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래곤 퀘스트 7세
Dragon Quest VII드래곤 퀘스트 7: 잊혀진 과거의 조각들 | |
---|---|
![]() 북미 플레이스테이션 박스 아트 | |
개발자 | 하트비트 아르테피아자 (3DS, iOS, Android) |
게시자 | 에닉스 (PlayStation)
|
감독자 | 야마나 마나부 |
프로듀서 | 이누즈카 다이치 |
디자이너 | 호리 유지 |
프로그래머 | 야마나 마나부 |
아티스트 | 도리야마 아키라 마지마 신타로 |
작성자 | 호리 유지 스기무라사치코 이시카와후미노리 오리오 가즈노리 |
작곡가 | 스기야마코이치 |
시리즈 | 드래곤퀘스트 |
플랫폼 | 플레이스테이션, 닌텐도 3DS, 안드로이드, iOS |
해제 | 플레이스테이션닌텐도 3DSiOS, Android |
장르 | 역할극 |
모드 | 싱글 플레이어 |
드래곤 퀘스트 7: 잊혀진 과거의[a] 파편들은 하트비트와[4] 아르테피아자가 개발하고,[5] 에닉스가 2000년에 플레이스테이션용으로 출판한 일본의 역할극 비디오 게임이다.2001년 북미에서 드래곤워리어 7세라는 제목으로 발매되었다.이 게임은 2013년 2월 7일 일본에서 닌텐도 3DS로 리메이크된 것을 받았는데, 2016년 드래곤 퀘스트 7: 잊혀진 과거의 조각이라는 제목으로 북미와 유럽에서 닌텐도 3DS용으로 출시되었다.안드로이드와 iOS용 게임 버전은 2015년 9월 17일 일본에서도 출시되었다.[6][7]
드래곤 퀘스트 7: 잊혀진 과거의 조각은 롤 플레이 게임으로 인기 있는 드래곤 퀘스트 시리즈의 7번째 작품으로, 1995년 슈퍼 패미컴용 드래곤 퀘스트 6세의 후속작이다.개봉 즉시 성공을 거둔 드래곤워리어 7세의 판매량은 2001년 4월 6일까지 총 406만 대로 일본에서 가장 많이 팔린 플레이스테이션 게임으로,[8] 얼티밋 히츠 타이틀이다.1992년 북미에서 드래곤 퀘스트 4가 발매된 이후 일본 국외에서 발매된 최초의 메인 시리즈 드래곤 퀘스트 타이틀, 드래곤 워리어라는 이름으로 북미에서 발매된 마지막 드래곤 퀘스트 타이틀, 에닉스가 발행한 일본 외 마지막 드래곤 퀘스트 게임으로 2003년 스퀘어소프트와 합병해 결성되었다.스퀘어 에닉스.이 게임은 시작부터 드래곤 퀘스트 시리즈를 주관해 온 [4]호리 유지가 제작했다.이전의 모든 드래곤 퀘스트 게임을 책임지고 있는 작가인 [4]드래곤볼 크리에이터 토리야마 아키라가 다시 한번 아트워크와 캐릭터 디자인을 제공했다.
이 게임은 영웅과 그의 친구들이 에스타드를 둘러싸고 있는 신비로운 섬들에 대한 비밀을 발견하면서 영웅을 따라간다.몇몇 고대 유적을 통해, 그들은 다양한 섬의 과거로 옮겨지고 각각의 새로운 장소에서 악을 물리쳐야 한다.게임 역학은 비록 광범위한 클래스 시스템을 통해 플레이어가 자신의 캐릭터를 사용자 정의할 수 있지만, 이 시리즈의 이전 게임과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
게임플레이
드래곤 퀘스트 7세는 거대한 크기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게임의 사이드 퀘스트를 완료하지 않으면 드래곤 퀘스트 7세의 한 게임이 백 시간 이상 걸릴 수 있다.[4]게임플레이의 관점에서 보면, 이전 할부와 별로 달라진 것이 없다; 1인칭 관점에서 여전히 턴 기반 방식으로 전투가 진행된다.비 전투 시퀀스는 3D로 렌더링되지만 전투 자체는 여전히 2차원적으로 묘사된다.이 게임에 전투 안팎에서 당 캐릭터와 대화하는 능력이 더해졌다.[9]그들은 전투 전략과 플롯 포인트에 대한 조언을 제공하거나, 단순히 주어진 순간에 그들이 어떻게 느끼는지에 대한 코멘트를 제공한다.보행(스트라이딩), 보트 항해, 요술 카펫 날리기, 또는 스카이스톤으로 알려진 물체를 이용한 이동의 네 가지 방법과 수단이 있다.이들 각각은 다른 지형을 가로질러 이동할 수 있지만, 어떤 것들은 다른 것보다 더 제한적이다.
