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르콘 공작
Duke of Abercorn두케돔 | |
---|---|
![]() ![]() | |
생성일자 | 1868년 8월 10일 |
모나크 | 빅토리아 |
피어지 | 아일랜드의 귀족 |
퍼스트 홀더 | 제임스 해밀턴, 아베르콘 2세 |
현재보유자 | 제5대 공작 제임스 해밀턴 |
법정 추정 상속인 | 제임스 해밀턴, 해밀턴의[1] 마퀘스 |
남은 시간: | 제1대 공작의 후계자는 합법적으로 육체적 남성이다. |
자회사 직함 | 아베르콘의 마르퀴스 해밀턴의 마르퀴스 (영국) 애버콘 백작 (스코틀랜드) 비스카운트 스트라반 비스카운트 해밀턴 (영국) 페이즐리 경 (스코틀랜드) 아베르콘의 군주 (스코틀랜드) 페이즐리, 해밀턴, 마운트캐스텔, 킬패트릭의 영주 (스코틀랜드) 스트라베인의 남작 해밀턴 경 마운트캐슬 남작 두놀롱의 해밀턴 남작 |
좌석 | 바론 코트[1] |
좌우명 | 솔라 노빌리타스 비르투스("고귀함은 덕")[1] |
애버콘 공작(Duke of Abercorn,/ˈævrrkɔːrn/)은 아일랜드 페어리지에 있는 작명이다. 그것은 1868년에 만들어졌고, 아베르콘의 2대 마퀘스인 제임스 해밀턴에게 수여되었다. 두케돔은 아일랜드의 피에이지에 있지만, 아베르코른, 웨스트로티안을 지칭하며, 공작 역시 스코틀랜드의 피에이지에 4개, 대영제국의 피에이지에 2개의 타이틀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 세 피어리지에 타이틀을 갖고 있는 단 3명의 또래 중 하나이다. 또한 아베르콘 공작은 1548년에 만들어진 샤텔로 공작이라는 프랑스식 칭호를 주장한다.[1][2]
역사
그의 충성을 인정하여 스코틀랜드의 제임스 6세(James I of England)가 혼에 서훈되었다. 클라우드 해밀턴, 제임스 해밀턴의 셋째 아들, 제2대 아란 백작, 타이틀인 페이즐리 경. 그의 아들 제임스 해밀턴은 1603년 4월 5일 아베르콘 경으로, 1606년 7월 10일 그는 아베르콘 백작과 페이즐리, 해밀턴, 마운트캐스텔, 킬패트릭 경으로 임명되었다.
그의 후계자인 제2대 아베르콘 백작은 1617년 5월 8일 아일랜드 페어리지에서 스트라베인의 남작 해밀턴 경을 추가로 탄생시켰다. 그는 1633년 동생에게 이 존엄성을 물려주었고, 동생의 상속인들은 1680년 제4대 애버콘 백작인 클라우드 해밀턴의 이름으로 엘덤과 다른 작위를 물려받았다. 그는 1691년 아일랜드에서 그림을 그렸고 스트라베인의 바로니는 몰수당했지만, 그의 동생인 제5대 아베르콘 백작인 찰스 해밀턴은 달성자의 반전을 얻어 1692년에 회복되었다.[1]
여섯 번째 백작은 아일랜드 남작인 "티론 카운티의 두날롱과 티퍼리 카운티의 네나흐" (1660)의 즉위식에 있었다. 그는 1701년 9월 2일 아일랜드 페어리지에 있는 마운트캐슬 남작과 비스카운트 스트라베인이 추가로 만들어졌다. 제7대 백작은 영국 및 아일랜드 추밀원에 모두 임명되어 추밀 카운슬러가 된 최초의 추밀원이 되었다. 8번째 백작은 1786년 8월 24일 영국 페어리지에 해밀턴의 Viscount Hamilton이 만들어졌다. 그는 1790년 10월 15일 영국 페어리지에 아베르콘의 마르퀘스를 창설한 조카가 이스트루와 성독일인을 위한 하원의원으로 하원의원에 앉힌 후 그의 뒤를 이었다. 그는 1805년에 가터의 기사가 되었다.[1]
1844년 가터를 받은 제2대 마퀘스는 1866년부터 1868년까지(그리고 다시 1874년부터 1876년까지) 아일랜드의 중위를 역임했으며, 1868년 8월 10일 첫 임기 동안 해밀턴의 마퀘스, 스트라베인의 스트라베인, 그리고 아베르콘 공작(아일랜드의 페어리지)이 탄생했다. 그의 후계자 제2대 공작은 1892년 가터를 수상하며 가문의 전통을 이어갔고, 제3대 공작은 런던데리의 하원의원과 북아일랜드 주지사를 역임했으며, 성 패트릭의 기사 작위를 창설하고 가터를 수여받았다. 현재 두케돔의 보유자는 제5대 아베르콘 공작 제임스 해밀턴으로, 역시 가터의 기사다.
