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덕구

Kim Duk-koo
김덕구
Kim Duk-Koo.jpg
통계
닉네임"기대"(영어:기대)
무게중량 부족
국적대한민국
태어난이덕구
(1955-07-29)1955년[1] 7월 29일
대한민국 강원도 고성군
죽은1982년 11월 18일 (1982-11-18) (27세)
미국 네바다 [1]파라다이스
스탠스남포
권투 기록
총싸움20
이김.17
KO로 승리8
손실2
그리다1
경연대회 금지0
김덕구
한글
김득구
한자
金得九
수정 로마자 표기법김득구
매쿠네-라이샤워김택구

김덕구[a](金德九[b], 1955년 7월 29일 ~ 1982년 11월 18일)는 레이 만치니와의 세계선수권 복싱 경기에서 싸우다 사망한 대한민국의 복서였다. 그의 죽음은 챔피언 결정전의 수를 15개에서 12개로 줄이는 것을 포함하여 파이터들의 건강을 더 잘 보호하기 위한 개혁을 촉발시켰다.

조기생활과 교육

김씨는 서울에서 동쪽으로 100마일 떨어진 한국의 강원도에서 5명의 아이들 중 막내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그가 두 살 때 돌아가셨고 어머니는 세 번 더 결혼하셨다. 김씨는 가난하게 자랐다.[2] 그는 1976년 복싱에 입문하기 전 구두닦이 소년과 관광가이드와 같은 이상한 일을 했다.

직업 경력

김연아의 마지막 싸움 티켓 스텁

아마추어 기록을 29 대 4로 편찬한 뒤 1978년 프로로 전향했다. 1982년 2월 동양·태평양 권투 연맹 라이트급 타이틀을 획득하여 세계 권투 협회의 1위 경쟁자가 되었다.[1] 김연아는 17 대 1 대 1의 프로 기록을 가지고 맨시니와의 경기에서[3] 세계 라이트급 챔피언인 맨시니에게 세계 1위 도전자로서 라스베가스로 가기 전에 KO로부터 8번의 바우트를 따냈다. 하지만 그는 이전에 필리핀에서 한국 밖에서 단 한 번 싸운 적이 있다. 그가 북미에서 싸우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다.[4]

만치니 매치

김병현은 미국 복싱계에서는 가볍게 여겼지만 이 싸움이 '전쟁'[1]이 될 것이라고 믿었던 레이 맨시니에게는 그렇지 않았다.[5] 김태균은 경기 전 며칠 동안 몸무게를 줄이려고 애썼다. 그래서 그는 135파운드의 경량 한계치에서 체중을 감량할 수 있었다. 김씨는 싸움에 앞서 "그가 죽거나 내가 죽거나 [1]둘 중 하나"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시합을 불과 며칠 앞두고 자신의 라스베이거스 호텔 램프쉐이드에 '살아 있느냐 죽느냐'는 메시지를 적었다(잘못 번역한 것이 언론에 '죽느냐 죽느냐'는 보도가 나왔다).[1]

