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피스

Lapiths

라피스(고대 그리스어: λαπαια)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전설의 인물 집단으로, 테살리아, 페네우스[1] 계곡, 펠리온 에 살고 있었다.

신화

기원.

라피스족은 미르미돈족과 마찬가지로 테살리아 원주민인 아이올리안 부족이었다.족보에 따르면 그들은 센타우르족과 동족이다.일설에 따르면 라피테스켄타우루스(καπ (υ ( ()는 아폴로 과 페네우스의 딸 님프 스틸베의 쌍둥이 아들이라고 한다.라피테스는 용감한 전사였지만, 켄타우루스는 후에 반인반마 센타우루스의 종족인 암말과 짝짓기를 하는 기형적인 존재였다.라피테스는 라피스 사람들의 [2][3]익명의 조상이었고, 그의 후손에는 익시온, 피리투스, 카이네우스, 코로나스와 같은 라피스 전사들과 왕들, 그리고 선견자 암피커스의 아들 몹수스가 있다.

일리아드에서 라피스는 40척의 승조원 배를 보내 그리스 함대와 함께 트로이 전쟁에 참가하게 하고, 폴리포에테스(피리토스의 아들)와 레온테우스(카에네오스의 아들)가 지휘한다.트로이 전쟁 이전 세대의 라피토스의 왕인 피리토스의 어머니는 에이오네우스 또는 데이오네오스의 딸 디아였다; 익시온은 피리토스의 아버지였지만, 많은 영웅 인물들처럼, 피리토스는 불멸의 아버지이자 인간의 아버지를 [a]가지고 있었다.제우스는 그의 불멸의 아버지였지만, 신은 반말의 사촌들처럼, [5]라피스 가족은 말로 유명한 테살리아의 초원의 기수였다.라피스 가문은 그 굴레를 발명한 공로를 인정받았다.라피스 왕 피리투스는 "말의 사육사"라는 뜻의 기마부인 히포다메이아와 결혼하여 전쟁을 유명하게 만들었다.

센타우로마치

서기 150년 고대 로마 석관에 있는 센타우로마치 부조, 오스티엔세 [6]미술관.
피에로 디 코시모의 켄타우루스와 라피스의 전투(전방에 수컷 켄타우루스가 있는 암컷 켄타우루스를 주목).

센타우로마치에서는 피리투스의 결혼 잔치에서 라피스가 센타우르스와 싸운다.켄타우르 부부는 초대받았으나, 포도주에 익숙하지 않아 그들의 거친 성질이 표면화되었다.신부가 손님들을 맞이하기 위해 소개되었을 때, 켄타우루스 에우리션은 벌떡 일어나 신부를 납치하려고 시도했다.다른 모든 센타우르들은 순식간에 일어나서 여자와 소년들을 뒤섞었다.이어진 전투에서 테세우스는 라피스를 도우러 왔다.그들은 에우리션의 귀와 코를 자르고 그를 내쫓았다.전투 후 패배한 켄타우르족은 테살리아에서 북서쪽으로 쫓겨났다.

라피스 카이네우스는 원래 카이니스라는 이름의 젊은 여성이었고 포세이돈의 총애를 받았고, 포세이돈은 그녀의 요청에 따라 그녀를 남자로 바꿔 카이네우스를 불굴의 전사로 만들었다.남자들과 구별이 안 되는 그런 전사의 여자들스키타이 기병들에게도 익숙했다.켄타우루스와의 전투에서 카이네우스는 켄타우르스가 바위와 나무 줄기로 그를 짓밟을 때까지 무적임이 증명되었다.그는 다치지 않고 땅속으로 사라졌고 모래머리 새처럼 풀려났다.

이후 대회에서 켄타우르스는 쉽게 패배하지 않았다.신화적 언급은 말레아에 있는 원시 라피스와 엘리스에 있는 포로의 요새에 켄타우르스에 의해 그곳에 몰린 집단의 잔재로서 존재했던 것을 설명했습니다.몇몇 역사적인 그리스 도시들은 라피스와 관련된 이름을 가지고 있었고, 코린트의 크셀리데스는 케네우스로부터의 후손이라고 주장했고, 아티카의 필라이데스는 라피스 코로누스의 조상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라피스 목록

라피스
이름 원천 센타우로마치 메모들
헤시오도 난형 다른이들 참가자 에 의해 살해자
배우. [7] 켄타우르 클라니스
암펙스
카이네우스 켄타우르스에 의해 생매장되거나 자살한 케니스라는 여성이었다.
브로치 켄타우루스 그리네우스
청자 켄타우루스 아미쿠스
카락소스 로에투스
혜성 그의 친구 카락수스는 우연히
코리투스 로에투스
크랜토르 센타우르 드몰레온
시멜루스 네서스
드리아스 아레스 또는 이아페토스의[8] 아들
에우아그루스 로에투스
엑사디우스
헤레수스 라트레우스
호플루스
마카레우스
몹수스 [9] 암피쿠스의 아들이자 선견자
오리우스 켄타우루스 그리네우스 마이칼레의 아들
펠라테스 (마케도니아의) 펠라에서 온 라피스족
페리파스 [10]
팔레레우스
포르바 [11][12][13] 트리오파스 또는 라피토스의 아들, 아폴로의 아들
폴리페무스 아일라투스의 [14]아들.
피리투스
프롤로쿠스
텍타퍼스 페이컴즈 올레누스의 아들
기타 동맹
네스토르
펠레우스
테세우스

