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레슈티라민

Colestyramine
콜레슈티라민
Cholestyramine resin.png
임상자료
발음/koʊˈlɛstrəmiːn/, /koʊlɪˈstaɪrəmiːn/
상명Questran, Cholybar, Olshestyr 등
AHFS/Drugs.com모노그래프
메드라인플러스a682672
임신
범주
  • AU: B2
경로:
행정
입으로
ATC 코드
법적현황
법적현황
약동학 데이터
생체이용가능성낮은
단백질 결합알 수 없는
신진대사담즙산
제거 반감기1시간
배설페칼
식별자
CAS 번호
드러그뱅크
켐스파이더
  • 없는
유니
케그
켐벨
ECHA InfoCard100.031.143 Edit this at Wikidata
화학 및 물리적 데이터
어금질량평균, 1×106 g/mol 초과
☒NcheckY (이게 뭐야?) (iii)

콜레슈티라민(INN) 또는 콜레슈티라민(USAN) (무역명 Questran, Questran Light, Cholybar, Olstityr)은 담즙위장관에 묶어 재흡수를 방지하는 담즙산 분비물이다.강력한 이온교환수지로, 염화 음이온을 위장관의 음이온 담즙산과 교환해 수지 매트릭스에 강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음이온 교환수지의 기능군은 불활성 스티렌-디비닐벤젠 복합체에 부착된 2차 암모늄군이다.

콜레슈티라민은 에 담즙산이 있는 불용성 콤플렉스를 형성하여 체내에서 담즙산을 제거하는데, 담즙산은 대변에 배설된다.[1]이러한 담즙산의 손실로 인해, 더 많은 혈장 콜레스테롤이 간에서 담즙산으로 전환되어 정상화된다.[1]이러한 콜레스테롤의 담즙산으로의 전환은 혈장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준다.[1]

의학적 용법

처음에는 콜레티라민 같은 담즙산 격리제가 고콜로세스테롤리증을 치료하는데 사용되었지만, 스타틴이 도입된 이후, 현재는 이 적응증에 대한 미미한 역할만 하고 있다.그것들은 또한기능 상실과 담즙산 제거 능력이 저하되는 다른 종류의 담석증 중에 자주 발생하는 위장관, 즉 가려움증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콜레슈티라민은 담즙산 흡수로 인한 설사를 치료하는 데 흔히 사용된다.[2]이것은 장골절제술을 받은 크론병 환자들에게 처음으로 사용되었다.[3]소장의 말단 부위는 담즙산이 재흡수되는 곳이다.이 구간을 제거하면 담즙산이 대장에 침투해 대장세포에 의한 염화물/유체분비 자극으로 설사를 일으켜 분비성 설사를 일으킨다.콜레슈티라민은 담즙산을 불용성이고 운동적으로 활동적이지 않게 만들어 물의 증가를 막는다.

콜레슈티라민은 다른 종류의 담즙산 설사를 조절하는데도 사용된다.담즙산 설사의 일차적이고 특발적인 형태는 만성 기능 설사의 일반적인 원인이며, 흔히 설사증후군-증후군(IBS-D)으로 오진되며, 이러한 환자들 중 대부분은 콜레티라민에 반응한다.[4]그것은 담낭절제술 증후군 만성설사 치료에 유익하다.[5][6]겸직라민은 또한 개복설사를 치료하는데 유용하다.[7][8]

콜레슈티라민은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리 감염의 치료, 독소 A와 B를 흡수하고 설사와 이러한 독소가 일으키는 다른 증상들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그러나 반감염제가 아니기 때문에 반코마이신과 함께 사용한다.[9]

레플루노마이드나 테리플루노마이드에 의한 심각한 부작용에 의한 약물 단종 시 약물 제거를 돕기 위해 레플루노마이드나 테리플루노마이드 복용 시 "세척" 시술에도 사용된다.[10]

한 사례보고서에 따르면 개의 시아노박테리아(마이크로시스틴) 중독에 콜레티라민이 유용할 수 있다고 한다.[11]

아쿠아포르가 혼합된 겸양 라민이 함유된 연고는 유아와 유아의 기저귀 발진 국소적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12]

또한 콜레스티라민은 GI 트랙에서 옥살산염과 결합하여 궁극적으로 소변 옥살산염과 칼슘 옥살산염 돌 형성을 감소시킨다.[13]

사용 가능한 양식

콜레슈티라민은 분말 형태, 4g 패킷 또는 더 큰 통에 사용할 수 있다.미국에서는 일반 의약품으로 구입하거나, 퀘스트란 또는 퀘스트란 라이트(Bristol-Myers Squibb)로 구입할 수 있다.

복용량

대표적인 선량은 매일 1회 또는 2회 4~8g이며, 최대 선량은 24g/d이다.

