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오카 다자후 시
Dazaifu, Fukuoka다자이후 太宰府市 | |
---|---|
![]() 후쿠오카 현의 다자이푸 위치 | |
좌표: 33°31˚N 화씨 130°31°E / 33.517°N 130.517°E좌표: 33°31°N 130°31°E / 33.517°N 130.517°E/ | |
나라 | 일본. |
지역 | 규슈 시 |
현 | 후쿠오카 현 |
정부 | |
• 시장 | 구시다 다이조 |
면적 | |
• 합계 | 29.58km2(11.42 sq mi) |
인구 (2018년 10월) | |
• 합계 | 72,231 |
• 밀도 | 2,320/km2(6,300/sq mi) |
시간대 | UTC+09:00(JST) |
시청 주소 | 1-1-1 후쿠오카켄 다자후시 간전지 818-0198 |
웹사이트 | www |
기호 | |
꽃 | 우메꽃 |
나무 | 쿠스노키 |
다자이후 시(大子if市, Dazaifu-shi)는 일본 후쿠오카 현에 위치한 시로, 후쿠오카 대도시권의 일부다.[1] 인근 도시로는 오노조와 지쿠시노가 있다. 대부분 산이 많지만 논밭과 시장 원예에 쓰이는 경작지가 있다. 시는 2018년 10월 현재 2만9,355가구로 추정인구가 7만2,231명이고, 인구밀도는 km²당 2,440명이다. 총 면적은 29.58km²이다.
천년 이상 역사적으로 중요한 도시였지만 1982년 4월 1일 공식적으로 설립되었다. CE 663년경 후쿠오카의 행정수도였다.
역사
다자이푸는 663년 현재의 후쿠오카 시에서 옮겨온 후 규슈(도호쿠의 다가조에 해당한다)를 통치하는 황실이었다.
야마토 국의 영토에 대한 추가적인 지배권을 행사하려는 시도인 701년 타이호 강령에 따르면, 다자이푸는 쓰쿠시(현재의 규슈)의 사무를 감독하고 외국 사신을 접견하는 두 가지 주요한 행정 기능을 부여받았다. 다자이푸는 중국과 한국의 외국 대사관을 주최했다. 외국 대사관의 영빈관인 고로칸도 설치되었다. 코로칸은 만요슈와 같은 현대 문학에 바다 항해를 위한 출발지로 등장하였다.
나라 시대부터 헤이안 시대까지, 가마쿠라 시대까지 다자이푸는 일본의 군사 행정 중심지 중 하나였다.
정부 기록에 따르면 735년부터 737년까지 발생한 일본 천연두 재앙이 다자이푸에서 처음 발생했다고 한다.[2]
헤이안 시대에 다자이푸는 고위 궁정들의 망명지였다. 그곳에서 추방된 귀족들 중에는 스가와라노 미치자네가 있다.[3] 그의 묘소는 다자후 텐만구에 있다.
다자이푸는 때때로 반란군의 공격을 받았다. 다른 때에는 다자후 수장이 직접 반란을 일으켰다.[chronology citation needed] 739년 후지와라 히로쓰구라는 강력한 귀족이 다자이후로 임명되었다. 그는 곧 반란을 조직하여 1만 5천 명을 모았다. 3개월 후, 항쟁은 1만 7천 명의 궁정군에 의해 진압되었다. 939년, 또 다른 귀족 후지와라 스미토모가 궁정에 반란을 일으켰다. 해적들과 교전하여 941년 규슈에 상륙했다. 그리고 다자이푸를 지키고 있던 군대를 격파하고 국가 건물들을 불태웠다. 이것과 다른 발전으로 인해, 다자이푸는 이전의 명성을 결코 회복하지 못했다.[4]
몽고족의 침입과 황제의 권위가 쇠퇴하면서 다자이푸는 정치적으로 덜 의미 있게 되었다. 무로마치 시대에는 규슈의 정치적 중심이 하카타로 옮겨졌다.
중세에는 다자후(大子aza)[1][5]가 쇼니 가문의 근거지였다. 쇼니족은 후에 오오우치 씨족에 의해 추방되었다.
에도 시대에 다자이푸는 1873년 폐지되기 전까지 쿠로다 한의 일부였다.
명소

규슈 국립 박물관은 2005년 10월 16일에 개관하였다. 구릉지대의 나무와 유리 건물로, 규슈의 역사와 관련된 일본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고묘젠지는 석원으로 유명한 선사이다. 가마쿠라 시대에 다자후 텐만구 바로 옆에 세워졌다. 또 다른 절인 간전지는 8세기에 지어졌다. 이곳은 한때 규슈의[6] 주요 사찰이었으며, 많은 역사적, 예술적, 종교적 보물을 소장하고 있다. 세 사람 모두 니시테쓰 다자후 역에서 도보 거리에 있다.
다자후 역에서 도보 거리에 위치한 중세 다자후 행정 건물들의 폐허는 오늘날 공공 공원이다.
903년 다자이푸에서 망명 중 사망한 스가와라노 미치자네에 관한 작은 박물관이 있다.[1]
다자이푸에 있는 스타벅스 커피숍은 겐고 쿠마의 독특한 디자인을 가지고 있다.[7]
교육
이 도시에는 다음과 같은 몇 개의 대학이 있다.
지역 초등학교와 중학교는 다자이푸 교육위원회가 관리한다.
- 다자이후미나미 초등학교
- 다자이후 히가시 초등학교
- 다자이후 니시 초등학교
- 다자이후 초등학교
- 미즈키니시 초등학교
- 미즈키 초등학교
- 고쿠부 초등학교
- 가쿠긴 중학교
- 다자이후 히가시 중학교
- 다자이후 니시 중학교
- 다자이후 중학교
현에서는 고등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 지쿠시다이 고등학교
- 후쿠오카 현립 다자이후 고등학교
참고 항목
메모들
- ^ Jump up to: a b c 누스바움, 루이 프레데릭 (2005). 구글북스 일본 백과사전 150페이지 150페이지의 "다자후"
- ^ Farris, William Wayne (1985). Population, Disease, and Land in Early Japan, 645-900.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p. 54. ISBN 9780674690059.
- ^ 누스바움, 일본 백과사전의 "스가와라노 미치자네" 908쪽, 구글북스에서.
- ^ 코빙, 앤드류 2009, 규슈: 일본으로 가는 관문, 페이지 83
- ^ Sansom, George (1961). A History of Japan, 1334-1615. Stanford University Press. p. 45. ISBN 0804705259.
- ^ 간전지, 현장 해명 명패
- ^ "Starbucks Dazaifu by Kengo Kuma". Japan Travel. Retrieved November 27, 2018.
참조
- 누스바움, 루이 프레데릭, 케테 로스(2005)가 그것이다. 일본 백과사전. 케임브리지: 하버드 대학 출판부. ISBN 978-0-674-01753-5; OCLC 58053128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커먼즈 후쿠오카 다자후 관련 매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