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스티 인 멤피스

Dusty in Memphis
더스티 인 멤피스
Dusty Springfield, Dusty in Memphis (1969).png
US 커버
스튜디오 앨범 기준
방출된1969년 1월 18일 (1969-01-18)
녹음된1968년[1] 9월
스튜디오American Sound, Memphis, Atlantic, New York(보컬 오버듀빙)[1]
장르., 소울, R&B, 파란 눈의 소울
길이33:31
라벨애틀랜틱(미국)
필립스(전 세계)
프로듀서제리 웩슬러, 아리프 마딘, 톰 다우드
더스티 스프링필드 연대기
더스티...확실히
(1968)
더스티 인 멤피스
(1969)
A Brand New Me
(1970)
대체 커버
Worldwide cover
월드와이드 커버

더스티 멤피스는 영국 가수 더스티 스프링필드의 다섯 번째 스튜디오 앨범이다.초기 세션은 멤피스아메리칸 사운드 스튜디오에서 녹음되었고, 스프링필드의 마지막 보컬과 앨범의 관현악 부분은 애틀랜틱 레코드의 뉴욕 스튜디오에서 녹음되었다.The album was released on 18 January 1969 in the United States by Atlantic Records, and Philips Records distributed the record outside the U.S. Springfield worked on the album with a team of musicians and producers that included Jerry Wexler, Arif Mardin, Tom Dowd, conductor Gene Orloff, backing vocalists the Sweet Inspirations, bassist Tommy Cogb그리고 기타리스트 레지 영.

'더스티멤피스'는 영국 스프링필드의 10대 히트작 중 하나인 '설교자의 아들'이 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첫 출시 당시 판매량이 저조했다.그 후 그것은 일반적으로 그녀의 최고의 작품이자 역대 최고의 앨범 중 하나로 호평을 받았다.음악평론가 로버트 크라이스토는 이를 "역대 록 시대횃불 레코드"[2]라고 부르며, 이 기록을 크라이스토의 레코드 가이드: 70년대 앨범(1981)에 발표한 1950년대와 1960년대 녹음의 "기본 레코드 라이브러리"에 포함시켰다.[3]2001년에는 그래미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4]

2020년에, 이 앨범은 "문화적으로, 역사적으로, 또는 미적으로 중요하다"는 이유로 미국 국립 기록 등록부에 보존하기 위해 의회 도서관에 의해 선정되었다.[5][6]도서관은 공식 보도자료에서 "시간이 지나면서 더스티 인 멤피스(Dusty in Memphis)는 작은 판매량에도 불구하고 록 시대의 한 여성에 의해 중요한 앨범으로 널리 인정받을 수 있는 위상이 커졌다"고 밝혔다.[5]

작성 및 기록

스프링필드는 그녀의 커리어에 활력을 불어넣고 신뢰도를[citation needed] 높이기를 바라며, 당시 그녀의 소울 뮤직 아이돌 중 한 명인 아레사 프랭클린의 레이블을 애틀랜틱 레코드와 계약했다.스프링필드는 레이블의 최고 프로듀서이자 공동 소유주인 제리 웩슬러와 함께 일하는 조건으로 애틀랜틱과 계약했다.웩슬러는 초기 앨범 프로젝트를 위해 스프링필드에 수십 곡의 노래 데모 녹음을 제공했고, 두 사람은 팝 장르를 중심으로 11곡의 프로그램을 결정했다.이 중 8곡은 당시 '브릴 빌딩 사운드'와 관련이 있었던 뉴욕과 LA의 작곡가들에 의해 작곡되었다.그러나 이 앨범의 가장 잘 알려진 곡인 "설교자의 아들"은 이 곡들 중에 포함되지 않았으며, 원래 아레사 프랭클린에게 제출할 생각으로 작곡되었다. (프랭클린은 스프링필드의 싱글이 빌보드100에서 10위에 오른 후 1969년에 이 곡을 그녀 자신의 버전으로 절단했다.) "프리처 맨"은 음악적으로 그리고 주제적으로 c에 더 가까웠다.앨범의 또 다른 컷인 "Breakfast in Bed"와 마찬가지로, "Laski Southern soul"도 그렇다.앨범의 소울 장르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것은 스프링필드와 웩슬러가 고집했던 미셸 렉그랜드의 '마음의 풍차'였다.웩슬러와 스프링필드의 이번 앨범 발상은 다른 프로듀서들이 아메리칸사운드 스튜디오에서 성공적으로 시도했던 '더 박스탑스'와 '메리리 러쉬' 같은 연기로 남부소울의 리드미컬한 느낌으로 팝 작곡을 녹음하는 것이었다.

