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당 정부, 1974년 ~ 1979년
Labour government, 1974–1979노동당은 1974년부터 1979년까지 영국과 북아일랜드를 통치했습니다. 이 기간 동안, 해럴드 윌슨과 제임스 캘러헌은 엘리자베스 2세 여왕에 의해 연속적으로 수상으로 임명되었습니다. 칼라간 부처의 종말은 심각한 산업적 불만의 시기인 '불만의 겨울'에 의해 예고되었습니다. 1979년 보수당 대표 마가렛 대처의 당선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1979년 여름 제임스 캘러헌의 몰락은 정치권의 대부분 논평가들에 따르면 고대 정권의 종말, 조합주의 시스템, 케인즈의 지출 프로그램, 보조 복지 및 노동조합 권력을 의미했습니다.[1]
정부는 세 개의 부처로 구성되었습니다: 세 번째와 네 번째 윌슨 부처, 그리고 그 다음에는 캘러헌 부처.
역사
| ||
---|---|---|
총리대신 영국의 총리 초선 연임 제3항과 제4항
![]() | ||
| ||
---|---|---|
윌슨 내각 영국의 총리
![]() | ||
형성
1974년 2월 총선 이후, 어느 정당도 과반수 의석을 얻지 못했습니다. 현 보수당은 국민투표에서 승리했지만, 노동당은 다수 의석을 차지했습니다. 보수당의 에드워드 히스 총리는 자유당과 연정 협상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총리직에서 물러났습니다. 해롤드 윌슨이 이끄는 노동당은 1974년 3월 4일 소수 정부를 수립했습니다.
이것은 장기적인 안정성이 없고, 몇 달 안에 또 다른 총선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인식했습니다. 9월 20일, 윌슨은 10월 10일 총선을 다시 소집했고, 이로써 노동당은 3석의 과반을 차지하며 근소한 차이로 승리했습니다.
경제는 1974년 2월 선거 때까지 침체되어 있었지만, 노동당이 집권하기 전에 두 자리 수로 뛰었던 인플레이션이 현재 20%를 넘었음에도 불구하고 1976년까지 경제 성장이 다시 이루어졌습니다. 나머지 부처는 10% 미만으로 좀처럼 떨어지지 않고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입니다. 실업률은 현재 1,000,000명을 훨씬 넘었고, 10년 초에는 600,000명에도 미치지 못했습니다. 이것은 경제적인 쇠퇴와 더불어 더 적은 인력을 필요로 하는 엔지니어링 기술의 발전의 결과이며, 수익성이 없는 공장과 탄광의 폐쇄를 포함한 다른 요인들도 있었습니다.
1976년 3월, 이제 막 60세가 된 윌슨은 총리직을 사임했고, 13년 만에 노동당의 지도력을 끝냈고, 총리직을 거의 8년 만에 마쳤습니다. 그는 윌슨의 두 부처에서 고위 정부 직책을 역임한 제임스 캘러헌의 후임으로 1960년대 초 그림자 내각의 일원으로 일했습니다.
1976년, 영국은 재정 위기에 직면했습니다. 노동당 정부는 국제통화기금(IMF)에 거의 4,000,000달러의 차관을 신청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IMF 협상단은 공공지출의 대폭 삭감을 주장하며 경제·사회정책에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캘러헌이 취임한 지 1년 만에 보궐선거 패배로 노동당의 근소한 다수당이 탈락했고, 이로 인해 정부가 붕괴되고 총선이 소집되지 못했습니다. 정부를 유지하기 위해 노동당은 1977년 3월 Lib-Lab 협정을 맺었고 이것은 16개월 동안 유효했습니다. 이 소수 정부는 또한 얼스터 연합당과 스코틀랜드 국민당과의 비공식 협상으로 권력을 유지할 수 있었습니다.
1978년 9월까지 경제 성장은 확고하게 회복되었고 인플레이션은 10% 미만이었습니다. 비록 실업률은 현재 1,500,000명으로 전후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여론조사의 대부분이 노동당의 확실한 우위를 보여주는 가운데, 캘러헌은 과반수를 획득하고 1983년까지 자신의 정부에 생존의 기회를 주기 위해 1년이 더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해 가을에 총선을 치를 것이라는 예상이 우세했습니다.
그러나 그는 이러한 요구에 저항했고 영국은 노동당이 여전히 집권하고 캘러헌이 여전히 집권하고 있는 1979년부터 시작했지만 1978년 가을 동안 총선을 소집하지 못한 것은 노동당 정부의 종말로 판명될 것입니다.
주요기여금
1974-1979년 노동당 정부는 여러 가지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집권 기간 동안 광범위한 개혁을 수행할 수 있었습니다. 1974년부터 1976년까지 해롤드 윌슨의 마지막 총리 재임 기간 동안 새로운 사회보장 혜택의 도입과 세입자의 권리 향상과 같은 많은 변화가 수행되었습니다. 1974년 3월, 국가 연금의 기록적인 25% 인상을 포함하여, 2,000,000 파운드의 추가적인 혜택, 식량 보조금, 주거 보조금이 발표되었습니다. 의회 주택 임대료도 동결됐습니다. 카운슬 하우스 건축은 상당한 규모로 계속되었지만, 현재는 오래된 부동산을 새로운 것으로 대체하기보다는 현대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그 해에 국민 보험 급여는 13% 인상되었고, 이는 평균 수입의 비율로서 "이전 최고치에 해당하는 값까지" 연금을 가져왔고, 이는 노동당 입법의 결과로 1965년에 도달했습니다. 장기적으로 이러한 혜택의 실질적인 가치를 유지하기 위해, 정부는 미래의 연금 증가를 더 높은 소득이나 임금과 연결시키는 법안을 도입했습니다.[2] 1974-1975년에 사회 지출은 실질적으로 9% 증가했습니다. 1974년에는 연금이 실질적으로 14% 인상된 반면 1975년 초에는 가족수당이 인상되었습니다. 500,000,000 파운드 상당의 식량 보조금과 함께 요금과 임대료 보조금도 크게 증가했습니다.[3]
로버트 테일러(Robert Taylor)에 따르면 "분쟁을 해결하고 좋은 노사관계 관행을 장려하는 데 있어 공정하고 인상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독립적인 자문, 조정 및 중재 서비스(현재 단순히 Acas라고 함)가 설립되었습니다. 인력위원회는 일자리를 개선하고 실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다 적극적인 노동 시장 정책을 장려하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Pay Board는 폐지되었고, 반면에 가격 위원회는 가격 인상을 통제하고 지연시킬 수 있는 더 큰 권한을 제공받았습니다. 또한 1974년에 제정된 범죄자 회생법은 범죄가 경미하고 오래 전에 저지른 전과자에 대한 고용주의 차별을 금지하고, 1975년에 제정된 주택임대료 및 보조금법은 임대료에 대한 권한을 지방 당국에 다시 부여했습니다.[4]
정부는 장애인을 돕기 위해 요양급여비, 이동급여비, 국민보험을 통해 기여할 수 없는 사람들을 위한 비기여적무효연금 등을 도입했습니다. 아동 빈곤 퇴치를 위해 1975년 보편적 아동수당을 제정하는 법안이 통과되었습니다(이후 칼라간 정부에 의해 시행된 개혁). 국민 보험 급여에 의존하는 사람들의 생활 수준을 높이기 위해 정부 지수는 단기 급여를 물가 상승률에 연동했고, 연금과 장기 급여는 물가 상승률이나 소득 상승률에 연동했습니다.[5]
1975년에는 주 소득 관련 연금 제도(SERPS)가 도입되었습니다. 물가상승을 방지하고 소득과 연동된 새로운 연금이 사상 처음으로 소득에 맞춰 인상되는 기초연금에 추가됐습니다. 이 개혁은 연금을 '20대 최고의 해'에 연결시켜 여성들을 도왔고, 가정에서 아이들이나 다른 사람들을 돌보는 일을 한 사람들이 기여자로 꼽혔습니다. 이 계획은 후속 대처 장관에 의해 개혁되었습니다. 1975년 성차별금지법은 원칙적으로 여성에게 직업에 대한 동등한 접근과 남성과의 동등한 대우를 할 수 있는 권리를 주었으며, 1975년 고용보호법은 법정 출산휴가를 도입했습니다.[6] 같은 해 임금 체불이 마침내 폐지되었습니다.[7] 또한 정액제 인상을 포함한 평등주의적 급여 정책으로 숙련 노동자와 비숙련 노동자 간의 차이가 축소되었습니다.
