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 차트

Star chart
네덜란드의 지도제작자 프레데릭위트의 천체지도, 1670년

별자리표별자리표, 하늘자리표라고도 하며 밤하늘의 지도는 밤하늘의 지도는 밤하늘의 지도로도 불린다.천문학자들은 이것들을 좀더 쉽게 사용하기 위해 격자로 나눈다.별자리, 성운, 은하와 같은 별자리천문학적인 물체를 식별하고 위치를 파악하는 데 사용된다.그것들은 태곳적부터 인간의 항해에 이용되어 왔다.항성 차트는 천문학적 카탈로그와 다르며, 이는 특정 목적을 위한 천문학적 물체의 목록 또는 표라는 점에 유의하십시오.스타 차트를 이용하는 도구로는 아스트롤라베평면도 등이 있다.

역사

선사시대

발견된 다양한 고고학적 유적과 유물들은 고대 만들어진 별표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별 도표는 1979년 독일에서 발견된, 유럽으로 이주한 아시아 초기 사람들이 그린 상아 매머드 투스크일 것이다.이 유물은 32,500년 된 것으로 확인되지는 않았으며 임신도가 될 수도 있지만 오리온자리와 닮은 조각이 있다.[1]

뮌헨 대학의 독일 연구원 마이클 라펜글루크 박사는 프랑스의 라스코 동굴 벽에 그림을 그리는 것이 플레이아데스 성단의 열린 별을 그래픽으로 표현한 것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이것은 33,000년에서 10,000년 전의 일이다.그는 또한 충전 들소를 묘사한 같은 동굴의 판넬을 제안했는데, 새의 머리와 나무토막 위에 새의 머리를 가진 사람이 함께 나무토막 위에 있는 여름 삼각지를 묘사한 것일 수도 있다. 그 당시 이 판넬은 극지방의 형성이었다.[2]라펜글루크는 엘 카스티요(스페인 북부) 동굴에서 라스코 차트와 같은 시기에 만들어진 북관자리의 그림도 발견했다.[3]

21,000여 년 전에 만들어진 또 다른 별 차트 패널이 La Téte du Lion 동굴 (fr)에서 발견되었다.이 패널의 소는 바로 위 플레이아데스 성단을 나타내는 패턴을 가진 황소자리 표식을 나타낼 수 있다.[4]

5000년 전 카슈미르 인디아스가 그린 별 도표는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초신성을 묘사하기도 한다.[5][6]

네브라 스카이 디스크는 기원전 1600년에 만들어진 30cm 폭의 청동 원반으로 일반적으로 태양이나 보름달, 달 초승달, 플레이아데스 성단을 포함한 여러 별들과 아마도 은하수로 해석되는 금색 기호를 가지고 있다.

고대

가장 오래 된 정확하게 날짜가 표시된 별표는 기원전 1534년 고대 이집트 천문학에 나타났다.[7]가장 일찍 알려진 목록들은 기원전 2천년 말에 고대 바빌로니아 천문학자 메소포타미아에 의해 Kassite 시대 (기원전 1531년–1155년)에 의해 편집되었다.[8]중국 천문학의 가장 오래된 기록은 중국 전쟁기(기원전 476–221년)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서한 역사학자 사마천이 기원전 2세기 시지(西地)[9]에서 가장 일찍 보존한 천문학자 시 과 간데( star catalog)의 별 목록들이 발견된다.중국의 밤하늘을 그래픽으로 표현한 가장 오래된 것은 기원전 5세기 쩡 후작의 무덤에서 나온 칠기상자인데, 이 묘사는 이름별로 중국 별자리들의 위치를 보여주고 개별 별을 보여주지는 않는다.[10]

파르네즈 아틀라스헬레니즘 시대그리스 동상을 모방한 2세기 로마 카피본으로, 천체를 어깨에 메고 있는 타이탄 아틀라스를 묘사하고 있다.고대 그리스 별자리를 묘사한 것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좌표 위치를 제공하는 격자 원이 포함되어 있다.경과 때문에 별자리들의 위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변한다.41개의 별자리의 위치를 격자 원과 비교함으로써 원래의 관찰이 수행되었을 때의 시대상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이 정보에 기초하여 별자리들은 기원전 125 ± 55에 분류되었다.이 증거는 기원전 2세기 그리스 천문학자 히파르쿠스의 별 목록표가 사용되었음을 나타낸다.[11]

