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틴 부틴
Christine Boutin크리스틴 부틴 | |
---|---|
![]() | |
기독민주당 총재 | |
재직중 2009년 6월 20일 – 2013년 7월 10일 | |
성공자 | 장프레데릭 푸아송 |
주택도시개발부 장관 | |
재직중 2007년 5월 18일 – 2009년 6월 23일 | |
대통령 | 니콜라 사르코지 |
수상 | 프랑수아 필론 |
선행자 | 나탈리 코시우스코모리제 |
성공자 | 장루이 볼루 |
국회의원 이블라인즈용 | |
재직중 1986년 4월 2일 – 2007년 7월 19일 | |
성공자 | 장프레데릭 푸아송 |
개인내역 | |
태어난 | 크리스틴 마틴 ) 1944년 2월 6일 프랑스 레브루 |
국적 | 프랑스어 |
정당 | 재구성(2022–현재) |
기타정치 소속. | 기민당 (2022년까지) |
배우자 | 루이 부틴 (m.1967) |
아이들. | 3 |
크리스틴 부틴(프랑스어 발음: [kʁistin butɛ, 1944년 2월 6일생]은 프랑스의 전직 정치인으로, 소규모의 프랑스 기독교 민주당을 이끌고 있다.그녀는 1986년부터 니콜라 사르코지 대통령에 의해 주택도시개발부 장관으로 임명되기 전까지 이블린을 대표하는 프랑스 국회의원을 지냈다.그녀는 1차 투표에서 1.19%를 얻은 2002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의 후보였다.[1]
부틴은 UMP 노조와 연관된 사회 보수적인 기독교-민주 정당인 기민당(파르티 크리티엔-데모크라테트)의 대표였다.그녀는 1998년 시민 노조와 그 후 동성결혼에 대해 매우 목소리를 높인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2015년 12월 18일자 판결에서 파리 교정법원은 동성애가 혐오스럽다고 말한 것에 대해 법적 손해배상을 한 부틴에게 5,000유로와 2000유로의 벌금형을 선고했다.평결이 항소되고 있다.[2]
그녀는 2017년 10월 21일 이블린스의 부서 참의원직을 사임하고 정계를 떠난다고 발표했다.[3]
전기
부틴은 인도 레브루에서 태어났다.그녀는 세 자녀를 둔 사촌 루이 부틴과 1967년에 결혼했다. (카톨릭 신자에 대한 그녀의 강한 지지와 첫 번째 사촌과 결혼하는 것의 모순은[4] 종종 캐논 법률에 의해 엄격히 금지되어 있다.)그녀는 1977년 아우파르기스 마을의 시의원으로 정계에 입문했다.1980년에 그녀는 시장으로 선출되었다.부틴은 1986년 국회의원에 선출되었다.
1993년, 부틴은 프랑스 최대의 낙태 반대 단체로 여겨지는 낙태 반대 NGO 연합의 레즈 드 라 비에(ADV)(영어:Aliance for Human Life (영어: Alliance for Human Life)[5]같은 해, 그녀는 로페즈 트루히요 추기경이 이끄는 교황청 가족 평의회의 고문이 되었다.1998년, Boutin은 PACS 국내 파트너십 계획에 반대하는 5시간 연설로 인해 다소 유명해졌다. PACS는 정부의 채택이 동성애를 조장할 것이라고 주장했다.[6]그녀는 연설하는 동안 성경책을 들고 있었는데, 그것은 나중에 그녀와 연관되게 될 이미지였다.
