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주교 장례식
Catholic funeral가톨릭 장례식은 가톨릭 교회의 정해진 의식에 따라 치러진다.이러한 장례식은 가톨릭 교회법에서 "교회 장례식"으로 언급되며 1983년 교회법의 [1]1176~1185년 교회법과 [2]동방 교회법의 874~879년 교회법에 따라 처리된다.가톨릭 장례식에서 교회는 "고인에 대한 정신적 지원을 보고, 그들의 몸을 기리며,[3] 동시에 살아있는 사람들에게 희망의 위안을 가져다 준다"고 말한다.제2차 바티칸 평의회는 전례에 관한 헌법에서 다음과 같이 명령했다: "사망자의 매장 의식은 기독교 죽음이라는 파스칼적 성격을 더 명확하게 표현해야 하며,[4] 다양한 지역에서 발견되는 상황과 전통에 더 가깝게 대응해야 한다."
교회법
일반적으로 가톨릭 신자들은 사망 [5]시 가톨릭 장례를 치르게 되어 있다.카테추멘은 장례 [6][7]문제에 관해 가톨릭 신자로 간주되며, 지역 평민들은 세례를 받으려는 부모를 둔 세례를 받지 않은 아이들에게 가톨릭 [8][9]장례를 치르도록 허용할 수 있다.현지 평의회는 또한 세례를 받은 사람이 가톨릭 장례를 치르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단, 그들이 분명히 [10][11]반대하지 않는 한, 그들 자신의 목사를 구할 수 없다.
다만, 세례를 받은 가톨릭 신자라도 죽기 전에 뉘우치는 기색을 보이지 않는 한 장례식은 거부된다.
- 배교, 이단 또는 분열을 저지른 것으로 공공연히 알려진 자
- 반기독교적 동기로 화장할 것을 요청한 자
- 명백한 죄인들, 만약 그들에게 교회 장례식을 허락하는 것이 가톨릭 [12][13]신자들에게 추문을 일으킬 수 있다면.
라틴 교회는 또한 장례식이 거행되어야[14] 하는 교회에 대한 몇 가지 지침과 [15]장례식을 치르기 위해 신부에게 지불해야 하는 비용에 대한 제한을 가지고 있다.
장례 의식
이 섹션은 확인을 위해 추가 인용문이 필요합니다.(2016년 6월 (이 및 ) |
![]() |
다음에 이어지는 것은 라틴 교회의 로마 의례에서의 관습에 관한 것이다.동방 가톨릭 교회 내의 관습은 기본적으로 비슷하지만, 다른 전통을 고려하며 다른 전례 규범을 따릅니다.다른 라틴 전례 의식과 관련해서도 몇 가지 변형이 있다.
트렌트 공의회의 여파로, 라틴 교회의 거의 모든 곳에서 로마 브레비아리와 로마 미사일이 부과되었다.하지만 1614년 로마 의례가 발표되었을 때, 의무적인 사용은 아니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역 의례서들은 일반적으로 그것의 영향을 받았고,[16] 종종 그들의 지역의 관습과 본문을 유지하였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이전 로마누스의 장례식과 기독교 [17]장례식에 관한 장례식을 포함한 로마 의례 의례의 개정이 뒤따랐다.
교황 바오로 6세와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개정된 로마 미사전은 그 이후 "성체 예배의 일반 형식인 포마 오르다리아"이며, 이전 판인 1962년의 로마 미사전은 "예식 행사의 포마이나리아로 사용될 수 있다"[18]고 되어 있다.2007년,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신자 또는 성직자가 그것을 요청하는 경우,[19] 목사는 장례식과 같은 특별한 상황에서도 이 특별한 형태의 축하 행사를 허용해야 한다"고 밝혔다.
