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93년 인권선언
Declaration of the Rights of the Man and of the Citizen of 17931793년 인권선언문(프랑스어: Déclaration des drowits de l'Homme et du citoyen de 1793년)은 그 나라의 첫 공화국 헌법에 앞선 프랑스의 정치문서다.이 선언과 헌법은 1793년 7월 국민투표에 의해 비준되어 8월 10일에 정식 채택되었으나, 발효된 적이 없으며, 10월 10일에 헌법이 공식적으로 중단되었다.이 중단이 선언문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었는지 여부는 불분명하다.선언문은 프랑스 혁명 기간 동안 루이 앙투안 레옹 드 생 저스트와 마리 장 에라우트 드 세셸이 포함된 위원회에 의해 작성되었다.1793년 선언과 인권선언과 1789년 시민선언의 주요 구분은 평등주의 경향이다: 평등은 이 선언에서 지배적인 권리다.1793년판에는 새로운 권리와 이전 권리에 대한 개정, 즉 일하는 것, 공적 원조, 교육, 억압에 저항하는 것이 포함되었다.[1]
본문은 주로 Hérault de Séchelles에 의해 쓰여졌는데, 그의 문장과 글은 실행되지 않은 1793년의 프랑스 헌법("Constitution of the Year I")을 쓴 위원회의 대부분의 문서에서 찾아볼 수 있다.[2]
프랑스 제4공화국 헌법 제1호 프로젝트도 1793년판 '인간과 시민의 권리 선언'을 참고했다.1793년 문서는 자코뱅이들이 지론디스트들을 추방한 후 작성한 것이다.선전무기로 고안된 절충안이었고 자코뱅 지도자들의 급진주의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다.그것은 시행된 적이 없다.[3]
인간의 첫 번째 자연권으로서의 평등
평등은 1793년 선언에서 가장 중요한 측면이다.그것의 두 번째 글에서, 평등은 첫 번째 언급된 권리다(자유, 안보, 재산에 따른다).제3조에는 "모든 사람은 자연에 의해 그리고 법 앞에 평등하다"고 명시되어 있다.이와 같이 이 선언평등의 저자들에게는 법 앞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자연권, 즉 자연의 사실이다.
그 당시 이미 자유와 평등이 금방 모순될 수 있다고 진술한 사상 학교가 있었다. 실제로 자유는 (인재, 지성 등의) 자연적인 불평등이 존재하기 때문에 사회적 불평등을 해결하지 못한다.그 학파는 정부가 자유를 수호하고 자연 평등을 선언하기만 하면 된다는 것을 고려했고, 모든 사람들이 다른 재능과 능력을 가지고 있고 그것들을 자유롭게 행사할 수 있기 때문에 결국 자유가 사회적 평등을 지배할 것이라고 생각했다.이 선언이 제기하는 문제는 사회적 불평등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이다.21조는 모든 시민은 공공의 도움을 받을 권리가 있고, 사회는 시민 개개인에게 은혜를 입으며, 따라서 그들을 도울 의무가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시민들은 일할 권리가 있고 사회는 일할 수 없는 사람들에게 구제를 제공할 의무가 있다.제22조는 교육권을 선언한다.
이러한 권리는 '인간의 2세대 권리', 경제적, 사회적 권리(첫 번째 권리는 자연적이거나 정치적 권리로 간주된다.이러한 권리는 사회의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정부의 더 큰 개입을 수반한다. 그것은 제1조: 공동 복지에 명시되어 있다.
자유의 보호
개인의 자유는 여전히 일차적인 권리이고 어떤 측면은 1789년의 선언보다 더 정확하게 정의되어 있다.선언문에는 종교의 자유, 집회 자유, 언론 자유(7조), 상업의 자유(17조), 청원의 자유(32조)가 명시돼 있다.노예제도는 18조에 의해 금지되어 있다. "모든 사람은 그의 봉사와 시간을 계약할 수 있지만, 그는 자신을 팔지도 팔지도 못한다. 그의 사람은 외계의 소유물이 아니다."
자국 정부에 대한 시민의 보호
어떻게 보면, 이 선언은 현대 미국적 의미에 있어서 보다 자유주의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는데, 그것은 일반적인 복지를 위한 공공 정책이 있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기 때문에, 그것은 또한 매우 강한 자유주의적인 측면도 포함하고 있다.
제7조는 "이러한 권리를 공표할 필요성은 전제정치의 존재나 신선한 기억 중 하나를 가정한다"고 명시하고 있다.제9조 "법은 통치하는 자의 억압으로부터 공공과 개인의 자유를 보호해야 한다."33조는 폭정에 저항하는 것은 인간의 권리에 대한 논리적 귀결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억압에 대한 저항은 인간의 다른 권리의 결과"34조에는 한 사람이 억압당하면 모두가 억압당한다고 명시돼 있다.27조는 "주권을 빼앗을 수 있는 자는 누구나 자유인에 의해 즉각 사형에 처하도록 하라"고 명시하고 있다.주권의 침탈이 상세하지는 않지만, 주권은 제25조에서 "국민 안에" 거주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이런 사고방식이 테러 당시 혁명정부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는 데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마지막으로 제35조는 "정부가 국민의 권리를 침해할 때 반란은 국민을 위한 것이며, 국민 각 부분에 대한 반란은 권리의 가장 신성하고 의무의 가장 불가결한 것"이라고 명시하고 있다.비록 이 선언이 (1793년의 헌법처럼) 시행된 적은 없지만, 역사는 프랑스인들이 19세기 내내 많은 성공 (1830, 1848년)과 실패 (1832, 1870년) 혁명으로 이 충고를 따랐음을 보여주었다.
메모들
- ^ Gregory Fremont-Barnes, ed. (2007). Encyclopedia of the Age of Political Revolutions and New Ideologies, 1760–1815. Greenwood Publishing Group. pp. 159 vol 1. ISBN 9780313334450.
- ^ Jean-Antoine-Nicolas de Caritat marquis de Condorcet (2012). Condorcet: Political Writings. Cambridge UP. p. 12. ISBN 9781107021013.
- ^ 루이 R.고트샬크, 프랑스 혁명 시대 (1929년) 페이지 236–38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1793년의 인권선언과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 1793년 인권선언 (영어)
- "1793년 6월 24일 인권선언과 함께 헌법 제정" (프랑스어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