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와이 교회

Church of Hawaii
하와이 교회
Honolulu-StAndrews-Cathedral-Royalty.JPG
카메하메하 4세엠마 여왕은 1862년 하와이 성공회를 설립했다.
분류개신교
오리엔테이션성공회
신학성공회 교리
폴리티성공회
지역하와이 주
창시자가메하메하 4세
기원1862
하와이 왕국
에서 분기됨성공회 성찬회
로 병합됨성공회 (미국) (1890년대)

원래 하와이 리폼 카톨릭 교회라고 불리던 하와이 교회(Church of Hawaii)는 1862년부터 1893년까지 하와이 왕국의 주 교회와 민족 교회였다. 하와이 성공회의 교회 성도였다.

역사

어린 왕자로서 카메하메하 4세는 어린 시절 자신을 교육시킨 미국 선교사들의 초라한 소박함에 비해 영국 교회의 풍성한 예식에 감명을 받았다. 그의 여왕 엠마는 영국인 할아버지가 있었고 영국 성공회 의사 집에서 자랐다. 그들의 1856년 결혼식은 성공회 기도가 포함되었지만 연합국 목사가 수행해야 했다.

1859년 엠마는 영국의 빅토리아에게 편지를 써서 영국 교회의 성직자를 요청하였다. 킹 목사의 외교장관인 로버트 크라이튼 와이어리도 외교 접촉을 통해 요청을 했다. 1860년 사무엘 윌버포스는 새로운 분부를 조직할 수 있는 주교를 포함하도록 임무를 확대할 것을 제안했다. 캘리포니아 성공회윌리엄 잉그라함 킵도 이 아이디어를 지지했지만, 남북전쟁으로 인해 그들로부터 어떠한 도움도 받지 못했다.[1] 이 아이디어는 존 버드 섬너와 존 러셀 영국 외무장관의 승인을 받았다. 첫 번째 주교는 1861년 12월 15일에 성결된 토마스 네틀쉽 스티니였다.[2]

스티니의 파송은 1862년 그가 도착하기 전부터 미국 외교 공관 위원회와 마찰을 일으켰고, 그를 주교가 되어 어떤 종류의 종교적인 위계질서에 반대하는 회중주의자들을 괴롭혔다. 아메리칸 보드의 루퍼스 앤더슨은 그를 의식주의라고 비난하며 맹렬한 비평가로 변했다. '하와이 개혁성당'이라는 정식 전세기명은 '패피스트'라는 비판을 불러일으켰다. 카메하메하 4세가 사망한 후, 교황청의 고 미사에 비견되는 정교한 장례식이 거행되었다.[1] 스테니는 심지어 미국 작가 마크 트웨인과 그가 "푸리탄"이라고 부르는 다른 작가들로부터 공격을 받기도 했다.[1]

ceremony under tent
주춧돌 앤드류 대성당은 1867년에 세워졌다.

하와이 교회는 정부가 아닌 왕실 소유지에서 땅을 기증받아 공식적인 왕립교회가 되었다. 엠마는 세례를 받았고, 그 뒤를 이어 젊은 데이비드 칼라카우아가 왕이 되었다. 왕릉은 개인 예배당으로 지어졌는데, 이것은 이전의 선교사들이 선호했던 단순한 장식되지 않은 묘지와는 대조적이다. 성탄절성금요일의 준수가 시작되었다. 카메하메하 4세가 세인트 앤드루 성인의 잔치에서 죽었기 때문에, 그의 형 카메하 5세가 하와이에서 건설한 최초의 성당은 세인트 앤드류 성당이라고 불렸다. 초석은 1867년에 세워졌고, 주교의 관저가 되었다. 두 개의 연계 학교도 설립되었는데, 세인트 앤드류의 프리리 여학교와 세인트 알바니아의 이름을 딴 남학생 학교였다. 이 학교는 결국 욜라니 학교의 일부가 되었다.

1893년 군주제가 전복되고 1898년 미국 병합 이후 하와이 교회는 영토 관할권이 미국 성공회로 넘어가면서 해체되고 하와이 성공회 교구가 되었다.[3]

참고 항목

참조

  1. ^ a b c Robert Louis Semes (2000). "Hawai'i's Holy War: English Bishop Staley, American Congregationalists, and the Hawaiian Monarchs, 1860 - 1870". Hawaiian Journal of History. 34. Hawaii Historical Society. pp. 113–95. hdl:10524/159.
  2. ^ Staley, Thomas N (1868). Five Years' Church Work in the Kingdom of Hawaii. London, Oxford and Cambridge: Rivington's.
  3. ^ "History". Episcopal Diocese of Hawai'i.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7-09-28. Retrieved 2007-02-11.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