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륙성 기후

Continental climate
쾨펜에 따르면, 대륙성 기후를 특징으로 하는 세계의 지역들

대륙성 기후는 종종 연간 기온 변화가 심합니다(따뜻한 여름과 추운 겨울).이 현상은 중위도(북위 40~55)에서 발생하는 경향이 있으며, 바람이 육지로 불어 약간의 강수량을 가져오며, 바다에 의해 온도가 조절되지 않는 넓은 대지 내에서 발생합니다.대륙성 기후는 북반구에서 발견되는 큰 땅덩어리 때문에 주로 발생합니다.대부분의 중국 북부와 북동부, 동부와 남동부 유럽, 북극권 남쪽의 러시아 대부분, 캐나다 중부와 남동부, 그리고 미국 중부와 북동부가 이런 유형의 기후를 가지고 있습니다.[1]대륙성은 한 지역이 이런 유형의 기후를 경험하는 정도를 측정하는 것입니다.[1]

대륙성 기후에서는 강수량이 보통인 경향이 있으며, 주로 따뜻한 달에 집중됩니다.북아메리카 북서부 태평양 산악지대와 이란, 이라크 북부, 터키,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중앙아시아 등 일부 지역에서만 겨울 최대 강수량을 보이고 있습니다.연간 강수량의 일부는 눈으로 내려 땅에 눈이 한 달 이상 남아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대륙성 기후의 여름은 뇌우와 잦은 고온 현상이 나타날 수 있지만, 여름 날씨는 겨울 날씨보다 다소 안정적입니다.대륙성 기후는 온대 지역에 위치하기 때문에 온대 기후로 간주되지만, [2][3]쾨펜 기후 분류 체계에서 다른 온대 기후와는 별도로 분류되며, 여기서 첫 글자인 대문자 D로 식별됩니다.트레와르타 기후 분류에서는 Dc로 확인됩니다.

쾨펜 기후 구분

대륙성 기후는 평균 0 °C(32 °F) 이하(또는 -3 °C(27 °F) 이하이며 평균 10 °C(50 °F) 이상의 기후를 갖습니다.[4][5]

대륙성 기후(Dfa, Dfb, Dfc, Dfd)가 발견되는 지역.
  • Dfa = 고온-여름 습한 대륙성 기후; 평균 0°C(32°F) 이하(또는 -3°C(27°F)), 최소 1개월 평균 22°C(71.6°F) 이상, 최소 4개월 평균 10°C(50°F) 이상.계절 간 강수량 차이가 크지 않음(위에서 언급한 조건들 중 어느 것도 충족되지 않음).
  • Dfb = 따뜻하고 여름에 습한 대륙성 기후; 평균 0°C(32°F) 이하(또는 -3°C(27°F)), 평균 기온이 22°C(71.6°F) 이하인 모든 달, 평균 기온이 10°C(50°F) 이상인 최소 4개월.계절 간 강수량 차이가 크지 않음(위에서 언급한 조건들 중 어느 것도 충족되지 않음).
  • Dfc = 아북극 기후; 평균 0°C(32°F) 이하(또는 -3°C(27°F)) 및 평균 10°C(50°F) 이상 1-3개월.계절 간 강수량 차이가 크지 않음(위에서 언급한 조건들 중 어느 것도 충족되지 않음).
  • Dfd = 극도로 추운 아북극 기후; 평균 -38°C(-36.4°F) 이하의 추운 달, 평균 10°C(50°F) 이상의 1~3개월.계절 간 강수량 차이가 크지 않음(위에서 언급한 조건들 중 어느 것도 충족되지 않음).
몬순의 영향을 받은 대륙성 기후가 존재하는 지역(Dwa, Dwb, Dwc, Dwd).
  • Dwa = 몬순의 영향을 받은 고온-여름 습한 대륙성 기후; 평균 0°C(32°F) 이하(또는 -3°C(27°F)), 최소 1개월 평균 22°C(71.6°F) 이상, 최소 4개월 평균 10°C(50°F) 이상.겨울의 가장 건조한 달에 비해 여름의 가장 습한 달에 최소한 10배의 비가 내립니다.
  • Dwb = 몬순의 영향을 받은 따뜻하고 여름에 습한 대륙성 기후; 평균 0°C(32°F) 이하(또는 -3°C(27°F)), 평균 기온이 22°C(71.6°F) 이하인 모든 달, 평균 기온이 10°C(50°F) 이상인 최소 4개월.겨울의 가장 건조한 달에 비해 여름의 가장 습한 달에 최소한 10배의 비가 내립니다.
  • Dwc = 몬순의 영향을 받은 아북극 기후; 평균 0°C(32°F) 이하(또는 -3°C(27°F)) 및 평균 10°C(50°F) 이상의 1-3개월.겨울의 가장 건조한 달에 비해 여름의 가장 습한 달에 최소한 10배의 비가 내립니다.
  • Dwd = 몬순의 영향을 받은 극저온 아극 기후; 평균 -38°C(-36.4°F) 이하의 추운 달, 평균 10°C(50°F) 이상의 1~3개월.겨울의 가장 건조한 달에 비해 여름의 가장 습한 달에 최소한 10배의 비가 내립니다.
지중해 영향을 받는 대륙성 기후(Dsa, Dsb, Dsc, Dsd)가 발견되는 지역.
  • Dsa = 지중해의 영향을 받는 고온-여름 습한 대륙성 기후; 평균 0°C(32°F) 이하(또는 -3°C(27°F)), 평균 22°C(71.6°F) 이상 및 최소 4개월 평균 10°C(50°F) 이상.가장 습한 달의 강수량은 여름의 가장 건조한 달의 3배 이상이며, 여름의 가장 건조한 달의 강수량은 30mm 미만입니다.
  • Dsb = 지중해의 영향을 받는 따뜻하고 여름에 습한 대륙성 기후; 평균 0°C(32°F) 이하(또는 -3°C(27°F)), 평균 22°C(71.6°F) 이하, 평균 10°C(50°F) 이상의 가장 따뜻한 달의 평균 기온.가장 습한 달의 강수량은 여름의 가장 건조한 달의 3배 이상이며, 여름의 가장 건조한 달의 강수량은 30mm 미만입니다.
  • Dsc = 지중해 영향을 받는 아극 기후; 평균 0°C(32°F) 이하(또는 -3°C(27°F)) 및 평균 10°C(50°F) 이상의 1-3개월.가장 습한 달의 강수량은 여름의 가장 건조한 달의 3배 이상이며, 여름의 가장 건조한 달의 강수량은 30mm 미만입니다.
  • Dsd = 지중해에 영향을 받은 극도로 추운 아북극 기후; 평균 -38°C(-36.4°F) 이하의 추운 달, 평균 10°C(50°F) 이상의 1-3개월.가장 습한 달의 강수량은 여름의 가장 건조한 달의 3배 이상이며, 여름의 가장 건조한 달의 강수량은 30mm 미만입니다.

