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비스포라루시타니아과

Clavispora lusitaniae
클라비스포라루시타니아과
과학적 분류 Edit this classification
도메인: 진핵생물
킹덤: 곰팡이
구분: 아스코미코타
클래스: 사카로미케테스
순서: 사카로미케테스목
가족: 메츠니코위아과
속: 클라비스포라속
종:
루시타니아속
이항명
클라비스포라루시타니아과
로드 미르.
동의어

뤼시타니아과 우덴 & 카르모 소자

필라멘트 유도 매체 상의 C. lusitaniae의 주사 전자 현미경(SEM) 이미지37°C에서 7일 동안 V8(pH = 7) 배지에서 배양된 세포를 SEM을 위해 처리하고 이미지화했습니다(재료 및 방법 참조).상부 패널(1000x) 및 하부 패널(5000x) 영상의 눈금 막대는 각각 10 µm 및 2 µm을 나타냅니다.WT (ATCC42720), cnb1 변이체 (YC198), crz1 변이체 (YC187)

클라비스포라 루시타니아에(Clavispora lusitaniae)는 이전에 아나몰프(anamorph)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던, 칸디다 또는 클라비스포라 속의 효모 종입니다.종명은 텔레오모프(teleomorph) 이름입니다.[1]

Clavispora lusitaniae는 1979년에 인간 병원체로 처음 확인되었습니다.[2]

Clavispora lusitaniae는 1979년에서 1990년 사이에 30건 미만의 사례가 보고되면서 처음에는 균혈증의 희귀한 원인으로 묘사되었습니다.하지만, 지난 20년 동안 이 유기체로 인해 칸디혈증이 발생한 것으로 알려진 사례의 수는 눈에 띄게 증가했습니다.[timeframe?]골수 이식과 고용량 세포환원 화학요법은 모두 이 유기체에 감염될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습니다.[3]이 환자들은 종종 오랜 기간 동안 중성지방을 가지고 있어서 칸디다 감염을 포함한 세균과 곰팡이 감염에 취약합니다.일부 연구자들은 암포테리신 B 경험적 항진균 요법의 광범위한 사용이 칸디다루시타니아에 감염을 선택한다는 이론을 세웠습니다.[4]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lavispora lusitaniae라는 단형 이름을 이 생물종에 사용하는 것은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경고했는데, 이는 이 생물이 칸디다의 한 종임에도 불구하고 칸디다라는 단어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입니다.[1]

참고문헌

  1. ^ a b "Beware of alternate names for Candida species" (PDF). U.S. CDC. July 9, 2021. Retrieved October 1, 2023.
  2. ^ Pappagianis D, Collins MS, Hector R, Remington J (1979). "Development of resistance to amphotericin B in Candida lusitaniae infecting a human". Antimicrob. Agents Chemother. 16 (2): 123–6. doi:10.1128/aac.16.2.123. PMC 352808. PMID 290351.
  3. ^ Wingard JR (1995). "Importance of Candida species other than C. albicans as pathogens in oncology patients". Clin. Infect. Dis. 20 (1): 115–25. doi:10.1093/clinids/20.1.115. PMID 7727637.
  4. ^ Krcmery V, Barnes AJ (2002). "Non-albicans Candida spp. causing fungaemia: pathogenicity and antifungal resistance". J. Hosp. Infect. 50 (4): 243–60. doi:10.1053/jhin.2001.1151. PMID 120148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