장례식은 언제 치러질지 모르지만, 이러한 행사의 특별 장례 미사는 "의무의 날, 성주간 목요일, 파스칼 트리듀, 대림절, 사순절, 부활절의 일요일인 장례"에 기념해서는 안 된다.교황 베네딕토 16세는 이례적으로 2009년 라퀼라 지진 희생자들의 장례미사를 국무장관 타르시오 베르토네가 성금요일 미사가 전혀 없는 날에 거행하는 것을 허락했다.
교회로의 수송
미국을 위한 장례식은 집에서 교회로, 교회에서 공동묘지로 가는 장례 행렬이 "이 나라에서 보통 행해지지 않는다"는 것을 인정한다.따라서 이러한 의식의 찬송가는 미사 [20]의식에 포함될 수 있다.
그러한 행렬이 일어나는 곳에서는 한 가지 전통이 다음에 반영된다.교구 사제와 다른 성직자들은 십자가와 성수를 가지고 고인의 집에 간다.관을 집에서 옮기기 전에 성수를 뿌린다.신부는 그의 조수들과 함께 시황시 '데 프로문디스'가 죄를 짓는다고 말한다.그리고 행렬은 교회를 향해 출발한다.십자가를 긋는 사람이 먼저 가고, 그 다음에 불이 켜진 촛불을 들고 다니는 성직자들이 그 뒤를 잇는다.신부는 관 바로 앞에서 걷고, 고인의 친구 등은 관 바로 뒤에서 걷는다.
그들이 집을 떠날 때, 신부는 반대편인 Exsultabunt Domino를 발음하고, 그리고 나서 칸토르와 성직자들에 의해 번갈아 가며 찬송가 미세레르가 낭송되거나 구호를 받는다.교회에 도착하자마자 반대파 Exsultabunt가 반복된다.시체가 "교회 한가운데" 놓여질 때, 응답하는 부제나이트가 낭송된다.
역사적 전례에 따르면 시체가 평신도라면 발이 제단 쪽으로 향하도록 되어 있다.만약 시체가 사제라면, 위치가 뒤바뀌어 머리가 제단 쪽으로 향하게 된다.이것에 대한 가장 이른 언급은 요한 부르샤르의 "일기"에 있다.버차드는 교황 인노첸시오 8세와 교황 알렉산데르 6세의 사회자였다.죽음에 처한 주교(또는 사제)가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가르치고 축복한 그의 백성들을 마주하며, 살아 있을 때와 같은 지위를 차지해야 한다는 생각인 것 같다.
현재 로마 의례에서 의무로 여겨지지 않는 또 다른 전통에 따르면, 제단 앞과 무덤에 있는 모든 기독교인들의 발은 동양으로 향해야 한다.이 관습은 12세기 [21]초에 힐데베르 주교에 의해 암시되었고, 그 상징성은 기욤 듀란드에 의해 논의되었다."사람은 매장되어야 한다"고 그는 말한다. "머리는 서양으로 향하지만 발은 동양으로 향한다.."[22]
교회에서
그 다음은 기도, 장례 미사, 그리고 고인의 면죄의 순환이다.관 주변에는 촛불이 켜져 있고, 이 단계를 통해 촛불이 타도록 허용된다.
기도하는 곳은 죽음의 집무실입니다.초기 형태에서는 기도하는 동안 특정 누락이 발생합니다.예를 들어, 각각의 찬송가는 글로리아 파트리 대신 레퀴엠 애터남으로 끝난다.
레퀴엠 미사와 일반 미사의 차이는 위에 나와 있다.
장례 미사
장례 미사는 죽은 자를 위한 미사 또는 레퀴엠 미사 형태인데, 로마 의식의 초기 형태에서 유일하게 허용된 것의 첫 단어 때문에 불려졌다: 레퀴엠 에테르남 도나 아이스, 도민; et lux perpétua luceat 아이스.1970년에 개정된 Roman Missal은 또한 대안적인 소개서를 제공한다.
시신을 안은 상여는 교회의 성역 근처에 중앙에 위치해 있다.죽은 평신도의 발은 제단 쪽으로 향하지만, 성직자의 발은 [23]제단으로부터 떨어져 있어 살아 있을 때의 상대적인 위치를 떠올리게 하고 미사를 집전합니다.