위의 자회사 타이틀 중 해밀턴의 마퀘스는 후계자의 예의상 호칭이며, 바이세운 스트라베인은 그의 후계자의 호칭이다.[1]
아베르콘의 두키스 족은 1548년 프랑스의 헨리 2세로부터 이 타이틀을 수여받은 제2대 아란 백작의 상속인으로서 프랑스어 듀크 드 샤텔로(Duc de Charteroleo)의 칭호를 주장하기도 한다. Additionally, since the death of William Hamilton, 2nd Duke of Hamilton, in 1651, the Earls, Marquesses, and Dukes of Abercorn have been the rightful claimants to the peerage dignities of Earl of Arran (of the 1503 creation) and Lord Hamilton (of the 1445 creation), both in the Peerage of Scotland, as the most senior heirs-male of James Hamilton, 샤텔로 공작, 그리고 이 칭호는 그들의 무장에 반영되어 있는데, 세 개의 벼룩과 프랑스 두칼 왕관이 있다.[1][3]
다이애나 왕세자비는 제3대 아베르콘 공작의 증손녀였다.
가족 좌석은 북아일랜드 타이론 카운티 스트라반 인근 마을인 오마흐 뉴타운스테와트 인근 바론 코트 사유지에 있는 신클래식 컨트리 하우스인 바론쿠르트(일반적으로 바론스코트 성)이다. 아베르코른 두케인과 그 가족의 전통적인 매장지는 바론스코트 교구의 묘지다.[1][4]
타이틀 보유자 목록
로드 페이즐리 (1587년)
- 제1대 페이즐리 경 (1543–1621)은 스코틀랜드의 정치인이다.
- 제1대 아베르콘 백작은 제1대 주군의 장남이었다. 그는 아버지보다 먼저 죽었다.
- 제임스 해밀턴, 제2대 페이즐리 경은 이미 제2대 애버콘 백작이었다.
얼 오브 아베르콘(1606)
- 기타 제목: 린릿고우(sc 1603) 카운티에 있는 아베르콘 경과 페이즐리, 해밀턴, 마운트카셸 및 커크패트릭(sc 1606)
- 제1대 아베르콘 백작인 제임스 해밀턴은 1603년에 아베르콘 경이 탄생했다.
- 기타 제목(2번째 얼 이후): 로드 페이즐리, 렌프루 카운티 (sc 1587년경)
- 기타 제목(2번째 얼): 타이론 주의 스트라베인의 해밀턴 남작 (Ir 1617, res. 1633)
- 제1백작의 장남인 제2대 아베르콘 백작(c.제1604 – C. 1670) 제임스 해밀턴은 1621년 할아버지의 뒤를 이어 제2대 페이즐리 경으로 즉위하였다.
- 2대 백작의 장남인 제임스 해밀턴(James Hamilton, 1633 – C. 1670)은 남자 문제 없이 세상을 떠났다.
- 제3대 아베르콘 백작(c. 1636–c. 1680)인 조지 해밀턴은 제2대 백작의 셋째 아들이자 막내아들로서 미혼으로 세상을 떠났다.
- 기타 제목(4번째 얼): 타이론 주의 스트라베인의 해밀턴 남작 (Ir 1617, suc. 1668,att. 1691)
- 이미 제5대 해밀턴 경인 제4대 애버콘 백작(c. 1659–c. 1691) 클라우드 해밀턴은 제1대 백작의 3남의 후손이다. 그는 미혼으로 죽었다.
- 기타 제목(5번째 얼 이후): 타이론 주(Ir 1617, 휴식)의 스트라베인의 해밀턴 남작. 1692)
- 4대 백작의 동생인 제5대 아베르콘 백작(사망 1701년) 찰스 해밀턴이 별세했다.
- 제임스 해밀턴(James Hamilton, 제6대 아베르콘 백작 (1661년–1734년), 콜 제임스(Colle James)의 장남, 조지(George) 경의 장남, 자신의 넷째이자 제1대 백작의 막내아들.
- 기타 제목(7번째 얼 이후): 티론 카운티(Ir 1701)에 있는 비스카운트 스트라반과 남작 마운트캐슬
- 제7대 아베르콘 백작 (1685–1744) 제임스 해밀턴, 제6대 백작의 장남
- 기타 타일(8번째 얼 이후): Viscount Hamilton (GB 1786)
- 제7대 백작의 장남인 제8대 아베르콘 백작 제임스 해밀턴(1712~1789)이 미혼으로 별세했다.
- 존 해밀턴, 제9대 아베르콘 백작 (1756–1818)은 1790년에 아베르콘의 마르퀘스 (Marquess of Abercorn)가 만들어졌다.
