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로 스프린터

EuroSprinter
유로스프린터
OEBB 1016 LCD.jpg
EuroCity 열차 포함 OBB 클래스 1016(ES 64 U)
종류 및 출처
전원 타입전기
빌더크라우스마페이, 지멘스
모델ES 64 F
ES 64 F4
ES 64U
제조일F: 1996-2001
F4: 2003–
U: 2000 ~
총생산량F: 170
F4: 100 이상
U: 360 이상
사양
설정:
UIC보보'
게이지1,435 mm (4피트 (8+1인치) 표준 게이지
1,668 mm (5 피트 5 + 21 인치 32 인치) (포르투갈)
길이19.58 m (64 피트 2 + 7 인치)
로코의 무게86~87톤
(84.6~85.6 숏톤, 94.8~95.9 숏톤)
트랙션 모터네개
로코 브레이크공기전기
열차 브레이크항공사
안전 시스템Sifa, PZB, ETCS, 각종
퍼포먼스 수치
최고 속도F/F4: 140km/h(87mph)
U: 230km/h (140mph)
출력6,400 kW(8,600 hp)
추적 작업300kN(67,000lbf)

EuroSprinter 계열의 전기 기관차는 Siemens Mobility가 제작한 유럽 시장용 모듈식 기관차입니다.내부 Siemens 제품명은 ES 64이며, EuroSprinter의 경우 ES이며, 번호 64는 철도에서의 6,400 kW 전력을 나타냅니다.

사용법(U범용, P는 프로토타입, F는 화물) 및 지원되는 전력 시스템의 수에 대한 추가 정보가 제공된다(: 2가지 유형으로 2개, 4개는 유럽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4개의 시스템 모두).

발전

잉골슈타트 127호 기관차

최초의 ES 64 P 시제품은 1992년에 제작되었으며, 도이치 반 AG는 노후화된 Einheits-Elektrolokomotiven의 대체품으로 대량의 기관차를 발행할 것으로 예상되었다.외관은 1991년에 납품된 Siemens/Krauss-Mafei의 초기 이중 전압 스페인 RENFE 클래스 252와 유사하며, 이 클래스 252는 DB 클래스 [1][2]120에 도입된 3상 비동기 드라이브 기술을 사용했습니다.시제품은 유럽의 일부 국가(노르웨이, 스페인, 포르투갈, 독일)[citation needed]에서 광범위한 테스트에 사용되었다.프로토타입에는 DB 보고서 이름 Class 127이 지정되었습니다.그것은 이전 Siemens 소유의 온-이어용 기관차 풀인 Dispolok에서 [citation needed]여전히 서비스되고 있다[when?].

표준형

ES 64 F

DB AG 클래스 152

ES 64 F는 6,400 kW(8,600 hp)의 출력과 140 km/h(87 mph)의 최고 속도를 가진 전기 화물 기관차이다.여객용이지만, 화물열차 전용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1996년에 Deutsche Bahn AGClass 152로 도입되어 현재는 DB Schenker Rail이 운영하고 있습니다.그 주된 역할은 무거운 화물 열차에서 구형 150급과 151급 기관차를 교체하는 것이다.öBB는 노즈 서스펜션식 견인 모터를 사용한 결과로 생성된 트랙 힘이 기준을 초과했다고 판단하고 오스트리아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인증을 거부함에 따라 195대의 원래 독일 주문량이 170대로 감소했습니다.대신, DB AG는 나머지 25량 기관차를 등급 182로 지정된 지멘스 모델 ES 64 U2로 변경했습니다.

Class 152 DB AG가 등급 150과 151의 CoCo 바퀴 배치를 포기함에 따라, 새로운 디지털 제어 방식의 차륜 미끄럼 방지 제어를 통해 견인력을 보다 안정적으로 확보해야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기관사는 가을에, 특히 선로가 미끄러운 경우, 무거운 열차는 h.가속해야 합니다.

ES 64 F4

DB AG 클래스 189

ES 64 F4는 6,400 kW (8,600 hp)의 출력과 140 km/h (87 mph)의 최고 속도를 가진 전기 화물 기관차이며, 독일에서 보고 이름은 Class 189이다.여객 서비스도 갖추고 있지만, 그 역할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ES 64 F4는 유럽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4개의 전기 시스템(15 및 25 kV AC, 1.5 및 3 kV DC)에 모두 장착되어 있습니다.제한된 공간이 모든 안전 시스템의 설치를 금지하기 때문에 클래스 189는 독일 및 스위스 등 일부 유럽 적용범위를 제공하는 다양한 패키지를 갖추고 있다.브레이크 시스템에는 전기 에너지 회수 시스템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SBB는 클래스 RE 474로서 도이치반 AG와 함께 서비스하고 있습니다.디스포록 기관차 수영장에서 대여할 수 있는 유닛도 있습니다.