1975년 사회보장연금법은 남녀가 고용주의 연금제도에 동등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했고, 부모와 노인 부양가족을 돌보는 사람들이 고용 중단에도 불구하고 연금 권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가정 책임 조항도 포함했습니다. 사회보장제도 내에서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 법은 미래의 기혼 여성이 동일한 수준의 개인 질병 또는 실업 수당을 받을 수 있도록 규정했습니다.[8] 1974년 주택금융법은 빈민가 정리를 위해 지방 당국에 대한 지원을 늘리고, 공공 및 민간 부문의 가구가 없는 숙박 시설에 "공정한 임대료" 제도를 도입했으며, 의회 세입자에 대한 임대료 리베이트를 도입했습니다. 1974년에 제정된 주택법은 주택 조합에 대한 지원 수준을 높였고, 주택을 임대하려는 사람들을 위한 의회 주택에 대한 대중적인 대안으로 등장한 주택 조합에 대한 지원 수준을 높였으며, 주택 공사의 역할을 확장했습니다. 1974년 임대법은 가구가 비치된 부동산의 세입자에게 임대 기간의 보장을 확장하고 임대 재판소에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했습니다. 1975년 공동체 토지법은 개발 토지의 공공 통제를 허용했고, 1975년 아동수당법은 한부모를 위한 추가 지급을 도입했습니다.[9] 의료비 지출의 보다 공평한 분배를 위한 공식을 만들기 위해 자원 할당 작업반도 설립되었습니다.[10] Anthony Crosland는 Wilson의 두 번째 부처에서 장관으로 재직할 때, 가난한 도시 지역에 혜택을 주기 위해 전국에 표준 수준의 구호를 도입하는 레이트 서포트 그랜트의 수준을 개혁하기로 결정했습니다.[4]
1976년의 손해배상(스코틀랜드)법은 "인신상해 및 그러한 부상으로 인한 사망에 관한 손해배상에 관한 법률을 개정하고 배상조치를 폐지했습니다." 1976년에 제정된 교육법은 1971년에 제정된 교육(우유)법의 일부를 폐지하기도 했습니다.[11] 1976년 교육(스코틀랜드)법은 1971년 교육(우유)법의 "학교 우유에 대해 교육 당국이 청구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 부분을 폐지했습니다. 1976년의 보석법은 "형사 소송에서 보석을 허가하는 것에 찬성하는 가정을 만들었고, 법원이 보석을 거부할 때 이유를 제시하도록 요구했으며, 피고인들에 대한 개인적인 인정 체계를 보석 중에 무단이탈하는 새로운 범죄로 대체했습니다. 두 번 이상 구금된 사람은 법적 지원을 받을 기회를 가져야 하며, 보증 제도의 일정한 개선을 이루어야 합니다." 1976년 공정고용법(Northern Ireland)은 종교와 정치를 이유로 북아일랜드의 고용 차별을 금지했고, 또한 동등한 직업 기회를 촉진하기 위해 북아일랜드 공정고용청을 설립했습니다. 1976년 부가급여(개정)법은 한부모 가정의 부모의 소득금액 및 기타 소득금액을 요건과의 비교를 위한 재원을 산정함에 있어 무시하도록 개정하였고, 특정 사회보장 및 기타 자녀수당도 개정하였습니다.[12] 1977년 8월, "1969년 아동·청소년법 제23조에 따라 법원이 17세 미만의 사람을 잉글랜드와 웨일즈의 교도소에 재소환할 수 있는 상황을 제한하는 새로운 규칙"이 만들어졌습니다.[13] 1976년 산업공동소유법은 국무장관에게 "공유자본이 없고 근로자의 과반수가 통제하는 기관인 공동소유 기업에 최대 3만 파운드의 보조금과 최대 250,000 파운드의 융자금을 줄 수 있는 권한"을 주었습니다. 1976년의 임대(농업)법은 농부가 제공하는 주택에 거주하는 특정 농업 노동자, 전직 노동자 및 그 후계자에게 종신 보장을 제공했으며, 또한 들어오는 노동자를 수용하기 위해 주택이 필요할 때 주택 당국에 '묶인 오두막'의 거주자를 재입주하도록 의무를 부여했습니다.[14]
1974년 법률구조법은 민사 법률구조 자격의 가처분소득 상한을 상향 조정했습니다.[15] 1975년 6월, 정부는 국민 저축 퇴직 증서의 첫 번째 시리즈를 발행했습니다.[16] 1977년 퇴거방지법은 "거주자를 퇴거(또는 그렇게 하려고 시도하는 것)하는 것을 불법으로 규정하고, 법원을 통해서가 아닌 다른 거주자를 퇴거시키는 것을 금지했습니다. 그것은 그만두기 위한 통지의 유효성에 대한 제한을 두었습니다." 1977년 잉글랜드와 웨일즈에 적용된 임대료법은 "통제되거나 규제된 임대료와 주택조합 또는 주택신탁의 임대료를 고정하는 수단을 마련했습니다."[17] 1974년 10월, 잉글랜드와 웨일스의 모든 지역의 소년 법원들은 아동과 청소년들이 감독 명령에 따라 지휘를 받는 오락적, 교육적 또는 문화적 활동을 포함하는 "중간 치료"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같은 달, "10 크리스마스 보너스"는 과부, 만성 질환자, 그리고 이 사람들이 이미 사회 보장 혜택을 받고 있는 장애인들을 포함하도록 연장되었습니다.[18] 1975년 2월 보충급여위원회는 "한부모가족에 관한 세부보고서의 권고에 따라 임대료 지급에 일정한 변화를 도입했습니다."[19]
1974년 4월 4일 순환 (1974년)은 에드워드 히스 아래에서 통과된 산업 관계 법안이 폐지되는 동안 종합 교육(히스 부처 아래에서 진행이 중단됨)을 위한 새로운 압력을 가했습니다. 1974년 「직장 내 보건 안전법」은 보건 안전 위원회와 행정부, 그리고 직장 내 보건 안전을 위한 법적 틀을 마련했습니다. 1975년 고용보호법은 산업분쟁을 중재하기 위한 자문·조정·중재 서비스(ACAS)를 설립하고, 근로자와 노동조합의 권리를 확대하고, 중복지급 제도를 확대하고, 부당해고에 대한 구제책을 마련했습니다. 이 법안은 또한 유급 출산 휴가를 제공하고 임신을 위한 해고를 금지했습니다. 이 법은 또한 고용주가 근로자들에게 "자신의 잘못이 없어 해고된 경우" 최소한의 보장된 임금을 지급하도록 의무화했습니다.[8] 1975년 사회보장법은 출산수당기금을 도입하였고, 1975년 성차별금지법은 기회균등위원회를 설치하여 성차별(간접적, 직접적)을 금지하였습니다.[9] 또한 1975년 사회보장법은 진행성 소음성 난청을 "직업성 난청으로 산재제도가 적용되는 소정의 질병 목록"에 포함시켰습니다.[20]
1922년 규정을 대체하는 목공 기계 규정 1974년은 1974년 11월에 시행되었습니다. 이러한 규정은 가장 위험한 기계의 경비 기준을 높였습니다.[21] 광산 노동자 연금에 대한 개선이 이루어졌고, 그 해 10월에 시행된 탄광(호흡 가능한 먼지) 규정 1975는 석탄 광부의 진폐 발생을 줄이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탄광의 작업장에서 허용되는 호흡성 분진의 양과 분진의 억제 및 지속적인 샘플링을 위한 준비를 규정하고 있으며, 위험에 처한 작업자의 의료 감독을 위한 계획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눈 보호 규정(1974년과 1975년)은 1938년 규정을 대체하여 공장뿐만 아니라 건설 현장에서 고용된 사람들에게도 보호를 확대했습니다.[22] 또한 1975년 보험 계약자 보호법은 실패한 보험사의 고객에 대한 안전장치를 도입하였습니다.[23]