멤피스 세션은 웩슬러, 동료 애틀랜틱 프로듀서 아리프 마딘, 애틀랜틱 엔지니어 톰 다우드가 감독을 맡았다.스프링필드와 함께 공연하는 Sweet Inspirations와 기타리스트 레지 영과 베이시스트 토미 코그빌이 포함된 Memphis Boys로 알려진 American Sound Studio 스튜디오 뮤지션들의 비공식 그룹의 멤버였다.[7]그들의 팝 세션 작업 외에도 멤피스 보이즈는 이전에 소울 뮤지션 윌슨 피켓, 조 텍스, 바비 워맥, 그리고커티스를 지지했었다.뉴뮤지컬 익스프레스 세션에 곡을 쓰기 위해 임무로 고용된 녹음 엔지니어 테리 매닝이 참석했고 결국 에드 콜리스와 함께 다우드를 보좌하게 되었다.이 곡들은 그 중에서도 게리 고핀캐롤 킹, 배리 만신시아 웨일, 랜디 뉴먼, 버트 바차라크와 할 데이비드가 작곡했다.[8]

이 녹음은 웩슬러에게 도전이었다.웩슬러는 자신의 저서 '리듬과 블루스'에서 스프링필드에 처음 제출된 모든 곡 중 "정확히 0을 승인했다"고 썼다.그는 "한 곡에 찬성하는 것은 평생의 헌신으로 보였다"고 말했다.[9] 스프링필드는 "설교자의 아들"과 "그냥 작은 사랑"[10]이라는 두 곡을 선택했다.그는 더스티의 재능으로 보아 그녀의 명백한 불안감에 놀랐다.스프링필드는 나중에 자신의 초기 불안감을 같은 스튜디오에서 녹음한 영혼의 거장들과 비교되는 것에 대한 매우 현실적인 불안감 탓으로 돌렸다.결국 더스티의 마지막 보컬이 뉴욕에서 녹음되었다.[11]또한 스프링필드는 리듬 트랙만으로 작업한 적이 없으며, 이전 음반(그녀가 결코 신용을 얻지 못한 것)을 자체 제작하면서 외부 프로듀서와 함께 작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밝혔다.[10]

1968년 11월 멤피스 세션에서 스프링필드는 애틀랜틱 레코드의 수장들에게 새로 결성된 레드 제플린 그룹에 서명해야 한다고 제안했다.그녀는 그 밴드의 베이스 연주자 존 존스를 알고 있었는데, 그는 전에 콘서트에서 그녀를 지지했었다.그들을 본 적도 없고 주로 더스티의 조언에 따라 이 음반회사는 14만 3천 달러의 선금으로 이 그룹에 서명했다.[12][13]

해제 및 수신

소급전문평점
점수 검토
출처순위
올뮤직[14]
대중음악 백과사전[15]
엔터테인먼트 위클리A을[16]
뮤직 스토리[17]
뮤직하운드 록4/5[18]
Q[19]
구르는 돌[20]
롤링스톤 앨범 안내서[21]
스푸트니크 음악4.5/5[22]

더스티 멤피스는 1969년 1월 18일 미국 애틀랜틱 레코드에 의해, 4월 18일 영국의 필립스 레코드에 의해 발매되었다.[23]이 앨범은 미국 앨범 차트에서 99위에 그쳤고 영국40 차트에서는 완전히 차트화되지 못하면서 양국에서 상업적인 실패였다.음악 저널리스트 피터 로빈슨에 따르면, 비록 그 기록이 결국 중고품 가게에서 그것을 발견하거나 몇 년 후에 그것의 몇 가지 재발행 중 하나를 구매한 청취자들에게 "대중문화적인 이정표와 시대를 초월한 감정적 기준점"이 되기는 했지만, 스프링필드의 실패는 그것을 되살리기보다 스프링필드의 경력을 방해했다.[24]로버트 Christgau 그것"는 팝 기준과 고전", 뉴스 데이에 1973년 그의 칼럼에 기록이기 때문에 팬들 교체장이 필요하는년에 팔릴 것이다가 될 거야" 해서 어떻게에 제작 팀에서 일해야 한다의 완벽한 인스턴스를 예측했다."[25]Greil 마르쿠스 덜 롤링 스톤에, 몇몇의 노래 5열광했다."진짜 표류하고, 멋지고, 똑똑하고, 성적으로 산만한 소울 앨범"[20]에 대해 일관성이 없는 글쓰기