게임의 주된 흐름은 다른 드래곤 퀘스트 게임과는 다르다; 그 파티는 하나의 큰 세계를 탐험하는 대신에 에스타드 페인의 적절한 받침대에 돌 조각들을 놓음으로써 분리된 대륙으로 간다.사라진 파편이 모두 특정 받침대에 놓여지면 일행은 과거 갇힌 장소로 이송된다.어떤 문제든 그 장소를 괴롭힌 후, 일행은 다시 시작 섬인 에스타드로 돌아간다.그곳에서, 그들은 보트, 카펫, 또는 스카이라인을 통해 그들이 방금 저장한 위치의 현대판까지 여행할 수 있다.이렇게 보존된 땅은 본지도에 나타나지만, (과거로부터) 원래의 땅은 폐허를 통해 재방문할 수 있다.
대부분의 다른 드래곤 퀘스트 게임들처럼, 이 게임에는 여러 개의 미니 게임들이 참여한다.드래곤 퀘스트 4에 나오는 것과 비슷한 이민자 타운은 플레이어가 다양한 마을에서 사람들을 모집할 수 있도록 한다.[10]그런 다음 그들은 그 마을에 살고 있는데, 그것은 그곳에 사는 사람들의 유형에 따라 달라진다(예: 몇몇 상인들이 그 마을에 더 많은 상점을 가져다 줄 것이다).대부분의 드래곤 퀘스트 게임에서 두드러진 특징은 카지노다.포커, 슬롯머신, 행운의 패널은 모두 드래곤 퀘스트 VII에서 연주될 수 있다.랭킹 협회는 선수가 드래곤 퀘스트 6세의 미인 대회와 같은 최고 수준의 통계를 위해 경쟁할 수 있도록 한다.몬스터는 파티에서 몬스터들이 싸웠던 드래곤 퀘스트 V와는 달리 몬스터 파크에서만 전시되지만 플레이어는 몬스터도 잡을 수 있다.[10]청사진은 공원에 새로운 환경을 추가하기 위해 발견된다.
계급제도
드래곤 퀘스트 7세는 드래곤 퀘스트 6세와 비슷한 학습 능력을 위한 수업 시스템을 사용한다.[11]이용 가능한 클래스로는 워리어, 파이터, 클릭, 마법사, 바드, 댄서, 제스터, 도둑, 아이돌, 해적, 레인저, 글래디에이터, 팔라딘, 소환사, 갓핸드("현지화된 3DS 버전에 챔피온"), 기타 클래스를 마스터하여 잠금을 해제하는 히어로 등이 있다.[12]이 게임에는 또한 몬스터 클래스도 포함되어 있는데, 적절한 몬스터 하트를 사용하거나 필수 몬스터 클래스를 마스터하면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10]
등장인물들은 일반적으로 경험 레벨 15를 중심으로 인물별 맞춤법과 기술을 배우는 것을 중단하지만, 게임에서 이 시기에 플레이어들은 캐릭터에게 특정한 수업을 할 수 있는 달마섬에 도달할 것이다.[13]각 비몬스터 클래스는 3개 계층(Basic, Mederal, Advanced) 중 하나에 속하며 몬스터 클래스는 더 많은 계층을 가진다.등장인물들은 경험치를 얻는 것과는 반대로, 일정한 수의 전투와 싸우면서 수업에서 수준을 높인다.[13]등장인물들은 그들이 다른 계급 수준에 도달했을 때 다른 주문과 기술을 배우고 그들의 통계는 그들이 어떤 계급에 영향을 받는다.캐릭터가 클래스의 8단계와 최종 단계에 도달하면 '마스터드(mastered)'로 간주되며, 캐릭터가 특정 클래스를 마스터하면 상위 계층 클래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예를 들어, 만약 등장인물이 모두 베이직인 마법사와 클릭릭 클래스를 마스터한다면, 중간 클래스 세이지가 그들에게 이용가능할 것이다.만약 그 캐릭터가 틴 아이돌 클래스를 마스터한다면, 어드밴스트 소환사 클래스가 열릴 것이다.[13]
플롯 및 설정
이야기
이 이야기는 주인공의 아버지가 낚시 여행에서 얻은 지도 조각을 집으로 가져왔을 때 시작된다; 이 지도는 비록 지금은 에스타드의 작은 섬( there thoughー some, Essutado)이 있지만, 과거 어느 시점에서 세계가 많은 대륙을 가지고 있었음을 주인공과 그의 친구에게 암시한다.두 사람은 대륙이 여전히 존재했던 과거로 돌아갈 길을 찾는다.대륙은 그들의 존재를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 주인공과 그의 성장하는 당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하고, 그럴 때, 대륙은 현재에 다시 나타난다.마침내 모든 대륙이 복원되면, 대륙의 많은 것을 잃게 된 책임이 있는 악마 로드가 나타나 다시 많은 대륙을 봉인한다.그리고 나서 그는 자신의 다크 팰리스를 일으켜 세우고 그곳에서 파티는 마지막 결전에서 악마 로드를 상대한다.