맨시니와 킴은 1982년 11월 13일(애런 프라이어알렉시스 아겔로를 물리친 다음날 밤) 시저스 팰리스 외곽의 한 경기장에서 만났다. 그들은 맨시니가 잠시 그만둘 것을 고려할 정도로 그 시합에서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기 위해 팽팽하게 맞섰다.[5] 김씨는 만시니의 왼쪽 귀를 찢고 왼쪽 눈을 부풀렸고, 만시니의 왼손은 보통 크기의 두 배로 부풀었다.[3] 싸움이 끝나면 만시니의 왼쪽 눈이 완전히 감겨 버리곤 했다.[1] 그러나 후반전이 되자 맨시니가 김 감독보다 훨씬 많은 펀치를 날리며 우위를 점하기 시작했다. 11번 홀에서 그는 김 선수의 무릎을 비틀었다.[1] 맨시니는 13라운드 초반 39개의 펀치를 날리며 김병현을 몰아붙였지만 별다른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 슈가 레이 레너드(이 싸움의 해설자 중 한 명으로 활동)는 김씨가 아주 강하게 돌아왔다고 말했다. 레너드는 나중에 이 라운드를 접전이라고 선언했다.[6] 14라운드를 위해 파이터들이 나오자 맨시니가 앞으로 돌진하며 김시니를 우중충한 뒤 우중충한 우중충으로 때렸다. 킴이 뒤로 비틀거리고, 만치니가 왼손으로 빗나가자, 만치니가 또 다른 단단한 오른손으로 킴을 때렸다. 김씨는 머리가 캔버스에 부딪히며 로프 속으로 날아갔다. 김병현은 겨우 일어서는데 성공했지만 심판 리처드 그린이 싸움을 말렸고 맨시니는 14라운드 19초 만에 TKO에 의해 우승자로 선언됐다.[3]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 소속의 랄프 와일리는 김연아가 죽을 때 "내가 본 가장 위대한 신체적인 위업 중 하나"[1]라고 자신을 채찍질했던 것을 나중에 기억하곤 했다.

싸움이 끝난 지 몇 분 뒤 김씨는 혼수상태로 쓰러져 들것에 실려 시저스 팰리스 경기장에서 쫓겨나 사막 스프링스 병원으로 옮겨졌다. 이 병원에서 그는 두개골에 100세제곱센티미터의 혈액이 들어있는 경막하혈종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1] 그를 구하기 위해 병원에서 응급 뇌수술을 받았으나 김씨는 11월 18일 투병 5일 만에 숨졌다. 신경외과 의사는 한 번의 펀치에 의한 것이라고 말했다.[3] 그 다음 주,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는 '반지의 비극'이라는 제목 아래 표지에 그 싸움의 사진을 게재했다.[7] 사건은 미국 CBS가 생방송으로 중계한 싸움으로 인해 더욱 부각되었다.

김연아는 한 번도 15라운드 경기를 치른 적이 없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당시 만시니는 훨씬 경험이 많았다. 그는 15라운드에서 3번 싸운 적이 있고, 이전에 한 번 14라운드에 나간 적이 있다. 김병현은 17승 2패 1무의 기록을 세웠다. 김연아의 우승 중 8개는 녹아웃이었다.

김씨 사망 후폭풍

만시니는 김씨의 죽음에 대해 자책하는 등 성찰의 시기를 거쳤다. 친구들이 그저 사고일 뿐이라고 말해 그를 도운 후, 만치니는 여전히 김씨의 죽음에 시달리면서도 그의 경력을 이어갔다. 그의 발기인 밥 아룸은 김씨의 사망 이후 만시니가 "전혀 같지 않았다"고 말했다. 2년 후, 맨시니는 리빙스톤 브램블에게 타이틀을 빼앗겼다.[8]

치명적인 싸움이 있은 지 4주 후, 마이크 위버 vs. 같은 시저스 팰리스 공연장에서 벌어진 마이클 도크스와의 싸움은 63초 만에 종료됐다. 조이 커티스 심판은 맨시니-킴의 싸움에 비춰 심판들이 파이터의 건강을 의식하도록 한 네바다 주 체육위원회의 명령에 따라 싸움을 일찍 중단한 사실을 인정했고, 재시합 명령이 내려졌다.[citation needed]

김씨의 어머니는 생명유지장비가 꺼지기 전 아들과 함께 있기 위해 한국에서 라스베이거스로 날아갔다. 3개월 후, 그녀는 농약 한 병을 마시고 자살했다.[2] 시합 심판 리처드 그린은 1983년 7월 1일 자해 총상을 입고 자살했다.[9]