밤하늘을 그래픽으로 표현한 로마 시대의 예로는 기원전 50년부터 시작된 프톨레마이오스 이집트 덴데라 띠가 있다.이것은 덴데라 사원 단지의 천장에 있는 기초 구조 조각이다.그것은 12궁도를 그래픽으로 표현한 평면도시다.그러나 개별 별은 플롯되지 않는다.[12]

중세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원고별 도표는 당나라(618~907)의 연대가 된 둔황성 도표로, 실크로드를 따라 중국 서부간쑤 둔황모가오 동굴에서 발견되었다.이것은 길이 210cm, 폭 24.4cm의 두루마리로 12개의 판넬에 40° 남쪽에서 40° 북쪽에서 하늘을 나타내고, 13번째 판넬로 북반구 하늘을 보여준다.총 1,345개의 별이 그려져 있으며, 257개의 별자리로 분류된다.이 차트의 날짜는 불확실하지만 AD 705-10으로 추정된다.[13][14][15]

중국 천문학자 수송(1020–1101) 천구의 남극 투영 별 차트.

송나라(960~1279년) 동안 중국의 천문학자 수송은 1464개의 별을 그린 지도 5개를 수록한 신익샹파야오(무관시계의 새로운 디자인)라는 책을 썼다.이것은 1092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1193년 천문학자 황상(黃 shang)은 해설문과 함께 평면도를 준비했다.1247년에 돌로 새겼으며, 이 도표는 여전히 쑤저우 원 먀오 신전에 존재한다.[14]

무슬림 천문학에서 정확하게 그려진 첫 번째 별 도표는 페르시아 천문학자 압드라만 알 수피(Abd al-Rahman al-Sufi)가 964년 저서 '고정별의 책'에서 제작한 삽화일 가능성이 가장 높았다.이 책은 프톨레마이오스가 2세기 알마게스트 별 목록 7.5부와 8월 1부를 업데이트한 것이다.알 수피 작품에는 별자리에 대한 삽화가 담겨 있으며, 밝은 별을 점으로 표현하였다.원본은 살아남지 못했지만, 1009년경부터 사본은 옥스퍼드 대학에 보존되어 있다.[13][14]

아마도 가장 오래된 유럽의 스타지도는 드 콤포시치오네 슈프레 솔라이드라는 제목의 양피지 필사본이었을 것이다.1440년 오스트리아 에서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가장 높았으며, 북반구의 별자리와 황반구의 별자리를 묘사한 2부 지도로 구성되었다.이는 독일 뉘른베르크에서 알브레히트 뒤러(Albrecht Dürer)가 제작한 1515 세트의 목판화 초상화 중 가장 오래된 유럽 인쇄 별표 차트의 원형 역할을 했을 것이다.[16]

초기 모던

헤벨리우스 – Firmatum Sobescianum sive 천왕성문자 1690

유럽 디스커버리 시대에는 남반구로의 탐험이 새로운 별자리를 추가하는 결과를 낳기 시작했다.1595년 네덜란드 동인도네시아로 함께 여행한 피터 더크순 키저프레데릭후트만이라는 두 네덜란드 선원의 기록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그들의 편찬은 조도쿠스 혼디우스의 1601 지구본을 만들었고, 조도쿠스는 12개의 새로운 남쪽 별자리를 추가했다.1603년 요한 바이엘우라노메트리아를 포함한 몇 개의 다른 지도들이 제작되었다.[17]후자는 두 개의 천체 반구를 도표로 만든 최초의 지도책이었고 그리스 알파벳을 사용하여 가장 밝은 별을 식별하기 위해 바이엘 지정법을 도입했다.우라노메트리아에는 프톨레마이오스 별자리 지도 48개와 남방 별자리 판, 북반구와 남반구 전체를 입체 극 투영으로 보여주는 판 2개가 들어 있었다.[18]

요하네스 헤벨리우스는 1690년에 그의 Fragmatum Sobescianum 별 지도책을 완성했다.그것은 56개의 큰 더블 페이지 별 지도를 포함하고 있었고, 남쪽 별들의 위치에서의 정확도를 향상시켰다.그는 11개의 별자리(Scutum, Lacerta, Canes Venatici 등)를 추가로 소개했다.