성격.
- 히어로 (主人人, 슈진코) — 히어로에는 기본 명칭이 없다. 드래곤 퀘스트 시리즈에서와 같이 플레이어가 그 이름을 공급한다(그러나 공식망가에서는[10] 아루스라고 불리고 3DS 영어 번역에서는 어서스트라는 이름을 얻었다).더 히어로(The Hero)는 에스타드 아일랜드의 피쉬벨(Phishbel, 3DS 리메이크에 있는 필하드 베이)의 평생 원주민이다.피쉬벨 시장의 딸 마리벨과 에스타드 성의 왕자 키퍼와 좋은 친구다.특히 그는 키퍼와 즉흥적인 '어드벤쳐'에 나가는 것을 좋아한다.그것은 그 게임의 이야기를 시작하는 것보다 더 대단한 모험이다.[14]
게임플레이로 볼 때 히어로(Hero)는 게임 내 최강 파이터 중 한 명인 다재다능한 캐릭터다.그는 또한 다양한 치료 요술에 대한 주장을 펼치며, 상당히 평균적인 통계적 성장을 하고 있다. - 키퍼(Kiefer, キファ·グfaン·Kīfa Guran) — 키퍼는 에스타드의 왕자로 추정된 왕위 계승자다.그러나 키퍼는 왕위에 오르기를 기대하기는커녕 자신의 왕족 혈통을 원망하는 것 같아 가족과 조언자들에게 끝없는 걱정과 좌절의 원천이 되고 있다.키퍼는 그의 역할로, 흥분과 모험을 찾아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으며, 그가 가장 친한 친구라고 여기는 영웅에서 친절한 정신을 발견했다.[14]
키퍼는 물리공격 통계가 높고 자연스레 높은 적중률(HP)을 기록하는 등 믿을 수 없을 정도로 강하다.그는 경기 초반에 가능한 가장 강력한 인물이다.고대로의 한 여행에서 키퍼는 사랑에 빠지고, 뒤에 남는다.현재로 돌아오자마자 영웅은 키퍼가 데얀 일족의 유명한 후견인이 되었고, 거의 전체 문화/대륙의 생물학적 조상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키퍼는 드래곤 퀘스트 몬스터: 캐러밴 하트라는 게임의 주인공이기도 하다. - 3DS 영어 번역에서 마리벨 메이드로 알려진 마리벨(Maribel, Marberu) — 영웅과 키퍼의 친구인 마리벨은 피쉬벨 시장의 딸이다.자신의 사회적 지위가 타인을 바라보는 시각에 영향을 미치도록 꾸준히 거부해 온 키퍼와 달리 마리벨은 다소 거들먹거리는 경향이 있고, 심지어 으스대기까지 한다.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친절하고 감상적인 면을 가지고 있고 친구들과 잘 지내며, 때때로 그녀가 그들을 따라오도록 압박해야 할 때에도 그들의 출현에 동행한다.[14]
마리벨은 주로 마법의 사용자다. 시작 물리적인 통계치가 낮고, 그녀가 사용할 수 있는 강력한 무기가 부족하기 때문에, 그녀가 다른 캐릭터들에 의해 가해진 물리적 피해의 양에 근접하는 어떤 것도 할 수 있으려면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반면에 마리벨은 비교적 일찍부터 다양한 공격 주문에 접근할 수 있다.그녀는 아버지가 아프면 어쩔 수 없이 당을 떠나지만, 키퍼와는 달리 나중에 다시 입당해도 된다. - 3DS 영어 번역에서 러프라고 알려진 가보 (ボボ) — 정상으로 보이지만, 가보는 사실 돌이킬 수 없이 소년으로 변한 흰늑대 새끼다.이와 같이, 그는 여러 가지 명백한 루핀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때로는 다소 동물적인 성향을 가질 수 있다.그는 자신의 가족을 보호하고자 하는 영웅들과 함께 여행하는 것에 동의하지만, 충성심 때문에 그 그룹과 함께 남아 있다.[14]
마리벨과 대조적으로 가보의 특기는 육체적 전투에 있다.그의 작은 몸집에도 불구하고, 그는 학급 시스템의 숙달을 통해 영웅, 멜빈, 에어라만큼 쉽게 강해질 수 있다. - 3DS 영어 번역에서 머빈으로 알려진 멜빈(Melvin, Merubin) — 과거 세대의 숙련된 팔라딘이었던 멜빈은 수년 전 신의 편에서 악마 주님과 싸웠다.멜빈은 그의 일에 뛰어났고, 기술과 명예 모두에서 두각을 나타냈다.이와 같이 멜빈은 신에 의해 돌덩이처럼 불타서, 필요성이 대두되면 다시 한 번 악과의 싸움에 나설 수 있게 되었다.파티는 멜빈의 나이와 현재에 대한 생소함은 종종 다른 등장인물들을 다소 당황하게 만들지만 그들의 모험에 동참하는 멜빈을 발견한다.[14]
멜빈은 마법 캐스팅 능력이 신체 공격력보다 약간 뛰어나지만 마법과 신체적인 전투에 모두 능숙하다. - 3DS 영어 번역에서 아이쉐로 알려진 에어라(Aira, アイラ) —에라는 신을 부르짖는 행위에 필요한 신전의 관리 책임을 지고 있는 고대 민족인 데자 일족의 주례 무용수다.검술에서 길러지고 훈련된 에어라는 능력 이상의 싸움꾼이기도 하다.그러나, 그녀의 모든 기술에도 불구하고, 에어라는 그녀의 과거로부터 그녀의 영혼을 무겁게 짓누르는 비밀을 품고 있다.[14]
에어라는 강력한 전투기와 마법 사용자다.비록 상당한 육체적 피해와 상당한 마법적 피해를 둘 다 할 수 있지만, 그녀의 마법 기술은 그녀의 신체 통계에 약간 뒤처지는 경향이 있다는 점에서, 에어라는 멜빈과 대조를 이룬다.
