겁쟁이 커스타드

Cowardy Custard
Crazy Custard 책과 앨범은 Crazy와 같은 이미지의 책과 앨범이다.그 프로그램은 인어 극장의 표준 커버를 하고 있다.

Crazy Custard는 뮤지컬 리뷰로, 그의 생애에서 마지막으로 무대에 오른 Noel Crazy 쇼 중 하나였다.그것은 제라드 그리운, 앨런 스트라찬, 웬디 토예가 고안한 것이다.또한 '겁쟁이 커스터드'라는 제목의 책이 레뷰와 관련하여 출판되었는데, 이는 비슷하게 '겁쟁이' 이미지를 기념하는 것이다.

1972년 런던에서 초연된 이 전기 리뷰는 405회의 공연을 위해 공연되었다.개정판은 2011년 영국에서 순회공연을 했다.

"cowardy custard"라는 용어는 미국의 "caredy cat"에 해당하는 영국의 어린이들이 사용하는 조롱이다.[1]

역사

이 쇼의 워킹 타이틀은 Cream of Crazy였지만 Crazy자메이카에 있는 그의 집에서 개막하기 3개월 전에 프로듀서들에게 Crazy Custard를 추천하는 전보를 쳤다.[2]그는 "이것노엘 겁쟁이였다"[3]에 너무 가깝다고 말한 대안적인 제안인 노엘 겁쟁이에 거부권을 행사했다.

노래와 전기 스니펫을 통해 겁쟁이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면서, 레뷰로는 "노엘 겁쟁이의 말과 음악이 나오는 오락"이라는 평을 받았다.Crazy 넘버는 192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 Crazy의 작품 중 "You were are the Boy," "The Stately Homes of England," "I Wonder What Happened Him?" 그리고 아마도 가장 기억에 남는 "Marvellous Party"(Patricia Routelge의 원작)를 포함한 노래와 장면들이다.[4]리뷰에는 또한 이전에 발표되지 않은 자료, 연극과 대화의 발췌문, Crazy의 자서전, 그리고 그의 시 몇 편도 포함되어 있다.여기에 등장하는 스케치에는 섀도 플레이의 장면들이 포함되어 있다.

원작은 1972년 런던 시티 오브 런던 페스티벌의 일환으로 1972년 7월 10일 런던 인어 극장에서 개막되어 총 405회의 공연을 위해 1년 넘게 공연되었다.웬디 토예 감독이 연출을 맡았으며 12명(남자 6명, 여자 6명)의 출연진을 고용했는데, 루트리지, 데릭 워링, 존 모팻, 일레인 델마, 우나 스터브스, 조나단 세실, 피터 게일, 안나 샤키, 제프리 버리지, 로럴 포드, 튜더 데이비스, 올리비아 브리즈가 출연했다.음악감독은 존 버로우스였다.런던에서 상영된 후, 이 쇼는 다른 출연자들과 함께 영국을 순회했다.이후 아마추어 단체들이 제작했다.또한 1972년에는 비슷한 계열의 리뷰인 오, 겁쟁이!가 294개의 공연을 달성하며 뉴욕에서 공연되었다.

Crazy Custard의 런던 원작의 녹음은 RCA에 의해 만들어졌다.노먼 뉴웰이 제작한 훌륭한 2개의 레코드 상자 세트.이 작품은 또한 Crazy Custard라는 책을 만들었다. 노엘 겁쟁이의 세계.[5]

스트라찬이 수정한 이 쇼의 새로운 버전은 2011년 봄에 영국에서 공연되었고, 딜리 킨과 키트와 위도우가 주연을 맡았으며, 스튜어트 닐과 사바나 스티븐슨과 함께 공연되었다.발표되지 않은 자료와 카우드의 일기와 회고록에서 발췌한 내용, 노래와 장면 등이 포함됐다.[6][7]Charles Spencer in The Daily Telegraph wrote, "This loving tribute to Noël Coward … now revised for a smaller cast ... is a classy delight … from Dillie Keane's hilariously hooting, rubber-legged drunk-act during 'I've Been to a Marvellous Party' ... to Kit Hesketh-Harvey's amazing hip-swivelling during the Latin American number 'Nina'."[8]

음악 번호

1972년 7월 10일 인어 극장 프로그램, 그리고 RCA SER 5656/57 출연 녹음까지의 소매 노트.* 표시된 숫자는 2011년 부활 시 유지됨(아래에 나열된 추가 번호 포함)

2011년 버전

위의 별표가 표시된 숫자 외에도, 2011년 이 쇼의 부활은 다음과 같이 특징지어졌다.

  • 음악과 함께
  • 언젠가 널 찾을 거야
  • 호수 위의 보트 안에서
  • 코코넛 걸
  • I Travel Alone
  • 네버 어게인[6]

메모들

  1. ^ Dunkling, Leslie (1990). A Dictionary of Epithets and Terms of Address. Routledge. p. 217. ISBN 0-415-00761-5.
  2. ^ The Times Diary, 1972년 5월 3일, 페이지 16
  3. ^ The Times Diary, 1972년 7월 11일, 페이지 14
  4. ^ 더 타임즈지의 평론가인 찰스 르웬은 "루트리지 양은 어젯밤 영광스러운 목소리로 말했다.그녀의 '마법당'은 쇼를 중단하겠다고 위협했다.The Times, 1972년 7월 11일 페이지 13.
  5. ^ 겁쟁이 노엘 존 해드필드(에드)겁쟁이 커스터드: 런던 노엘 겁쟁이[permanent dead link] 세계:하인만(1973) ISBN 0-434-31090-5
  6. ^ a b 2011년 5월 Crazy Custard 극장 프로그램
  7. ^ "Cowardy Custard Tour 2011" 웨이백 머신에 2011년 8월 11일 보관.아트워크랩, 2011년 6월 17일 접속
  8. ^ 스펜서, 찰스The Daily Telegraph, 2011년 4월 13일 "코워드의 코믹한 즐거움"

참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