소소한 판매량에도 불구하고 아메리칸 레코딩 스튜디오에서 팝 가수들이 녹음한 '인 멤피스' 스타일의 작은 물결 중 첫 번째 앨범이었다.스프링필드의 앨범이 발매된 지 3개월 만에, 소울과 팝이 유사하게 섞여 미국식으로 녹음된 디온 워릭의 소울풀 앨범이 발매되었다.1969년 여름, 엘비스 프레슬리의 '엘비스 멤피스에서 엘비스로부터'가 발매되었는데, 프레슬리가 더 멤피스 보이즈 뮤지션들과 함께 미국에서 녹음하는 모습을 담았다.이듬해에는 미국에서도 녹음된 페툴라 클라크멤피스 앨범이 발매되었다.이 앨범들은 모두 1960년대와 1970년대 멤피스(Stax Records, Hi Records 및 기타 스튜디오와 레이블)와 인근 알라바마의 머슬 쇼얼스 쇼얼스의 소울 및 대중음악 제작 붐의 일부였다.

더스티 인 멤피스(Dusty in Memphis)는 역대 최고의 앨범 중 하나로 자주 선정되었다. 찬사를 받은 뮤직에 따르면, 이 앨범은 비평가들의 역대 리스트 중 98번째로 가장 눈에 띄는 음반이다.[26]NME는 1993년 리스트에서 54번째로 가장 위대한 앨범으로 선정했으며,[27] 콜린 라킨의 올 타임 1000 앨범(2000년) 세 번째 판에서 171위로 뽑혔다.[28]2003년에 롤링 스톤은 이 잡지가 2012년 개정된 리스트에서 유지한 평점인 [29]역대 500대 앨범 중 89위를 차지했고, 2020년 리부팅에서 83위로 상승했다.[30][31]올뮤직리치 운터버거에 따르면, 이 음악이 "고전적 지위를 누릴 자격이 있다"[14]고 하면서 앨범의 명성은 시간이 지나면서 크게 향상되었다고 한다.엔터테인먼트 위클리 소속의 토니 셔먼은 멤피스의 더스티는 스프링필드의 가장 위대한 작품인 "순수한 보석"이며 아마도 지금까지 기록된 가장 위대한 음반 중 하나일 것이라고 말했다.[16]Q는 'R&B와 예민한 팝 드라마'[19]의 균형을 주목했고, 스핀 평론가에디는 이를 모두 중요한 파란 눈의 소울 레코드 중 하나로 봤다.[32]A.V.에서. 클럽 키스 핍스는 스프링필드와 멤피스의 더스티를 위한 음악가와 프로듀서 팀이 1970년대의 필라델피아 소울 사운드를 앞지른 팝과 R&B의 우아하고 뚜렷한 융합을 개발했다고 썼다.[33]팝매터스의 에릭 클링거에 따르면 세련된 음악 스타일은 앨범에서 곡을 샘플링한 1990년대 트립 홉 아티스트들의 사운드에 영향을 미쳐 아델, 에이미 와인하우스, 더피, 조스 스톤, 팔로마 페이스, 루머 등 2000년대 영국 여성 가수들의 청사진으로 자리 잡았다.[34]

트랙리스트

사이드 원
No.제목작성자길이
1."그냥 작은 사랑이야"배리 만, 신시아 웨일2:19
2."So Much Love"케롤 킹게리 고핀3:31
3."설교자의 아들"존 헐리, 로니 윌킨스2:28
4." 이상 듣고 싶지 않아"랜디 뉴먼3:10
5."나를 잊지 마"고핀, 킹2:51
6."Breakfast in Bed"에디 힌튼, 도니 프리츠2:56
사이드 투
No.제목작성자길이
7."그냥의 미소"뉴먼2:42
8."마음의 풍차"앨런과 마릴린 버그먼, 미셸 르그랑3:51
9."믿음의 땅에서"버트 바차라크, 할 데이비드2:31
10."쉽게 내려가지 않음"고핀, 킹3:10
11."혼자서는 만들 수 없다"고핀, 킹3:53
총 길이:33:31