개발 및 릴리스
드래곤 퀘스트 7세는 시리즈 크리에이터 호리 유지가 디자인하고, 야마나 마나부가 감독을 맡았다.마지마 신타로 감독이 예술감독을 맡았고, 시리즈 베테랑 도리야마 아키라와 스기야마 고이치 등이 각각 캐릭터를 디자인하고 작곡했다.이 게임은 1996년에 공식적으로 발표되었고 원래 닌텐도 64DD를 위해 계획되었다.[15][16]1997년 1월 15일, 개발이 플레이스테이션으로 이전되었다고 발표되었다.다음날까지 소니와 에닉스 모두 일본 증시가 크게 올랐다.[16]결국 플레이스테이션으로의 이동은 일본 닌텐도 64 라인의 장기적 생존능력에 대한 일본 증권 분석가들과 업계 관측통들의 신뢰를 잃으면서 일본의 닌텐도에게는 '반위기 상황'으로 묘사되었다.[17]에닉스 측은 플랫폼 변경 이유로 CD 제조 비용 절감과 시장 잠재력 확대를 꼽았다.[18]2000년까지 드래곤 퀘스트 7세는 일본에서 "일본 경제에 500억엔의 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예측되었다고 연구기관 DIHS는 밝혔다.[19]드래곤 퀘스트 VII는 2000년 8월 26일에 출시될 예정이며 일본에서만 406만 개의 게임이 판매되어 역대 가장 많이 팔린 게임 중 하나가 될 것이다.[20]
그 게임은 실제 출시되기 전에 수 차례 연기되었다.[21][22]팬들의 기대가 큰 데다 팀 구성원이 35명 안팎에 불과해 개발진이 완벽한 경기를 원했기 때문에 경기 작업이 연장됐다.[15]개봉 전 드래곤 퀘스트 7세의 출시를 알고 일본, 스퀘어에서 가장 지명수배된 게임으로 꼽혔고, 파이널 판타지 IX가 이후 데이트에 나오도록 움직였다.[22][23]호리이는 인터뷰에서 팀이 게임의 이야기보다 퍼즐 해결에 더 집중했다고 말했다.시리즈 중 최초로 3D 그래픽을 포함한 게임인 만큼, 그렇게 하면 시리즈의 전반적인 느낌이 달라질 것을 우려한 팬들이 에닉스에 쓴 편지로 인해 당초 CG 영화와 영화 등재를 꺼렸다.[24]
드래곤워리어 7세의 영어 현지화는 이 게임의 일본어 발매 직후에 시작되었다.에닉스 오브 아메리카는 번역가 20명과 카피 에디터 5명을 통해 7만쪽이 넘는 텍스트를 번역하는 임무를 맡았다.[15]일본어 대본의 문맥을 편집하거나 검열하려는 노력이 전혀 없었다.[15]이 게임의 미국 개봉 몇 주 전에, 에닉스는 플레이어를 게임에 소개하기 위해 매주 그들의 웹사이트를 통해 이 게임의 다른 역학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발표했다.[12]에닉스아메리카의 폴 헨델만 사장은 이 게임에 대해 "최신 기술 마법의 새로운 시스템에 대한 이번 달 모든 이야기가 결국 매력적인 게임 플레이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줄이지 않고 드래곤워리어 7세는 바로 그 점을 제공한다"[25]고 평했다.드래곤워리어 7세는 2001년 11월 1일 미국에서 발매되었으며, 시리즈 중 퀘스트 대신 워리어라는 타이틀을 가진 마지막 게임이었다.2003년 스퀘어 에닉스는 드래곤워리어 이름을 은퇴할 목적으로 미국에 드래곤 퀘스트 상표를 등록했다.게임 출시 직후 개발자 하트비트가 중단됐다.에닉스아메리카의 저스틴 루카스 제품 매니저는 개발자가 "드래곤 워리어7과 드래곤워리어4를 꼬리에 꼬리를 물었을 뿐"이라고 말했다.그들은 잠시 안식년을 보내고 휴식을 취하기로 결정했다."라고 말하며, 게임의 미국 판매와 무관하다고 언급했다.[26]