계절들

이 지역의 연간 강수량은 일반적으로 600 밀리미터(24인치)에서 1,200 밀리미터(47인치) 사이이며, 이 지역의 봄과 가을의 중간 온도는 위도 및/또는 고도에 따라 달라집니다.예를 들어, 봄은 이 지역의 남쪽 지역에 이르면 3월에, 북쪽에는 5월에 도착할 수 있습니다.여름은 따뜻하거나 더운 반면 겨울은 영하이고 서리가 많이 내립니다.

기후학

대륙성 기후는 태양이 높고 낮이 긴 조건에서 겨울 동안 찬 공기 덩어리가 더 짧은 날부터 침투하고 여름에는 따뜻한 공기 덩어리가 형성되는 곳입니다.일반적으로 대륙성 기후를 가진 곳은 해양의 조절 효과와 거리가 멀거나 바람이 연안으로 향하는 경향이 있을 정도로 위치해 있습니다.[6]이러한 지역은 여름에 꽤 따뜻해져 열대 기후의 특징적인 온도를 달성하지만 겨울에는 비슷한 위도의 다른 어떤 기후보다 더 춥습니다.

인접 기후

쾨펜 기후 체계에서, 이러한 기후는 겨울이 덜 심각하고 반건조한 기후 또는 강수량이 높은 초원과 관목 지대에 적합하지 않은 건조한 기후인 적도 방향의 온대 기후악화됩니다.유럽에서 이러한 기후는 시원한 해양 기단의 영향이 서쪽으로 더 많이 나타나는 해양성 기후(Cfb) 또는 아극성 해양성 기후(Cfc)로 등급을 매길 수 있습니다.아시아 서부와 동부, 그리고 미국 중부의 이 기후들은 습한 아열대 기후 (Cfa/Cwa), 아열대 고지대 기후 (Cwb), 또는 남쪽의 지중해 기후 (Csa/Csb)로 악화됩니다.

대륙성 기후를 가진 지역 목록

^1 기후는 0°C의 극저온을 사용하면 대륙성 기후이지만 -3°C의 극저온을 사용하면 온대 기후입니다.

아프리카

모로코

유라시아의

아시아

카르길, 인도
눈이 내리는 삿포로시

유럽

프랑스 샤모니 계곡
오슬로의 아커 브리그
모스크바의 스파스키 대성당

북아메리카

캐나다

생 피에르 미켈롱

미켈론 항
  • 국경 Dfc1

미국

중서부 지방
시카고의 니어 노스 사이드
세인트 프랜시스 자비에 대성당, 그린 베이, 위스콘신
동북쪽
가을 단풍을 배경으로 한 보스턴의 스카이라인
2019년 12월 눈보라 이후 버팔로
스테이션 스퀘어에서 피츠버그 시내까지
남쪽
테네시 주 그레이트 스모키 마운틴 국립공원의 알룸 동굴 산책로
서쪽
다운타운 애스펀, 콜로라도
오리건주 정부합숙소
네나나, 알래스카
윈스롭

오세아니아

호주.

키안드라 경찰서

남미

아르헨티나

7월 푸엔테 델 잉카

칠리

겨울의 롱키메이

참고 항목

참고문헌

  1. ^ a b "Continental Climate". Encyclopedia of the Atmospheric Environment. Manchester Metropolitan Universi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04-27.
  2. ^ Senker, Cath (3 May 2018). Temperate Climates. Raintree Publishers. p. 5. ISBN 9781474738408. Retrieved 23 June 2023.
  3. ^ "Weather & Climate Change: Climates around the world". Education Scotlan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April 2016.
  4. ^ Peel, M. C.; Finlayson B. L. & McMahon, T. A. (2007). "Updated world map of the Köppen–Geiger climate classification" (PDF). Hydrol. Earth Syst. Sci. 11 (5): 1633–1644. Bibcode:2007HESS...11.1633P. doi:10.5194/Hess-11-1633-2007. ISSN 1027-5606.
  5. ^ Kottek, Markus; Grieser, Jürgen; Beck, Christoph; Rudolf, Bruno; Rubel, Franz (2006). "World Map of the Köppen-Geiger climate classification updated" (PDF). Meteorologische Zeitschrift. 15 (3): 259–263. Bibcode:2006MetZe..15..259K. doi:10.1127/0941-2948/2006/0130.
  6. ^ "What Is a Continental Climate?". WorldAtlas. 2019-05-21. Retrieved 2022-04-04.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