윌슨의 후임자인 캘러헌은 장관들과 함께 재임 기간 동안 여러 가지 개혁안을 내놓기도 했습니다. 1976년 보충급여법은 16세 이상의 모든 사람에게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키기에 부족한 재원을 보장하고, 국가연금 수급연령에 도달한 경우 보충연금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고, 이 연령에 미달한 경우에는 보충수당을 지급하고 있습니다.[24][25] 1976년 임대(농업)법은 공동 숙소에 있는 농업 노동자들에게 종신 보장을 제공한 반면, 1976년 보석법은 법원이 보석 거부를 설명해야 하는 보석 조건을 개혁했습니다. 1976년 경찰법은 "공공 민원 처리 절차를 공식화하기 위해" 경찰 민원 위원회를 설립했습니다. 1976년 교육법은 독립적이고 직접적인 보조금 학교의 설립을 제한하고, 이를 이행하지 않은 모든 지방자치단체는 "종합학교에 대한 제안서를 제출할 것"을 요구하는 한편, 1977년 주택(노숙인)법은 "지역의 노숙인들을 위한 숙박을 제공하기 위해" 지방의회의 책임을 확장하고,"[9]그리고[9] 노숙자 가족의 권리를 영구적인 지방 의회 세입자에게 제공했습니다.[26] 게다가, 피터 쇼어 환경부 장관 아래에서는 박탈된 도시 지역에 자원을 재분배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졌습니다.[27] 1978년 도심지법은 지방 당국이 쇠퇴하는 산업 지역을 지원하고 중앙 정부가 가장 문제가 많은 도심지 지역에 새로운 보조금을 제공하도록 허용한 [4]반면, 1978년 재정법은 이익 공유 제도를 도입했습니다.[28] 1976년 4월 한부모 가정을 위한 아동 중간 급여가 도입되었고,[29] 이듬해 보편적 아동 급여 제도가 도입되었습니다.[30] 1979년 4월 3일, 한부모가 가사급여 수급 자격을 얻기 위해 일해야 했던 시간이 주당 30시간에서 24시간으로 줄었습니다.[31]
캘러건 정부는 또한 임금 인상 압력을 완화하고 "단체 협상의 질서 있는 회복을 위해" 유리한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한 다양한 조치를 도입했습니다. 여기에는 저소득 근로자의 소득을 사회보장급여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가족소득보조금 지급, 개인수당 인상을 통한 소득이 적은 사람에 대한 한계세율 인하, 자녀수당 인상(어머니에게 지급되는) 등이 포함됐습니다. 하지만 자녀세액수당이 낮아져 아버지들의 세부담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었습니다. 무상급식 소득제한 확대, 우유 보조금 인상, 휘발유 관세 대폭 인하 등도 소비자물가 상승의 영향을 완화했습니다. 또한, 보충급여를 받는 가정에 대해서는 전기료를 인하하였습니다.[32]
정부는 1977년 11월 소방대 연합이 첫 전국적인 파업을 선포하면서 정부가 소방관들에게 30%의 임금 인상을 허락하지 않은 것에 대한 반응으로 영국 국민들로부터 비난을 받았습니다. 파업은 크리스마스 이후까지 지속되었고, 그 기간 동안 영국의 소방 서비스는 급하게 훈련된 육군 부대에 의해 운영되었습니다. 그의 그린 여신 차량은 1950년대부터 시작되었고 1970년대 소방차보다 상당히 느렸고, 부대는 소방대가 사용할 수 있는 호흡 장비가 부족했습니다.[33] 파업 과정에서 100명이 훨씬 넘는 사람들이 화재로 목숨을 잃었는데, 웬즈베리에서는 최악의 비극이 발생했는데, 집에서 발생한 화재로 네 명의 아이들이 목숨을 잃었습니다.[34]
1976년에 9만 명 이상이 훈련을 수료하고 주로 19세 이상을 대상으로 하는 훈련 기회 제도는 1977년 동안 연장되어 자영업을 위한 훈련 인원의 훈련 조항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술자 교육이 연장되고 스킬 센터의 네트워크가 지속적으로 확장되었습니다. 1977년 8월, 석탄 산업에서 최소 20년 이상의 지하 근무 경력을 가진 62세 이상 남성을 대상으로 한 자발적 조기 퇴직 제도가 도입되었으며, 주급은 정상 연금 수급 연령까지 지급됩니다. 1977. 1. 노조는 기존의 약관이 해당 지역의 거래에 대하여 인정된 관련 약관보다 불리하다는 이유로 근로자를 대신하여 고용조건의 개선을 위한 청구를 자문조정중재국에 제기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게 되었거나, 이것들이 존재하지 않는 곳, 일반적인 수준. 1975년 2월, 시간제 근로의 자격 시간을 다루는 고용법의 일부 조항이 시행됨으로써 많은 시간제 근로자들에게 정규직 근로자와 동일한 권리와 고용 안정성을 부여했습니다. 또한 2월에는 해고 시 또는 단기간에 고용주로부터 보증금을 받을 수 있는 자격이 주어졌고, 1975년 4월에는 고용법의 일부 조항이 활성화되어 특정 공공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고용주에게 휴가를 지급할 수 있는 권리가 주어졌습니다. 1976년 인종관계법의 주요 조항은 1977년 6월에 시행되었으며, 고용주가 국적, 인종, 색상, 색상 또는 윤리 또는 국가 출신을 이유로 승진, 전보, 훈련 또는 기타 혜택의 문제에서 채용 또는 해고 또는 기존 직원의 대우에 차별을 두는 것을 불법으로 만들었습니다. 인종 평등 위원회는 다양한 인종 집단 간의 좋은 관계와 기회의 평등을 촉진하기 위해 차별을 제거하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35]
스코틀랜드에서는 1978년 범죄자에 의한 사회봉사법에 의해 범죄자들이 특정 상황에서 법원에 의해 징역형의 대안으로 사회활동을 하도록 명령을 받을 수 있는 조항이 도입되었습니다. 이 법안은 스코틀랜드를 이미 유사한 조항이 적용되는 잉글랜드 및 웨일즈와 일치시켰습니다. 1979년 광산(침입물에 대한 주의사항) 규정은 모든 종류의 광산에 적용되었으며 물이나 가스 또는 물이 젖을 때 흐르는 물질의 유입 위험에 대한 조치를 규정했습니다.[36]
주택정책에서 주택정책의 역점 전환은 일반개선지역과 주택행동지역의 추가 증가에서 뚜렷하게 나타났습니다. 1977년 3월 법률은 청년실업의 증가에 대응하여 청년실업자의 일자리를 해방하기 위해 퇴직에 동의하는 근로자에게 64세부터 지급할 수 있는 혜택을 제한적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1977년에는 장애인 위탁 아동을 위해 출석 수당이 확대되었고, 무효로 가사 업무를 수행할 수 없는 기혼 여성에게 비기여 장애 연금이 확대되는 등 다른 많은 개선 사항이 도입되었습니다. 1977년 1월, 작업장에서의 화재 예방을 관리하는 법률의 행정에 변화를 가져온 규정이 발표되었습니다. 이 규정에 따라 보건안전행정부는 원자력 시설, 탄광, 화학 공장 등 특정 '특수' 시설의 화재 안전에 대한 모든 책임을 유지한 반면, 작업장에서의 일반적인 화재 예방 조치에 대한 책임은 지역 소방 당국으로 넘어갔습니다.[35] 장애인을 위한 새로운 서비스와 혜택도 다수 도입되었습니다. 정신병원 장기입원 환자에 대한 '포켓머니' 수당 대신 '비분담형 무효연금'이 도입됐습니다. 전쟁연금 수급자에 대한 개인자동차정비수당을 인상하면서 무효연금, 기여무효연금 및 실업보충금 수급자에 대한 치료적 소득한도를 상향조정하였습니다. 1977년 8월 29일부터 장애아동의 양부모에게 출석수당이 지급되고, 가정에서 투석하는 신장병 환자에게도 확대되었습니다. 직업성 난청에 대한 산재 조항이 도입되었고, 바이러스성 간염과 염화비닐모노머 유발 질환이 산재 질환으로 처방되었습니다. 특정 폐질환으로 사망한 경우 산업사망급여 수급권 조건 완화가 진행되었습니다. 론트리 트러스트 가족기금의 기준 조건을 중증 장애아동 전체로 확대하면서, 장애아동을 위한 론트리 트러스트 가족기금에 1,210만 파운드를 지급했습니다.[37] 진폐 진단에 대한 제한적 항소권도 도입됐습니다.[38] 100만 명에 달하는 청각장애인들을 위한 새로운 후두보청기의 단계적 도입이 진행됐습니다. 어린이와 젊은 층을 위한 특수 보청기를 선보였습니다. 청각 서비스가 개발되고 청각 치료사가 도입되고 시각장애인의 세금 수당이 인상되었습니다.[39] 휠체어 서비스를 개선하는 한편, 모든 '오렌지 배지' 소지자에 대한 추가 주차 양보가 이루어졌습니다. 또한 '오렌지 뱃지' 제도를 시각장애인까지 포함하도록 확대하고, 최대 통제된 횡단보도에서 '오렌지 뱃지' 소지자에게 양보하는 제도를 도입했습니다. 휘발유 허용량도 복원돼 정부가 공급한 무효 차량 운전자의 경우 두 배로 늘었습니다. 또 다른 방안으로는 이동수당 수급권자나 그 지명자에게 도로세(차량소비세) 면제를 확대하는 방안이 있었습니다.[40] 장애 학생들의 학업과 관련하여 추가적인 비용을 지출하게 된 장애 학생들에게 최대 160파운드의 재량수당과 함께 장애 학생들을 위한 양여비가 도입되었습니다. 교육 시설에서 장애인의 요구에 대한 개선된 제공이 수행되었으며, 고용주에게 "장애인 개인이 고용을 얻거나 유지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시설 또는 장비에 대한 적응 비용에 대해" 보조금 제도가 만들어졌습니다. 