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륙성 기후
Continental climate이 기사는 검증을 위해 추가적인 인용이 필요합니다. 찾기 – · · 책 · (2007년 11월) (이 를 및 시기 |

대륙성 기후는 종종 연간 기온 변화가 심합니다(따뜻한 여름과 추운 겨울).이 현상은 중위도(북위 40~55)에서 발생하는 경향이 있으며, 바람이 육지로 불어 약간의 강수량을 가져오며, 바다에 의해 온도가 조절되지 않는 넓은 대지 내에서 발생합니다.대륙성 기후는 북반구에서 발견되는 큰 땅덩어리 때문에 주로 발생합니다.대부분의 중국 북부와 북동부, 동부와 남동부 유럽, 북극권 남쪽의 러시아 대부분, 캐나다 중부와 남동부, 그리고 미국 중부와 북동부가 이런 유형의 기후를 가지고 있습니다.[1]대륙성은 한 지역이 이런 유형의 기후를 경험하는 정도를 측정하는 것입니다.[1]
대륙성 기후에서는 강수량이 보통인 경향이 있으며, 주로 따뜻한 달에 집중됩니다.북아메리카 북서부 태평양 산악지대와 이란, 이라크 북부, 터키,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중앙아시아 등 일부 지역에서만 겨울 최대 강수량을 보이고 있습니다.연간 강수량의 일부는 눈으로 내려 땅에 눈이 한 달 이상 남아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대륙성 기후의 여름은 뇌우와 잦은 고온 현상이 나타날 수 있지만, 여름 날씨는 겨울 날씨보다 다소 안정적입니다.대륙성 기후는 온대 지역에 위치하기 때문에 온대 기후로 간주되지만, [2][3]쾨펜 기후 분류 체계에서 다른 온대 기후와는 별도로 분류되며, 여기서 첫 글자인 대문자 D로 식별됩니다.트레와르타 기후 분류에서는 Dc로 확인됩니다.
쾨펜 기후 구분
대륙성 기후는 평균 0 °C(32 °F) 이하(또는 -3 °C(27 °F) 이하이며 평균 10 °C(50 °F) 이상의 기후를 갖습니다.[4][5]

- Dfa = 고온-여름 습한 대륙성 기후; 평균 0°C(32°F) 이하(또는 -3°C(27°F)), 최소 1개월 평균 22°C(71.6°F) 이상, 최소 4개월 평균 10°C(50°F) 이상.계절 간 강수량 차이가 크지 않음(위에서 언급한 조건들 중 어느 것도 충족되지 않음).
- Dfb = 따뜻하고 여름에 습한 대륙성 기후; 평균 0°C(32°F) 이하(또는 -3°C(27°F)), 평균 기온이 22°C(71.6°F) 이하인 모든 달, 평균 기온이 10°C(50°F) 이상인 최소 4개월.계절 간 강수량 차이가 크지 않음(위에서 언급한 조건들 중 어느 것도 충족되지 않음).
- Dfc = 아북극 기후; 평균 0°C(32°F) 이하(또는 -3°C(27°F)) 및 평균 10°C(50°F) 이상 1-3개월.계절 간 강수량 차이가 크지 않음(위에서 언급한 조건들 중 어느 것도 충족되지 않음).
- Dfd = 극도로 추운 아북극 기후; 평균 -38°C(-36.4°F) 이하의 추운 달, 평균 10°C(50°F) 이상의 1~3개월.계절 간 강수량 차이가 크지 않음(위에서 언급한 조건들 중 어느 것도 충족되지 않음).

- Dwa = 몬순의 영향을 받은 고온-여름 습한 대륙성 기후; 평균 0°C(32°F) 이하(또는 -3°C(27°F)), 최소 1개월 평균 22°C(71.6°F) 이상, 최소 4개월 평균 10°C(50°F) 이상.겨울의 가장 건조한 달에 비해 여름의 가장 습한 달에 최소한 10배의 비가 내립니다.
- Dwb = 몬순의 영향을 받은 따뜻하고 여름에 습한 대륙성 기후; 평균 0°C(32°F) 이하(또는 -3°C(27°F)), 평균 기온이 22°C(71.6°F) 이하인 모든 달, 평균 기온이 10°C(50°F) 이상인 최소 4개월.겨울의 가장 건조한 달에 비해 여름의 가장 습한 달에 최소한 10배의 비가 내립니다.
- Dwc = 몬순의 영향을 받은 아북극 기후; 평균 0°C(32°F) 이하(또는 -3°C(27°F)) 및 평균 10°C(50°F) 이상의 1-3개월.겨울의 가장 건조한 달에 비해 여름의 가장 습한 달에 최소한 10배의 비가 내립니다.
- Dwd = 몬순의 영향을 받은 극저온 아극 기후; 평균 -38°C(-36.4°F) 이하의 추운 달, 평균 10°C(50°F) 이상의 1~3개월.겨울의 가장 건조한 달에 비해 여름의 가장 습한 달에 최소한 10배의 비가 내립니다.

