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코너

Children's Corner
어린이 코너
클로드 드뷔시피아노 음악
DebussyGolliwogg.PNG
마지막 악장 골리보그의 케이크워크에서 발췌
카탈로그L로113번길
구성됨1906–1908
헌신클로드에마 드뷔시
수행했다1908년 12월 18일 (1908-12-18)
출판된1908
동작여섯

113번 L. Children's CornerClaude Debusy의 6인용 피아노 스위트룸이다. 1908년 듀란드에 의해 출판되었고, 그해 12월 18일 파리에서 해롤드 바우어가 처음 공연하였다. 1911년 안드레 카플레의한 오케스트레이션이 초연되어 이후 출판되었다.

역사

드뷔시는 1906년에서 1908년 사이에 어린이 코너를 작곡했다. 그는 1905년 10월 30일 파리에서 태어난 딸 클로드-에마(일명 "초우-초우")[1]에게 스위트룸을 바쳤다. 그녀는 생동감 있고 친근한 아이로 묘사되어 그녀의 아버지의 사랑을 받았다. 그가 1908년에 스위트룸을 그녀에게 바쳤을 때 그녀는 세 살이었다.[2] 헌신은 다음과 같다: "A ma chére petite Chouchou, avec les tendres does de son Pere pére pour suivre. C. D." (내 사랑하는 작은 츄우치에게, 뒤에 오는 일에 대해 아버지의 부드러운 사과를 받으며)[3]

이 스위트룸은 1908년 듀란드에 의해 출판되었고, 그해 12월 18일 해롤드 바우어로부터 파리에서 세계 초연을 받았다.[1] 1911년 드뷔시의 친구 안드레 카플렛의 작품 조율이 초연을 받았고, 이후 출간되었다.

구조

스위트룸은 각각 영어 제목이 붙어 있는 6악장으로 되어 있다. 이 언어의 선택은 아마도 Debussy가 Chou-Chou의 영어 가정교사를 향해 고개를 끄덕이는 것일 것이다.[1]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3]

  1. 닥터 그라두스 애드 파르나숨
  2. 짐보의 자장가
  3. 인형을 위한 세레나데
  4. 눈이 춤을 추다
  5. 리틀 셰퍼드
  6. 골리웍스 케이크워크

스위트룸의 일반적인 성능은 대략 15분 정도 지속된다.

1. 닥터 그라두스 ad 파르나숨

제1악장의 제목은 그 이름의 피아노 연습 세트(Gradus ad Parnassum은 "Steps to Parnassus"로 번역됨)를 암시하고 있는데, 그 중 몇 가지는 18세기와 19세기에 출판된 바 있으며, 그 중에는 다작의 피아노 연습 출판사 칼 체르니가 한 곡도 포함되어 있다. 이 작품은 20세기 어휘로 손가락 독립에 관한 다소 기발한 연구다. 중간에 피아니스트는 속도를 늦추고 다른 키의 재료를 사용해 운동을 한다. 드뷔시의 '닥터 그래더스 애드 파르나숨'은 중간 난이도가 높아 경험 많은 손가락이 필요하다. 드뷔시는 그의 출판사에 이 운동이 "아주 이른 아침에" 연주되어야 한다고 말했다.[3]

2. 짐보의 자장가

이 작품은 드뷔시가 태어났을 무렵 프랑스 수단에서 건너와 파리의 자르딘 데스 플랜트에서 잠시 살았던 코끼리 점보를 묘사하고 있다. "짐보"를 잘못 발음하는 것은 "음"과 "un"의 발음을 "임"과 "in"으로 혼동하는 파리의 억양을 배반한다. 어두운 순간과 가운데 통음 구절이 있는 아름다운 자장가다.

3. 인형을 위한 세레나데

이 작품은 3중 미터로 알레그레토 ma nontropo라고 표기되어 있다. 도자기 인형에 대한 묘사로 중국식 펜타토닉 스케일이 전체적으로 특징이다. 드뷔시는 전체 작품이 부드러운 페달로 연주되어야 한다고 지적한다.

4. 눈이 춤을 추다

엄밀히 말하면 이 곡은 양손에 멜로디를 사이에 두고 연주해야 하기 때문에 상당히 어렵다. 이번에도 중간 부근의 베이스에는 어두운 순간이 있다.