북아메리카의 드래곤워리어 VII 매뉴얼의 뒷면에는 같은 이름의 닌텐도 게임의 플레이스테이션의 강화된 리메이크인 드래곤워리어 4의 광고가 실려 있었다.이후 하트비트의 폐쇄로 인해 현지화가 취소되었다.[26]
리메이크
2012년 10월 30일, 스퀘어 에닉스는 닌텐도 3DS 전용의 드래곤 퀘스트 VII를 리메이크하고 있으며, 2013년 2월에 일본에서 발매될 것이라고 발표했다.[27]이날 이후 스퀘어 에닉스는 일본 개봉일이 2013년 2월 7일이 될 것임을 확인했다.[28]드래곤 퀘스트 IX와 유사하게 게임은 무작위적인 만남, 독특한 배경, 개별적인 공격 특성을 가진 적 대신 눈에 보이는 적과의 만남을 특징으로 한다.이 리메이크는 원래 일본 이외의 지역에서 개봉하기 위한 것이 아니었는데, 그 이유는 부분적으로 게임의 실질적인 내용을 현지화하는 데 필요한 순전히 비용과 시간 때문이었다.스퀘어 에닉스, 닌텐도 경영진뿐만 아니라 프랑스의 핵심 드래곤 퀘스트 팬들로부터 수많은 편지를 받은 후, 3DS 항구를 전세계에 출시하기로 결정했다.[29]2015년 11월 닌텐도 다이렉트에서는 '잊혀진 과거의 조각들'이라는 새로운 부제가 붙은 드래곤 퀘스트 7세가 2016년 일본 밖으로 나올 것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30]3DS 리메이크 국제판에는 스퀘어 에닉스가 2005년 드래곤 퀘스트 8세를 출시한 이후 게임의 현지화 스타일에 따른 완전히 재전송된 대본이 수록되어 있으며, 원작 드래곤워리어 7세부터 등장인물에 대한 수많은 이름과 용어 변경을 포함하고 있다.서양판도 일본판 관현악 점수를 2015년 발매된 일본판 iOS와 안드로이드판 게임에서 사용하던 합성 MIDI 사운드트랙으로 대체했다.
기타 매체
사운드트랙
거의 모든 드래곤 퀘스트 게임과 마찬가지로 스기야마 고이치도 악보를 작곡했다.드래곤 퀘스트 VI에서 그랬던 것처럼, 원래의 사운드 버전은 드래곤 퀘스트 7: 에덴노 센시타치 심포니 스위트 + OST라고 하는 2디스크 세트에 심포니 스위트와 함께 번들거렸다.[31]첫 번째 디스크 전체와 두 번째 디스크의 오프닝 트랙은 교향곡 스위트로 구성되며, 두 번째 디스크의 나머지 부분은 오리지널 사운드 버전이다.심포닉 스위트는 그해 말 슈퍼 오디오 CD로 단독 발매됐다가 2009년 다시 발매됐다.드래곤 퀘스트 7: 에덴노 센시타치 온 피아노도 발매되었으며, 27곡의 피아노 편곡을 수록하였다.[32]심포닉 스위트는 이후 이 시리즈의 나머지 음악과 함께 2006년에 재녹음되었다.2014년 3월 19일 3DS 리메이크 오리지널 사운드트랙이 발매되었으며, 리메이크된 도쿄 메트로폴리탄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원곡이 수록되어 있다.[33]
망가
드래곤 퀘스트 7세의 만화 각색은 에닉스의 일본 월간 강안에 의해 출판되었다.[34]후지와라 가무이에 의해 그려졌는데, 그는 또 다른 프랜차이즈 관련 만화인 드래곤 퀘스트 레츠덴: 로토노 몬쇼에서도 일했다.[34]2001년부터 2006년 사이에 14권이 발매되었지만 현재 이 시리즈는 중단되었다.이 각색에서 영웅에게는 "아루스"[34]라는 이름이 주어진다.만화영화는 원작 영웅이 침묵하고 만화 버전에는 개성이 더해져야 하기 때문에 새로운 캐릭터와 더 자세한 관계를 더하면서 게임 스토리를 따라간다.