- Dsa = 지중해의 영향을 받는 고온-여름 습한 대륙성 기후; 평균 0°C(32°F) 이하(또는 -3°C(27°F)), 평균 22°C(71.6°F) 이상 및 최소 4개월 평균 10°C(50°F) 이상.가장 습한 달의 강수량은 여름의 가장 건조한 달의 3배 이상이며, 여름의 가장 건조한 달의 강수량은 30mm 미만입니다.
- Dsb = 지중해의 영향을 받는 따뜻하고 여름에 습한 대륙성 기후; 평균 0°C(32°F) 이하(또는 -3°C(27°F)), 평균 22°C(71.6°F) 이하, 평균 10°C(50°F) 이상의 가장 따뜻한 달의 평균 기온.가장 습한 달의 강수량은 여름의 가장 건조한 달의 3배 이상이며, 여름의 가장 건조한 달의 강수량은 30mm 미만입니다.
- Dsc = 지중해 영향을 받는 아극 기후; 평균 0°C(32°F) 이하(또는 -3°C(27°F)) 및 평균 10°C(50°F) 이상의 1-3개월.가장 습한 달의 강수량은 여름의 가장 건조한 달의 3배 이상이며, 여름의 가장 건조한 달의 강수량은 30mm 미만입니다.
- Dsd = 지중해에 영향을 받은 극도로 추운 아북극 기후; 평균 -38°C(-36.4°F) 이하의 추운 달, 평균 10°C(50°F) 이상의 1-3개월.가장 습한 달의 강수량은 여름의 가장 건조한 달의 3배 이상이며, 여름의 가장 건조한 달의 강수량은 30mm 미만입니다.
계절들
이 지역의 연간 강수량은 일반적으로 600 밀리미터(24인치)에서 1,200 밀리미터(47인치) 사이이며, 이 지역의 봄과 가을의 중간 온도는 위도 및/또는 고도에 따라 달라집니다.예를 들어, 봄은 이 지역의 남쪽 지역에 이르면 3월에, 북쪽에는 5월에 도착할 수 있습니다.여름은 따뜻하거나 더운 반면 겨울은 영하이고 서리가 많이 내립니다.
기후학
대륙성 기후는 태양이 높고 낮이 긴 조건에서 겨울 동안 찬 공기 덩어리가 더 짧은 날부터 침투하고 여름에는 따뜻한 공기 덩어리가 형성되는 곳입니다.일반적으로 대륙성 기후를 가진 곳은 해양의 조절 효과와 거리가 멀거나 바람이 연안으로 향하는 경향이 있을 정도로 위치해 있습니다.[6]이러한 지역은 여름에 꽤 따뜻해져 열대 기후의 특징적인 온도를 달성하지만 겨울에는 비슷한 위도의 다른 어떤 기후보다 더 춥습니다.
인접 기후
쾨펜 기후 체계에서, 이러한 기후는 겨울이 덜 심각하고 반건조한 기후 또는 강수량이 높은 초원과 관목 지대에 적합하지 않은 건조한 기후인 적도 방향의 온대 기후로 악화됩니다.유럽에서 이러한 기후는 시원한 해양 기단의 영향이 서쪽으로 더 많이 나타나는 해양성 기후(Cfb) 또는 아극성 해양성 기후(Cfc)로 등급을 매길 수 있습니다.아시아 서부와 동부, 그리고 미국 중부의 이 기후들은 습한 아열대 기후 (Cfa/Cwa), 아열대 고지대 기후 (Cwb), 또는 남쪽의 지중해 기후 (Csa/Csb)로 악화됩니다.
대륙성 기후를 가진 지역 목록
^1 기후는 0°C의 극저온을 사용하면 대륙성 기후이지만 -3°C의 극저온을 사용하면 온대 기후입니다.
아프리카
모로코
유라시아의
아시아