장례 미사는 보통 시신이 담긴 관에 성수를 뿌리고 격분하는 죽은 사람의 표창 의식(예전에는 사면이라 불림)으로 끝난다.보통 교회에서 행해지지만, 묘지에서 행해질 수도 있다.만약 표창이 교회에 있다면,[24] 공동묘지에서는 더 짧은 예배가 사용됩니다.
미국, 영국, 웨일즈에서는 바티칸 2세 이후의 양식은 로마 미사 [27]총서 원본의 라틴어 텍스트에만 있는 보라색 및 (관례적인) 검정색 외에 [25][26]흰색 조끼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트랙과 가스펠 사이에서 낭송되거나 불려지는 디에이라 수열은 트라이던트 형태의 레퀴엠 미사 중 필수적인 부분이다.그것의 첫 단어인 Dies irae (분노의 날)가 나타내듯이, 이 시적 구성은 무서운 용어로 심판의 날을 말하고 나서 예수에게 자비를 구한다.
이러한 차이점 중 일부는 이 미사를 오늘의 미사에 대한 보충물로 취급함으로써 생겨났을 수 있다.다른 경우에는, 레퀴엠 미사가 더 원시적인 시대의 전통을 보존합니다.초기 기독교 시대에는 특히 동양에서 알레루이아는 장례식에 특히 적합하다고 여겨졌고, 부활에 대한 기독교의 희망과 기독교 기념식의 파스칼적 성격을 강조하는 바티칸 2세에 이어 다시 부활한 의식의 선택사항으로 돌아왔다.성당의 [28]관에서 촛불을 끄다.
최종 표창 및 작별 인사
미사에 따르는 예배는 관에 성수를 뿌리고 양쪽에 절개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부분은 일반적으로 사면이라 불리고 트라이덴트에서는 더 길고, 그것들을 부를 수 있는 성가대가 없을 때 축하하는 성직자에 의해 라틴어로 읽힌다: 리베라 미, 관을 기리는 도미네, 그리고 시체가 교회에서 옮겨지는 동안 인 파라다움.
그레이브사이드
보통 교회에서 최종 표창을 한 후 시신을 무덤으로 옮깁니다.이전에 축복을 받지 않았다면 무덤이나 묘지는 축복받을 것이다.이미 봉헌된 묘지에서 새로 파낸 무덤은 축복받은 것으로 여겨져 더 이상의 봉헌이 필요하지 않습니다.그러나 땅 위에 세워진 묘소나 심지어 지하에 있는 벽돌방은 처음 사용했을 때 축복이 필요한 것으로 여겨집니다.이 축복은 짧고 오직 한 번의 기도로만 이루어지며, 그 후 몸은 다시 성수를 뿌리고 격분한다.
성묘 의식은 보통 애도하는 사람들의 희망을 북돋아주는 기도로 끝난다: "슬픔에 빠진 당신의 사람들에게 동정심을 보여라.우리를 이 슬픔의 어둠에서 벗어나 당신 앞에 [29]있는 평화와 빛으로 인도해 주십시오.
장례 기부금
많은 가톨릭 가정들은 죽은 가족을 기리기 위해 신부에게 기부를 한다.기부는 보통 돈이지만, 경우에 따라 가족들은 사제나 그의 사역을 위해 물건을 필요로 하는 선교사 신부를 위해 장식품, 성찬용품, 즉 성찬용기, 시보리움, 그리고 핀스를 기부할 수 있다.미국에서는 많은 장례식장들이 신부님에 대한 급여를 장례식 청구서에 추가한 후 신부님에게 넘깁니다.
