo de la Conderacion에 [1]고용된 프랑스 엔지니어 Auguste Bravard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다.브라바드는 1858년에 그것이 [1]길쭉한 상악어 때문에 악어의 한 종류라고 믿고 그것을 Crocadilus australis라고 이름 지었다.그것은 "메소포타"라고 이름 붙여진 최초의 종이었고 20년 [3][1]동안 알려진 유일한 종이었다.브라바드는 그것을 매우 간략하게 설명했지만, 헤르만 버마이스터와 카예타노 로베레토는 각각 1883년과 1912년에[4] [5]더 자세한 설명을 했다.이 종은 후안 B와 함께 여러 속으로 분류되었다.암브로세티는 1887년 프로알리게이터에,[6] 플로렌티노 아메기노는 1898년 [7]악어에, 그리고 [3]2012년 카이만에 마침내 놓이게 될 때까지 그것을 악어에 두었다.일부 추가 화석은 이 종에서 나온 것으로 추정되고 있지만, 중복되는 부분이 없어 명확한 [3]분류를 할 수 없다.

묘사

완모형의 단편적인 특성 때문에 케이만 오스트랄리스에 대한 진단 특성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C. australis살아있는 카이만 종보다 좁고 긴 상악골을 가진 좁은 코를 가지고 있었다.세 번째와 네 번째 폐포는 가장 큰 폐포이며 크기가 비슷하며 상악부에 작은 폐포간 공간이 있습니다.첫 번째, 두 번째, 다섯 번째에서 아홉 번째 폐포는 크기가 비슷하고, 세 번째와 네 번째 폐포는 다른 카이만 종에 존재하는 특징인 상악치열 중 가장 큽니다.상악골의 측면 가장자리도 다른 카이만 종에 비해 등쪽과 측면으로 볼 때 덜 장식되어 있다.상악골은 또한 두드러지고 길쭉한 홈과 [3]돌기의 특이한 우세로 장식되어 있다.

고환경

카이만 오스트랄리스의 화석은 오늘날의 아마존과 비슷한 광활한 갯벌과 따뜻한 [8]기후를 보존하고 있는 아르헨티나 엔트레 리오스의 이투자이뇨 층에서 발견되었다.이투자이긴고 층의 대형 초식성 노티네이트 포유류는 톡소돈아디노테륨,[9] 브라키테륨, 컬리니아, 디아디아포루스, 네오브라키테륨, 옥시오돈테륨, 파라나우체니아, 프로마우체늄, 스칼라우테륨 등의 독소돈과 아디노테륨을 포함하여 널리 퍼져 있었다.Palaehophorus, Eleuthero cercus, Plohophorus[11] 같은 크고 갑옷이 있는 글리토돈은 팜파테레스 크라글리에비치아[11] 시로테륨[12]같은 다른 싱게이트뿐만 아니라 이 지역에 살았다.육식동물에는 민물 [15]속의 그리포수쿠스모우라수쿠스와 같은 거대한 악어들과 함께 포러스라시드 데빈첸지아, 안달갈로니스[13], 스파라소돈트 [14]등이 있었다.대나무, 코코넛 야자나무, 그리고 다른 야자나무가 [16]널리 퍼져 있었다.

레퍼런스

  1. ^ a b c d e 브라바드, A.(1858)모노그라피다 데 로스 테레노스 마리노스 테리아리오스 델 파라나델 고비에노의 디아리오: 엘 나시오날 아르젠티노.[Burmeister, G. 1883으로 재인쇄]
  2. ^ a b Bona, P., & Barrios, F. (2015년)아르헨티나의 엘리게이터아상: 화석 기록의 갱신입니다.푸블리카시온 일렉트로니카 데 라 아소시아시온 파르테솔로기카 아르헨티나, 51세.
  3. ^ a b c d e Bona, P., Riff, D. 및 de Gasparini, Z. B. (2012).아르헨티나 북동부의 마이오세 후기 크로코딜리아: 네오진 남미 크로코딜리아 동물군의 호주 구성 요소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에든버러 왕립학회 지구환경과학거래소, 103(3-4), 551-570.
  4. ^ 버마이스터, G. (1883년)Bravard, 1858년: Monografia de los terrenos terciarios del Parana.부에노스아이레스 박물관, 3, 45-94
  5. ^ Rovereto, G. (1912년)Los codrilos foSiles en las capas de parana.부에노스아이레스 국립역사박물관
  6. ^ 암브로세티, J. B. (1887)옵저베타시온스 소브레 로스 파충류 올리고세노스 데 로스 테레노스 테르니아리오스 안티구오스 델 파라나.
  7. ^ 아메기노, F. (1898년)시놉시스 지오로지코-팔레온톨로기카 데 라 레푸블리카 아르헨티나.세군도 첸소 데 라 레푸블리카 아르헨티나, 1
  8. ^ Cione, A. L., Dahdul, W. M., Lundberg, J. G. 및 Machado-Allison, A. (2009)아르헨티나 마이오세 중엽의 새로운 속과 종인 Megapiranha paranensis.척추동물 고생물학 저널, 29(2), 350-358.
  9. ^ 슈미트, G.I. (2013).아르헨티나 엔트레리오스(Los ungulados nativos)(Litopterna y Notungulata: Mamalia) 델 메소포타미엔세(Mioceno Tardio)Publicacion Electronica de la Asociacion Perfusologica Argentina, 14 (1)
  10. ^ 슈미트, G.I. (2013).Litopterna y Notungulata (Mamalia) de la Formacion Ituzaingo (Mioceno tardio-Plioceno) de la Provincia de Entre Rios : sistematica, bioestratigia y palobiographa leografatia (박사논문, 박사논문, 라플라타)
  11. ^ a b Scillato, G. J. (2013)아르헨티나, 포마시온 이투자이온 데 엔트레 리오스(Mamalia, Xenarthra) 델 "콩글로메라도 오시페로"(Mioceno tardio"Publicacion Electronica de la Asociacion Perfusologica Argentina, 14 (1)
  12. ^ Góis, Flávio; Scillato-Yané, Gustavo Juan; Carlini, Alfredo Armando; Guilherme, Edson (2013-06-01). "A new species of Scirrotherium Edmund & Theodor, 1997 (Xenarthra, Cingulata, Pampatheriidae) from the late Miocene of South America". Alcheringa: An Australasian Journal of Palaeontology. 37 (2): 177–188. doi:10.1080/03115518.2013.733510. ISSN 0311-5518. S2CID 129039539.
  13. ^ Alvarenga, Herculano M.F.; Höfling, Elizabeth (2003). "Systematic revision of the Phorusrhacidae (Aves: Ralliformes)". Papéis Avulsos de Zoologia (São Paulo). 43 (4). doi:10.1590/S0031-10492003000400001. ISSN 0031-1049.
  14. ^ Babot, J. M., & Ortiz, P. E. (2009)Primer registro de Borhyaenoidea (Mamalia, Metatheria, Sparassodonta) in la provincia de Tucumann (Formacion India Muerta, Grupo Choromoro, Mioceno tardio).악타 지오로지카 리요아나, 34-48
  15. ^ Riff, D., Romano, P.S.R., 올리베이라, G.R. 및 아길레라, O.A. (2010).남미 북부의 네오진 악어와 거북이 동물군.아마조니아. 풍경과 종의 진화: 과거를 들여다보자, 259-280
  16. ^ Franco, M. J., & Brea, M. (2015년)아르헨티나 상부 신생대(이투자이징고층)의 포도카르타과 화석 목재에 대한 최초의 파타고니아 외 기록.뉴질랜드 식물학 저널, 53(2), 103-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