- 아프가니스탄:파이자바드(Dsb), 가즈니(Dsa), 풀리알람(Dsa)
- 아르메니아:규므리, 시시안, 바나드조르, 예레반 (BSk 국경)
- 아제르바이잔: 카발라1 (Cfa 국경), 샤마키1 (Cfa 국경)
- 중국: 베이징1, 비루현, 창춘, 다롄, 하얼빈, 지난1(Cwa 국경), 라싸1(Bsk/Cwb 국경), 치치하르, 선양, 시가체1, 쑤이화, 울란하오터, 우루무치(Bsk 국경), 옌타이1, 이춘
- 조지아:아할트시케
- 인도: 드라스 (Dsb 국경 Dfb), 카르길 [1]
- 이란: 아발리(Dsb), 아라크1(BSk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Dsa), 아르다빌1(BSk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Dsa), 하마단1(BSk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Dsa), 사케즈1(Dsa), 사르다슈트1(Dsa), 타브리즈1(BSk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Dsa), 우르미아1(BSk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Dsa)
- 일본: 아오모리1, 아사히카와, 하코다테1, 구시로, 아소산1, 나가노1(Cfa 경계), 니치난1(Cfa 경계), 삿포로, 텐도1 [2]
- 카자흐스탄:악토베, 알마티, 아스타나, 카라간다, 오세멘, 파블로다르, 세메이, 심켄트1(Dsa), 타라즈(Dsa, Bsk와 국경을 접하고 있는 Dsa)
- 키르기스스탄:비슈케크1(Dsa), 잘랄아바드1(Dsa), 오쉬1(Dsa)
- 몽골: 바룬투운 (Dwc와 국경을 접함), 다르칸, 하르코린
- 북한:해주1, 개성, 남포, 평양, 라선
- 러시아: 바르나울, 블라고베셴스크, 이르쿠츠크, 하바롭스크, 쿠릴스크(국경 Dfc), 노보시비르스크, 옴스크, 오렌부르크, 톰스크, 블라디보스토크, 예카테린부르크, 유즈노사할린스크
- 대한민국:청주1, 춘천, 추풍령11, 대전, 인천1, 서울1, 원주, 영천1 (국경 Cfa)
- 남오세티야:츠힌발리1 (조지아와 분쟁 중)
- 타지키스탄:이스파라1(Dsa), 코니보돔1(Dsa), 판자켄트1(Dsa)
- 터키: 아르다한, 에르주룸, 학카리(Dsa), 카르스, 무 ş(Dsa)
- 우즈베키스탄:치르치크1 (Csa와 국경을 접하고 있는 Dsa) [3]
유럽