리셉션
애그리게이터 | 점수 |
---|---|
게임랭킹스 | PS: 81%[35] |
메타크리트어 | PS: 78/100[36] 3DS: 81/100[37] |
출판 | 점수 |
---|---|
파미쓰 | 38/40[38][39] |
게임 정보 제공자 | 6.75/10[40] |
게임스팟 | 7.7/10[41] |
IGN | PS: 8.7/10[11] 3DS: 7.7/10[42] |
차세대 | ![]() ![]() ![]() ![]() ![]() |
드래곤워리어 7세는 일본에서 상업적이고 비판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게임이 출시된 지 17일 만에 357만대가 팔렸다. 이 게임은 오리지널 플레이스테이션의 독립 판매 게임 중 가장 큰 연간 출하량을 기록하기 위해 설립되었다.[44]이 게임은 11월까지 390만 부 이상이 팔리면서 [45]이 지역에서 2000년 가장 많이 팔린 플레이스테이션 게임이었다.[46]드래곤 퀘스트 7호는 2001년 1월 5일 400만 부에 달했으며, 이 게임은 당시 일본 내 모든 플랫폼의 여섯 번째 베스트셀러 비디오 게임이 되었다.[47]전 세계적으로 이 게임의 출하량은 2003년 3월 현재 410만대를 넘어섰다.[48]드래곤워리어 7세는 2000년 제4회 일본 미디어 아트 페스티벌에서 디지털(인터액티브) 아트 부문 대상을 수상했는데, 이 게임은 고도의 리얼리즘에 의존하지 않고 "...인기"한다는 찬사를 받았다.「」 「…」세련되고 교묘하게 실행된."[49]이 게임은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공급업체 협회(CESA)의 제5회 일본 엔터테인먼트 소프트웨어 어워드에서도 최우수상, 시나리오상, 판매상, 인기상 등 4개의 상을 받았다.[50]2006년, 파미쓰 잡지의 독자들은 드래곤워리어 7세를 역대 최고의 비디오 게임 9위로 뽑았다.[51]
The Magic Box에 따르면 북미판 드래곤워리어 7세의 판매량은 거의 20만 부에 달했는데, 이것은 일본판만큼 대단한 것은 아니었다.[52]미국의 에닉스는 여전히 판매 수치에 만족감을 표시했다.[26]드래곤워리어 7세는 북미 비평가들로부터 대부분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IGN은 "100시간 이상"이라는 게임의 모든 "100시간 이상"은 날짜의 비주얼과 투박한 프리젠테이션에도 불구하고 즐겁다고 언급했다.[53]아마존닷컴은 이 게임의 개념과 향수를 높이 평가하며 "역할 놀이가 어떤 의미였는지"를 꼽았다.그들은 또한 이 게임의 높은 난이도에 주목했는데, 이 난이도는 게임을 좌절시키는 대신, "퀘스트를 완수했을 때 훨씬 더 많은 성과를 거두게 한다"[54]고 말한다.IGN은 이 게임의 클래스 시스템을 "전략 RPG 밖에서 볼 수 있는 최고의 클래스 시스템 중 하나"[11]라고 설명했다.
다른 비평가들은 드래곤워리어 7세를 달가워하지 않았다.아마존닷컴은 경기 시작 2시간을 "비디오 게임에서 가장 지루한 시간 중 몇 시간"[36]이라고 표현했다.[36]게임인포머는 심지어 "400만 일본인이 틀릴 수 있다"고 말할 정도로 일본에서 게임의 엄청난 인기를 언급했다.[40]게임의 개발 지연으로 인해, 그 발매는 플레이스테이션 2의 발매 이후였는데, 이것은 특히 게임의 그래픽에 대해 부정적인 피드백을 만들어냈다.[22]IGN은 이에 대해 "기술 진전에 최소한의 양보만 하는 게임이지만 심오한 게임 플레이와 방대한 퀘스트, 순전히 다양성으로 이를 만회하는 게임"[11]이라고 평했다.게임스팟은 그래픽을 "좋지 않다"고 부르며, 독자들에게 "최종 판타지 7에서 나온 "가장 보람 있는 것"이 풀모션 비디오 인터커넥트였다면, 드래곤워리어 7에서 보는 어떤 것에도 분명히 놀라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41]
에릭 브래쳐는 차세대 게임 플레이스테이션 버전을 검토하여 5개 별 중 4개를 평가했으며 "코어가 단단할수록 분명히 구식 RPG를 더 좋아하게 될 것이지만 그래픽 사냥개들과 주의력이 짧은 사람들은 이 게임을 끝낼 수 있다"고 말했다.[43]
일본에서 닌텐도 3DS 리메이크 판매량이 첫 주 80만 부를 돌파했다.[55]2013년 3월 17일 현재 리메이크는 117만4077부가 팔렸다.[56]파미쓰 감독은 새로운 오케스트레이션 스코어뿐만 아니라 향상된 그래픽, 인트로, 최초의 던전까지 높이 평가하며 리메이크 작품을 35/40으로 평가했다.[57]
메모들
- ^ 일본에서 드래곤 퀘스트 7: 에덴노 센시타치(Edenno Senshi-tachi, 도라곤 쿠스토 세분: Edenno Senshi-tachi, light. "드래곤 퀘스트 7: 에덴의 전사들")로 알려져 있다.