아베르콘의 마르케스 (1790년)
- Other titles: Earl of Abercorn (Sc 1606), Viscount Strabane (Ir 1701), Viscount Hamilton (GB 1786), Lord Paisley, in the county of Renfrew (Sc 1587), Lord Abercorn, in the county of Linlithgow (Sc 1603), Lord Paisley, Hamilton, Mountcashell and Kirkpatrick (Sc 1606), Lord Hamilton of Strabane, in the county of Tyrone (Ir 1617) and Baron Mountcastle, 타이론 카운티 (Ir 1701)에서
- 존 해밀턴(John Hamilton, 1756–1818) 1대 마퀘스(Abercorn, 1756–18)는 요한 대위의 외아들로, 7대 백작의 차남이다.
- 제임스 해밀턴(James Hamilton, Viscount Hamilton, 1786–1814)은 제1대 마퀘스의 장남으로 아버지보다 먼저 세상을 떠났다.
- 제임스 해밀턴(James Hamilton, 1811–1885)은 1868년 아베르콘 공작(Duke of Abercorn, 1811–1885)이 되었다.
아베르콘의 두키스 (1868년)
- Other titles: Marquess of Abercorn (GB 1790), Marquess of Hamilton, of Strabane in the county of Tyrone (1868), Earl of Abercorn (Sc 1606), Viscount Strabane (Ir 1701), Viscount Hamilton (GB 1786), Lord Paisley, in the county of Renfrew (Sc 1587), Lord Abercorn, in the county of Linlithgow (Sc 1603), Lord Paisley, Hamilton, Mountcashell and Kirkpat릭(sc 1606)과 스트라베인의 해밀턴 경(Ir 1617), 타이론(Ir 1701)의 마운트캐슬 남작(Barron Mountcastle)이다.
- 제임스 해밀턴, 제1대 아베르콘 공작(1811–1885) 해밀턴 경의 장남
- 제임스 해밀턴(James Hamilton), 제2대 아베르콘 공작(1838~1913), 제2대 공작(James Hamilton, 1838–1913)
- 제임스 앨버트 에드워드 해밀턴(James Albert Edward Hamilton, 1869–1953)은 제2대 공작의 장남이다. 그의 딸 신시아 스펜서 백작 부인은 웨일즈 공주 다이애나의 할머니였다.
- 제4대 아베르콘 공작(1904~1979) 제임스 에드워드 해밀턴, 제3대 공작의 장남.
- 제5대 아베르콘 공작 (1934년 출생) 제임스 해밀턴, 제4대 공작의 장남
계승 순위
제4대 아베르콘 공작 제임스 해밀턴(1904~1979)
가계도
애버콘의 얼, 마르케스, 두키스 | 해밀턴 가계도:|||||||||||||||||||||||||||||||||||||||||||||||||||||||||||||||||||||||||||||||||||||||||||||||||||||||||||||||||||||||||||||||||||||||||||||||||||||||||||||||||||||||||||||||||||||||||||||||||||||||||||||||||||||||||||||||||||||||||||||||||||||||||||||||||||||||||||||||||||||||||||||||||||||||||||||||||||||||||||||||||||||||||||||||||||||||||||||||||||||||||||||||||||||||||||||||||||||||||||||||||||||||||||||||||||||||||||||||||||||||||||||||||||||||||||||||||||||||||||||||||||||||||||||||||||||||||||||||||||||||||||||||||||||||||||||||||||||||||||||||||||||||||||||||||||||||||||||||||||||||||||||||||||||||||||||||||||||||||||||||||||||||||||||||||||||||||||||||||||||||||||||||||||||||||||||||||||||||||||||||||||||||||||||||||||||||||||||||||||||||||||||||||||||||||||||||||||||||||||||||||||||||||||||||||||||||||||||||||||||||||||||||||||||||||||||||||||||||||||||||||||||||||||||||||||||||||||||||||||||||||||||||||||||||||||||||||||||||||||||||||||||||||||||||||||||||||||||||||||||||
---|---|---|---|---|---|---|---|---|---|---|---|---|---|---|---|---|---|---|---|---|---|---|---|---|---|---|---|---|---|---|---|---|---|---|---|---|---|---|---|---|---|---|---|---|---|---|---|---|---|---|---|---|---|---|---|---|---|---|---|---|---|---|---|---|---|---|---|---|---|---|---|---|---|---|---|---|---|---|---|---|---|---|---|---|---|---|---|---|---|---|---|---|---|---|---|---|---|---|---|---|---|---|---|---|---|---|---|---|---|---|---|---|---|---|---|---|---|---|---|---|---|---|---|---|---|---|---|---|---|---|---|---|---|---|---|---|---|---|---|---|---|---|---|---|---|---|---|---|---|---|---|---|---|---|---|---|---|---|---|---|---|---|---|---|---|---|---|---|---|---|---|---|---|---|---|---|---|---|---|---|---|---|---|---|---|---|---|---|---|---|---|---|---|---|---|---|---|---|---|---|---|---|---|---|---|---|---|---|---|---|---|---|---|---|---|---|---|---|---|---|---|---|---|---|---|---|---|---|---|---|---|---|---|---|---|---|---|---|---|---|---|---|---|---|---|---|---|---|---|---|---|