김연아는 한국 복싱선수들이 여자친구를 갖는 것에 대한 규정에도 불구하고 약혼녀 이영미를 남겼다.[1] 김 씨가 사망할 당시 이 씨는 1983년 7월 태어난 아들 김치완 씨를 임신 중이었다. 김치완은 치과의사가 되었다.[2] 2011년, 김치완과 그의 어머니는 "좋은 아들"이라고 불리는 만치니의 삶에 관한 다큐멘터리의 일환으로 레이 만치니와 만남을 가졌다.[1][10]

대중문화에서 샌프란시스코에 본사를 둔 밴드 선길문의 첫 번째 앨범인 Great Highway의 Ghosts는 복서들의 이름을 딴 3개의 트랙을 가지고 있는데, 여기에는 맨시니 싸움을 언급한 김덕구에 대한 노래가 포함되어 있다; Sports Illustrated는 이 노래를 스포츠에 관한 최고의 노래 목록에 포함시켰다.[11]

권투 규칙 변경

네바다 주 체육위원회는 12월 10일 마이클 도크스와 마이크 위버의 경기 전에 일련의 규칙 변경을 제안했는데, 이 경기 자체는 관계자들이 경기 전에 통보받은 내용 때문에 논란이 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라운드 간 휴식 시간은 처음에 60초에서 90초로 제안되었지만, 나중에 다시 압축되었다. 스탠딩 8카운트(복싱 선수가 쓰러지지 않더라도 녹다운을 부를 수 있지만 쓰러질 위기에 처해 있는 상황)가 부과됐고, 면허정지 관련 새로운 규정(녹아웃 손실 후 45일)이 부과됐다.[12]

싸움의 제재기구가 아니었던 세계복싱위원회(WBC)는 1982년 연례대회 때 싸움 전 투사들의 의료에 관한 많은 규정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고 발표했다.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는 WBC가 타이틀 싸움을 15라운드에서 12라운드로 줄인 것이다. 1987년 WBC에 이어 세계복싱협회(WBA)와 국제복싱연맹(IBF)이 뒤를 이었다. 1988년 세계복싱기구(WBO)가 결성되자 곧바로 12라운드 세계선수권대회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8]

김씨 사망 후 몇 년 사이 투사의 전전 검진에는 심전도 검사 뇌검사 폐검사 등 새로운 의료절차가 도입됐다. 한 권투 지도자의 말처럼 싸움 전 투사의 검진은 1982년 이전 혈압과 심장박동 점검으로 이뤄지곤 했다. 이젠 아니야."[13]