- 안도라: 카닐로1, 엘 파스 데 라 카사1 (Dfc 국경)
- 오스트리아: 바덴베이 빈1 (국경 Cfb) [4], 인스브루크1, 클라겐푸르트1, 노이키르헨베이 람바흐1 [5]
- 벨라루스: 브레스트1, 고멜, 민스크, 핀스크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고라 ž데, 이스토치노 사라예보, 리브노
- 불가리아: Pazardzhik1 (Cfa 국경), Pernik1, Pleven1, Smolyan1 (Dsb1), Sofia (Cfb 국경), Veliko Tarnovo1
- 크로아티아:고스피치1
- 체코: 브르노, 체체 버드 ě요비체, 리베레크, 올로모우치[6], 오스트라바, 플제
- 에스토니아:히우마아1, 페르누, 사레마아1, 탈린, 타르투
- 핀란드: 올란드1, 해멘린나, 헬싱키, 코우볼라, 라페네란타, 포리, 투르쿠
- 프랑스: 샤모니1, 무테1, 생베랑1 (Dfc 국경)
- 독일:안스바흐1, 아우크스부르크1(국경 Cfb), 바이로이트1, 켐니츠1[7],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1, 괴를리츠1, 잉골슈타트1[8], 켐펜1, 마그데부르크1(국경 Cfb), 포츠담1(국경 Cfb), 로이틀링겐, 바이덴인더오버팔츠1, 바이마르1[9], 비텐베르크1[10]
- 그리스: 아이토밀리차1, 카토베르미오1, 사마리나1
- 헝가리: 데브레첸1, 케케메트1(Cfa/Cfb 국경), 미스콜크1, 세게드1(Cfa/Cfb 국경), 솜바텔리1(Cfb 국경)
- 이탈리아: 브루넥, 코르티나담페초, 레메스노트르담1[11], 토블라크
- 카자흐스탄: 구술 (국경 BSk)
- 코소보: 프리스티나1 (세르비아와 분쟁 중)
- 라트비아: 다우가브필스, 젤가바1, 리에파야1, 리가1
- 리히텐슈타인:샤안1 주 (Cfb 주 경계
- 리투아니아: 카우나스, 클라이브 ė다, 샤울랴이, 빌뉴스
- 몰도바: ă ț, ă우의 치 ș, 콤라트
- 몬테네그로: ž블랴크 (Dfc 국경)
- 북마케도니아:베로보1[12]
- 노르웨이: Bodø1 (Dfc 국경), Drammen, Hamar, Lillehammer (Dfc 국경1), 오슬로, Steinkjer1, Trondheim1
- 폴란드: 비아위스토크, 비드고슈츠, 그다 ń스크, 카토비체, 크라쿠프, 우트 ź, 루블린, 포즈나 ń(경계 Cfb), 토루 ń, 바르샤바
- 루마니아:브라 ș로프, 부쿠레슈티, 클루지나포카, 이아 ș디, 플로이에 ș티, 시비우, 티미 ș오아라
- 러시아: 첼랴빈스크, 그로즈니1, 칼리닌그라드1, 카잔, 모스크바, 날치크, 니즈니노브고로드, 페름, 로스토프온돈, 상트페테르부르크, 사마라, 스몰렌스크, 타간로그1, 우파, 블라디카브카즈1, 보로네즈
- 세르비아: 노바바로시1, 수보티카1
- 슬로바키아: 반스카 비스트리카, 코시체, 프레쇼프, ž실리나
- 슬로베니아:렌다바1 (경계 Cfb), 무르스카 소보타1
- 스웨덴: 헤르뇌산드, 욘쾨핑1, 칼마르1(국경 Cfb), 노르쾨핑1, 스톡홀름1, 순즈발, 웁살라1, 비스비1(국경 Cfb)
- 스위스: Gstaad, La Brévine (Dfc 경계), Poschiavo1
- 트란스니스트리아:티라스폴1 (몰도바와 분쟁 중)
- 우크라이나:드니프로, 도네츠크(러시아 점령), 이즈마일1(Cfa 국경), 하르키우, 케르손1, 크리비리, 키이우, 루한스크(러시아 점령), 리비우1, 마리우폴1(러시아 점령), 오데사1(BSk/Cfa 국경), 우즈호로드1, 자포리자, 지토미르
북아메리카
캐나다
- 캘거리 (더 높은 지역은 Dfc)
- 샬럿타운
- 에드먼턴
- 프레데릭턴
- 갠더, NL
- 구스 베이, NL (국경 Dfc)
- 핼리팩스
- 해밀턴, ON
- 켈로나1
- 메리스타운, 내셔널리그1 [13]
- 몽크톤
- 몬트리올
- 무스 팩토리
- 머독빌
- 오타와
- 펜틱톤, BC1 (경계 Bsk)
- 프린스 조지
- 퀘벡시
- 레지나 (경계 Bsk)
- 리무스키, PQ
- 세이블 섬 (경계1 Cfb)
- 세인트존스
- 서스캐툰 (경계 Bsk)
- 스튜어트1
- 서드베리
- 시드니, NS
- 선더베이
- 토론토
- 윈저
- 위니펙
- 야머스1
-
에드먼턴 주의 노스 서스캐처원 강 계곡
-
에토비코크의 새뮤얼 스미스 파크 대령에게서 따온 토론토 스카이라인
-
SaIT(Southern Alberta Institute of Technology) 캠퍼스에서 캘거리 시내로 이동
-
몬트리올 올림픽 스타디움
-
퀘벡시티 호안
생 피에르 미켈롱

- 국경 Dfc1
미국
중서부 지방


- 비스마르크
- 카호키아 하이츠, IL1 (국경 Cfa)
- 시카고
- 신시내티1 (도심은 Cfa)
- 클리블랜드1
- 콜럼버스, 오하이오1
- 디모인
- 디트로이트
- 덜루스, MN
- 파고, ND
- 그랜드 래피즈, MI
- 그린베이, 와이오
- 인디애나폴리스1
- 캔자스시티1
- 밀워키
- 미니애폴리스
- 노스플랫 주
- 오마하
- 래피드시티, SD (국경 BSk)
- 수 폭포
- 스프링필드1
- 톨레도, 오1
- 토페카1
동북쪽