1977년 7월 4일, "특정 장애인이 특정 직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합리적인 의심이 있는 고용주와 함께 시험적인 고용 기간을 가질 수 있도록 재정적인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실험적인 직업 소개 제도가 시작되었습니다." 1978년 7월 5일 중증 장애인의 직장 이동 비용을 지원하기 위해 고안된 개정되고 간소화된 제도가 도입되었습니다. 고용 재활 과정을 밟는 사람들에게 늘어난 수당이 지급되었고, MSC 청년을 위한 특별 프로그램에 따라 장애 청년을 위한 고용 재활 센터에서 추가적인 기회가 제공되었습니다.[41] 이미 고용되어 있지만 집중적인 훈련을 받아야만 해결할 수 있는 문제를 겪고 있는 장애인들을 위해 훈련 해제(RFT) 제도가 도입되었습니다.[42] 지역 장애인 전담팀을 설치하고, 전쟁연금 수급자의 방문 제도를 연장하고, "장애인을 위한 보조기구와 기구, 치료나 연구 목적으로 병원에 기부하기 위한 의료장비에 대한" 부가가치세 제로 등급을 도입했습니다. 장애인 환자의 치과 진료를 위해 새로운 약정이 도입되었고, 노인의 집에 있는 사람들을 위해 특별 양허 TV 면허 약정이 연장되었습니다.[43]
1977년 안전 대표자 및 위원회 규정은 인정된 노동조합이 보건 및 안전 대표자를 임명할 수 있도록 규정했으며, 이러한 대표자에게 보건 및 안전에 대한 대표권과 상담권을 부여하고 이러한 업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 그들을 지원하기 위한 교육 및 시설에 대한 접근권을 부여했습니다.[44] 1978년 주택 단열법은 거주자들에게 그들의 주거의 단열 비용에 대한 보조금을 제공했고, 안전 대표자 및 안전 위원회 규정에 따라 인정된 노동 조합은 특정 권리와 기능을 가진 안전 대표자를 임명하는 것이 허용되었습니다. 보건안전위원회는 산업재해 및 직업성 질병 예방에 관한 외부협의의 연장의 일환으로 건설을 위한 산업자문위원회를 3개 설치하였고, 철도와 석유 및 규정은 1978년 3월에 직장과 가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약 800개의 위험한 화학물질의 포장과 라벨링을 다루는 내용으로 발행되었습니다. 1978년부터는 광산근로자 병가급여제도의 개선도 도입되어 급여산정식이 개선되고 '대기일수' 기간이 7일에서 3일로 단축되었습니다.[45] 1978년 주택구입지원 및 주택공사보증법에 의해 최초 주택구입자에게 도움이 되었습니다.[46] 1978년에 제정된 소비자 안전법은 소비자들이 잠재적으로 해로운 상품을 구매하지 못하도록 보호했고,[47] 노동당 정부가 통과시킨 마지막 법안인 1979년에 제정된 신협법은 [48]신협을 위한 법적 구조를 마련했습니다.[49]
운명.
노조의 파업은 불만의 겨울 (1978–1979) 동안 공공 서비스가 중단되면서 영국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게다가, 인플레이션은 두 자리 수로 돌아갔습니다. 하원은 1979년 3월 말 한 표 차이로 불신임안을 통과시켰습니다. 그 투표는 총선을 필요로 했고, 여론조사에서 캘러헌이 보수당 당수인 마가렛 대처보다 유권자들에게 개인적으로 더 인기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음에도 불구하고 보수당이 결정적으로 승리했습니다. 문제는 많은 노동당 유권자들이 노동당을 외면했다는 것이었습니다.[50]
캘러헌은 18개월 동안 노동당을 계속 반대했습니다. 그의 가장 친한 전기 작가들은 그 시기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는 좌파의 지도자인 마이클 풋을 위해 자리를 양보하기 위해 물러났습니다. 캘러헌은 1987년까지 의원직을 유지하며 42년간 의원직을 수행했습니다.
역사학자 앨런 스케드와 크리스 쿡은 1974-1979년 노동당 집권에 대한 일부 역사학자들의 견해를 정리했습니다.[51]
윌슨의 총리로서의 기록이 곧 실패의 하나로 느껴진다면, 그 실패감은 캘러헌의 총리 임기에 의해 강력하게 강화되었습니다. 노동당은 긍정적인 성과를 거둘 수 없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그것은 인플레이션을 통제할 수 없었고, 연합을 통제할 수 없었고, 아일랜드 문제를 해결할 수 없었고, 로디지아 문제를 해결할 수 없었고, 웨일스와 스코틀랜드의 발전에 대한 제안을 확보할 수 없었으며, 공동 시장과 함께 인기 있는 모더스 비벤디에 도달할 수 없었습니다. 국가와 자신이 선택한 날짜에 갈 수 있을 때까지 스스로 권력을 유지할 수도 없습니다. 그러므로 부인이 그렇게 된 것은 별로 놀랄 일이 아니었습니다. 대처는 1979년에 그것을 완전히 이겼습니다.[52]
그러나 앨런 베일리는 2013년 IPPR 진보정책 싱크탱크에 기고한 글에서 "모든 '나쁜 옛날'은 아니다: 노동당의 1970년대 산업 전략을 재검토하는 것"이라는 제목의 글에서 대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1974-79년 노동당 정부의 '산업 전략'은 언론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좌파 벤나이트 극단주의(기획 협정)와 '승자 뽑기'(영국 레일랜드)의 실패한 조합으로 기억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캐리커처는 불공평하고 오해의 소지가 있으며, 여전히 배워야 할 교훈이 있습니다.[53]
캐비닛
윌슨 목사
윌슨 주 | |
---|---|
![]() 영국 내각 | |
| |
![]() 윌슨(1975) | |
작성일자 |
|
해산일자 |
|
사용자 및 조직 | |
모나크 | 엘리자베스 2세 |
수상 | 해럴드 윌슨 |
수상경력 | 1974–1976 |
부총리 | [주1] |
회원당 | 노동당 |
입법부의 위상 | |
야당내각 | |
야당 | 보수당 |
야당지도자 | |
역사 | |
선거 | |
입법부 용어 | |
전임자 | 건강부 |
후계자 | 칼라간 사역 |
사무실. | 이름. | 용어 |
---|---|---|
수상 재무부 제1대 군주 공무원부 장관 | 해럴드 윌슨 | 1974–1976 |
재무장관 | 데니스 힐리 | 1974–1976 |
영국의 수상 | 엘윈 존스 경 | 1974–1976 |
하원의 지도자 평의회 의장 | 에드워드 쇼트 | 1974–1976 |
귀족원의 지도자 옥새의 수호자 | 셰퍼드 주 | 1974–1976 |
미 국무부 외교·영연방 담당 장관 | 제임스 캘러헌 | 1974–1976 |
내무부 장관 | 로이 젠킨스 | 1974–1976 |
국방장관 | 로이 메이슨 | 1974–1976 |
교육과학부 장관 | 레그 프렌티스 | 1974–1975 |
프레드 멀리 | 1975–1976 | |
고용부 장관 | 마이클 풋 | 1974–1976 |
에너지부 장관 | 에릭 발리 | 1974–1975 |
토니 벤 | 1975–1976 | |
환경부 장관 | 앤서니 크로스랜드 | 1974–1976 |
사회복지부 장관 | 바바라 성 | 1974–1976 |
산업부 장관 | 토니 벤 | 1974–1975 |
에릭 발리 | 1975–1976 | |
해외개발부 장관 | 레그 프렌티스 | 1975–1976 |
물가 및 소비자 보호 담당 국무장관 | 셜리 윌리엄스 | 1974–1976 |
통상담당 국무장관 무역위원회 위원장 | 피터 쇼어 | 1974–1976 |
스코틀랜드 국무장관 | 윌리엄 로스 | 1974–1976 |
웨일스 국무장관 | 존 모리스 | 1974–1976 |
북아일랜드 국무장관 | 멀린 리스 | 1974–1976 |
랭커스터 공국의 수상 | 해럴드 레버 | 1974–1976 |
재무장관 | 로버트 멜리시 | 1974–1976 |
농림수산식품부 장관 | 프레드 피어트 | 1974–1976 |
기획지방자치부장관 | 존 실킨 | 1974–1976 |
칼라간 사역
칼라간 사역 | |
---|---|
![]() 영국 내각 | |
1976–1979 | |
![]() 캘러헌(Callaghan, 1977) | |