모던

1824년 시드니 홀천왕성의 거울이라고 불리는 별자리 차트를 제작했다.그것들은 알렉산더 자미슨의 '천체 아틀라스'를 바탕으로 한 삽화들이지만, 여기에 주먹으로 구멍을 뚫은 것을 추가하면 별자리의 별을 묘사하는 것을 볼 수 있도록 빛까지 붙일 수 있었다.

참고 항목

참조

  1. ^ Whitehouse, David (January 21, 2003). "'Oldest star chart' found". BBC. Retrieved 2009-09-29.
  2. ^ Lucentini, Jack. "Dr. Michael A. Rappenglueck sees maps of the night sky, and images of shamanistic ritual teeming with cosmological meaning". space. Retrieved 2009-09-29.
  3. ^ "BBC News - SCI/TECH - Ice Age star map discovered". news.bbc.co.uk. Retrieved 13 April 2018.
  4. ^ Sparavigna, Amelia (October 2008). "The Pleiades: the celestial herd of ancient timekeepers". arXiv:0810.1592v1 [physics.hist-ph].
  5. ^ http://www.tifr.res.in/~archaeo/paper/Prehistorical%20astronomy/Oldest%20Supernova%20 record%20in%20Kashmir.pdf
  6. ^ "SoundCloud - Hear the world's sounds".
  7. ^ von Spaeth, Ove (2000). "Dating the Oldest Egyptian Star Map". Centaurus. 42 (3): 159–179. Bibcode:2000Cent...42..159V. doi:10.1034/j.1600-0498.2000.420301.x. Retrieved 2007-10-21.
  8. ^ North, John (1995). The Norton History of Astronomy and Cosmology. New York and London: W.W. Norton & Company. pp. 30–31. ISBN 0-393-03656-1.
  9. ^ Sun, X.; Kistemaker, J. (1997). The Chinese Sky During the Han: Constellating Stars and Society. Koninklijke Brill. pp. 21–22. ISBN 90-04-10737-1.
  10. ^ Sun, X.; Kistemaker, J. (1997). The Chinese Sky During the Han: Constellating Stars and Society. Koninklijke Brill. pp. 18–19. ISBN 90-04-10737-1.
  11. ^ Schaefer, Bradley E. (May 2005). "The epoch of the constellations on the Farnese Atlas and their origin in Hipparchus's lost catalogue". Journal for the History of Astronomy. 36/2 (123): 167–196. Bibcode:2005JHA....36..167S. doi:10.1177/002182860503600202. S2CID 15431718.
  12. ^ Evans, James (August 1999). "The Material Culture of Greek Astronomy". Journal for the History of Astronomy. 30 (3): 237–307, 289–290. Bibcode:1999JHA....30..237E. doi:10.1177/002182869903000305. S2CID 120800329.
  13. ^ a b Whitfield, Susan; Sims-Williams, Ursula (2004). The Silk Road: trade, travel, war and faith. Serindia Publications, Inc. pp. 81–86. ISBN 1-932476-13-X.
  14. ^ a b c Bonnet-Bidaud; Jean-Marc; Praderie, Françoise; Whitfield, Susan (March 2009). "The Dunhuang Chinese sky: A comprehensive study of the oldest known star atlas". Journal of Astronomical History and Heritage. 12 (1): 39–59. arXiv:0906.3034. Bibcode:2009JAHH...12...39B.
  15. ^ Bonnet-Bidaud, Jean-Marc (2009-06-27). "The Oldest Extand Star Chart". Institut de recherche sur les lois fondamentales de l'Univers. Retrieved 2009-09-30.
  16. ^ Harley, John Brian; Woodward, David (1987). The History of cartography. Vol. 2 (2nd ed.). Oxford University Press US. pp. 60–61. ISBN 0-226-31635-1.
  17. ^ Hearnshaw, J. B. (1996). The measurement of starlight: two centuries of astronomical photomet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9–10. ISBN 0-521-40393-6.
  18. ^ Swerdlow, N. M. (August 1986). "A Star Catalogue Used by Johannes Bayer". Journal for the History of Astronomy. 17 (50): 189–197. Bibcode:1986JHA....17..189S. doi:10.1177/002182868601700304. S2CID 118829690.

외부 링크

별 차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