참조
- ^ Sato (November 12, 2015). "Dragon Quest VII Headed Westward In Summer 2016 And Dragon Quest VIII In 2016". Siliconera. Retrieved May 19, 2020.
- ^ "Rebuild a shattered world". Nintendo of Europe GmbH.
- ^ "SQUARE ENIX announces DRAGON QUEST titles including DRAGON QUEST VIII for smartphones (For Japan)" (in Japanese). Square Enix. 2013-10-08. Retrieved 2013-10-08.
- ^ a b c d IGN Staff (June 27, 2001). "Dragon Warrior VII". IGN. IGN Entertainment Inc. Retrieved September 1, 2007.
- ^ "Our Works: Dragon Quest VII". ArtPiazza.com (in Japanes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ne 13, 2011. Retrieved January 11, 2009.
- ^ "ドラゴンクエストVII エデンの戦士たち". App Store.
- ^ "ドラゴンクエストVII エデンの戦士たち - Apps on Google Play".
- ^ IGN Staff (April 6, 2001). "Dragon Quest VII Reaches Quadruple Platinum". IGN. IGN Entertainment Inc. Retrieved December 5, 2008.
- ^ IGN Staff (October 11, 2001). "Dragon Warrior VII: Party Members". IGN. IGN Entertainment Inc. Retrieved September 1, 2007.
- ^ a b c d Roberto, Alfonso (February 4, 2008). "The History of Dragon Quest". Gamasutra. UBM Tech. Retrieved February 14, 2009.
- ^ a b c d McKlendon, Zak (November 27, 2001). "Dragon Warrior VII review". IGN. IGN Entertainment Inc. Retrieved October 1, 2009.
- ^ a b IGN staff (October 4, 2001). "Dragon Warrior VII: Character Classes". IGN. IGN Entertainment Inc. Retrieved October 9, 2009.
- ^ a b c Prima Games, ed. (2001). Dragon Warrior VII Official Strategy Guide. Prima Publishing. pp. 5–20. ISBN 0-7615-3640-X.
- ^ a b c d e f Prima Games, ed. (2001). Dragon Warrior VII Official Strategy Guide. Prima Publishing. pp. 2–5. ISBN 0-7615-3640-X.
- ^ a b c d Sumire Kanzaki; Sensei Phoenix; Citan Uzuki (2001). "Enix Interview With John Laurence". RPGFan. Retrieved January 10, 2009.
- ^ a b IGN staff (January 16, 1997). "Enix/Sony Update". IGN. IGN Entertainment Inc. Retrieved July 19, 2008.
- ^ "Gaming Gossip". Electronic Gaming Monthly. No. 93. Ziff Davis. April 1997. p. 28.
- ^ "Ninten-D'oh!". Electronic Gaming Monthly. No. 93. Ziff Davis. April 1997. p. 20.
- ^ IGN staff (August 18, 2000). "Dragon Quest VII to Save Japanese Economy". IGN. IGN Entertainment Inc. Retrieved October 13, 2009.
- ^ IGN staff (April 6, 2001). "Dragon Quest VII Reaches Quadruple Platinum". IGN. IGN Entertainment Inc. Retrieved October 13, 2009.
- ^ Kamui (October 14, 1999). "Dragon Quest VII Delayed Again!". RPGFan. Retrieved January 11, 2009.
- ^ a b c IGN staff (January 26, 2000). "Bad News for Dragon Quest Fans". IGN. IGN Entertainment Inc. Retrieved January 11, 2009.
- ^ Ike Sato, Yukiyoshi (November 29, 1999). "Dragon Quest VII Delays Final Fantasy IX". GameSpot. CBS Interactive. Retrieved September 17, 2015.
- ^ Coxon, Sachi (2000). "Dragon Quest VII Interview". RPGamer. Retrieved September 17, 2015.
- ^ Lonq, Andrew (November 2001). "Dragon Warrior VII Flies Into Stores". RPGame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3, 2013. Retrieved October 9, 2009.
- ^ a b c Eric Malenfant; Eve C.; Nicole Kirk (2002). "Enix Interview With Justin Lucas". RPGFan. Retrieved January 10, 2009.
- ^ Ishaan (October 30, 2012). "Dragon Quest VII Remake Announced For Nintendo 3DS". Siliconera. Crave Online. Retrieved November 21, 2012.