- 올버니
- 알렌타운, PA1
- 보스턴1
- 브리지포트, CT1 (경계 Cfa)
- 버팔로
- 벌링턴, VT
- 케이프 코드1(경계 Cfb)
- 이리, PA1
- Harrisburg1 (도심 및 강변(City Island 포함)은 Cfa입니다.)
- 하트퍼드1
- 랭커스터, PA1 (국경 Cfa)
- 맨체스터, NH
- 뉴헤이븐1
- 뉴포트, RI1 (국경 Cfa/Cfb)
- 뉴저지주1 패터슨 (Cfa)
- 피츠버그1
- 포틀랜드, ME
- 포킵시1
- 프린스턴, 뉴저지1 (Cfa 경계)
- 프로비던스, RI1
- Riverhead1, NY (Long Island Sound가 Cfa인 북쪽 면)
- 로체스터
- 스크랜턴, PA1
- 사우샘프턴1
- 스프링필드 [14]
- 시라큐스
- 화이트 플레인스1
- 우스터, 매사추세츠 주
남쪽

- 너도밤나무산1
- 분, NC1 (경계 Cfb)
- 브라스타운 볼드, GA1 (경계 Cfb) [15]
- 신시내티/북부 켄터키 국제공항1 (Cfa 국경)
- Clifton Forge, VA1 (경계 Cfa) [16]
- NC/TN 클링맨스 돔
- 컴벌랜드 주1
- Ebright Azimuth, DE1 (경계 Cfa)
- 엘킨스, WV1
- 마운트 미첼, NC
- 롬니, WV1 (국경 Cfa) [17]
- 휠링, WV1
- 화이트 유황 스프링스, WV1
- 버지니아주1 윈체스터 (국경 Cfa)
서쪽




- 알투라스, CA1(Dsb 경계 Bsk/Csb)
- 아스펜, CO
- 빌링스, MT1 (경계 BSk)
- 캠브리지, ID (Dsa)
- 샤이엔, WY1 (경계 Bsk)
- Coeur D'Alene, ID1(Csb 경계 Dsb)
- 페어뱅크스 (국경 Dfc)
- 플래그스태프, AZ1(국경 BSk)
- 정부 캠프 OR1 (Dsb 국경 Dsb)
- 아이다호 폭포 (경계 BSk)
- 잭슨, WY (국경 Dfc)
- 조셉, OR
- 주노1 (Dfc 국경)
- 클라마스 폭포, OR1(Dsb)
- 코디악, AK1 (경계 Cfb/Cfc/Dfc)
- 로건, UT
- 로스앨러모스, NM1 (경계 BSk)
- 러브랜드, CO1 (경계 Bsk)
- 매머드 레이크, 캘리포니아1 (Dsb)
- 마운틴 시티, NV (국경 Bsk)
- 네나나, AK (국경 Dfc)
- 오그던, UT1
- Orofino, ID1(Dsb 경계 Dsa)
- 파크시티, UT
- AK 주 페테르부르크1
- 솔트레이크시티1 (Csa와 국경을 접하고 있는 Dsa)
- 산타페, NM1(경계 BSk)
- 스카그웨이, AK (Dsb 국경 Dsb)
- 워싱턴1 주 스포캔 (Dsb 경계 Dsa)
- 타호 시, 캘리포니아1 (Dsb)
- Taos, NM(경계 BSk)
- 텔루라이드, CO
- 투사얀, AZ1 (경계 BSk)
- Windthrop, WA(Dsb)
오세아니아
호주.

남미
아르헨티나
칠리

참고 항목
참고문헌
- ^ a b "Continental Climate". Encyclopedia of the Atmospheric Environment. Manchester Metropolitan Universi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04-27.
- ^ Senker, Cath (3 May 2018). Temperate Climates. Raintree Publishers. p. 5. ISBN 9781474738408. Retrieved 23 June 2023.
- ^ "Weather & Climate Change: Climates around the world". Education Scotlan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April 2016.
- ^ Peel, M. C.; Finlayson B. L. & McMahon, T. A. (2007). "Updated world map of the Köppen–Geiger climate classification" (PDF). Hydrol. Earth Syst. Sci. 11 (5): 1633–1644. Bibcode:2007HESS...11.1633P. doi:10.5194/Hess-11-1633-2007. ISSN 1027-5606.
- ^ Kottek, Markus; Grieser, Jürgen; Beck, Christoph; Rudolf, Bruno; Rubel, Franz (2006). "World Map of the Köppen-Geiger climate classification updated" (PDF). Meteorologische Zeitschrift. 15 (3): 259–263. Bibcode:2006MetZe..15..259K. doi:10.1127/0941-2948/2006/0130.
- ^ "What Is a Continental Climate?". WorldAtlas. 2019-05-21. Retrieved 2022-04-04.
외부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