인 아트

그리스 신화가 철학을 통해 더 중재되면서, 라피스와 켄타우로스 사이의 싸움은 문명화된 행동과 야생적인 행동 사이의 내부 투쟁의 양상을 띠게 되었고, 물로 조절하고 과도하게 마시지 말아야 하는 신이 주신 와인의 올바른 사용에 대한 라피스의 이해를 구체화시켰다.페이디아스 학파의 그리스 조각가들은 라피스와 켄타우르스의 전투를 인류와 장난꾸러기 괴물 사이의 싸움으로 생각했고, 문명화된 그리스인과 "바바리안" 사이의 큰 갈등을 상징했다.라피스와 켄타우로스 사이의 전투는 아테네 테세우스마그네테스 지도자인 피리토스와 맺은 상호 동경 조약과 올림피아에 있는[15] 제우스의 신전에서의 라피스와 켄타우로스 사이의 싸움은 꽃병 화가들에게 친숙한 주제였다.

프랑스 시인 호세 마리아 데 헤레디아 (1842–1905)의 전투를 생생하게 떠올리게 하는 소넷이 그의 책 Les Tropées[b]포함되었다.르네상스 시대에 이 전투는 예술가들이 가장 좋아하는 주제가 되었다.폭력적 대치 상황에서 빽빽한 시신을 보여주기 위한 핑계입니다.젊은 미켈란젤로는 [17]1492년경에 피렌체에서 그 주제의 대리석 바닥 부조를 했다.현재 런던의 내셔널 갤러리에 있는 [18]피에로 디 코시모의 패널 센타우르스와 라피스는 다음 10년 동안 그려졌다.만약 그것이 원래 결혼상자 혹은 카손의 일부였다면, 그것은 아마도 축제 기념으로 불편한 주제였을 것이다.15세기 초 토스카나코르토나에서 발견된 로마 석관에서 영감을 받아 루카 시뇨렐리그린 켄타우로마치와의 프리즈도 성녀와 함께 엔트로니드 (1491년)에서 그려졌다.

각주

  1. ^ 이런 과잉생산에 대해서는 테세우스헤라클레스의 시링을 비교해 보세요.델파이의 창시자인 것으로 추정되는 파르나소스의 말에 따르면, 파우사니아스는 "다른 영웅들처럼, 그에게 두 명의 아버지가 있었다; 그들은 한 명은 포세이돈 신이고, 한 명은 인간의 아버지인 [4]클레오폼푸스라고 말한다."
  2. ^ La foule nuptiale au fest'rué, Centaures et gueriers ivres, hardis et beaux, u reflet des flambaux, Se méle au poil files de la Nuée.리레스, 격동...으악!L'Epouse polluée Que presse unnewar poitrail, sou la pourpre en lambeau Se débat, et lairain sonne au choc des sabots et la table s'craves la hué.Alors selui pour qui le + 그랜드 에스트넌, 세레브.수르 아들 크란, 언 무플레 레오닌 세 프롱세, 에리세 드 크랭스도르.쎄스트 에르큘et d'un bout de la salle great l l'a l'a l'a l'a l'e l'e l'e l'e la coler bout, Le tuppaau molstueux en relant recule.[16]

레퍼런스

  1. ^ Diodorus Siculus. Bibliotheca historica. iv.69.2. Lapithes made his home about the Peneius river
  2. ^ 호머, 일리아드 12.128
  3. ^ Diodorus Siculus. Bibliotheca historica. iv. 69; v. 61.
  4. ^ Pausanias. Description of Greece. x.6.1.
  5. ^ Diodorus Siculus. Bibliotheca historica. iv.70.
  6. ^ Troso, Cristina (July–September 2007). "La Centauromachia del sarcofago della necropoli di Pianabella-Ostia: Considerazioni sulla iconografia". Latomus. 66 (3): 645–658. JSTOR 41544612.
  7. ^ Gaius Valerius Flaccus. Argonautica. 1.146.
  8. ^ Hyginus. Fabulae. 45 & 173.
  9. ^ Strabo. Geographica. 9.5.22.
  10. ^ Diodorus Siculus. Bibliotheca historica. 4.69.2-3.
  11. ^ Diodorus Siculus. Bibliotheca historica. 4.69.3.
  12. ^ Ovid. Metamorphoses. 12.322.
  13. ^ Pausanias. Description of Greece. 5.1.11.
  14. ^ 에 아르고나우트로 등재되어 있다.
  15. ^ Pausanias. Description of Greece. v.10.8.
  16. ^ de Heredia, José María. "Centaures et lapithes". Les Trophées. Poésie Français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03-15.
  17. ^ Michelangelo. The Battle of the Lapiths and Centaurs. Art Renewal Center (picture of a bas-relief sculpture). Retrieved 1 December 2012.{{cite AV media}}: CS1 maint :url-status (링크)
  18. ^ di Cosimo, Piero. Battle of the Lapiths and Centaurs. National Gallery, London (image of painting). NG489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05-07. Retrieved 2012-12-17.

원천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