---|---|---|---|---|---|---|---|---|---|---|---|---|---|---|---|---|---|---|---|---|---|---|---|---|---|---|---|---|---|---|---|---|---|---|---|---|---|---|---|---|---|---|---|---|---|---|---|---|---|---|---|---|---|---|---|---|---|---|---|---|---|---|---|---|---|---|---|---|---|---|---|---|---|---|---|---|---|---|---|---|---|---|---|---|---|---|---|---|---|---|---|---|---|---|---|---|---|---|---|---|---|---|---|---|---|---|---|---|---|---|---|---|---|---|---|---|---|---|---|---|---|---|---|---|---|---|---|---|---|---|---|---|---|---|---|---|---|---|---|---|---|---|---|---|---|---|---|---|---|---|---|---|---|---|---|---|---|---|---|---|---|---|---|---|---|---|---|---|---|---|---|---|---|---|---|---|---|---|---|---|---|---|---|---|---|---|---|---|---|---|---|---|---|---|---|---|---|---|---|---|---|---|---|---|---|---|---|---|---|---|---|---|---|---|---|---|---|---|---|---|---|---|---|---|---|---|---|---|---|---|---|---|---|---|---|---|---|---|---|---|---|---|---|---|---|---|---|---|---|---|---|---|---|---|---|---|---|---|---|---|---|---|---|---|---|---|---|---|---|---|---|---|---|---|---|---|---|---|---|---|---|---|---|---|---|---|---|---|---|---|---|---|---|---|---|---|---|---|---|---|---|---|---|---|---|---|---|---|---|---|---|---|---|---|---|---|---|---|---|---|---|---|---|---|---|---|---|---|---|---|---|---|---|---|---|---|---|---|---|---|---|---|---|---|---|---|---|---|---|---|---|---|---|---|---|---|---|---|---|---|---|---|---|---|---|---|---|---|---|---|---|---|---|---|---|---|---|---|---|---|---|---|---|---|---|---|---|---|---|---|---|---|---|---|---|---|---|---|---|---|---|---|---|---|---|---|---|---|---|---|---|---|---|---|---|---|---|---|---|---|---|---|---|---|---|---|---|---|---|---|---|---|---|---|---|---|---|---|---|---|---|---|---|---|---|---|---|---|---|---|---|---|---|---|---|---|---|---|---|---|---|---|---|---|---|---|---|---|---|---|---|---|---|---|---|---|---|---|---|---|---|---|---|---|---|---|---|---|---|---|---|---|---|---|---|---|---|---|---|---|---|---|---|---|---|---|---|---|---|---|---|---|---|---|---|---|---|---|---|---|---|---|---|---|---|---|---|---|---|---|---|---|---|---|---|---|---|---|---|---|---|---|---|---|---|---|---|---|---|---|---|---|---|---|---|---|---|---|---|---|---|---|---|---|---|---|---|---|---|---|---|---|---|---|---|---|---|---|---|---|---|---|---|---|---|---|---|---|---|---|---|---|---|---|---|---|---|---|---|---|---|---|---|---|---|---|---|---|---|---|---|---|---|---|---|---|---|---|---|---|---|---|---|---|---|---|---|---|---|---|---|---|---|---|---|---|---|---|---|---|---|---|---|---|---|---|---|---|---|---|---|---|---|---|---|---|---|---|---|---|---|---|---|---|---|---|---|---|---|---|---|---|---|---|---|---|---|---|---|---|---|---|---|---|---|---|---|---|---|---|---|---|---|---|---|---|---|---|---|---|---|---|---|---|---|---|---|---|---|---|---|---|---|---|---|---|---|---|---|---|---|---|---|---|---|---|---|---|---|---|---|---|---|---|---|---|---|---|---|---|---|---|---|---|---|---|---|
|
참고 항목
참조
- ^ a b c d e f g h i j Mosley, Charles, ed. (2003). Burke's Peerage, Baronetage & Knighthood (107 ed.). Burke's Peerage & Gentry. pp. 4–7. ISBN 0-9711966-2-1.
- ^ Genealogical and Heraldic Dictionary of the Peerage and Baronetage of the British Empire. Burke's Peerage Limited. 1914. p. 54. Retrieved 22 September 2017.
- ^ McAndrew, Bruce A. (2006). Scotland's Historic Heraldry. Boydell Press. p. 510. ISBN 9781843832614. Retrieved 22 September 2017.
- ^ 바론스코트 교구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