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극성

Circumpolar star
북극 주위를 공전하는 것으로 보이는 북반구 주극성.중심 근처의 밝은 별인 폴라리스는 하늘에 거의 정지해 있습니다.북극성은 1년 내내 지평선 위에 있으며, 북반구에서 보면 별들의 겉으로 보이는 위치가 어떻게 24시간 동안 움직이는지를 보여줍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햇빛이 그들을 비추는 낮에는 보이지 않습니다.
몇 시간 동안의 긴 노출 사진 속에서 극성 주위로 별이 추적됩니다.천구의 극 근처에 있는 별들은 긴 노출로 짧은 흔적을 남깁니다.
장시간 노출로 포착된 극성 주변 별자국

주극성(cirumpolar)은 지구에서 주어진 위도에서 볼 때 천구의 극 중 하나에 가깝기 때문에 지평선 아래로 결코 지지 않는 입니다.따라서 주극성 별은 연중 매일 밤 해당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극을 향해 볼 수 있다(태양의 눈부심에 압도되지 않는다면 낮에도 계속 볼 수 있을 것이다).다른 것들은 계절별이라고 불린다.

모든 주극성 별들은 상대적인 주극성 원 안에 있으며 반지름은 관찰자의 위도와 같다.관측자가 북극이나 남극에 가까울수록 원주위는 커집니다.

북극의 정의가 한밤의 태양을 경험하는 북극권의 북쪽 지역으로 공식화되기 전에, 그것은 더 넓게 '큰곰자리' 별자리와 작은곰자리가 하늘 높이 있는 곳을 의미했다.따라서 '북극'이라는 단어는 '곰'을 뜻하는 그리스어 '아르키오스'에서 유래했으며, '곰'을 뜻하는 '아르키오스'에서 유래했다.

설명.

지구가 축을 중심으로 매일 회전할 때, 별들은 천구의 극들 중 하나(북반구에 있는 관측자들에게는 북극, 남반구에 있는 관측자들에게는 남극)를 중심으로 원형 경로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입니다.천구의 극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별들은 큰 원을 그리며 회전하는 것처럼 보인다; 천구의 극에 매우 가까이 위치한 별들은 작은 원을 그리며 회전하기 때문에 거의 일주 운동을 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지구 상의 관찰자의 위도에 따라, 일부 별들(주극성)은 계속해서 수평선 위에 있을 정도로 천구의 극에 가까이 있는 반면, 다른 별들은 매일의 원형 경로의 일부 동안 수평선 아래로 내려갑니다(그리고 다른 별들은 영구적으로 수평선 아래로 남아 있습니다).

원주극성들은 천구의 극을 중심으로 지평선에 접하는 원 안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지구의 북극에서는 북극이 바로 머리 위에 있고, 보이는 모든 별들(북반구의 모든 별들)은 [1]극성을 돌고 있습니다.남쪽으로 이동하면서 북극은 북쪽 지평선을 향해 움직인다.점점 더 많은 별들이 그들의 일상의 "궤도"의 일부분을 위해 수평선 아래로 사라지기 시작하고, 나머지 원형 별들을 포함하는 원은 점점 더 작아진다.적도에서 이 원은 지평선 위에 있는 한 점, 즉 천극 자체까지 사라집니다. 그래서 극성을 돌 수 있는 모든 별들은 지평선 아래 24시간마다 반씩 있습니다.그곳에서, 극성 자체는 충분한 높이의 장소에서만 만들어질 것이다.

적도의 남쪽을 여행할 때, 그 반대 현상이 일어난다.남극 천체의 극은 점점 더 하늘 높이 나타나고, 그 극을 중심으로 점점 더 큰 원 안에 있는 모든 별들은 그 극성을 중심으로 순환하게 됩니다.이것은 다시 모든 눈에 보이는 별들이 극성을 도는 지구의 남극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된다.

천상의 북극극성(북극성 또는 북극성)과 매우 가까운 곳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북반구에서는 모든 극성 주위가 폴라리스 주위를 이동하는 것으로 보입니다.극성 자체는 항상 북쪽(, 방위각 0°)에 있고, 항상 관측자의 위도와 같은 고도(지평선에서 각도)에 있다.그런 다음 사분면으로 분류됩니다.

폴라리스의 방위각은 항상 0이다.주어진 위도 ø에 대한 극의 고도는 고정되며, 그 값은 다음 공식에 의해 주어진다.A = 90° - ø. 편차가 A 미만인 모든 별은 [2]극성을 도는 것은 아니다.