2002년 UDF 당원이었던 부틴은 UMP가 창립될 때 UMP에 가입했다.같은 해, 부틴이 연설한 UMP 집회에서, ACT UP Paris는 부틴 동성애 혐오를 부르는 현수막을 들고 항의했다.[7]
2006년, Boutin은 DADVSI 법에 대한 국회 열띤 토론에서 인터넷을 통해 저작권이 있는 파일을 공유하기 위한 "글로벌 라이선스" 정액제 허가를 지지했다.[8]그녀는 또한 주택 권리 확대뿐만 아니라 [9]최저 소득 보장 옹호자였다.[10]그녀는 프랑스 교도소 상황을 스캔들로 간주해 수감자의 대폭적인 감형뿐 아니라 생활 조건도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citation needed]
2006년 12월, 부틴은 2007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지 않겠다고 선언하고 보수당 후보 니콜라 사르코지에 대한 지지를 약속했다.[11]
2007년 5월 18일, 사르코지가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한 후, 부틴은 프랑수아 피용 총리 정부에서 주택부 장관과 도시부 장관으로 임명되었다.[12]그녀는 1992년 낙태 반대 병원 점거로 논란이 된 낙태 반대 운동가 크리스틴 드 셰프데비앙과 [13]신부 장마리 페티트클레르를 고문으로 삼았다.
부틴은 아프리카에서 에이즈를 예방하기 위해 콘돔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자유주의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는데, 피임약이 필요하다고 말함으로써 교황 베네딕토 16세의 이전 견해와 모순되는 것으로 보인다.그러나 그녀는 아프리카의 에이즈 환경 밖에서 피임에 대해 비판적이었다.[14]2012년 10월 크리스틴 부틴은 동성결혼이 일부다처제로 이어질 것이라고 주장하며 여전히 강하게 반대한다고 진술했다.비슷한 시기에, 그녀는 UMP로부터 80만 유로를 받은 후 니콜라 사르코지 후보를 상대로 다가오는 대선에 출마하지 않기로 결정한 사실도 밝혀졌다.[15]2013년 5월 14일자 트윗에서 그녀는 안젤리나 졸리의 암 예방 치료를 성 재지정 절차로 조롱했다.[16] 그녀의 트윗은 널리 비난받았지만, 그녀는 사과하지 않았다.
2014년 크리스틴 부틴은 2014년 유럽 선거를 위해 '포스 비에' 리스트를 내놓았고,[17] 어느 선거구에서나 선거비용 환급에 필요한 3%의 표를 확보하지 못했다.[18]
2017년 프랑스 대선 2차 투표에서 마린 르펜을 지지했다.[19]
2022년 부틴은 자신이 에릭젬무어를 후원하고 있으며 레콘콰이에 합류했다고 발표했다.[20]
9/11
2007년에 출판된 2006년 11월 인터뷰에서, 부틴은 9.11 테러의 배후에 조지 W. 부시가 있었을지도 모른다고 말했다.[21][22]부틴은 부시 행정부가 9.11 테러의 배후라고 믿느냐는 질문에 이렇게 답했다.
내 생각엔 그게 가능할 것 같아...나는 그것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특히 이 문제를 언급하는 사이트들이 방문 횟수가 가장 많은 사이트라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더더욱 그런 생각이 든다.그래서, 나는 스스로에게, 정보통신의 새로운 기술에 극도로 민감한 나 자신에게, 이 국민의 질량의 표현은 어떤 진실도 없이 있을 수 없다고 말한다.내가 그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고 말하는 것이 아니라,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문제에 대해 내 자신에 대해 약간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고 하자.[23][24]
정치적 기능
정부 기능
주택도시부 장관 : 2007~2009.
선거의 의무사항
프랑스의 국회
프랑스 Yvelines 국회의원 : 1986–2007 (2007년 재정부 장관)1986년 선출, 1988년, 1993년, 1997년, 2002년, 2007년 재선.
총회
Yvelines 총회 회장 (interim) : 2009년 5월~7월
Yvelines 총회의 부의장 : 1994-2009 (재지정)2001년, 2008년 재선
이블린스의 일반 참의원 : 1982~2009 (재위)1988년, 1994년, 2001년, 2008년 재선
시의회
람부일렛 부시장 : 1983-2001.1989년, 1995년 재선
람부일렛 시의원 : 1983-2001년.1989년, 1995년 재선
참고 항목
참조
- ^ 내무부 공식결과
- ^ "Homosexuality: Christine Boutin is condemned for incitation to hatred; is appealing". Retrieved 19 December 2015.