ES 64U

DB AG 클래스 182

Eurospprinter 컨셉을 기반으로 ES 64 U는 최고 속도가 230km/h(140mph)인 범용 전기 기관차로 개발되었습니다.시리즈 ES 64 U는 15kV 16.7Hz AC 전원 공급 장치에서만 작동할 수 있습니다.오스트리아에서는 öBB클래스 1016으로 서비스되고 있다.F 시리즈와 달리 모든 U 시리즈에는 대신 드라이브가 장착되어 트랙 힘이 [3]감소합니다.öBB는 보호명 황소자리를 클래스 1016(나중에 클래스 1116과 1216)에 할당했다. 이때부터 모든 ES 64 U+ 시리즈는 '황소자리' 로 널리 알려졌다.

ES 64 U2는 25kV 50Hz AC에서도 작동할 수 있습니다.OBB는 클래스 1116으로, 도이치AG는 클래스 182로, MAV클래스 470으로, 그리고 디스포록에서 렌트 기관차로 운영된다.헝가리-오스트리아 회사 GySEV (Gyrr-Sopron-Ebenfurth Railway Corporation)는 이러한 단위를 클래스 1047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4개의 유럽 전기 시스템은 모두 ES 64 U4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전기부품은 대부분 ES64 F4와 동일하다.4계통 시리즈 (소프트웨어 내에서 1500V 기능이 비활성화된 상태)는 현재 오스트리아에서 OBB에 의해, 개인 사업자인 철도 견인 서비스는 1216 등급으로, 슬로베니아에서는 슬로베니아에서 541 등급으로, 폴란드에서 PKP 인터시티(PKP IC)는 EU 44 등급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이탈리아에서는 RFI에 의해 분류 E190[4]할당됩니다.황소자리의 기관차는 알토 색소폰과 비슷하다고 하는 음악적인 소리로 유명해졌다.트랙션 컨버터(독일어:스트롬리치터).[5]

öBB의 ES 64 U2의 운전석 데스크 컨트롤.

ES 64 U4의 버전은 등급 183으로 독일보그틀란트반으로 인도되었다.차체는 다른 ES 64 U4 기관차와 동일하지만 이중 공급이며 독일 15 kV 16.7 Hz AC 및 체코 25 kV 50 Hz AC 시스템에서만 작동할 수 있습니다.이러한 기관차는 DB Class 182와 같은 AC 전원 공급 장치에서만 작동하도록 장착되었지만, 대폭적인 구조적 변경이 필요한 개정된 EU 기관사 보호 표준을 충족하기 때문에 새로운 등급 지정을 받았습니다. 이러한 기관차에는 기관차 중앙 부근의 출입문이 포함됩니다.양쪽에서 기관차에 직접 부딪혔어요

2006년 9월 2일, 1216 025-5호 기관차는 뉘른베르크 부근에서 시험 운행 중 최고 속도 357km/h(222mph)[4]에 도달하여 기존 전기 기관차 세계 신기록을 수립하였다.그 기관차는 공식적으로 개조되지 않았다.그 이후로, 이 타입은 세계에서 가장 빠른 기관차가 되었다.

포르토캄판항 CP 4700

파생형

포르투갈어 CP 클래스 4700

EuroSprinter ES46B1이라고도 불리는 이 25개 엔진은 4,700kW(6,300hp)의 정격으로, 새로운 Siemens 안전 캡(나중에 Vectron에 사용됨)을 사용합니다.그것들은 주로 화물 열차에 사용된다.

벨기에 SNCB/NMBS 클래스 18

EuroSprinter [6]ES60U3라고도 불리는 이 새로운 Siemens 안전 캡을 장착한 120개의 엔진은 무거운 캡, 고속 대차 (시속 200km) 그리고 다중 시스템 [7]장비 때문에 6,400 킬로와트 (8,000hp)로 정격이 매겨진다.NMBS/SNCB는 여객 열차에서만 사용합니다. 클래스 19를 구성하는 24개는 2개의 세트를 결합하기 위해 GF 자동 결합을 갖춘 M6 철도 차량에서 고정 구성체로 사용됩니다.

덴마크어 클래스 EG

구 DSB권의 클래스 EG

새로 건설된 덴마크 해협 건널목(Great Belt Fixed Link)을 위해 Danske Statsbaner는 1999년부터 2000년까지 13대의 클래스 EG를 주문했다.Eurospprinter 개념을 기반으로, 차륜 배열을 Co'Co'로 수정하여 램프에서 최대 견인력을 보장하였다.이 클래스의 견인력은 일반적인 300kN(67,000lbf)이 아닌 400kN(90,000lbf)이며, 전체 길이는 20.95m(68ft 9인치)이다.이 유형은 15kV 및 25kV AC에서 작동할 수 있는 2세대 ES 64 F2에 가장 가까운 설계입니다.[8]

그리스어 120급

그리스 헬라스프린터 기관차.

OSE Class 120은 그리스에서 운행 중인 최초의 전기 기관차이다.1996년부터 2001년까지 총 30개의 클래스 120이 인도되었다.개념은 ES 64 P 프로토타입과 거의 동일하며 전력(5,000kW 또는 6,700hp)과 전기 시스템(25kV AC)이 변경된다.