원극성 정의

별이 극성을 돌고 있는지 여부는 관찰자의 [3]위도에 따라 달라진다.북극 또는 남극고도(보이는 것 중 하나)는 관측자 [3]위도의 절대값과 같기 때문에, 보이는 천구 극으로부터의 각도가 절대 위도보다 작은 은 모두 극성이 됩니다.예를 들어, 관측자의 위도가 50°N일 경우, 북극에서 50° 미만이면 어떤 별도 원형 극성이 됩니다.만약 관측자의 위도가 35°S라면, 남극에서 35° 이내에 있는 모든 별은 극성을 돌고 있는 것입니다.천구의 적도에 있는 별들은 지구 반구의 어느 위도에서나 관측될 때 극성을 일주하지 않는다."[4]극성 거리가 관측자의 위도와 거의 같거나 그보다 작은 별"

관측자의 위도(θ)에서 특정 별이 극성을 돌고 있는지 여부는 별의 편각(θ)으로 계산될 수 있다.θ + θ가 +90°(북반구의 관측자)보다 크거나 θ + θ가 -90°(남반구의 관측자)보다 작을 경우 별은 극성을 돌고 있습니다.

"일주원이 수평선 위에 있는 별은 낮에는 볼 수 없지만 결코 지지 않습니다.별을 주극성으로 칭하는 것은 관찰자의 위도에 따라 달라진다.적도에서는 어떤 별도 극성을 돌지 않는다.북극이나 남극에서는 천구의 절반만 볼 수 있기 때문에 볼 수 있는 모든 별은 극성을 돌고 있습니다.다른 위도에 있는 관찰자의 경우, 편차가 90°에서 관찰자의 위도를 뺀 별은 천체의 극을 도는 것처럼 보이며 항상 수평선 위에 있게 됩니다.완전히 원극성 별들로 이루어진 별자리는 원극성이라고도 불린다.미국 대부분 지역(위 위)에서.40° N) 북두칠성은 극성을 돈다.[4]

마찬가지로 θ - θ가 -90°(북반구 관측자) 미만이거나 θ - θ가 +90°(남반구 관측자) 이상이면 별은 국지적 지평선 위로 결코 떠오르지 않는다.따라서, 카노푸스는 프레즈노, 툴사, 버지니아 비치에서 약간 보일지라도 샌프란시스코와 켄터키 주 루이빌에서는 보이지 않습니다.

북회귀선(23°26ºN)의 북쪽에서 대략적으로 북쪽의 별자리(카시오페이아, 큰곰자리, 작은곰자리 등)에 있는 일부 별들은 뜨거나 [3]지지 않는 극성일 것이다.

예를 들어 영국 제도 관측자의 경우 1등급 별인 카펠라와 데네브(+45°59º)는 영국 어디에서도 볼 수 없다.베가(+38°47°)는 기술적으로 위도 51°13°N(런던 바로 남쪽) 북쪽의 극지방에 있으며, 대기 굴절을 고려하면 콘월 섬과 채널 제도에서만 해수면에 위치할 것으로 보인다.

염소자리 북회선(23° 26º S)의 남쪽에서 남반구 별자리(크룩스, 무스카, 하이드루스 등)는 [3]북회선 너머의 전형적인 관측점까지 순환한다.

한쪽 반구에서 극성을 도는 별(및 별자리)은 반대쪽 반구의 같은 위도(또는 더 높은 곳)에서는 항상 보이지 않으며 지평선 위로 떠오르지 않습니다.예를 들어, 남쪽 별 아크룩스는 대부분의 인접한 미국에서는 보이지 않으며, 마찬가지로 북두칠성일곱 별은 남아메리카파타고니아 지역에서는 보이지 않습니다.

별자리

주극성 별자리는 지구에서 [5] 때 지평선 아래로 결코 지지 않는 별자리입니다.북극에서 볼 때, 천적도 북쪽의 완전히 보이는 별자리는 모두 원극성이며, 남극에서 볼 때 천적도 남쪽 별자리도 마찬가지입니다.적도에서 볼 때, 극주변에는 별자리가 없다.북반구 중위도(북위 40~50°)에서 볼 때, 큰곰자리, 작은곰자리, 드라코자리, 세페우스자리,[6] 카시오페이아자리, 잘 알려지지 않은 큰곰자리 등이 있을 수 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Ridpath, Ian (2006), Eyewitness Companions: Astronomy, Penguin, p. 148, ISBN 0756648459.
  2. ^ Karttunen, Hannu; Kröger, Pekka; Oja, Heikki; Poutanen, Markku; Donner, Karl Johan, eds. (2007), Fundamental Astronomy (5th ed.),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p. 19, ISBN 978-3540341444.
  3. ^ a b c d Norton, A. P. "Norton's 2000.0 Star Atlas and Reference Handbook", Longman Scientific and Technical, (1986) 페이지 39-40
  4. ^ a b http://encyclopedia2.thefreedictionary.com/circumpolar 별
  5. ^ Shivers, Jay S. (2011), Programming Recreational Services, Jones & Bartlett Publishers, p. 319, ISBN 978-1449656256.
  6. ^ Young, Charles Augustus (1897), Uranography: A Brief Description of the Constellations Visible in the United States, with Star-maps, and Lists of Objects Observable with a Small Telescope, Ginn, pp. 9–14.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