CD 재발행

더스티 멤피스필립스 레코드/폴리그램에 의해 콤팩트 디스크로 처음 발매되었고 1988년 영국/유럽에서 다시 발매되었다.두 번째 CD 발매는 1992년 미국의 코뿔소 레코드(당시 독립, 애틀랜틱에서 라이선스)가 발행한 것으로, 3개의 보너스 트랙이 포함되어 있다.Rhino가 다시 발매한 14개의 보너스 트랙의 디럭스 에디션(현재 워너 뮤직의 하위 레이블)이 1999년에 그 뒤를 이었다.세 번째 보너스 트랙 세트가 포함된 네 번째 24비트 디지털 리마스터 CD는 2002년 영국/유럽의 Mercury Records/Universal Music에 의해 발행되었다.

추가 재료 이 re-releases에 연재되는 이야기들 가운데는 애틀랜틱 레코드 기록 보관소에 녹음된 내용;더스티 멤피스의 수업을 하면 제리 Wexler로 취소된 2집 앨범 중 두 트랙 1969년에서 녹음에서 삭제된 부분이랑 다른 혼합 갬블 및이 없었던 2집 앨범 중; 남을 호통쳐서 1970년에(브랜드 로마에 이어기록을 추적하고 있다.Mew/더스티에서...With Love)와 1971년 제프 배리가 프로듀싱한 의도된 Perfect 앨범은 스프링필드의 대서양 레이블 최종 음반으로 탄생했다.그러나 완성된 '충성' 앨범은 파일럿 싱글 'Huled'와 'I Believe in You'가 공연에 실패하면서 발표되지 않았다.타이틀 곡 "I'll Be Perfective"의 모노믹스를 제외하고, 이 앨범의 모든 마스터 테이프는 나중에 화재로 소실되었다 - 스프링필드가 웩슬러와의 후속 세션에서 The Bee Geees의 "To Love Somebody"를 녹음한 것과 함께 - 그러나 제프 배리는 의도된 최종 믹스의 참조 복사본을 보관했고, 이것들은 숫자였다.동맹국은 1999년 멤피스에서 리노의 더스티 디럭스 에디션의 일부로 리마스터되어 처음 발매되었다.

보너스 트랙 1992년 재발행, 코뿔소 레코드 US

  1. "사랑이 죽었을 때 무엇을 하는가" (관현악 오버듀프 없이) (메리 우놉스키, 도나 와이스) – 2:43
    • 멤피스의 더스티 세션에서 빼내십시오.기록 날짜:1968년 9월.첫 번째 릴리스(관현악 오버듀브 포함):1971년 1월 12일 미국 애틀랜틱 싱글 #2771("What Good Is I Love You?"의 B 측),첫 번째 영국 발매: 1980년 Memphis Plus의 앨범 Dusty in Memphis Plus.
  2. "윌리 & 로라 매 존스"(토니화이트) – 2시 45분
    • From 취소된 2집 앨범과 Jerry Wexler.첫 번째 릴리스:1969년 6월 5일 미국 애틀랜틱 싱글 #2647(A-side, A-side.첫 번째 영국 발매: 1972년 앨범 《See All Her Faces》.
  3. "저 올드 스위트 롤 (하이데호)" (제리 고핀, 캐롤 킹) – 2:55
    • From 취소된 2집 앨범과 Jerry Wexler.첫 번째 릴리스:미국 애틀랜틱 싱글 #2647("윌리 & 로라 매 존스"의 B-side).첫 번째 영국 발매: 1972년 앨범 《See All Her Faces》.
  • 12번 트랙: American Studio, Memphis에서 녹음.뉴욕에서 녹음된 더스티 스프링필드의 마지막 보컬.제작자: 제리 웩슬러, 톰 다우드 & 아리프 마딘.
  • 1969년 5월 뉴욕 그루브 사운드 스튜디오에서 녹음된 13&14번 트랙.제작자: 제리 웩슬러, 톰 다우드 & 아리프 마딘.