작성일자 | 1976년 4월 5일 ( |
해산일자 | 1979년 5월 4일 ( |
사용자 및 조직 | |
모나크 | 엘리자베스 2세 |
수상 | 제임스 캘러헌 |
수상경력 | 1976–1979 |
부총리 | [주 2] |
회원당 | 노동당 |
입법부의 위상 | |
야당내각 | 대처 그림자 내각 |
야당 | 보수당 |
야당지도자 | 마가렛 대처 |
역사 | |
출선 | 1979년 총선 |
입법부 용어 | |
전임자 | 제3윌슨부 |
후계자 | 제1대 대처 내각 |
사무실. | 이름. | 용어 |
---|---|---|
수상 재무부 제1대 군주 공무원부 장관 | 제임스 캘러헌 | 1976–1979 |
재무장관 | 데니스 힐리 | 1976–1979 |
영국의 수상 | 엘윈 존스 경 | 1976–1979 |
하원의 지도자 평의회 의장 | 마이클 풋 | 1976–1979 |
귀족원의 지도자 옥새의 수호자 | 셰퍼드 주 | 1976 |
The Lord Peart | 1976–1979 | |
미 국무부 외교·영연방 담당 장관 | 앤서니 크로스랜드 | 1976–1977 |
데이비드 오웬 | 1977–1979 | |
내무부 장관 | 로이 젠킨스 | 1976 |
멀린 리스 | 1976–1979 | |
국방장관 | 로이 메이슨 | 1976 |
프레드 멀리 | 1976–1979 | |
교육과학부 장관 | 프레드 멀리 | 1976 |
셜리 윌리엄스 | 1976–1979 | |
고용부 장관 | 앨버트 부스 | 1976–1979 |
에너지부 장관 | 토니 벤 | 1976–1979 |
환경부 장관 | 피터 쇼어 | 1976–1979 |
사회복지부 장관 | 데이비드 에널스 | 1976–1979 |
산업부 장관 | 에릭 발리 | 1976–1979 |
해외개발부 장관 | 레지널드 프렌티스 | 1976 |
물가 및 소비자 보호 담당 국무장관 | 셜리 윌리엄스 | 1976 |
로이 해터슬리 | 1976–1979 | |
통상담당 국무장관 무역위원회 위원장 | 에드먼드 델 | 1976–1978 |
존 스미스 | 1978–1979 | |
미 교통부 장관 | 빌 로저스 | 1976–1979 |
스코틀랜드 국무장관 | 브루스 밀란 | 1976–1979 |
웨일스 국무장관 | 존 모리스 | 1976–1979 |
북아일랜드 국무장관 | 멀린 리스 | 1976 |
로이 메이슨 | 1976–1979 | |
랭커스터 공국의 수상 | 해럴드 레버 | 1976–1979 |
재무장관 | 조엘 바넷 | 1977–1979 |
농림수산식품부 장관 | 프레드 피어트 | 1976 |
존 실킨 | 1976–1979 | |
사회보장부 장관 | 스탠리 오르메 | 1976–1979 |
지방자치기획부장관 | 존 실킨 | 1976 |
장관 전체 목록
내각의 구성원들은 대담한 얼굴을 하고 있습니다.
사무실. | 이름. | 날짜 | 메모들 |
---|---|---|---|
총리님, 재무부 제1대 군주 그리고 공무원 장관. | 해럴드 윌슨 | 1974년 3월 4일 ~ 1976년 4월 5일 | |
제임스 캘러헌 | 1976년 4월 5일 ~ 1979년 5월 4일 | ||
국무장관, 공무원부 | 로버트 셸던 | 1974년 3월 7일 | |
찰스 모리스 | 1974년 10월 18일 | ||
국회의원 비서관, 공무원부 | 존 그랜트 | 1974년 3월 7일 ~ 1974년 10월 18일 | |
수상 | 엘윈 존스 경 | 1974년 3월 5일 | |
평의회 의장 그리고 하원의 지도자. | 에드워드 쇼트 | 1974년 3월 5일 | |
마이클 풋 | 1976년 4월 8일 | ||
추밀원 국무장관실 | 제럴드 파울러 | 1974년 10월 18일 | |
크라우더헌트 경 | 1976년 1월 23일 | ||
존 스미스 | 1976년 4월 8일 | ||
버크 남작 부인 | 1979년 1월 3일 | ||
추밀원 의원실 의원 비서관 | 윌리엄 프라이스 | 1974년 10월 18일 | |
국새 경 귀족원의 지도자. | 셰퍼드 주 | 1974년 3월 7일 | |
The Lord Peart | 1976년 9월 10일 | ||
재무장관 | 데니스 힐리[54] | 1974년 3월 5일 | |
재무장관 | 조엘 바넷 | 1974년 3월 7일 | 1977년 2월 내각에서 |
재무장관 | 로버트 멜리시 | 1974년 3월 5일 | |
마이클 콕스 | 1976년 4월 8일 | ||
재무장관 | 존 길버트 | 1974년 3월 7일 | |
로버트 셸던 | 1975년 6월 17일 | ||
재무부 장관 | 로버트 셸던 | 1974년 10월 18일 | |
덴질 데이비스 | 1975년 6월 17일 | ||
재무부의 영주들 | 도널드 콜먼 | 1974년 3월 8일 ~ 1978년 7월 6일 | |
제임스 던 | 1974년 3월 8일 ~ 1976년 4월 14일 | ||
존 골딩 | 1974년 3월 8일 ~ 1974년 10월 18일 | ||
톰 펜드리 | 1974년 3월 8일 ~ 1977년 1월 18일 | ||
제임스 해밀턴 | 1974년 3월 8일 ~ 1974년 6월 28일 | ||
마이클 콕스 | 1974년 6월 28일 ~ 1976년 4월 8일 | ||
잭 도르망 | 1974년 10월 18일 ~ 1979년 5월 4일 | ||
데이비드 스토다트 | 1976년 4월 4일 ~ 1977년 11월 18일 | ||
에드워드 그레이엄 | 1976년 4월 14일 ~ 1979년 5월 4일 | ||
톰 콕스 | 1977년 1월 19일 ~ 1979년 5월 4일 | ||
피터 스네이프 | 1977년 11월 23일 ~ 1979년 5월 4일 | ||
앨버트 스탤라드 | 1978년 7월 5일 ~ 1979년 1월 17일 | ||
알프레드 베이츠 | 1979년 1월 17일 ~ 1979년 5월 4일 | ||
어시스턴트 위프스 | 마이클 콕스 | 1974년 3월 - 1974년 6월 | |
톰 콕스 | 1974년 3월 - 1977년 1월 19일 | ||
잭 도르망 | 1974년 3월 - 1974년 10월 18일 | ||
로렌스 파빗 | 1974년 3월 - 1976년 | ||
어니스트 페리 | 1974년 3월 - | ||
존 엘리스 | 1974 - 1976 | ||
베티 부스로이드 | 1974년 10월 24일 - 1975년 11월 4일 | ||
마거릿 베켓(잭슨) | 1975년 1월 - 1976년 1월 | ||
데이비드 스토다트 | 1975년 1월 27일 - 1976년 4월 4일 | ||
피터 스네이프 | 1975년 1월 1일 - 1977년 1월 1일 | ||
앨버트 스탤라드 | 1976년 - 1978년 7월 5일 | ||
알프레드 베이츠 | 1976년 - 1979년 1월 17일 | ||
프랭크 화이트 | 1976년 4월 14일 - 1978년 10월 31일 | ||
제임스 틴 | 1976년 6월 16일 - 1979년 5월 4일 | ||
미 국무부 외교·영연방 담당 장관 | 제임스 캘러헌 | 1974년 3월 5일 | |
앤서니 크로스랜드 | 1976년 4월 8일 | ||
데이비드 오웬 | 1977년 2월 21일 | ||
외무부 장관 | 데이비드 에널스 | 1974년 3월 7일 ~ 1976년 4월 8일 | |
로이 해터슬리 | 1974년 3월 7일 ~ 1976년 9월 10일 | ||
고론위로버츠 주 | 1975년 12월 4일 ~ 1979년 5월 4일 | ||
테드 로울런즈 | 1976년 4월 14일 ~ 1979년 5월 4일 | ||
데이비드 오웬 | 1976년 9월 10일 ~ 1977년 2월 21일 | ||
프랭크 저드 | 1977년 2월 21일 ~ 1979년 5월 4일 | ||
미 국무부 외교 및 영연방 담당 차관보 | 조안 레스토르 | 1974년 3월 8일 ~ 1975년 6월 12일 | |
고론위로버츠 주 | 1974년 3월 8일 ~ 1975년 12월 4일 | ||
테드 로울런즈 | 1975년 6월 12일 ~ 1976년 4월 14일 | ||
존 톰린슨 | 1976년 3월 17일 ~ 1979년 5월 4일 | 또한 해외 개발 | |
에반 루아드 | 1976년 4월 14일 ~ 1979년 5월 4일 | ||
해외개발부 장관 | 주디스 하트 | 1974년 4월 7일 | 1975년 6월 10일 외무 및 영연방에 예속됨 |
해외개발부 장관 | 레지널드 프렌티스 | 1975년 6월 10일 | |
프랭크 저드 | 1976년 12월 21일 | ||
주디스 하트 | 1977년 2월 21일 | ||
해외개발부 정무비서관 | 윌리엄 프라이스 | 1974년 3월 11일 | |