부작용

이러한 부작용은 다음과 같이 지적되었다.[14]

  • 가장 빈도: 변비
  • 플라즈마 트리글리세리드[15] 증가

이전에 대장 수술을 받은 환자들에게서 장폐쇄가 보고되었는데, 이 환자는 조심스럽게 대장폐쇄를 사용해야 한다.[16][17] 콜레스토레라민 유도 고피로민 대사산증도 거의 보고되지 않았다.[18]

갑상선기능저하증, 당뇨병, 신장증후군, 이상단백혈증, 폐쇄성 간질환, 신장질환, 알코올 중독 환자는 이 약을 복용하기 전에 의사와 상담해야 한다.[14]다른 약물은 최소한 한 시간 전이나 콜레티라민 후 4-6시간 후에 복용해야 흡수에 대한 간섭을 줄일 수 있다.페닐케톤뇨증 환자는 퀘스트란 라이트를 복용하기 전에 의사와 상의해야 한다. 그 제품에는 페닐알라닌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약물 상호작용

이러한 약물과의 상호작용에 주목하였다.[14]

대부분의 상호작용은 이러한 약물의 흡수가 감소할 위험 때문이다.[17]치료 기간은 제한되지 않지만, 처방 의사는 여전히 지속적인 치료가 필요한 경우 정기적으로 재평가해야 한다.주된 과다복용 위험은 장이나 위장의 막힘이다.

콜레슈티라민은 비타민 A, D, E, K와 같은 지용성 비타민의 흡수를 방해할 수 있다.알코올 소비와 관련된 특별한 고려사항은 없다.[14]

참고 및 참조

  • The Merck Index (12 ed.). p. 2257.
  1. ^ a b c http://livertox.nih.gov/Cholestyramine.htm, 미국 국립보건원(2016년 6월 22일 페이지 방문)
  2. ^ Wilcox C, Turner J, Green J (May 2014). "Systematic review: the management of chronic diarrhoea due to bile acid malabsorption". Aliment. Pharmacol. Ther. 39 (9): 923–39. doi:10.1111/apt.12684. PMID 24602022. S2CID 12016216.
  3. ^ Hofmann AF, Poley JR (August 1969). "Cholestyramine treatment of diarrhea associated with ileal resection". N. Engl. J. Med. 281 (8): 397–402. doi:10.1056/NEJM196908212810801. PMID 4894463.
  4. ^ Wedlake L, A'Hern R, Russell D, Thomas K, Walters JR, Andreyev HJ (October 2009). "Systematic review: the prevalence of idiopathic bile acid malabsorption as diagnosed by SeHCAT scanning in patients with diarrhoea-predominant irritable bowel syndrome". Aliment. Pharmacol. Ther. 30 (7): 707–17. doi:10.1111/j.1365-2036.2009.04081.x. PMID 19570102. S2CID 11327665.
  5. ^ Sciarretta G, Furno A, Mazzoni M, Malaguti P (December 1992). "Post-cholecystectomy diarrhea: evidence of bile acid malabsorption assessed by SeHCAT test". Am. J. Gastroenterol. 87 (12): 1852–4. PMID 1449156.
  6. ^ Danley T, St Anna L (October 2011). "Clinical inquiry. Postcholecystectomy diarrhea: what relieves it?". J Fam Pract. 60 (10): 632c–d. PMID 21977493.
  7. ^ George, J. D.; Magowan, J. (1971). "Diarrhea after total and selective vagotomy". The American Journal of Digestive Diseases. 16 (7): 635–40. doi:10.1007/BF02239223. PMID 5563217. S2CID 45276562.
  8. ^ Gorbashko, AI (1992). "The pathogenesis, diagnosis and treatment of postvagotomy diarrhea". Vestnik Khirurgii Imeni I. I. Grekova. 148 (3): 254–62. PMID 8594740.
  9. ^ Stroehlein JR (June 2004). "Treatment of 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 Curr Treat Options Gastroenterol. 7 (3): 235–239. doi:10.1007/s11938-004-0044-y. PMID 15149585. S2CID 25356792.
  10. ^ Wong SP, Chu CM, Kan CH, Tsui HS, Ng WL (December 2009). "Successful treatment of leflunomide-induced acute pneumonitis with cholestyramine wash-out therapy". J Clin Rheumatol. 15 (8): 389–92. doi:10.1097/RHU.0b013e3181c3f87e. PMID 19955995.
  11. ^ Rankin KA, Alroy KA, Kudela RM, Oates SC, Murray MJ, Miller MA (2013). "Treatment of cyanobacterial (microcystin) toxicosis using oral cholestyramine: case report of a dog from Montana". Toxins (Basel). 5 (6): 1051–63. doi:10.3390/toxins5061051. PMC 3717769. PMID 23888515.
  12. ^ White CM, Gailey RA, Lippe S (1996). "Cholestyramine ointment to treat buttocks rash and anal excoriation in an infant". Ann Pharmacother. 30 (9): 954–6. doi:10.1177/106002809603000907. PMID 8876854. S2CID 19929362.
  13. ^ "Kidney Stones – Medications". The New York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3-11-21.
  14. ^ a b c d "Questran". PDRHealth. Retrieved July 7, 2012.
  15. ^ MedlinePlus 백과사전:트리글리세라이드 레벨
  16. ^ Merten, DF; Grossman, H (1980). "Intestinal obstruction associated with cholestyramine therapy". American Journal of Roentgenology. 134 (4): 827–8. doi:10.2214/ajr.134.4.827. PMID 6767374.
  17. ^ a b Jacobson TA, Armani A, McKenney JM, Guyton JR (2007). "Safety considerations with gastrointestinally active lipid-lowering drugs". Am J Cardiol. 99 (6A): 47C–55C. doi:10.1016/j.amjcard.2006.11.022. PMID 17368279.
  18. ^ Kamar, FB; McQuillan, RF (2015). "Hyperchloremic Metabolic Acidosis due to Cholestyramine: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Case Reports in Nephrology. 2015: 309791. doi:10.1155/2015/309791. PMC 4573617. PMID 26425378.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