- ^ Spencer (October 30, 2012). "Dragon Quest VII Remake Coming To 3DS On February 7". Siliconera. Crave Online. Retrieved November 21, 2012.
- ^ Schreier, Jason (June 17, 2016). "Why Dragon Quest VII 3DS Took So Long To Come West". Kotaku. Retrieved September 23, 2016.
- ^ Ishaan (December 8, 2012). "Dragon Quest VII's 3DS Remake Has Visible Encounters Instead Of Random Battles". Siliconera. Crave Online. Retrieved December 12, 2012.
- ^ Gann, Patrick (2007). "Dragon Quest VII soundtrack". RPGFan. Retrieved September 1, 2007.
- ^ Gann, Patrick. "Dragon Quest VII ~Warriors of Eden~ on Piano". RPGFan. Retrieved January 11, 2009.
- ^ JC Fletcher (October 31, 2012). "Dragon Quest 7 reborn on 3DS Feb. 7 in Japan [update]". Joystiq. AO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4, 2013. Retrieved March 10, 2013.
- ^ a b c "Warriors of Eden at the DQ Shrine". 200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24, 2010. Retrieved September 1, 2007.
- ^ "Dragon Warrior VII for PlayStation". GameRankings. CBS Interactiv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9, 2019. Retrieved November 16, 2020.
- ^ a b c "Dragon Warrior VII for PlayStation Reviews". Metacritic. Red Ventures. Retrieved July 14, 2019.
- ^ "Dragon Quest VII: Fragments of the Forgotten Past for 3DS Reviews". Metacritic. Red Ventures. Retrieved September 29, 2016.
- ^ "プレイステーション - ドラゴンクエストVII ~エデンの戦士たち~". Weekly Famitsu (915 Pt.2): 17. June 30, 2006.
- ^ "Famitsu scores". Famitsu. 200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ugust 22, 2008. Retrieved October 1, 2009.
- ^ a b Leeper, Justin (November 2001). "Dragon Warrior VII". Game Informer. Game Informer Magazin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20, 2008.
- ^ a b Shoemaker, Brad (November 20, 2001). "Dragon Warrior VII". GameSpot. CBS Interactive. Retrieved October 1, 2009.
- ^ Chris Schilling (Sep 16, 2016). "DRAGON QUEST 7: FRAGMENTS OF THE FORGOTTEN PAST REVIEW". IGN. IGN Entertainment Inc. Retrieved September 29, 2016.
- ^ a b Bratcher, Eric (January 2002). "Finals". Next Generation. Vol. 5, no. 1. Imagine Media. p. 88.
- ^ IGN staff (September 11, 2000). "Dragon Quest VII Tears Up The Charts". IGN. IGN Entertainment Inc. Retrieved January 18, 2009.
- ^ "2000 Top 30 Best Selling Japanese Console Games". The Magic Box.com. Retrieved April 24, 2013.
- ^ Hoffman, Chris (November 2000). "Dragon Warrior VII". Gamers' Republic. No. 30. pp. 50-51 (50).
- ^ Minoru Funatsu (2001-01-09). "「ドラゴンクエストVII」プレイステーション歴代出荷本数第1位を記録" (in Japanese). Impress Corporation. Retrieved 2019-12-22.
- ^ "Sales in Millions" (PDF). Square-Enix.com. Retrieved December 22, 2019.
- ^ "2000 Japan Media Arts Festival". Japan Media Arts Festival. 200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ugust 9, 2011. Retrieved September 8, 2007.
- ^ "The 5th Japan Game Awards: Report on the awards ceremony" (in Japanese). CESA. Retrieved July 19, 2008.
- ^ Campbell, Collin (2006). "Japan Votes On All Time Top 100". Edge Online. Retrieved December 20, 2008.
- ^ Lionheart, Leo (April 23, 2004). "Hodgepodge". RPGFan. Retrieved January 10, 2009.
- ^ McClendon, Zak (November 27, 2001). "Dragon Warrior VII". IGN. IGN Entertainment Inc. Retrieved January 16, 2009.
- ^ "Dragon Warrior VII review". GameZone. GameZone Online. 200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ne 6, 2009. Retrieved September 11, 2007.
- ^ Sin, Brian (February 17, 2013). "Dragon Quest VII sells over 800k copies in one weekend". Slashgear. Retrieved March 10, 2013.
- ^ Stephany Nunnele (2013-03-20). "Sword Art Online and 3DS LL sales top retail in Japan". videogaming247 Ltd. Retrieved 2013-05-27.
- ^ Gifford, Kevin (February 6, 2013). "Japan Review Check: Dragon Quest VII, Ginga Force weekend". Polygon. Vox Media. Retrieved March 10, 2013.
외부 링크
- 웨이백머신 공식 NA 홈페이지(2011년 5월 16일 자료 보관)
- 일본 드래곤 퀘스트 VII 3DS 공식 웹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