존 그랜트 | 1974년 10월 18일 | ||
프랭크 저드 | 1976년 4월 14일 | ||
존 톰린슨 | 1977년 1월 3일 | ||
내무부 장관 | 로이 젠킨스 | 1974년 3월 5일 | |
멀린 리스 | 1976년 9월 10일 | ||
내무부 장관 | 해리스 경 | 1974년 3월 8일 ~ 1979년 1월 3일 | |
알렉스 리옹 | 1974년 3월 8일 ~ 1976년 4월 14일 | ||
브린모어 존 | 1976년 4월 14일 ~ 1979년 5월 4일 | ||
보스톤 주 | 1979년 1월 3일 ~ 1979년 5월 4일 | ||
내무부 차관 | 셜리 서머스킬 | 1974년 3월 8일 | |
농림수산식품부 장관 | 프레드 피어트 | 1974년 3월 5일 | |
존 실킨 | 1976년 9월 10일 | ||
농림수산식품부 장관 | 노먼 뷰찬 | 1974년 3월 8일 | |
에드워드 스탠리 비숍 | 1974년 10월 18일 | ||
국회 농림수산식품부 장관 | 롤랑 모일 | 1974년 3월 11일 | |
에드워드 스탠리 비숍 | 1974년 6월 28일 | ||
개빈 스트랭 | 1974년 10월 18일 | ||
국방장관 | 로이 메이슨 | 1974년 3월 4일 | |
프레더릭 멀리 | 1976년 9월 10일 | ||
국방부 장관 | 윌리엄 로저스 | 1974년 3월 4일 | |
존 길버트 | 1976년 9월 10일 | ||
해군차관보 | 프랭크 저드 | 1974년 3월 8일 | |
패트릭 더피 | 1976년 4월 14일 | ||
미 공군 차관보 | 브린모어 존 | 1974년 3월 8일 | |
제임스 웰러브드 | 1976년 4월 14일 | ||
육군차관보 | 데스몬드 브레이리 | 1974년 3월 4일 | |
로버트 브라운 | 1974년 10월 18일 | ||
교육과학부 장관 | 레지널드 프렌티스 | 1974년 3월 5일 | |
프레더릭 멀리 | 1975년 6월 10일 | ||
셜리 윌리엄스 | 1976년 9월 10일 | ||
대한민국 교육과학부 장관 | 제럴드 파울러 | 1974년 3월 8일 | |
노먼 크라우터 헌트 | 1974년 10월 18일 | ||
제럴드 파울러 | 1976년 1월 23일 | ||
고든 오크스 | 1976년 9월 10일 | ||
미국 국무부 교육과학부 차관보 | 어니스트 암스트롱 | 1974년 3월 7일 | |
조안 레스토르 | 1975년 6월 12일 | ||
마거릿 잭슨 | 1976년 3월 12일 | ||
고용부 장관 | 마이클 풋 | 1974년 3월 5일 | |
앨버트 부스 | 1976년 4월 8일 | ||
고용부 장관 | 앨버트 부스 | 1976년 3월 8일 | |
해럴드 워커 | 1976년 4월 14일 | ||
국무부 차관보, 고용 | 존 프레이저 | 1974년 3월 8일 ~ 1976년 4월 14일 | |
해럴드 워커 | 1974년 3월 8일 ~ 1976년 4월 14일 | ||
존 골딩 | 1976년 4월 14일 ~ 1979년 5월 4일 | ||
존 그랜트 | 1976년 4월 14일 ~ 1979년 5월 4일 | ||
에너지부 장관 | 에릭 발리 | 1974년 3월 5일 | |
토니 벤 | 1975년 5월 10일 | ||
에너지부 장관 | 토마스 발로그 | 1974년 3월 7일 | |
존 스미스 | 1975년 12월 4일 | ||
딕슨 마본 | 1976년 4월 14일 | ||
에너지부 차관보 | 개빈 스트랭 | 1974년 3월 7일 ~ 1974년 10월 18일 | |
알렉스 이디 | 1974년 3월 7일 ~ 1979년 5월 4일 | ||
존 스미스 | 1974년 10월 18일 ~ 1975년 12월 4일 | ||
로벨-데이비스 주 | 1975년 12월 4일 ~ 1976년 4월 14일 | ||
고든 오크스 | 1976년 4월 14일 ~ 1976년 9월 10일 | ||
잭 커닝햄 | 1976년 9월 10일 ~ 1979년 5월 4일 | ||
환경부 장관 | 앤서니 크로스랜드 | 1974년 3월 5일 | |
피터 쇼어 | 1976년 4월 8일 | ||
도시부 장관 | 찰스 모리스 | 1974년 3월 7일 ~ 1974년 10월 18일 | |
국무장관 (스포츠, 레크리에이션, 수자원) | 데니스 하웰 | 1974년 3월 7일 ~ 1979년 5월 4일 | |
환경부 차관보 | 제럴드 카우프만 | 1974년 3월 8일 ~ 1975년 6월 12일 | |
닐 카마이클 | 1974년 3월 8일 ~ 1975년 12월 4일 | ||
고든 오크스 | 1974년 3월 8일 ~ 1976년 4월 14일 | ||
알마 버크 | 1974년 10월 18일 ~ 1979년 1월 3일 | ||
어니스트 암스트롱 | 1975년 6월 12일 ~ 1979년 5월 4일 | ||
가이 바넷 | 1975년 12월 5일 ~ 1979년 5월 4일 | ||
케네스 마크스 | 1976년 4월 14일 ~ 1979년 5월 4일 | ||
필리스 스테드먼 | 1979년 1월 3일 ~ 1979년 5월 4일 | ||
기획지방자치부장관 | 존 실킨 | 1974년 3월 7일 | 1974년 10월 18일부터 내각에서. 1976년 9월 10일 폐지 |
교통부장관 | 프레드 멀리 | 1974년 3월 7일 | |
존 길버트 | 1975년 6월 12일 | 1976년 9월 10일부터 부처 및 내각대신 분리 | |
주택건설부 장관 | 레그 프리슨 | 1974년 3월 7일 | |
사회복지부 장관 | 바바라 성 | 1974년 3월 5일 | |
데이비드 에널스 | 1976년 4월 8일 | ||
국가보건사회보장부 장관 | 브라이언 오말리 | 1974년 3월 8일 ~ 1976년 4월 6일 | |
데이비드 오웬 | 1974년 7월 26일 ~ 1976년 9월 10일 | ||
스탠 오르메 | 1976년 4월 8일 ~ 1979년 5월 4일 | 1976년 9월 10일부터 사회보장부 장관으로 내각에 진출. | |
롤랑 모일 | 1976년 9월 10일 ~ 1979년 5월 4일 | ||
미국 국무부 보건사회보장부 차관보 | 데이비드 오웬 | 1974년 3월 8일 ~ 1974년 7월 26일 | |
로버트 브라운 | 1974년 3월 8일 ~ 1974년 10월 18일 | ||
알렉 존스 | 1974년 10월 18일 ~ 1975년 6월 12일 | ||
마이클 미허 | 1975년 6월 12일 ~ 1976년 4월 14일 | ||
에릭 디킨스 | 1976년 4월 14일 ~ 1979년 5월 4일 | ||
웰즈-페스텔 경 | 1979년 1월 3일 ~ 1979년 5월 4일 | ||
장애인산업부 차관보 | 알프 모리스 | 1974년 3월 11일 ~ 1979년 5월 4일 | |
산업부 장관 | 토니 벤 | 1974년 3월 5일 | 1974년 3월 7일 ~ 29일 우정통신부 장관 |
에릭 발리 | 1975년 6월 10일 | ||
산업부 장관 | 에릭 헤퍼 | 1974년 3월 7일 ~ 1975년 4월 9일 | |
베스윅 주 | 1974년 3월 11일 ~ 1975년 12월 4일 | ||
제럴드 카우프만 | 1975년 12월 4일 ~ 1976년 4월 14일 | ||
앨런 윌리엄스 | 1976년 4월 14일 ~ 1979년 5월 4일 | ||
산업부 차관보 | 그레고르 매켄지 | 1974년 3월 7일 ~ 1975년 6월 10일 | |
마이클 미허 | 1974년 3월 7일 ~ 1975년 6월 12일 | ||
제럴드 카우프만 | 1975년 6월 12일 ~ 1975년 12월 4일 | ||
멜쳇 주님 | 1975년 12월 4일 ~ 1976년 9월 10일 | ||
닐 카마이클 | 1975년 12월 4일 ~ 1976년 4월 14일 | ||
레 허크필드 | 1976년 4월 4일 ~ 1979년 5월 4일 | ||
밥 크라이어 | 1976년 9월 10일 ~ 1978년 11월 20일 | ||
랭커스터 공국의 수상 | 해럴드 레버 | 1974년 3월 5일 | |
북아일랜드 국무장관 | 멀린 리스 | 1974년 3월 5일 | |
로이 메이슨 | 1976년 9월 10일 | ||
북아일랜드 국무장관 | 스탠 오르메 | 1974년 3월 7일 ~ 1976년 4월 8일 | |
롤랑 모일 | 1974년 6월 27일 ~ 1976년 9월 10일 | ||
돈 콘캐논 | 1976년 4월 14일 ~ 1979년 5월 4일 | ||
멜쳇 주님 | 1976년 9월 10일 ~ 1979년 5월 4일 | ||
북아일랜드 국무차관 | 킹스브리지의 도날드슨 경 | 1974년 3월 4일 ~ 1976년 4월 5일 | |