프로 복싱 기록

17승(8KO아웃, 9개 결정), 2패(1개 결정 1KO[14]), 1무승부
res. 기록하다 상대 유형 Rd, 시간 날짜 위치 메모들
손실 17–2–1 United States 레이 맨시니 TKO 14 (15) 0:19 1982년 11월 13일 미국 네바다 시저스 팰리스 WBA 라이트급 타이틀을 위해, 김연아는 4일 후에 사망했다.
이기다 17–1–1 Japan 이시도 다다오 TKO 4 (12) 1982년 7월 18일 대한민국 서울 OPBF 경량 타이틀
이기다 16–1–1 Philippines 닉 카푸톨 UD 10 (10) 1982년 6월 21일 대한민국 서울
이기다 15–1–1 Flag of Thailand (TIS 982 draft standard).svg 플래시 빌라머 UD 12 (12) 1982년 5월 30일 대한민국 서울 OPBF 경량 타이틀
이기다 14–1–1 Flag of Thailand (TIS 982 draft standard).svg 수라데이 키옹파혼 KO 1 (12) 1982년 4월 4일 대한민국 서울 OPBF 경량 타이틀
이기다 13–1–1 Fifth Republic of Korea 김광민 UD 12 (12) 1982년 2월 28일 대한민국 서울 OPBF 경량 타이틀
이기다 12–1–1 Japan 오쿠보 가쓰히로 TKO 3 (10) 1981년 12월 12일 대한민국 서울
이기다 11–1–1 Philippines 플래시 로미오 KO 4 (10) 1981년 9월 9일 대한민국 서울
이기다 10–1–1 Philippines 준 에스컬레이터 PTS 10 (10) 1981년 8월 16일 대한민국 서울
이기다 9–1–1 Fifth Republic of Korea 임홍규 TKO 4 (10) 1981년 4월 22일 대한민국 서울
이기다 8–1–1 Fourth Republic of Korea 이필구 PTS 10 (10) 1980년 12월 6일 대한민국 서울 라이트급 타이틀
이기다 7–1–1 Philippines 토니 플로레스 TKO 8 (10) 1980년 7월 16일 필리핀 마닐라 메트로
이기다 6–1–1 Fourth Republic of Korea 최한기 KO 8 (8) 1980년 6월 21일 대한민국 서울
그리다 5–1–1 Fourth Republic of Korea 김창표 PTS 8 (8) 1980년 2월 26일 대한민국 부산
이기다 5–1 Fourth Republic of Korea 김영대 PTS 4 (4) 1979년 10월 6일 대한민국 서울
이기다 4–1 Fourth Republic of Korea 장석수 PTS 4 (4) 1979년 9월 1일 대한민국 서울
이기다 3–1 Fourth Republic of Korea 박명수 KO 1 (4) 1979년 3월 25일 대한민국 울산시
손실 2–1 Fourth Republic of Korea 이종실 PTS 4 (4) 1978년 12월 9일 대한민국 서울
이기다 2–0 Fourth Republic of Korea 영웅성 PTS 4 (4) 1978년 12월 8일 대한민국 서울
이기다 1–0 Fourth Republic of Korea 박명수 PTS 4 (4) 1978년 12월 7일 대한민국 서울 프로 데뷔

미디어

챔피언유오성이 연기한 김덕구의 삶과 경력을 다룬 2002년 대한민국의 영화다.[15]

참고 항목

참조

  1. ^ a b c d e f g h i j k l Kriegel, Mark (September 16, 2012), "A Step Back", The New York Times
  2. ^ a b c Shapiro, Michael (April 27, 1987). "Remembering Duk Koo Kim". Sports Illustrated. Retrieved November 14, 2019.
  3. ^ a b c d 1982년 11월 22일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 랄프 와일리 "그때 모든 기쁨이 슬픔으로 바뀌었다"
  4. ^ "Donaire vs. Nishioka Photos: Nonioto Donaire LA arrival - Boxing News". Eastsideboxing.com. October 9, 2012. Retrieved September 24, 2016.
  5. ^ a b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5, 2015. Retrieved December 21, 2014.{{cite web}}: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6. ^ YouTube
  7. ^ "Duk Koo Kim, Boxing, - 11.22.82 - SI Vaul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July 2012.
  8. ^ a b "Twenty-five years is a long time to carry a memory". Sports.espn.go.com. November 13, 2007. Retrieved September 24, 2016.
  9. ^ "'It was a brutal fight' Las Vegas Review-Journal". Lvrj.com. November 13, 2007. Retrieved September 24, 2016.
  10. ^ "(Yonhap Feature) New documentary about Kim Duk-koo set for release 30 years after his death". Yonhap News. August 17, 2012. Retrieved September 24, 2016.
  11. ^ "Sports Illustrated's Ultimate Playlist". SI.com. June 28, 2011. Retrieved November 14, 2019.
  12. ^ Katz, Michael (December 12, 1982). "Referee Defends His Decision". New York Times. No. 1982–12–12. NYT. Retrieved May 7, 2019.
  13. ^ [1] 2015년 9월 5일 웨이백머신보관
  14. ^ 박스렉김덕구 선수 복싱 기록
  15. ^ Kwak, Kyung-taek (2002-06-28), Chaempieon (Drama), Oh-seong Yu, Min-seo Chae, Seung-won Yun, Doo-hong Jung, C2, Cowell, EnterOne, retrieved 2020-09-01

외부 링크

  1. ^ Hangul :김득구
  2. ^ Hangul: 이덕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