레퀴엠 미사
바티칸 2세 이후 레퀴엠 미사는 주로 장례식을 위해, 또는 화장을 하거나 시신이 없을 경우 고인을 위한 기념 미사로서 행해져 왔다.죽은 친척을 추모하기 위해 나중에 레퀴엠 미사를 지내는 관습은 기증자의 의사에 대한 급여와 함께 보통 일간 미사로 대체된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메모들
- ^ "Code of Canon Law - IntraText". www.vatican.va. Retrieved 2019-04-17.
- ^ "Codex Canonum Ecclesiarum orientalium, die XVIII Octobris anno MCMXC - Ioannes Paulus PP. II Ioannes Paulus II". w2.vatican.va. Retrieved 2019-04-17.
- ^ "Code of Canon Law - IntraText". www.vatican.va. Retrieved 2019-04-17.
- ^ "Sacrosanctum concilium, 81". www.vatican.va. Retrieved 2019-04-17.
- ^ "Code of Canon Law: text - IntraText CT". www.intratext.com. Retrieved 2019-04-17.
- ^ "Code of Canon Law: text - IntraText CT". www.intratext.com. Retrieved 2019-04-17.
- ^ "Codex Canonum Ecclesiarum orientalium, die XVIII Octobris anno MCMXC - Ioannes Paulus PP. II Ioannes Paulus II". w2.vatican.va. Retrieved 2019-04-17.
- ^ "Code of Canon Law: text - IntraText CT". www.intratext.com. Retrieved 2019-04-17.
- ^ "Codex Canonum Ecclesiarum orientalium, die XVIII Octobris anno MCMXC - Ioannes Paulus PP. II Ioannes Paulus II". w2.vatican.va. Retrieved 2019-04-17.
- ^ "Code of Canon Law: text - IntraText CT". www.intratext.com. Retrieved 2019-04-17.
- ^ "Codex Canonum Ecclesiarum orientalium, die XVIII Octobris anno MCMXC - Ioannes Paulus PP. II Ioannes Paulus II". w2.vatican.va. Retrieved 2019-04-17.
- ^ "Code of Canon Law: text - IntraText CT". www.intratext.com. Retrieved 2019-04-17.
- ^ "Codex Canonum Ecclesiarum orientalium, die XVIII Octobris anno MCMXC - Ioannes Paulus PP. II Ioannes Paulus II". w2.vatican.va. Retrieved 2019-04-17.
- ^ "Code of Canon Law: text - IntraText CT". www.intratext.com. Retrieved 2019-04-17.
- ^ "Code of Canon Law - 1264". www.vatican.va. Retrieved 2019-04-17.
- ^ : Adrian Fortescue, 가톨릭 백과사전의 "Ritual" (뉴욕 1912년)
- ^ H. 리처드 러더포드, 기독교인의 죽음: 기독교 장례식 기사단 (2017년)
- ^ 베네딕토 16세가 주교에게 보낸 서한(Sumorum Pontificum) 출판 기념 서한 서한
- ^ Motu propyo Sumorum Pontificum, 제5조, 제3항
- ^ Rite of Funerals. New York: Catholic Book Publishing Co. 1971. p. 44.
- ^ Sermones, Tours의 Hildebert (P.L., CLXXI, 896)
- ^ 기욤 듀랑, 디비노럼 오피시리움, VII, 35
- ^ Juergens, Sylvester P. (1960). The New Marian Missal For Daily Mass. Regina Press, New York. pp. 1376, 1387–1388.
- ^ Rite of Funerals. New York: Catholic Book Publishing Co. 1971. pp. 55, 62, 72.
- ^ 미국에서의 사용을 위한 GIRM(General Instruction of the Roman Missal)의 일반 지침, 346e
- ^ GIRM, 잉글랜드 및 웨일즈 적응 포함, 346
- ^ 인사티튜티오 제너럴리스 미살리스 로마니 2002, 346 d-e
- ^ Rite of Funerals. New York: Catholic Book Publishing Co. 1971. pp. 7, 37, 38, 40.
- ^ Rite of Funerals. New York: Catholic Book Publishing Co. 1971. p.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