5. 작은 셰퍼드

"어린 목자"는 그의 플루트로 목자를 묘사한다. 그 뒤를 이어 솔로가 3명, 코멘트가 3명이다. 첫 번째 솔로에는 마지막에 숨김 표시가 있다. 이 작품은 다른 모드를 가지고 있으며 톤급으로 분해되는 불협화음을 사용한다.

6.골리보그의 케이크워크


{
  #(set-global-staff-size 17)
   \new PianoStaff <<
      \new Staff <<
        \key ges \major \time 2/4
        \partial 4.
        \new Voice \relative c' {
            \once \hide Score.MetronomeMark \once \hide Score.MetronomeMark\tempo 4 = 80 r8 \voiceOne a4( \tempo "Cédez" f'4.^\markup { \dynamic p \italic "avec une grande émotion" } e8)
            \tempo "a Tempo" r8 \once \hide Score.MetronomeMark \tempo 4 = 105 \acciaccatura{\slurUp d'} \once \stemDown <ces es>8-.[ \acciaccatura{\slurUp c} \once \stemDown <ces des>-. \acciaccatura{\slurUp d} \once \stemDown <ces es>-.]
            r8 \acciaccatura{\slurUp d} \once \stemDown <ces es>8-.[ \acciaccatura{\slurUp c} \once \stemDown <ces des>-. \acciaccatura{\slurUp d} \once \stemDown <ces es>-.]
        }
        \new Voice \relative c' {
            \voiceTwo s8 a4(~ a4. bes8 <ces es!>2)
        }
     >>
     \new Staff <<
        \clef bass
        \key ges \major \time 2/4
        \partial 4.
        \new Voice \relative c, {
          << {
          \voiceOne r8 r4 r2
          r8 \stemDown <as'' ces f>-.[ <as ces f>8-. <as ces f>8-.]
       }
       \new Voice \relative c {
          \voiceTwo es,8([ f ges]
          a[ bes ces c]
          <as des>2)} >>
          r8 <as ces f>8-.[ <as ces f>8-. <as ces f>8-.]
        }
         >>
    >>
}
트리스탄과 이졸데의 개방을 인용한 네 가지 조치

그 구성 당시에는 플로렌스 케이트 업턴의 소설("골리윅"은 후기 용법이다)이 인기를 끌었기 때문에 골리윅스가 유행하고 있었다. 붉은 바지에 붉은 나비넥타이를 매고 야한 머리를 한 박제된 검은 인형들로 당시의 검은 얼굴 민스트렐을 다소 연상케 했다. 케이크 산책은 춤이나 거들먹거리는 것이었고, 가장 정교한 스텝을 가진 무용수가 케이크("케이크를 익혔다")를 땄다. 그 작품은 싱크로핑과 밴조 같은 효과가 있는 래그타임이다. 동적 범위는 상당히 크고 매우 효과적이다.

이 작품에서 드뷔시는 리차드 바그너의 오페라 트리스탄 und 이졸데를 풍자적으로 암시한다. 이 춤의 중간 'B' 부분은 사랑-죽음의 레이트모티프에 의해 여러 번 중단되고, 이 춤의 반감된 유명한 트리스탄 화음싱크로핑한 아르페지오로 바꾼다.[4] 이 춤의 중간 'B' 부분은 avec une grande émotion (대단한 느낌으로)으로 표시된다. 각각의 인용문 뒤에 밴조 모조품이 뒤따른다.

드뷔시는 1년 후 같은 스타일로 한 곡 더 작곡했는데, 피아노 연주법의 일환으로 "The Little Nigar"이다.

조정 및 배열

참조

  1. ^ a b c Hinson, Maurice, ed. (2007). Children's Corner: for the piano. Alfred Music Publishing. ISBN 978-0-73-904757-6.
  2. ^ 맥킨리 1986년, 249년
  3. ^ a b c Nichols, Roger. "Children's Corner, L. 113". Naxos Records. Retrieved 21 August 2018.
  4. ^ 마리온, G. (2007, 페이지 41) "루비콘 횡단: 27(2), 페이지 36~59의 교차점에 있는 드뷔시와 과거의 영원한 현재".
  5. ^ 2016년 4월 28일 방영된 BBC 라디오 3의 콘서트 프로그램

원천

  • McKinley, Ann (Autumn 1986). "Debussy and American Minstrelsy". The Black Perspective in Music. Foundation for Research in the Afro-American Creative Arts. 13 (3): 249–258. doi:10.2307/1215065. JSTOR 1215065.

추가 읽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