보너스 트랙 1999 Deluxe Edition, Rhino Records US

  1. "사랑이 죽었을 때 무엇을 하는가" (관현악 오버듀프 없이) (메리 우놉스키, 도나 와이스) – 2:42
  2. "윌리 & 로라 매 존스" (토니 조 화이트) – 2:49
  3. "그 옛날 스위트 롤 (하이데호)" (케리 고핀, 캐롤 킹) – 2:59
  4. "숙원"(케니 갬블, 리언 허프) – 2:38
  5. "굿바이"(롤랜드 챔버스, 레너드 파쿨라) – 2:33
    • 첫 번째 영국 출판물: Classic And Collectables, 2007년 편집
  6. "Make It with You"(데이비드 게이츠) – 3:12
    • 첫 번째 영국 발매: 4개의 CD 박스 세트 Simply Dusty, 2000
  7. "Love Shine Down"(닐 브라이언 골드버그, 길버트 슬라빈 [공인되지 않음]) – 2:22
    • 첫 번째 영국 출판물: Classic And Collectables, 2007년 편집
  8. "Live Here With You"(길버트 슬라빈, Michael F.밑창) – 2:44
    • 첫 번째 영국 발매: 4개의 CD 박스 세트 Simply Dusty, 2000
  9. "나체즈 트레이스"(닐 브라이언 골드버그, 길버트 슬라빈) – 2:58
    • 첫 번째 영국 출판물: Classic And Collectables, 2007년 편집
  10. "All the King's Hors" (Neil Brian Goldberg, Joe Renzetti [공인되지 않음]) – 3:10
  11. "나는 충실할 거야" (스테레오) (네드 W)올브라이트, 마이클 F.밑창, 스티븐 밑창) – 3:01
    • 첫 번째 릴리스(모노):Rhino 1992년 A Brand New Me. 첫 번째 영국 발매: Classic And Collectables, 2007
  12. "Have a Good Life Baby"(닐 브라이언 골드버그, 조 렌제티 [공인되지 않음]) – 3:09
  13. "친구 생겼구나"(캐롤 킹) – 5:28
    • 첫 번째 영국 발매: 4개의 CD 박스 세트 Simply Dusty, 2000
  14. "나는 내 길을 찾았다"는 a.k.a. "어둠을 뚫고 길을 찾았다."(길버트 슬라빈, 마이클 F.밑창) – 3:12
    • 첫 번째 영국 출판물: Classic And Collectables, 2007년 편집
  • 트랙 15-16: 원래 미발행.1970년 2월 필라델피아 시그마 사운드 스튜디오에서 녹음되었다.제작자: 갬블-허프 프로덕션톰 벨이 주선했다.
  • 트랙 17~25: 원래 미발행.1971년 1월~6월 뉴욕 센츄리 사운드 스튜디오에서 녹음.프로듀서: 제프 배리.

2002년 발행된 Mercury Records UK 보너스 트랙

  1. "설교자의 아들" (헐리, 윌킨스) – 2:29
  2. "Just little lovin'" (맨, 웨일) – 2:18
  3. "나를 잊지 마" (고핀, 킹) – 2:50
  4. "Breakfast in Bed"(프릿츠, 힌튼) – 2:56
  5. "더 이상 듣고 싶지 않아" (뉴맨) – 3:10
  6. "The Windmills of Your Mind"(베르크만, 버그만, 르그랑) – 3:52
  7. "믿음의 땅에서" (바하라크, 다윗) – 2:31
  8. "So Much Love"(고핀, 킹) – 3:32
  • 모든 트랙: 오리지널 모노 믹스.

인원

차트

차트(1969년) 피크
포지션
US 빌보드 200[35] 99
뉴뮤지컬 익스프레스 14

인증

지역 인증 인증 단위/판매
영국(BPI)[36] 100,000double-dagger

double-dagger 인증만 기반으로 영업+스트리밍 수치.

