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닝엄 메달
Cunningham Medal커닝햄 메달은 로열 아일랜드 아카데미의 최고 상이다.그것은 "장학금에 대한 뛰어난 공헌과 아카데미 목적"을 인정받아 3년마다 수여된다.[1]
역사
1796년 그레이스 인의 법정 변호사 티모시 커닝햄의 유물로 설립되었다.수상 조건에 관한 불확실성과 실험의 기간을 거쳐, 1848년에 메달이 아일랜드나 아일랜드 주제에 대해 출판되는 과학, 예의 문학, 고미술 분야의 작품이나 에세이 작가에게 공개될 것이라는 합의가 이루어졌다.[2]1885년 이후 아카데미는 이 상을 수여하는 것을 중단했지만, 커닝햄의 선물 2백년에 걸쳐 1989년에 부활하였다.[3]
받는 사람
![]() |
커닝햄 훈장은 다음과 같은 사람에게 수여되었다.[3]
- 1796: 토머스 월러스
- 1800: 테오필러스 스위프트(글쓰기, 시)
- 1805: 윌리엄 프레스턴 (시)
- 1818: 존 브링크리 (아스트론요법)
- 1827: 존 달튼 (역사)
- 1830: 조지 페트리(역사)
- 1833: 조지 페트리(역사)
- 1834: 윌리엄 로완 해밀턴 (수학)
- 1838: 제임스 맥컬러(물리학)
- 1839: 제임스 압존(물리학);조지 페트리 (역사)
- 1843년: 로버트 케인(화학)
- 1848: 새뮤얼 하우그턴(수학);윌리엄 로완 해밀턴 경(수학);에드워드 힌크스 (오리엔탈리스트); 존 오도노반 (역사학자)
- 1851: 존 휴이트 젤렛(수학)
- 1858: 에드워드 조슈아 쿠퍼(아스트론요법);조지 연어(수학);찰스 윌리엄 월(문학 비평);윌리엄 리브스 (역사)
- 1862: 로버트 말렛(지질학);험프리 로이드(astronomy);존 토마스 길버트(역사);휘틀리 스톡스(언어학)
- 1873: 윌리엄 와일드 경(폴리매트, 오스카 와일드의 아버지)
- 1878: 조지 제임스 올먼(자연사);에드워드 다우든 (문학 비평);아퀴야 스미스(숫자학);존 케이시(수학)
- 1879: Robert Stawell Ball (수학);윌리엄 아처(자연사)
- 1881: 하워드 그루브 (아스트론요법)
- 1883년: 에드워드 퍼스벌 라이트 (RIA 절차 편집)
- 1884년: 존 버밍엄 (아스트론요법)
- 1885: 존 크리스티안 말렛(수학)
수상정지
- 1989: 프랭크 미첼 (자연사)
- 2001: 다니엘 조셉 브래들리 (물리학); 모리스 크레이그 (건축사학);버나드 크로스랜드 경 (엔지니어링);데이비드 비어스 퀸 (역사)
- 2005년: 데니스 L. 웨이어(물리학)
- 2008: 씨머스 헤이니 (시)
- 2011: John V McCanny(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 2014년: 패트릭 호노한 (경제학)
- 2017년: 데르빌라 M. X. 도넬리 (화학)
- 2020: 니콜라스 캐니 (역사)
참조
- ^ "Cunningham Medal". Royal Irish Academy. September 201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April 2020. Retrieved 15 January 2019.
- ^ "An Historical Account of the Cunningham Fund". Proceedings of the Royal Irish Academy. 7: 406–419. 1857–1861. JSTOR 20489903.
- ^ a b "Cunningham Medal 2008". Ria.ie.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7 April 2014. Retrieved 22 May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