돈 콘캐논 | 1974년 6월 27일 ~ 1976년 4월 5일 | ||
제임스 던 | 1976년 4월 5일 ~ 1979년 5월 4일 | ||
레이먼드 카터 | 1976년 4월 5일 ~ 1979년 5월 4일 | ||
톰 펜드리 | 1978년 11월 11일 ~ 1979년 5월 4일 | ||
페이마스터 제너럴 | 에드먼드 델 | 1974년 3월 7일 | |
셜리 윌리엄스 | 1976년 4월 5일 | ||
물가 및 소비자 보호 담당 국무장관 | 셜리 윌리엄스 | 1974년 3월 4일 | |
로이 해터슬리 | 1976년 9월 10일 | ||
국가물가소비자보호부장관 | 앨런 윌리엄스 | 1974년 3월 4일 | |
존 프레이저 | 1976년 4월 5일 | ||
미 국무부 물가소비자보호차관보 | 로버트 매클레넌 | 1974년 3월 4일 | |
스코틀랜드 국무장관 | 윌리엄 로스 | 1974년 3월 4일 | |
브루스 밀란 | 1976년 4월 5일 | ||
스코틀랜드 국무장관 | 브루스 밀란 | 1974년 3월 4일 ~ 1976년 4월 5일 | |
주 휴즈 | 1974년 3월 4일 ~ 1975년 8월 8일 | ||
키르힐 주님 | 1975년 8월 8일 ~ 1978년 12월 15일 | ||
그레고르 매켄지 | 1976년 4월 5일 ~ 1979년 5월 4일 | ||
스코틀랜드 국무부 차관 | 로버트 휴즈 | 1974년 3월 4일 ~ 1975년 7월 22일 | |
휴 브라운 | 1974년 6월 27일 ~ 1979년 5월 4일 | ||
해리 유잉 | 1974년 10월 18일 ~ 1979년 5월 4일 | ||
프랭크 맥엘론 | 1975년 7월 22일 ~ 1979년 5월 4일 | ||
통상담당 국무장관 | 피터 쇼어 | 1974년 3월 4일 | |
에드먼드 델 | 1976년 4월 5일 | ||
존 스미스 | 1978년 11월 11일 | ||
미 국무부 통상차관보 | 에릭 디킨스 | 1974년 3월 4일 ~ 1976년 4월 5일 | |
클린턴 데이비스 | 1974년 3월 4일 ~ 1979년 5월 4일 | ||
마이클 미허 | 1976년 4월 5일 ~ 1979년 5월 4일 | ||
미 교통부 장관 | 윌리엄 로저스 | 1976년 9월 10일 | |
미국 국무부 교통부 차관 | 존 호람 | 1976년 9월 10일 | |
웨일스 국무장관 | 존 모리스 | 1974년 3월 4일 | |
웨일스 국무부 차관보 | 테드 로울런즈 | 1974년 3월 4일 ~ 1975년 6월 12일 | |
배리 존스 | 1974년 3월 4일 ~ 1979년 5월 4일 | ||
알렉 존스 | 1975년 6월 12일 ~ 1979년 5월 4일 | ||
법무장관 | 새뮤얼 실킨 | 1974년 3월 4일 | |
법무관 | 피터 아처 | 1974년 3월 4일 | |
국회 법률사무관 비서관 | 아서 데이비슨 | 1974년 3월 4일 | |
변호사님 | 로널드 킹 머레이 | 1974년 3월 4일 | |
스코틀랜드 법무장관 | 존 맥클러스키 | 1974년 3월 4일 | |
출납원 | 월터 해리슨 | 1974년 3월 4일 | |
가정의 컴퓨터 관리자 | 조셉 하퍼 | 1974년 3월 4일 | |
제임스 해밀턴 | 1978년 7월 6일 | ||
하원 부의장 | 돈 콘캐논 | 1974년 3월 4일 | |
제임스 해밀턴 | 1974년 6월 27일 | ||
도널드 콜먼 | 1978년 7월 6일 | ||
육군 대장 | 르웰린-데이비스 남작 부인 | 1974년 3월 4일 | |
근위부 여음대장 | 스트라볼기 주 | 1974년 3월 4일 | |
대기중인 영주들 | 자크 신 | 1974년 3월 4일 ~ 1977년 1월 19일, 1979년 1월 11일 ~ 1979년 5월 4일 | |
가른스워시 주 | 1974년 3월 4일 ~ 1974년 9월 4일 | ||
버크 남작 부인 | 1974년 3월 4일 ~ 1974년 10월 18일 | ||
웰즈-페스텔 경 | 1974년 3월 4일 ~ 1979년 1월 11일 | ||
더 로드 윈터바텀 | 1974년 10월 18일 ~ 1978년 10월 27일 | ||
로벨-데이비스 주 | 1974년 10월 18일 ~ 1975년 12월 4일 | ||
멜쳇 주님 | 1974년 10월 18일 ~ 1975년 12월 4일 | ||
스테드먼 남작 부인 | 1975년 12월 4일 ~ 1979년 1월 11일 | ||
주 오람 | 1976년 1월 23일 ~ 1978년 3월 23일 | ||
월리스 오브 코스라니 | 1977년 1월 19일 ~ 1979년 5월 4일 | ||
주 레너드 | 1978년 10월 27일 ~ 1979년 5월 4일 | ||
롬시의 데이비드 남작 부인 | 1978년 10월 27일 ~ 1979년 5월 4일 |
참고문헌
- 메모들
- 원천
- ^ Kenneth O. Morgan (2001). Britain Since 1945: The People's Peace. OUP Oxford. p. 437. ISBN 9780191587993.
- ^ 이자벨라 마레스의 조세, 임금협상과 실업
- ^ a b c 신노동, 구노동: 1974-79년 앤서니 셀던과 케빈 힉슨이 편집한 윌슨과 캘러헌 정부
- ^ 노동당이 집권했다고요? 노동당 정부에 관한 연구, 1974-1979, David Coates
- ^ 던컨 태너, 팻 테인, 닉 티라수의 노동 1세기
- ^ 영국의 빈곤과 빈곤 퇴치 정책 개발: 유럽 공동체 위원회, Richard Bertoud, Joan C.에 대한 보고서. Brown and Steven Cooper, 유럽공동체정책연구소 위원
- ^ a b 노동과 불평등: 권력에서의 노동에 관한 파비안 연구, 1974-79, 닉 보산케와 피터 타운센드 지음
- ^ a b c 노동당의 장기근속자 1900~1998, 해리 하머
- ^ Brivati, Brian; Bale, Tim (1997). New Labour in Power: Precedents and Prospects – Google Books. Routledge. ISBN 9780415179737. Retrieved 10 April 2014.
- ^ 사회동향 9, 1979년판, 정부통계청 간행물, P.220
- ^ 사회동향 9, 1979년판, 정부통계청 간행물, P.221
- ^ 사회동향 1977 P.130
- ^ 사회동향 9, 1979년판, 정부통계청 간행물, 222페이지
- ^ 사회동향 제7호, 1976, 정부통계청 간행물, P.224
- ^ 스코틀랜드 회계학 교수진의 거래 38권, 1982, P.82
- ^ 사회동향 9, 1979년판, 정부통계청 간행물, P.224
- ^ 사회동향 제7호, 1976, 정부통계청 간행물, P.227
- ^ 사회동향 제7호, 1976, 정부통계청 간행물, P.228
- ^ Sataloff, Robert Thayer; Sataloff, Joseph (24 April 2006). Occupational Hearing Loss, Third Edition. CRC Press. ISBN 9781420015478.
- ^ Commiss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75). Report on the Development of the Social Situation in the Community in 1974: Addendum to the 'Eighth General Report on the Activities of the European Communities' in accordance with Article 122 of the EEC Treaty (PDF). Brussels / Luxembourg.
{{cite book}}
: CS1 maint: 위치 누락 게시자(링크) - ^ Commiss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76). Report on the Development of the Social Situation in the Communities in 1975: Published in conjunction with the 'Ninth General Report on the Activities of the European Communities' in accordance with Article 122 of the EEC Treaty (PDF). Brussels / Luxembourg.