참조

  1. ^ a b Agarwal2007, 페이지 160.
  2. ^ Christgau, Robert (October 1972). "The Christgau Consumer Guide". Creem. Retrieved 3 March 2019 – via robertchristgau.com.
  3. ^ Christgau, Robert (1981). "A Basic Record Library: The Fifties and Sixties". Christgau's Record Guide: Rock Albums of the Seventies. Ticknor & Fields. ISBN 0899190251. Retrieved 16 March 2019 – via robertchristgau.com.
  4. ^ Anon. (n.d.). "GRAMMY Hall of Fame". GRAMMY.com. Retrieved 3 March 2019.
  5. ^ a b "National Recording Registry Class Produces Ultimate 'Stay at Home' Playlist". Library of Congress – National Recording Registry. 25 March 2020. Retrieved 25 March 2020.
  6. ^ "The Village People's YMCA is preserved for posterity". BBC News. 25 March 2020. Retrieved 25 March 2020.
  7. ^ "Dusty in Memphis. The Rolling Stone magazine".
  8. ^ "Greil Marcus. Dusty in Memphis. The Rolling Stone magazine si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April 2009.
  9. ^ Chin, Brian (1999). The Best of Dusty Springfield (The Millennium Collection) (Inset). Dusty Springfield. USA: Mercury Records. 314,538,851-2.
  10. ^ a b Feldman, Jim (1992). Dusty in Memphis (Inset). Dusty Springfield. USA: Rhino Entertainment. R2 75580.
  11. ^ 89) 멤피스 롤링스톤 부지의 먼지
  12. ^ 웰치, 크리스(1994) 런던 레드 제플린:오리온 북스.ISBN 1-85797-930-3, 페이지 31.
  13. ^ Mick Wall (2005). "No Way Out": 83. {{cite journal}}:Cite 저널은 필요로 한다. journal=(도움말)
  14. ^ a b 더스티멤피스 올뮤직
  15. ^ Larkin, Colin (2011).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5th ed.). Omnibus Press. p. 3074. ISBN 978-0857125958.
  16. ^ a b Scherman, Tony (12 March 1999). "Dusty in Memphis". Entertainment Weekly. New York. Retrieved 6 September 2015.
  17. ^ "엠피스의 더미'찬사를 받은 음악.2016년 12월 26일 회수.
  18. ^ Graff, Gary; Durchholz, Daniel, eds. (1999). "Dusty Springfield". MusicHound Rock: The Essential Album Guide. Farmington Hills: Visible Ink Press. ISBN 1-57859-061-2.
  19. ^ a b Q. London: 119. March 1995.{{cite journal}}: CS1 maint: 제목 없는 정기 간행물(링크)
  20. ^ a b Marcus, Greil (4 January 1999). "Dusty In Memphis". Rolling Stone. New York. Retrieved 6 September 2015.
  21. ^ Evans, Paul (2004). "Dusty Springfield". In Brackett, Nathan; Hoard, Christian (eds.). The Rolling Stone Album Guide (4th ed.). Simon & Schuster. p. 770. ISBN 0743201698.
  22. ^ "Dusty Springfield - Dusty in Memphis User Opinions". Sputnikmusic. Scroll down to 4.5 superb Dr Dave De Sylvia STAFF. Retrieved 6 September 2015.
  23. ^ 멘델손 & 클링거 2012; Agarwal2007, 페이지 160.
  24. ^ Robinson, Peter (20 June 2004). "Dusty, In Memphis". The Observer. London. Retrieved 6 September 2015.
  25. ^ Christgau, Robert (11 February 1973). "The Boys Won't Leave That Girl Alone". Newsday. New York. Retrieved 6 September 2015 – via robertchristgau.com.
  26. ^ "Dusty Springfield". Acclaimed Music. Retrieved 6 September 2015.
  27. ^ "Greatest Albums of All Time". NME. London: 29. 2 October 1993.
  28. ^ Colin Larkin, ed. (2000). All Time Top 1000 Albums (3rd ed.). Virgin Books. p. 93. ISBN 0-7535-0493-6.
  29. ^ "The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Rolling Stone. New York: 146. 11 December 2003.
  30. ^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Rolling Stone's definitive list of the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Rolling Stone. 2012. Retrieved 19 September 2019.
  31. ^ Rolling Stone (22 September 2020). "The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Rolling Stone. Retrieved 9 October 2021.
  32. ^ Eddy, Chuck (March 2010). "Essentials: Crossing racial borders, blue-eyed soul sets off sweet-sounding alarms". Spin. SpinMedia. 26 (3): 84. ISSN 0886-3032. Retrieved 26 September 2015.
  33. ^ Phipps, Keith (29 March 2002). "Dusty Springfield: Dusty In Memphis". The A.V. Club. Chicago. Retrieved 6 September 2015.
  34. ^ 멘델손 & 클링거 2012.
  35. ^ "Dusty Springfield Chart History – Billboard 200". Billboard. Retrieved 26 April 2020.
  36. ^ "British album certifications – Dusty Springfield – Dusty in Memphis". British Phonographic Industry.

참고 문헌 목록

추가 읽기

외부 링크