- ^ "Christine Boutin quitte la politique après quarante ans de défense du conservatisme catholique". Le Monde. Agence France-Presse. 21 October 2017. Retrieved 22 October 2017.
- ^ SOUTIEN A CHRISTINE BOUTIN, retrieved 20 October 2019
- ^ Venner, Fiammetta (2006). Extrême France : Les mouvements frontistes, nationaux-radicaux, royalistes, catholiques traditionalistes et provie. Grasset & Fasquelle. ISBN 2-246-66601-5.
- ^ [1][데드링크]
- ^ RFI – 프랑스: présidentielle 2002 – Du 26 janvier au 1er février.아마존닷컴(2002년 1월 26일).2012년 12월 24일 검색됨
- ^ 저작권법은 혼란 속에서 투표했다. Libération (2006년 7월 1일) (프랑스어)
- ^ 청구서는 최소한의 생활 소득을 제안한다.assemblee-nationale.fr (2003년 3월 25일)(프랑스어)
- ^ 주택권리에 관한 법률제안. assemblee-nationale.fr (2005년 9월 28일) (프랑스어)
- ^ 프랑스 2 뉴스(2006년 12월 2일)
- ^ Communiqué de la Présidge de la République concernant la concertiqué de la gouvernment de M. Francouis FULLON, 프리미어 미니스커. 2007년 5월 20일 앨리세 궁전의 웨이백 머신에 보관되었다.
- ^ L'Humanité, "CORMO-ANTIVG-LE-PROFUR COMPRODO ANTIVG: LE FURDURDERE 4 MOIS AVEC SURISSIS".humanite.fr (1992년 9월 4일 프랑스어)[dead link]
- ^ 르 프레세바티프 에스트 "네세케르"(부틴)AFP는 Lefigaro.fr을 경유한다(2009년 3월 19일).2012년 12월 24일 검색됨
- ^ 부틴: "Unlien entre le mariage homo et la polygamie" – Europe1.fr – L'인터뷰 de Bruce Toussaint.아마존닷컴(2012년 10월 4일).2012년 12월 24일 검색됨
- ^ "Le dérapage de Boutin sur l'ablation des seins d'Angelina Jolie". Le Monde. 15 May 2013.
- ^ "Boutin lance ses listes "Force vie" pour les européennes". Libération. Agence France-Presse. 20 February 2014. Retrieved 28 April 2018.
- ^ Tristan Quinault-Maupoil (26 May 2014). "Européennes : Debout la République sourit, Force vie déprime". Le Figaro. Retrieved 28 April 2018.
- ^ Quinault Maupoil, Tristan (24 April 2017). "Christine Boutin : "Contre Macron, je voterai Le Pen"". Le Figaro. Retrieved 24 April 2017.
- ^ "Christine Boutin: "J'ai une grande joie de pouvoir soutenir" Eric Zemmour".
- ^ 9.11 테러의 배후인 부시는 프랑스의 정치인 Northern Territory News(2007년 7월 7일)라고 말한다.
- ^ Christine Boutin et le 11 Septembre 2007년 7월 17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카를 제로의 인터뷰 영상(프랑스어)
- ^ « Je pens que c'est 가능...그럴 수 있어.Je le pense d'autant plus que je sais que les 사이트 조용조용 parlent de ce probléme sont 사이트 조용조용 레즈 플러스 gros taux de visites.Et donc je dis, moi sui sensibilisée au problée des novelles 기법 de l'nformation et de l'na la masses et du peuple ne peut pas étre san aucune verité.Donc je ne dis pas que j'adhér a cette position, mais disons que je minterroge quand meme un petit peu sur cette 질문.»
""Christine Boutin rattrapée par ses propos controversés sur le 11-Septembre". Le Monde (in French). 5 July 200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July 2007. Retrieved 6 July 2007. - ^ Gomez, Edward M. (6 July 2007). "In France, a senior pol dares to question the 9/11 tale". San Francisco Chronicle. Retrieved 6 July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