{{cite book}}
: CS1 maint: 위치 누락 게시자(링크) - ^ Sweeting, Paul (1 September 2011). Financial Enterprise Risk Management – Paul Sweeting – Google Books.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1139501743. Retrieved 6 August 2014.
- ^ Blake, David (1 January 2003). Pension Schemes and Pension Funds in the United Kingdom.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243532.
- ^ "Supplementary Benefits Act 1976". Legislation.gov.uk. Retrieved 29 December 2014.
- ^ 로버트 페이지와 리처드 실번이 편집한 20세기 영국 사회복지
- ^ 수상: 버나드 도너휴의 해롤드 윌슨과 제임스 캘러헌의 정책수행에 관한 연구
- ^ Card, David; Blundell, Richard; Freeman, Richard B. (1 December 2007). Seeking a Premier Econom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SBN 9780226092904. Retrieved 29 December 2014.
- ^ James, Simon (11 March 2002). British Government: A Reader in Policy Making. Routledge. ISBN 9781134829828.
- ^ "Benefits". Parliamentary Debates (Hansard). 13 June 1978. Retrieved 20 September 2016.
- ^ 부가급여위원회 연례보고서 1978년 P.35
- ^ Braun, Ms Anne Romanis (15 September 1986). Wage Determination and Incomes Policy in Open Economies. International Monetary Fund. p. 221. ISBN 9781455257836.
united%20kingdom%201978%20rise%20income%20limit%20school%20meals%20Wage%20Determination%20and%20Incomes%20Policy%20in%20Open%20Economies%20(EPub).
- ^ "BBC NEWS UK UK Politics The Basics past_elections 1974 Oct: Wilson makes it four". news.bbc.co.uk. 5 April 2005. Retrieved 20 September 2016.
- ^ "Times-Union – Google News Archive Search". news.google.com. Retrieved 20 September 2016.
- ^ a b "Report on the Development of the Social Situation in the Communities in 1977" (PDF). Aei.pitt.edu. Retrieved 29 December 2014.
- ^ "Report on Social Developments Year 1979" (PDF). Aei.pitt.edu. Retrieved 29 December 2014.
- ^ 최종 기간: Harold Wilson에 의한 노동당 정부 1974-1976, P.245
- ^ 최종 기간: 노동당 정부 1974-1976 해럴드 윌슨, P.245-246
- ^ 최종 기간: Harold Wilson, P.246에 의한 노동당 정부 1974-1976
- ^ 최종 기간: Harold Wilson, P.247에 의한 노동당 정부 1974-1976
- ^ 최종 기간: Harold Wilson, P.248에 의한 노동당 정부 1974-1976
- ^ 최종 기간: Harold Wilson, P.249에 의한 노동당 정부 1974-1976
- ^ 최종 기간: Harold Wilson, P.250에 의한 노동당 정부 1974-1976
- ^ Health and Safety at Work and Its Relevance to Employment Relations Research. Emerald Group Publishing. 1 January 2006. ISBN 9781845449902.
- ^ "Report on the Development of the Social Situation in the European Community I in 1978" (PDF). Aei.pitt.edu. Retrieved 29 December 2014.
- ^ Flora, Peter (1986). Growth to Limits. Walter de Gruyter. ISBN 9783110111330. Retrieved 29 December 2014.
- ^ Barrett, Richard (11 March 2003). Teacher Support Pack Edexcel. Nelson Thornes. ISBN 9780748757466.
- ^ "The history of credit unions". Abcul.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December 2014. Retrieved 29 December 2014.
- ^ Price, Martin (2009). Social enterprise. Fflan. ISBN 9781905979011. Retrieved 29 December 2014.
- ^ 데이비드 버틀러와 데니스 캐버나, 1979년 영국 총선(1980)
- ^ David Loades, Ed., 독자들의 영국사 안내서 (2003) 1:213-15
- ^ 알란 스케드와 크리스 쿡, 전후 영국: 정치사 (1993년 4회), 324쪽.
- ^ Alan Bailey, 모든 '나쁜 옛날'은 아닙니다. 노동당의 1970년대 산업 전략을 다시 보기, https://www.ippr.org/juncture/not-all-the-bad-old-days-revisiting-labours-1970s-industrial-strategy
- ^ Edmund * Dell, The Chancellers: 재무장관의 역사, 1945–90 (), 페이지 304–72.
더보기
- 보산케, 닉 그리고 피터 타운센드, 에드. 노동과 평등: 권력에서의 노동에 관한 파비안 연구, 1974-79(Heinemann, 1980), 312pp.
- 버틀러, D. 그리고 G. 버틀러. 20세기 영국의 정치적 사실 1900-2000.
- 얘들아, 데이빗. 1945년 이후의 영국: 정치사 (2012년 7회), 190-212쪽.
- 콘로이, 해리. 제임스 캘러헌(Haus, 2006).
- 델, 에드먼드. 수상들: 재무장관들의 역사, 1945-90 (HarperCollins, 1997), pp. 400-48.
- 도너휴, 버나드. 수상: 해롤드 윌슨과 제임스 캘러헌의 통치하에서의 정책 수행, 1974-79 (조나단 케이프, 1987).
- 도리, 피터. "남아야 할까요, 가야 할까요?" 제임스 캘러헌은 1978년 가을 총선을 부르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영국 정치 (2016) 11#1 pp. 95–118. 초록
- 하몬, 마크 D. 영국 노동당 정부와 1976년 IMF 위기(St. Martin's Press, 1997).
- 안녕, 콜린. "죽음의 연대기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습니다. 영국 케인즈주의의 위기에 대한 불만과 건설의 겨울." 의회사무 (2010) 63#3 pp. 446–470
- 안녕, 콜린. "불만의 겨울, 30년 후" The Political Quartery 80.4 (2009): 545–552.
- 헤이터, 다이앤. 맞서 싸워요! 1970년대와 1980년대 노동당의 전통적 권리(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05).
- 헤펠, 티모시. 노동당 대표 선출: 윌슨에서 브라운으로 노동당 대표 선거(IB Tauris, 2010).
- 힉슨, 케빈, 앤서니 셀던, 에드. 신노동, 구노동: 윌슨과 캘러헌 정부 1974-1979 (Routledge, 2004).
- 홈즈, 마틴. 노동당 정부, 1974-79: 정치적 목표와 경제적 현실 (Macmillan, 1985).
- 혼, 제프. 바닥을 넘는 것: 레지 프렌티스와 영국 사회민주주의의 위기 (맨체스터 대학교 출판부, 2013)
- 존스, 튜더. 노동당 개조: 게이트스켈에서 블레어로 (루트리지, 2005).
- 커, 휴. "노동의 사회정책 1974–79." 비판적 사회정책 (1981) 1#1 pp. 5–17.
- 메러디스, 스티븐 오래된 노동과 새로운 노동: 영국 노동당의 1970-79년 의회 권리와 새로운 노동의 뿌리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 모건, 케네스 오 브리튼 1945년 이후: 인민평화론 (제2판 2001), 358-433쪽.
- Morgan, Kenneth O. Calaghan: A Life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 핌로트, 벤. 표준 전기인 해럴드 윌슨 (1992).
- 프라이즈, 수. "제임스 캘러헌 1976–9: 관리인." 수 프라이즈, 프리미어십 대통령직 수행 (팔그레이브 맥밀런, 1997), 147–162쪽.
- 로저스, 윌리엄 "정부는 스트레스를 받고 있습니다. 1979년 영국의 불만의 겨울" 정치 계간지 (1984) 55#2쪽 171–179
- 로저스, 크리스. "사회적 계약에서 '사회적 콘트릭'에 이르기까지: Harold Wilson 치하의 경제정책결정의 탈정치화, 1974–751" 영국정치국제관계학회지 (2009) 11#4 pp. 634–651. 온라인
- 로젠, 그레그 노동전기사전(Politico's Publishing, 2001).
- 로젠, 그레그 구 노동에서 신 노동으로 (Politico's Publishing, 2005).
- 셰퍼드, 존 위기? 무슨 위기?: 캘러헌 정부와 불만의 영국 겨울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13).
- 스케드, 앨런, 크리스 쿡. 전후 영국: 정치사 (1993년 4회), pp. 292–312
- 토마스, 제임스. "'역사에 얽매여': 1979~2004년 영국 정치의 불만의 겨울" 미디어, 문화 및 사회 29#2 (2007): 263–283.
- 터너, 알윈. 위기? 어떤 위기? 1970년대 영국 (2013), 페이지 93–204.
- 윌슨, 해럴드. 최종 임기: 노동당 정부 1974-1976 (Weidenfeld & Nicolson / Michael Joseph Ltd, 1979).
- "British Cabinet and Government Membership".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January 2009. Retrieved 20 November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