중국철도 DJ1

다퉁-친황다오 철도 DJ1-0003

중국 철도부는 1997년 지멘스와 주저우 전기기관차가 합작해 EuroSprinter 플랫폼 2세대 설계를 기반으로 한 DJ1형 화물기관차 20대를 구입했다.각 8축 2(Bo'Bo') 기관차는 2개의 결합된 단일 캡 4 액슬 유닛으로 구성됩니다.

중국철도 HXD1

다퉁-친황다오 철도 HXD10151

처음에는 DJ1의 후속 모델인 DJ4로 더 강력한 트랙션 모터, 더 높은 트랙션 인버터 및 IGBT 트랙션 인버터를 장착했습니다.이 기관차는 주로 다킨 철도의 화물 시간표를 운행하는 데 사용되었다.

중국철도 HXD1B

2007년 8월 18일, Siemens와 Zhuzhou는 철도부로부터 500대의 Co'Co'EuroSprinter 기반 기관차를 제작하는 계약을 따냈습니다. 이 기관차는 생산 당시 9.6 MW(12,900 hp)[9]의 힘을 지닌 세계 최고 수준의 상용 생산 기관차 중 하나입니다.

코레일 8100, 8200

코레일 8100호 기관차
코레일 8200호 기관차

한국철도공사(코레일)는 2000년부터 구형 8000대의 EL을 대체하기 위해 ES64F를 지속적으로 구축해 왔다.코레일 8000급 전기 기관차는 강력하지만 속도가 너무 느려서 일반 객차로는 운행할 수 없다.현재 85대의 ES64F 베리안트가 구축되어 있습니다(클래스 8100 중 2대, 클래스 8200 중 83대).

이 새로운 8100과 8200은 경부, 호남, 중앙선포함한 주요 코레일 노선에서 운행되고 있다.

암트랙시티스 스프린터(ACS-64)

암트랙 ACS-64

ACS-64(시티스 스프린터) 설계는 EuroSprinter에 기초하고 있지만 구겨진 부분과 운전자의 개선된 안전 케이지 등 미국 안전 표준을 충족하기 위해 상당한 수정을 가했다.미국 북동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3개의 현수전압을 모두 지원하며, 이 현수전압은 실질적으로 시외전화가 이루어지는 유일한 [10]지역입니다.

개발

2010년, Siemens는 Eurosprinter와 Eurorunner 기관차의 설계 특징을 통합한 'Vectron'이라는 이름의 후속 설계를 발표하였으며, 초기에는 전기 버전에서만 사용할 수 있었다.Eurosprinter 설계도 단기적으로 [11]Siemens에 의해 계속 제공될 것이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Renfe S/252: 소개 2011-08-18 Wayback Machine www.railcolor.net에서 아카이브 완료
  2. ^ EuroSprinter 1세대 Wayback Machine 2011-08-18 아카이브 완료 www.railcolor.net
  3. ^ "The modern wheelset drive system and possibilities of modelling with torsion dynamics. Michael Lata. (introduction explains the referenced principle)"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09-03-19.
  4. ^ a b "Siemens File on Record Run" (PDF).
  5. ^ "That typical Taurus melody". railcolornews.com. Railcolor-Ziemon. 5 September 2017. Retrieved 18 August 2019.
  6. ^ "SNCB série 18/19". mediarail.be. Retrieved 2019-05-21.
  7. ^ "Trains, Railways and Locomotives: Railcolor.net". www.railcolor.ne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0-01-07. Retrieved 2019-05-21.
  8. ^ "Siemens Website" (PDF). www.siemens.cz.
  9. ^ "Siemens wins locomotive order worth over 334 million euros". w1.siemens.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8-02-12. Retrieved 2008-02-17.
  10. ^ "Railway Gazette: Amtrak orders Siemens 200 km/h Cities Sprinter locomotives". Retrieved 2010-10-30.
  11. ^ Vectron – Siemens의 유럽 철도 수송용 신세대 기관차 프레스 릴리즈, 2010년 6월 29일, www.siemens.com

원천

  • Baur, Karl Gerhard (2003). TAURUS - Lokomotiven für Europa. Freiburg: Eisenbahn-Kurier-Verlag. ISBN 978-3-88255-182-2.
  • Pedersen, Bo Oldrup; Jörgensen, Ole Aaboe; Pröll, Günther. Co'Co'-Zweifrequenzlokomotive EG 3100 für Danske Statsbaner. München: Oldenbourg.
  • Inderst, Markus (2002). "Europalok auf Rampenstrecken. Neue DB-Baureihe 189". Lok Magazin. 41 (255): 28. ISSN 0458-1822.
  • Koschinski, Konrad (January 2003). "Taurus & Hercules - DB-182, ÖBB-1016/1116, MAV-1047.0, GySEV-1047.5, Siemens-Dispolok, ÖBB-2016. Sonderausgabe". Eisenbahn Journal. ISSN 0720-051X.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